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Bela Bartok의 “Two Rumanian Dances, Op. 8a”의 분석 연구

        김선숙 동덕여자대학교 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7647

        벨라 바르톡 (Béla Bartók, 1881-1945)은 20세기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작곡가 중 한사람으로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민속음악 연구를 통해 동유럽 민속음악의 여러 요소를 자신의 독창적인 양식과 잘 융합하여 20세기 음악의 새로운 기법을 창조해 낸 작곡가이다. 바르톡은 훌륭한 피아니스트로서 전 생애에 걸쳐 피아노를 연주하였으며, 그의 다양한 작곡기법은 어느 매체보다 피아노 음악에 잘 구사되어 표현되고 있다. 특히 피아노를 선율적, 화성적 악기일 뿐 아니라 리듬을 강조하는 타악기처럼 다룬 기법은 그의 피아노 음악을 더욱 강렬하게 만드는 요소 중 하나이다. “Two Rumanian Dances, Op. 8a”는 1908년 그가 처음으로 루마니아 민속음악을 수집하고 ? Bela Bartok (1881-1945) is one of the most representative composers in the 20th century, who created a new compositional style, combining various folk elements of Eastern European music and his own technique through rational and systematic study of folk music. As a gifted pianist, Bartok performs during his entire life time and his extensive compositional techniques are best shown in his piano music, other than any other genre of his compositions. His compositional techniques do not only treat piano as a melodic and harmonic instrument but also a percussive instrument, which enhances the rhythmic impact. Therefore, his piano music sound more energetic and stronger than any other instrumental music. Written between 1909 and 1910 after collecting Rumanian folk music in 1908, "Two Rumanian Dances Op. 8a" is a set of vivid and passionate dance music, which represents the composer's compositional style. These pieces are regarded as the first set of music ever written by Bartok, in which its' demanding skills and vivid passages using folk-like materials of Eastern Europe; these pieces are contrasted in terms of musical structure and contents. In this dissertation, it is discussed that Bartok's life, works and general characteristics of his piano music, catagorized the characteristics by periods. Index of his works for piano is also included by chronological order. Bartok's compositional techniques in "Two Rumanian Dances, Op. 8a" is studied in terms of its' form, melody, rhythm, dynamics and phrasing. His music stands for its' unique quality in the 20th century music with diverse rhythmic and harmonic styles, still based on the clear forms and phrasing of the classicism. Bartok's "Two Rumanian Dances, Op. 8a" is a significant work that proves his outstanding unique quality, which includes well-balanced features of Bartok's modern compositional techniques and folk characters of Eastern European music.

      • 여대생의 직업의식에 미치는 젠더의식, 가정환경, 노동환경의 영향

        김선숙 순천대학교 사회문화예술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47

        여성의 경제활동 참가는 계속 증가하고 있고 저출산, 고령화 사회가 되면서 여성인력의 효과적인 활용은 국가 성장 동력을 유지하는데 중요성이 더 커지고 있다. 여성의 경제활동에 관한 연구는 양적으로 증대시키고 근로환경을 개선시키는데 관심이 집중되어 있었으나 앞으로는 생산인구가 감소할 것이고 여성의 노동력이 남성의 보조적인 인력이 아닌 주도적인 근로인력이 되어 노동의 질이 사회적으로 중요해질 것으로 예측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여대생의 직업의식 실태와 관련 요인을 연구하여 여성의 경제활동을 활성화시킬 뿐 아니라 미래의 부족한 노동인구를 대체할 수 있는 질 높은 여성인재를 육성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1) 여대생의 직업의식 및 관련 변수의 실태는 어떠한가? 2) 여대생의 직업의식 및 관련변수는 일반적 특성에 따라 어떤 차이를 보이는가? 3) 여대생의 직업의식과 부모의 자녀에 대한 직업의식, 젠더의식, 자기효능감, 근로환경에 대한 인식의 관계는 어떠한가? 4) 여대생의 직업의식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무엇인가? 본 연구의 조사대상은 전남 동부 지역의 S대학 여학생 450명이었으며 2016년 10월 24일~11월 3일까지 배포하여 400부를 분석하였다. SPSS 22.0 프로그램을 이 용하여 t검증, ANOVA, Regresson 등으로 분석하였다. 분석을 통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여대생의 직업의식 실태는 보통보다 약간 높은 수준을 보였으나 높은 편은 아니었다. 성실성 영역이 가장 높았고 책임성 영역이 가장 낮았다. 부모의 자녀 직업에 대한 의식 실태도 보통보다 약간 높았으나 높은 편은 아니였다. 평판 영역이 높았고 과보호 영역이 낮았다. 여대생은 직업수행에서 주어진 업무를 완수하는 성실성은 높으나 어떤 경우에도 직업을 가지려는 책임성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여학생은 직업을 원하면서도 일을 사회적 의무로 여기지는 않는다고 볼 수 있다. 한편 부모들은 자녀의 근로에 대해 힘들게 일하기보다 편하게 일하기 바라면서도 사회적으로 인정받는 일을 하기 바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여대생의 직업의식은 아르바이트 또는 인턴경험이 있는 사람이 유의하게 높았으며 부의 교육수준이 고졸이상인 집단에서는 직업의식이 높게 나타났다. 가계소득의 경우에는 저소득층과 고소득층에서 직업의식이 낮게 나타났다. 부의 자녀에 대한 직업의식은 부의 교육수준과 관련이 있었는데 고졸이상의 높은 교육수준을 가진 집단의 의식이 높았다. 여대생의 직업의식을 높이려면 부의 교육수준을 높이고 고소득층에서는 로블리스오블리제의 책임성을 교육시키는 일이 필요하며 저소득층에서는 공공부조에 따른 약화된 근로의식을 강화시키는 것이 요구된다. 셋째, 여대생의 직업의식, 부모의 자녀에 대한 직업의식, 젠더의식, 자기효능감, 근로환경에 대한 인식의 관계를 조사한 결과 여대생의 직업의식은 부모의 자녀에 대한 직업의식, 자기효능감, 근로환경에 대한 인식과 정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자녀가 직업수행을 성실하고 책임감 있게 성취감을 갖고 수행하게 하려면 부모의 자녀에 대한 직업의식은 매우 중요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어 부모로부터 독립하는 성인초기에도 여전히 부모의 영향력은 크다고 볼 수 있다. 여대생의 직업의식을 높이기 위해서는 부모의 직업의식을 높이는 것과 더불어 자기효능감을 높여주고 근로환경을 개선해주는 것에 관심을 기울여야 함을 알 수 있다. 넷째, 여대생의 직업의식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의 영향력은 부모의 자녀에 대한 직업의식, 젠더의식, 자기효능감, 전공 순으로 높았다. 부모가 자녀에 대해 직업수행의 성실성과 책임감, 성취감을 고취시키고 여대생 자신이 성평등적인 젠더의식을 지니고 있으며 자기효능감이 높고 전공이 자연・의학・공학 계열인 경우에 직업의식이 높았다. 여대생의 직업의식을 높이려면 무엇보다 부모의 의식이 중요하며 여대생의 젠더의식과 자기효능감, 직무기술을 높이는 것이 필요하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결과로 볼 때 질 높은 여성인재를 육성하기 위해서는 여대생의 직업에 대한 책임성을 높이는 일이 필요하고 부모에 대해서는 자녀에게 과보호적인 태도와 체면유지에서 벗어나 사회적 의무를 다하도록 자녀를 교육하는 것이 요구된다. 자연・의학・공학 계열 교육을 여학생들이 많이 받을 수 있도록 기회를 넓히는 것도 미래 노동인구 감소에 대비한 여대생 직업의식을 높이는 데 필요하다고 볼 수 있다 As the rate of female participation in the economic activities has been increased with entering low birth rate and aging society, the effective utilization of the female talents became important more and more to maintain the national growth engine. The studies on the female economic activities have been expanded quantitatively focusing on the interests in the improvements on the working environment, however, it is anticipated that the quality of female labors will be more important in the society not as the supportive ones to the males but as the driving forces upon declining the reproductive populations in the future. Hence, the following subjects were established in this study to provide the fundamental data for developing the quality female talents who would be able to replace the future labors as well as activating the female economic activities by investigating the practices and related factors of vocational awareness in the female university students. 1) What about vocational awareness of the female university students and the practices of related variables? 2) How do vocational awareness of the female university students and related variables show the differences by general characteristics? 3) How are the relations of the vocational awareness in the female university students with the vocational awareness of the parents to their children, gender awareness, self-efficacy, and working environment? 4) What are the variables to affect the vocational awareness of the female university student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450 female students in S University in the eastern part of South Cholla Province, and the survey sheets were distributed from October 24 to November 3, 2016 analyzing 400 copies. The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with t-test, ANOVA, regression analysis, and so on, using SPSS 22.0 program.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practice of the vocational awareness in the female university students showed somewhat higher than normal, but not significant. Sincerity domain was the highest while responsibility domain was the lowest. The practice of vocational awareness from the parents to their daughters showed somewhat higher level than normal, but not significant, too. Reputation domain was high while overprotection domain was low. Sincerity of the female university students to accomplish the given tasks in their working practices was shown to be high, however, responsibility whatever they get the jobs was low. Female university students desire to get the job but do not consider it as the social responsibility. On the other hand, the parents showed to desire their daughters to work in comfort rather than to work hard, but to work in the areas where they are recognized socially. Second, the vocational awareness of the female university students demonstrated higher in those who had the experiences of part-time jobs or internship programs significantly, and higher in the group of higher education level over high school graduates among fathers. With respect to the household income, both low and high income levels were shown to be lower vocational awareness. The fathers’vocational awareness on their daughters was related with the fathers’education level, demonstrating higher level in the group of higher education background over high school graduates. To enhance the vocational awareness of the female university students, it is required to raise the education level of the fathers. Also, it is required for high income level to educate the responsibility of Nobles Oblige and for low income level to strengthen the weakened employment awareness from public assistance. Third, the vocational awareness of the female university students showed the positive correlations with parents’vocational awareness to their daughters, self-efficacy, and the perceptions on the working environment, upon the correlation analysis results. It is very important for children to perform their vocational works sincerely with responsibility, which reflects the significant influence of the parents even in the early adulthood when they are independent from their parents. To enhance the vocational awareness of the female university students, it is known to pay attention to the enhancement of the parents’ vocational awareness together with increasing self-efficacy and improvement of working environment. Fourth, the influential powers of variables to affect the vocational awareness in the female university students were high as the order of parents’vocational awareness to their children, gender awareness, self-efficacy, and major. Vocational awareness was higher as parents motivated their children on sincerity, responsibility, and sense of achievement in the working practices; female university students had gender awareness with sexual equality by themselves; they had higher self-efficacy; and the majors were Natural Sciences, Medicine, and Engineering. To enhance vocational awareness of female university students, parents’awareness is crucial, and it is required to develop their gender awareness, self-efficacy, and vocational skills. To develop high-quality female talents from these results, it is necessary to enhance the vocational responsibility of female university students. It is required for the parents to relieve from the overprotection attitude to their children and face issues, and to educate their children to strive the social responsibility. Also, it is requir ed to enhance the vocational awareness preparing reduction of future employment population with expansion of opportunities for the female students to receive lots of education on Natural Sciences, Medicine, and Engineering.

      • 신경세포에서 RCAN1(DSCR1) 단백질에 의한 CREB 신호전달 경로의 활성화

        김선숙 江原大學校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다운증후군 환자의 뇌에서 과발현되는 것으로 알려진 regulator of calcineurin 1 (RCAN1/DSCR1) 은 calcineurin에 의한 신호전달 경로를 저해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신경세포의 분화와 사멸 과정에 중요한 조절인자로 알려진 cyclic adenosine monophosphate (cAMP)/protein kinase A (PKA) 에 의해 RCAN1 단백질의 발현량이 증가하고, 이러한 결과는 RCAN1 단백질의 인산화에 따른 반감기의 증가로 인한 것임을 확인하였다. 또한 RCAN1은 PKA에 의해 활성화되는 신경세포 전사 조절 인자로 알려진 cyclic adenosine monophosphate response element binding protein (CREB) 의 인산화를 증가시키게 되는데, 이러한 기작은 RCAN1이 calcineurin의 활성을 저해함으로써 유도되는 것임을 확인하였다. RCAN1에 의해 CREB의 인산화가 증가됨으로써 cAMP-response element (CRE) 에 의해 전사되는 유전자들의 발현량 또한 증가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cAMP/PKA 신호전달 경로에 의해 증가된 RCAN1이 신경세포에서 CREB 신호전달 경로를 조절하는 중요한 단백질임을 제시하고 있다. Cyclic adenosine monophosphate response element-binding protein (CREB) is one of the best known transcription factors in the development and function of the nervous system. In this thesis, we found that RCAN1 (DSCR1), which is overexpressed in the brain of patients with Down syndrome (DS), increased the phosphorylation of CREB and cAMP response element (CRE)-mediated gene transcription in response to the activation of the intracellular cAMP pathway. Furthermore, we found that the increased activation of CREB signaling by RCAN1 depended on the ability of RCAN1 to inhibit calcineurin activity. Our data provide the first evidence that RCAN1 acts as an important regulatory component in the control of CREB signaling.

      • 자기존중감과 우울의 상호적 관계 : 인지적 취약성 모델, 상처모델, 상호순환적 효과 모델의 검증 : 노인을 중심으로

        김선숙 광주여자대학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연구는 노인(60세 이상 ~79세 이하)을 대상으로 하여 자기존중감과 우울의 관계에 대한 인지적 취약성 모델, 상처모델, 상호순환적 효과 모델의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는 한국복지패널의 1차, 2차, 3차, 4차년도의 자료를 이용하여 자기존중감과 우울의 상호적 관계를 자기회귀 교차지연 모형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특히 한국복지패널의 자기존중감 척도가 긍정적 자기존중감과 부정적 자기존중감의 2요인 구조를 갖는다는 선행연구결과에 기초하여 이 두 변인이 우울과 어떤 인과적 관계를 갖는지 검증하였다. 그 결과 이전 시점의 긍정적 자기존중감과 부정적 자기존중감 모두 우울에 대하여 유의한 교차지연효과를 보였으며, 이전 시점의 우울이 다음 시점의 긍정적 자기존중감과 부정적 자기존중감 모두에 대하여 유의한 교차지연효과를 보였다. 특히 긍정적 자기존중감이 부정적 자기존중감에 비하여 우울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더 강한 효과를 보였다. 본 연구는 인지적 취약성 모델과 상처모델 모두가 지지됨으로써 결과적으로는 상호순환적 효과 모델을 지지하는 결과를 보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의 의의 및 제한점 그리고 상담에서의 추후 연구에 대한 제언이 논의되었다.

      • 새로운 발룬 구조를 이용한 이중 평형 Star 혼합기의 설계 및 제작

        김선숙 忠南大學校 大學院 2003 국내석사

        RANK : 247631

        In this paper, a DBM(Double Balanced Mixer) of 2 GHz and 40 GHz are implemented. The structure of double balanced mixer requires, in general, two baluns and a quad diode. For balun, a novel planar balun using microstrip to CPS is suggested and designed. The suggested balun shows the phase imbalance of 180˚ ± 1.5˚ and the amplitude imbalance of ± 0.2 dB for 1.5 to 2.5 GHz Using the balun, DBM is succesfully implemented, and the measured conversion loss of up/down converter show about 6 dB over the bandwidth. The MMIC double balanced star mixer for 40 GHz was implemented on GaAs substrate with backside vias. In the design of the MMIC mixer, the design of balun and diode was required. A novel balun structure using microstrip to CPS was presented. The 40 GHz balun was designed based on the design experience of the scale-down balun by 2 GHz. The balun may be suitable for fabrication in MMIC process with backside via and can easily be applied for DBM. A Schottky diode was designed and implementd using p-HEMT process considering the compatibility with other high frequency MMIC's fabricated on p-HEMT base process. Finally, the double balanced star mixer was fabricated using the balun and the p-HEMT Schottky diode.

      • e-Denjoy 적분 : The e-Denjoy Integral

        김선숙 충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폐구간 [a,b]에서 정의되고 실수값을 갖는 함수들의 적분에는 Denjoy 적분이 있다. 이 적분은 Lebesque 적분을 일반화하여 확장한 것으로 Lebesque 적분과는 다른 여러 가지 성질을 갖는다. 본 연구에서는 Denjoy 적분을 다시 확장한 e-Denjoy 적분을 정의하고 Denjoy 적분의 성질과 비교하여 이 적분의 여러 가지 성질을 조사한다. 제 1장과 제 2장에서는 본 연구에 필요한 여러 가지 용어의 정의를 소개한다. 또, 제 3장에서는 e-Denjoy 적분을 정의하고 이 적분의 여러 가지 성질을 조사한다. 특히, e-Denjoy 적분은 Denjoy 적분의 확장임을 보인다.

      • 자기표현훈련이 여중생의 대인관계와 불안에 미치는 효과

        김선숙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여중생을 대상으로 자기표현훈련이 대인관계와 불안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 그 효과가 집단원들이 자신들의 생활장면으로 돌아간 추후에도 계속 유지되는지에 대하여 알아봄으로써, 일선학교에서 실시되는 인성교육에 도움을 주고자 함이며, 실생활에서 자기표현을 분명히 하여봄으로써 대인관계에서 불안을 느끼지 않토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이론적 배경과 선행연구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가설을 설정하였다. <가설1> 자기표현훈련에 참가한 실험집단의 대인관계점수는 통제집단의 대인관계점수보다 높아질 것이다. <가설2> 자기표현훈련에 참가한 실험집단의 대인관계점수는 일정기간이 지나도 효과가 계속 유지될 것이다. <가설3> 자기표현훈련에 참가한 실험집단의 불안점수는 통제집단의 불안점수보다 낮아질 것이다. <가설4> 자기표현훈련에 참가한 실험집단의 불안점수는 일정기간이 지나도 효과가 계속 유지될 것이다. 위의 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경기도 수원시에 있는 S여중 1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자기표현훈련에 참여하고자하는 학생들 중에서 28명을 무선으로 선정하였다. 사전검사를 기초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을 각각 14명씩 무선 배치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사용한 자기표현훈련프로그램은 변창진, 김성회(1980)가 개발한 자기표현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측정도구로는 대인관계 검사로 본 연구에 사용된 대인관계 측정도구는 Schlein과 Guerney(1971)의 “Relationship Change Scale”을 우리 실정에 맞게 이형득과 문선모(1982)가 번안한 대인관계 변화척도이다. 불안 측정 도구는 Spielberger와 공동 연구자들(1970)에 의해 개발된 상태·특성불안검사(State-Trait Anxiety Inventory ; STAI)를 한덕웅, 이창호, 탁진국(1993)이 한국어판 척도로 표준화 한 것이다. 대인관계와 불안에 관한 측정도구를 사전, 사후, 추후 검사에 이용하였다. 자료분석은 통계분석을 위해 SPSS 컴퓨터 프로그램을 이용하였으며, 가설검증은 t-test 방법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가 검증하려고 하는 가설에 대한 검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가설1>의 결과를 보면 대인관계 점수는 자기표현훈련에 참가한 실험집단이 통제집단보다 7.64의 수준에서 의의 있는 증가를 보였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는 자기표현훈련이 대인관계를 높이는데 효과적임을 알 수 있다. <가설2>의 결과를 보면 실험집단의 대인관계의 사전-사후검사는 7.64의 수준에서 의의 있는 증가를 보였으며, 사후-추후 검사에서는 6.36의 의의있는 증가를 보였다. 즉, 실험집단에서 사전-추후의 검사결과 14의 의의있는 증가를 보였다. 따라서 자기표현훈련을 실시한 집단은 추후에도 대인관계의 수준이 지속적으로 향상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가설3>의 결과를 보면 불안점수는 자기표현훈련에 참가한 실험집단이 통제집단보다 16.14의 수준에서 의의 있는 감소를 보였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자기표현훈련이 불안감을 감소시키는데 효과적임을 알 수 있다. <가설4>의 결과를 보면 실험집단의 불안점수의 사전-사후검사는 16.14의 수준에서 의의 있는 감소를 보였으며, 사후-추후 검사에서는 11.43의 의의 있는 감소를 보였다 즉, 실험집단에서 사전-추후의 검사결과 27.57의 의의 있는 감소를 보였다. 따라서 자기표현훈련을 실시한 집단은 추후에도 불안감의 수준이 지속적으로 감소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첫째, 자기표현훈련이 여중생의 대인관계와 불안에 매우 효과적임이 검증되었다. 비록 짧은 기간 내에 소수의 인원을 상대로 한 결과이므로 확대 해석해서는 안되겠지만, 불안으로 인해 방어기제 수준이 높아져서 대인관계나 가족관계가 원만하지 못하고 학업성취에 방해를 받게되는 학생들에게 자기표현훈련을 통하여 개인적인 위기의 순간들을 긍정적으로 해결할 수 있도록 하는데 효과적이라고 생각한다. 둘째, 자기표현훈련을 통하여 대인관계와 불안의 수준은 일상생활에 돌아가 일정한 기간이 지나도 지속성이 있음이 검증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자기표현훈련이 단지 지적인 수준에서 다루는 것이 아니라 훈습을 통하여 점차 자신의 행위를 알아차리게 함으로써 자신의 행동에 대한 통제력을 갖게 해준다. 집단원들의 피이드 백을 통하여 자신의 행동을 다시 둘러보는 계기가 되므로, 본 훈련을 학교에서의 인성교육프로그램으로 채택함으로 교실 내에서 이루어지는 순간순간의 관계를 서로가 도와준다면 대인관계와 불안감소에 효과적이라고 생각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the effects of assertiveness training on middle school female students' relationship and anxiety and to find if the effects are continued after the program. Also, it is to help the school which is doing humanistic education and not to feel anxiety in relationships as expressing their opinions. To bring about this purpose, the following hypotheses were set up on the basis of the theoretical background and the previous study results. <Hypothesis I> The change of relationship in experimental group will be higher significantly than in the control group. <Hypothesis II> The effects of relationship change in experimental group will be continued. <Hypothesis III> The anxiety scale in experimental group will be reduced significantly than in the control group. <Hypothesis IV> The effects of anxiety scale in experimental group will be continued. To verify the above hypotheses, 28 students (from 1st grade of one S-girls' middle school in Su-won city, Gyonggi province) wanted to take part in the assertiveness training program were set up. There consisted of 14 students each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basing on the previous study. The assertiveness training program used in the study was reconstructed one by Byun Chang-Jin and Kim Sung-Hea. Schlein and Guerney's "Relationship Change Scale" used in the study was the relationship's measurement instrument developed by Lee Hyung-Deuk, Moon Sun-Mo(1982). Anxiety's measurement instrument reconstructed "State - Trait Anxiety Inventory : STAI" developed by Spielberger and co-workers(1970) that was standardized by Han Duk-woong, Lee Chang-Ho, Tak Jin-Guk(1993) in Korean. The relationship and anxiety's measurement instrument was used in pre and post treatment. Data analysis used SPSS computer program for statistical analysis and the hypotheses verification used T-test. The finding of this study could be listed as follows. First, the effect difference between assertiveness training groups and the control group showed the significant level (7.64). Therefore, assertiveness training program was effective for relationship. So the hypothesis I was affirmed by the probability of the above data. Second, relationship's pre and post treatment in experimental group showed the significant improvement (7.64 level), post-further treatment showed the significant improvement (6.36 level). As a result of experimental group, pre-further treatment showed the significant improvement (14 level). Therefore, Improvement of relationship in the group of assertiveness training was continued and the hypothesis II was affirmed. Third, anxiety scale in experimental group showed more significant reduction (16.14 level) than in control group. This result was showed that assertiveness training program was effective to reduction of anxiety. So the hypothesis III was affirmed. Fourth, the pre and post treatment of anxiety scale in experimental group showed the significant reduction (16.14 level) and post-further treatment showed the significant reduction (11.43 level). So to speak, pre and further treatment in experimental group showed the significant reduction(27.57 level). Therefore, reduction of anxiety in the group of assertiveness training was continued. So hypothesis IV was affirmed. Conclusions obtained from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 assertiveness training program was very effective to relationship and anxiety of girls' middle school students.

      • Metamaterials을 이용한 고효율 이중대역 전력증폭기에 관한 연

        김선숙 숭실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박사

        RANK : 247631

        전력증폭기의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한 노력은 초기 통신시스템에서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형태로 발전해 왔다. 특히, 현재에 이르러는 Hand-set 중심의 개인형 단말기로의 변환이 가속되면서 그 중요성은 더욱 커졌다. 최근에 이르러는 다양한 서비스를 공급하기 위한 단말기의 다중 밴드화(WCDMA, Wibro 등)가 이루어지고 있어 단말기의 배터리 수명이 또 다른 논제가 되고 있음은 분명하다[1-3]. 전력 증폭기의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법으로는 도허티 구조를 이용하는 방법, Swithced Gain Stage 방식을 이용한 방법, 구동 바이어스를 조정하는 방법등이 있다. 위에서 나열한 효율 개선 방안들은 효율에 초점을 맞추어 설계를 했기 때문에 선형성은 상대적으로 나빠지게 된다. 현재에는 고주파에서도 높은 효율을 성취할 수 있는 대표적인 증폭기로 Class-E 와 Class-F 전력 증폭기에 대한 연구를 많이 하고 있다, Class-E의 경우, 회로는 간단한 반면 소자의 전력밀도가 낮기 때문에 최대 출력 전력이 Class-AB의 경우보다 1dB 정도 낮은 단점을 가지고 있다. 반면 Class-F 전력 증폭기의 경우에는 전력 밀도가 높고 외부 회로만으로 고조파 성분을 조절하여 효율을 높일 수 있기 때문에 쉽게 접근할 수 있으나, 모든 고조파 성분을 조절하는 회로를 만든다는 것은 실현 불가능하다는 단점이 존재한다[6-10]. 본 논문에서는 단일 FET와 메타구조의 전송선을 이용하여 이중대역에서 동작하는 전력증폭기를 설계하였다. 이중대역에서 모든 고조파 성분을 조절하는 것은 매우 어렵기 때문에 CRLH 전송선로를 이용하여 이중대역에서 고효율 특성을 얻도록 오직 2차, 3차 고조파 성분만 조절하여 회로의 간결함과 동시에 높은 효율을 얻을 수 있었으며, 각각의 이중대역에서 출력특성이 균형을 이루도록 하였다. The effort to maximize the efficiency of power amplifier has been made from early communication system up to now in various kinds of forms. Especially, now it has become more important in fast change to personal unit centered on hand-set. Recently becoming multi-band (WCDMA, Wibro etc...) of unit to give good service has been needed, so it is sure that the durability of unit battery is another issue[1-3]. There are many kinds of methods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power amplifier : Doherty amplifier has been improved PAE by only operating main amplifier at low input power level and both operating main amplifier and peaking amplifier at high input power level, switched gain stage has been improved PAE by operating each difference power amplifier according to input power level, adaptive bias controller has been improved PAE by controlling bias condition according to input power level. But these methods has been not good in the characteristics of linearity because these are designed focused on efficiency. Currently, class-E and class-F power amplifiers have received attention to improve efficiency because the high efficiency power amplifiers decrease power consumption and heat sink requirement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Class-E amplifier predicts 100% dranin efficiency for an ideal device but this approach is typically useful only at MHz range. At higher frequencies, the transistor cannot be regarded as ideal because of the parasitic capacitances and limited transconductance. In this case, class-E design could not achieve optimum PAE. The other side, high efficiency can be achieved in class-F operation by generating half-sinusoidal current and square-wave voltage waveforms. These waveforms can be realized by creating zero impedance at all even harmonics and infinite impedance at all odd harmonics. However, all harmonics contents cannot be controlled in a paractial design[6-10]. The metamaterials has the characteristics of broad band filter and this stop band filter has removed the harmonics of output signals[8]. In this paper, high efficiency power amplifier with dual band has been realized. Dual band power amplifier has been implemented by modifying the impedance matching for single FET. The dual-band operation of the CRLH TL is achieved by the frequency offset and the nonlinear phase slope of the CRLH TL for the matching network of the power amplifier. Because the control of the all harmonic contents is very difficult in dual-band, the second and third harmonics have been managed to obtain the high efficiency with simple harmonic control circuit using the CRLH TL in dual band. Also, this paper has obtained good efficiency and Dual-band characteristics in the almost same output.

      • 결혼이주여성들의 고졸 검정고시 학습 경험에 관한 연구

        김선숙 전북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결혼이주여성들의 고졸 검정고시 학습 경험을 이해하고 그들의 학습 적응 과정에서 경험하는 현상과 맥락을 파악하기 위한 것이다. 이에 근거이론 연구를 기반으로 결혼이주여성들의 고졸 검정고시 학습 경험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과 구조, 유형, 경과 및 상호작용 등을 분석하여 한국적 상황에서 결혼이주여성들의 고졸 검정고시 학습 경험을 드러내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자 한다. 이에 따른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결혼이주여성들의 고졸 검정고시를 통한 학습 경험은 어떠한가? 둘째, 결혼이주여성들의 고졸 검정고시 학습 경험에 영향을 주는 구조 및 개인적 요인은 무엇인가? 셋째, 결혼이주여성들의 고졸 검정고시 교육이수 과정 단계별 특징은 어떠한가? 넷째, 결혼이주여성들의 고졸 검정고시학습 경험에 대한 핵심범주는 무엇인가? 다섯째, 결혼이주여성들의 고졸 검정고시 학습 유형은 무엇인가? 여섯째, 결혼이주여성들의 고졸 검정고시 학습 경험을 통해 나타난 미시적, 거시적 차원의 상호작용은 어떠한가? 본 연구에서는 15명의 결혼이주여성들을 대상으로 일대일 심층면담을 2020년 6월부터 2021년 3월까지 수행하였고 1인당 10회, 회당 평균 50분이 소요되었다. Strauss & Corbin(1998)이 제시한 근거이론의 전형적인 분석절차, 개방코딩, 축코딩, 선택코딩 순으로 분석하였고, 선택코딩이 종료된 후 유형분석과 상황모형을 제시하였다. 결혼이주여성들의 경험 분석을 위해 한국 사회 속에서 자신과 타인과의 상호작용에 의해 구성되어진 학습경험 세계와 그 안에서 자신의 정체성을 찾아가는 과정을 살펴보는 상호작용론을 기반으로 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Strauss & Corbin(1998)이 제시한 개방코딩으로 결혼이주여성들의 검정고시를 통한 학습 경험의 의미를 구성했다. 이를 위해 원자료를 줄단위로 분석한 결과 개념은 244개, 하위범주는 71개, 범주는 25개로 의미를 구성하였다. 25개의 범주를 속성과 차원으로 구분하여 제시하였다. 둘째, 결혼이주여성들의 검정고시 학습 경험에 영향을 주는 구조 및 개인적 요인을 축코딩을 통해 구성했다. 먼저 인과적 조건으로는 ‘주변인 지위’, ‘인적 자본의 취약’으로 나타났다. 맥락적 조건에서는 ‘미완의 기획’, ‘자기 삶의 고양’, ‘자기와 타자의 이해’, ‘이주민의 취약성’, ‘잠재력의 발현’, ‘한국어의 친밀성’으로 나타났다. 현상에서는 ‘자기의 교육’, ‘안정된 생활 구축 의지’가 도출되었다. 중재적 조건에서는 ‘학습 생태계’, ‘네트워크 확보’, ‘가족 결속력’, ‘학습 공동체’로 나타났다. 작용/상호작용에서는 ‘자기 주도 학습’, ‘학습과 직업의 황금분할’, ‘배가된 노력’, ‘스스로 기회 만들기’로 나타났다. 마지막 결과에서는 ‘성취 후 재도전’, ‘주체적 통합 능력배양’, ‘비판적 이해력’, ‘발전의 이해 달기’, ‘사회적 당당함’, ‘사회와의 공동 발전’, ‘질적인 성장’으로 드러났다. 셋째, 결혼이주여성들의 검정고시 교육이수 과정 단계의 특징을 과정분석으로 제시했다. 1단계는 자기 동기부여, 2단계는 비전 수립, 3단계는 주체적 역량 강화, 4단계는 성과 유지의 결과로 나타났다. 이는 시간의 흐름 속에서 단계별로 제시하였다. 넷째, 이를 연구 참여자들의 학습 경험과 모든 연구결과를 수렴할 수 있는 핵심범주는『심리적 게토에서 머물다 인정 투쟁을 통해 자기를 주체화시키고 도전하는 인간으로 진화하는 과정』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결혼이주여성들의 검정고시 학습 유형은 결혼이주여성들의 학습경험을 분석한 결과 다섯 가지 유형으로 나타났다. 이는 ‘사회적자원동원형’, ‘학습자원협력형’, ‘정보화능력활용형’, ‘교사의지형’, ‘독자적노력형’으로 분석되었다. 여섯째, 결혼이주여성들의 검정고시 학습 경험을 통해 나타난 미시적, 거시적 차원의 상호작용은 개인/가족 수준, 학습 공간 수준, 지역사회/조직 수준, 국가/사회수준, 전 지구적 수준으로 상황분석을 제시하였다. 따라서 연구결과를 근거하여 정책적 차원으로 결혼이주여성들의 교육 증진만을 목적으로 하는 특별법 제정과 시행의 필요성 제시하였다. 평생교육을 통해 교육의 기회 확대, 다문화가정지원센터와 사회복지관을 중심으로 한 중등교육프로그램 과정 개설, 일대일 학습 멘토링 프로그램의 연계, 자기주도 학습으로 기반으로 한 공부모임 지원 방안 모색, 정보화교육기반 조성, 검정고시에 특화된 인터넷 강의와 보급 마련 등이다. 이를 위해 결혼이주여성들의 인적 자본의 확대와 사회적 자본 강화 시키고, 지식사회의 교육학적인 관점에서 다문화 교육에 대한 제언을 하였다.

      • 예비취업자의 직업지도프로그램(CAP+)의 진로결정효능감 효과 연구

        김선숙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goal of this research is to analyze a distinction of decision-making self-efficiency, according to effectiveness and general properties (gender, school grade, work experience, and major and field) of decision-making self-efficiency of Career Assistance Program (CAP) for job seekers. With this basis, this study has a goal for being used as a reference for Job seeker's career assistance, and therefore, we choose following research problems. First, how does CAP for job seekers affect to decision-making self-efficiency? Second, how does decision-making self-efficiency depend on general properties of job seekers such as gender, school grade, work experience, and major and field? The methodology for perform this problems is following. T-test is used for analyzing to see how CAP for job seeker affects to decision-making self-efficiency. Confidence, t-test, mean (M), and standard deviation (SD) is calculated. The difference of decision-making self-efficiency of CAP is calculated as a corresponding sample, according to the general properties (gender, school grade, work experience, and major and field) of job seekers. The result of this research is following. First, when we compare between before and after program's average score of decision-making self-efficiency of job seekers in order to understand the efficiency of each field of decision-making self-efficiency depending on program of career assistance , the score of control group is 3.06, and the average score of experiment group shows 3.87. The sore of experiment group shows 0.81 more than the control group, and this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It shows that it is effective in all sub-fields of decision-making self-efficiency such as self-evaluation, job information, goal selection, future plan, and problem solution. Second, it shows statistically difference between gender, school grade, work experience, and major and field, when the average scores for general properties of job seekers are compared between control and experiment group.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