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도이치말 'lachen' 동사군의 통사적 결합가능성 연구

        김부미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박사

        RANK : 247631

        Die Arbeit dient der Untersuchung eines Wortschatzausschnittes, der Verbgruppe ‘lachen’ im Deutschen. Es handelt sich dabei primär um ‘lachen’, ‘grinsen’, ‘lächeln’ sowie um ‘feixen’, ‘kichern’, ‘schmunzeln’, ‘strahlen’ im sekundären Bereich und um die als Bezeichnungs- übertragung für den Inhalt 'lachen' verwendeten Verben mit dem Merkmal 'schallnachahmend'. Dazu bilden die beiden Verfahren der Kompatibilitätsanalyse und der Definitionsanalyse die Grundlage. Die syntaktische Analyse des Verbs nach Valenz erbringt zunächst eine begrenzte Anzahl von Satzmustern und syntaktisch bestimmte Umgebungs- elemente. Die syntaktische Klassifikation der Umgebungs- elemente des Verbs schafft damit die allgemeine Grundlage für eine inhaltliche Klassifikation. Dabei geht man davon aus, daß die Lexeme(z.B. Nominativ- ergänzungen), die an den syntaktisch bestimmten Positionen auftreten, entweder alle oder wenigstens gruppenweise über gemeinsame Kompatibilitätsmerkmale verfügen müssen, um mit dem untersuchten Verb vereinbar zu sein. Die vergleichende Betrachtung dieser Elemente(z.B. aller Lexeme auf der Position der Nominativergänzung) führt nur zu einem Merkmalinventar eben dieser Gruppe. Nachdem nun die anhand des Kompatibilitätstestes ermittelten Verben hinsichtlich ihrer Kompatibilität und ihrer Sememe einzeln beschrieben worden sind, ist durch einen Vergleich der ermittelten Gegebenheiten eine hierarchische Strukturierung der Verben anzustreben. Zu diesem Zweck wird zunächst durch den Vergleich und die Zusammenfassung der gemeinsamen Merkmale der vier Sememe - 'lachen', 'grinsen', 'lächeln' und 'feixen' - in Form einer Definition die folgende Archieinheit angesetzt ; “Jemand zeigt eine bestimmte Mimik als Ausdruck von Heiterkeit.” Mit diesem Archisemem sind die einzelnen Sememe der Verben zu vergleichen. Dadurch soll ermittelt werden, ob die einzelnen Sememe eine klassematische Übereinstimmung mit diesem Archisemem aufweisen. Dabei fällt zunächst eine weitgehende Übereinstimmung des Archisemems mit den Sememen 'lachen' und 'lächeln' auf. Aber die Sememe 'grinsen' und 'feixen' erweisen sich durch eine Reihe verschiedener Einzelmerkmale gegenüber der Archieinheit als stärker differenziert. Die erkennbaren Oppositionen innerhalb der so umrissenen Verben beruhen auf privativen und graduellen Unterschieden. Eine Privative Opposition besteht zwischen 'lachen' und allen übrigen Sememen im Bereich der akustischen Merkmale. Entsprechendes gilt für die Beziehung von 'grinsen' und 'feixen' auf der Ebene des Merkmals 'grimassierend'. Eine privative Opposition läßt sich auch zwischen den Sememen 'lachen' und 'lächeln' einerseits und den Sememen 'grinsen' und 'feixen' andererseits im Bereich der Aggressionsmerkmale beschreiben. Alle Oppositionen im mimischen Bereich lassen sich zusätzlich auch als graduell bestimmen. Zur genaueren Bestimmung des Archisemems und zur Ermittlung möglicherweise enthaltener hierarchischer Beziehungen zwischen den Einzelsememen werden auch einige Substitutionsproben durchgeführt. Die 'lachen'-Verbgruppe enthält nach diesem Befund als konstitutive Inhaltselemente die Klassen 'Agens, Person' und 'intrasubjektiver Anlaß, Heiterkeit' in Kombination mit Ausdrucksmerkmalen des mimischen oder akustischen Bereichs. Die Abgrenzung der Sememe ist aufgrund einer jeweils unterschiedlichen Kombination von Merkmalen aus der Klasse 'Ausdruck' und der Klasse 'intrasubjektiver Anlaß' möglich. Bei dem Semem 'schmunzeln' tritt zudem noch ein Merkmal der Klasse 'Intellektualität' auf. Die inhaltlichen Ähnlichkeiten und Verschiedenheiten der Sememe lassen sich durch die Gegenüberstellung von verschiedenen Merkmalen derselben Klasse veranschaulichen. So betrachtet zeigt sich eine sememische Ähnlichkeit, die von 'lächeln' zu 'strahlen' und 'schmunzeln' führt und dann zu 'grinsen' und 'feixen'. Und Synonymie besteht wohl zwischen 'grinsen' und 'feixen' in stärkerem Maß als zwischen 'grinsen' und 'lächeln'. Es zeigt sich, daß der Bereich der Ausdrucksmerkmale mit den Klassen 'Mimik' und 'Akustik' den wesentlichen Anteil der Oppositionen trägt, während der Bereich der Anlaßmerkmale im wesentlichen die Aufgabe erfüllt, die Sememe zu differenzieren, die im Ausdrucksbereich ähnlich sind, wie etwa 'grinsen', 'schmunzeln' und 'strahlen'. Bei der Feststellung der hierarchischen Positionen der neu hinzugekommen Sememe 'kichern', 'schmunzeln', und 'strahlen' sowie ('wiehern') kann zunächst von der bereits bekannten Hierarchie(der vier Sememe) ausgegangen werden. Zudem sind diese Sememe aufgrund der Ermittlung der betreffenden Lexeme durch Äquivalenzformeln wie "eine Art zu lachen, zu lächeln" in dieser Hinsicht bereits ansatzweise erfaßt worden. So lassen sich 'kichern' und 'wiehern' nicht durch "eine Art zu lächeln" wiedergeben, da dem Semem 'lächeln' akustische Ausdrucksmerkmale fehlen. Aber 'strahlen' und 'schmunzeln' können durch die genannte Formel erfaßt werden. Die entsprechenden Sememe gelten daher als dem Archisemem 'lächeln' zugehörig. Die Sememe 'kichern' und 'wiehern' sind demgegenüber unmittelbar dem Archisemem 'lachen' unterzuordnen. ◁표 있음▷(원본을 참조하세요) Das Semem 'lächeln' erweist sich damit als einziges untergeordnetes Archielement, dem alle die Sememe unterzuordnen sind, die keine akustischen Ausdrucksmerkmale besitzen. In Bezug auf die schrittweise ermittelte 'lachen'-Verbgruppe wird anhand dieser Befunde deutlich, daß die verschiedenen konstituierten Bestandteile vom Feld keine identischen Beziehungen zueinander haben, sondern vielmehr jeweils verschiedenartige hierarchische Beziehungen aufweisen..

      • 수학적 오개념과 오류에 대한 인지심리학적 고찰

        김부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5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학생들의 문제 해결 능력 신장 및 수학적 힘의 극대화를 위해 학생들 스스로 수학 학습 과정에서 나타나는 오개념과 오류를 극복하고 올바른 수학적 지식을 구성해 나갈 수 있도록 돕기 위해 수학적 오개념과 오류에 대한 보다 근원적이고 포괄적인 이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서 본 논문에서는 첫째, 수학적 오개념과 오류에 대한 용어를 구분하여 정의하고 그 특성을 재해석하였다. 둘째, 학교수학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수학적 오개념과 오류를 인지심리학적 관점에서 핵심적이고 공통적인 작동기제에 의해 상세하게 분석하였다. 셋째, 수학적 오개념과 오류에 대한 인지심리학적 분석을 실제 수업에 적용가능한지를 모색하였다. 학생들의 수학적 오개념이나 오류에 대한 기존의 연구는 오개념과 오류를 각 수학적 영역과 주제별로 양적으로 범주화하여 분류하고 그 특성을 분석하며, 그에 대한 교수학적 처치를 제안하는 접근방식으로만 점철해 왔다. 이러한 연구 방식은 수학적 오개념과 오류의 분류와 분석에 더 중점을 두고 특정 주제에 대하여 수학적 오개념과 오류를 진단하고 처방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기 때문에 학습 과정에서 피할 수 없는 학생들의 오개념이나 오류를 체계적으로 이해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수학적 오개념과 오류가 단순한 개인적 차원의 문제가 아니라면, 수학 학습 과정에서 나타나는 오개념과 오류가 발생하게 되는 근원적인 요인과 과정, 체계가 있을 것으로 가정할 수 있다. 그런데 특수한 수학적 내용 영역에서 연구자 각자의 실험을 바탕으로 학생들의 수학적 오개념을 범주화하고 그 처방을 제안하는 종래의 연구 방식은 오개념과 오류의 근본적인 공통적인 인지적 발생 요인과 과정, 체계를 밝히기에는 아직 충분하지 못하다. 그리고 수학적 오개념과 오류로 나타나는 다양한 현상 속에서 통일된 핵심 기제의 역할을 하는 오개념을 찾으려고 하거나 공통적인 오류의 원인을 분석하려고 노력하는 접근은 다양한 과제 상황과 그 때마다 나타나는 오류의 다양성으로 인하여 수학적 오개념과 오류의 본질을 밝히는데 어려움이 될 수 있다. 이에, 학생이 가진 오개념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기반(예를 들어, 인지 구조)은 무엇이며, 오개념의 형성 과정에는 어떠한 요인이 영향을 미치는지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한 연구를 행할 필요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학교수학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수학적 오개념과 오류를 인지심리학적 관점에서 Pascual-Leone의 신피아제 이론과 경험적 구조주의를 기반으로 고찰하였다. 이는 수학 교육 연구자들이나 수학 교사들이 학생들의 다양한 수학적 오개념과 오류의 인지 구조와 그 발생 원인과 형성 과정 등에 대하여 심도 있게 이해함으로써, 학생들 스스로 수학적 오개념과 오류를 극복할 뿐만 아니라 이를 활용하여 새로운 수학적 지식을 구성하도록 도울 수 있을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의 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수학적 오개념과 오류에 대한 용어 및 특성을 분석하기 위해 Lakatos의 수리철학, Bachelard의 인식론, 구성주의의 인식론적 입장을 살피고 수학적 오개념과 오류에 대한 다양한 용어를 다각적으로 분석하였다. 수학적 오개념과 오류에 대한 인식론적 배경을 분석한 결과, 수학 학습과 관련하여 개념 형성에 대한 관점은 개념 변화와 개념 성장의 두 가지 입장이 있을 수 있다. ‘개념 변화’는 수학 학습을 할 때 내용-특수한 영역에서 오개념이 옳은 개념으로 교정되고, 이전의 개념 체계가 올바른 개념 체계로 대체되는 변화를 의미한다. ‘개념 성장’은 세 가지 의미를 가지는데 첫째는 새로운 개념 등의 수학적 지식이 학습자의 인지 구조에 갈등없이 동화되어 학습되는 과정으로 본 연구에서는 다루지 않았다. 둘째는 수학 학습 과정에서 학생의 수학적 오개념이 새로운 수학적 지식과 인지 갈등을 일으키고 조절되면서 기존 개념 구조를 개선하고 확장ㆍ재구성하여 새로운 지식을 발견하는 것을 의미한다. 셋째, 수학적 오개념을 발판으로 새로운 수학적 개념을 탐구함으로써 지식의 성장을 추구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인식론적 해석을 바탕으로 인지심리학적 관점에서 그 의미를 포괄할 수 있도록 수학적 오개념과 오류에 대한 용어를 각각 정의한 결과, 수학적 오개념은 ‘학습 이전에 학생 스스로 형성하여 학생의 인지 구조 속에 내면화되어 있는 현재의 지식 중 수학적 개념과 일치하지 않거나 제한된 영역에서만 성립하는 선행 지식’이다. 수학적 오류는 ‘수학 학습을 할 때 학생의 오개념에 의해서 체계적으로 나타나는 학습 과정과 결과’이다. 인지심리학적 관점에서 Pascual-Leone의 신피아제 이론을 토대로 학생들이 형성한 구체적인 개념의 내용물에 대하여 오도(誤導) 요인과 무의식적 조작자와 같은 공통 · 핵심적인 작동기제를 중심으로 수학적 오개념을 인지 구조와 관련하여 분석하였다. 또한 오개념의 발생 원인과 형성 과정 및 수학적 오개념으로 인해 나타나는 수학적 오류도 신피아제 이론을 기반으로 Schoenfeld의 구조 분석 단계모형과 퍼지 인지 맵을 활용하여 보다 면밀히 분석하였다. 그런 다음, 신피아제 이론으로부터 인지 체계의 변화와 수행 변화를 정신용량과 직접 연결시켜 설명하는 Demetriou 등(1987, 1993, 1994, 2002)의 경험적 구조주의를 바탕으로 수학적 오류를 분류할 때 공통적으로 일반화시켜 적용할 수 있는 오류 분류 기준을 제안하고 그 적용가능성을 일차함수 활용에 대한 사례연구를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끝으로, 이러한 수학적 오개념과 오류에 대한 인지심리학적 분석이 실제 수업에 적용가능한 지를 탐색하기 위해, 수학적 오개념과 오류를 기반으로 학생들의 개념 변화와 개념 성장을 돕는 학습 지도 방안을 제안하고 중학생을 대상으로 일차함수의 활용 학습단원에서 개념 변화 학습 활동과 개념 성장 학습 활동을 적용한 사례연구를 실시하여 그 적용가능성을 분석하였다. 개념 변화 학습 활동은 학습자 스스로 오개념 · 오류가 발생한 비평형상태의 인지 구조와 사고를 재조직하여 특정 문맥에서 오개념을 제거하고 옳은 개념으로 교정할 수 있도록 돕는 학습 활동이다. 개념 성장 학습 활동은 기존의 개념과 새로운 개념을 통합하여 보다 큰 설명적 적절성을 가지며 보다 큰 이론적 구조에서 옳은 개념을 생성시키는 발견 수준과 수학적 오개념이나 오류를 발판으로 활용하여 새로운 수학 개념을 습득하도록 돕는 탐구 수준의 학습 활동이다. 인간의 사고 과정에 대한 이해가 인간 자체에 대한 이해와 더불어 인류 문화의 발달에 중요한 요인임을 고려한다면, 오개념과 오류는 학생들의 수학 학습 과정에 대한 이해를 심층적으로 할 수 있도록 돕는 풍부한 정보원이라는 인식을 하는 것이 교육에서 중요하다. 이러한 관점에서 학생들의 수학적 오개념과 오류에 대한 폭넓고 체계적인 이해를 하고자 한 본 연구는 학생들의 수학적 힘의 신장을 꾀한다는 면에서 가치가 있는 일이다. 수학적 오개념과 오류에 대한 연구는 학교 수학에서 학생들의 수학적 개념 이해 과정을 아는데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여 학생들이 스스로 올바른 수학적 지식의 인지적 재구성과 통찰을 하도록 도울 수 있고, 수학 내의 지식의 통합이나 다른 지식과의 연결성을 학습할 수 있도록 하는 기회를 제공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는 수학적 오개념과 오류에 대한 인지심리학적 고찰이 오개념과 오류의 교정과 개선, 새로운 개념의 발견과 탐구를 위한 새로운 교수 · 학습 방법을 모색하기 위한 토대를 마련한다는 데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give the basic and general understanding on the mathematical misconceptions and errors for the improvement of students' problem solving ability and the utmost use of their mathematical power. Because it can help students to overcome those problems by themselves in a mathematical learning process and construct up the right knowledge on mathematics. To do this, I first identify the terminologies of some mathematical misconceptions and errors, and reanalyze their characteristics. Secondly, I deeply analyze the students' the various mathematical misconceptions and errors learned in the school situations on a point of view of the cognitive psychology. Thirdly, I find out the applicability of the psychological analysis on mathematical misconceptions and errors. The research on the students' mathematical misconceptions is very important for the improvement in mathematics teaching method. The existing studies have been categorized the students' misconceptions on the learning of mathematics and made comparisons of the treatment of the misconceptions. I accept the empirical results of students' misconceptions research in mathematics learning such as the persistence, the stability and so on. However, I question their views about the characteristic, the origins, and the variation of many students' misconceptions. Some learned persons have often viewed the students as holding flawed ideas that are strongly held that interfere with learning, and these mistaken ideas must be confronted and replaced. I'd like to mention that these views overemphasizes the discontinuity between the learners and the experts. It also conflicts with the basic premise of constructivism which students build the more advanced knowledge from their prior understandings. There has been no well-articulated theory explaining or describing the origin, the cognitive cause, the substantive dimensions of the process by which the ability of organizing the learners' basic concepts is changed and grown from one set of misconceptions to another set of correct concepts or new mathematical concepts. I think that the major source of hypotheses concerning this issue, how concepts change and grow under the impact of new ideas or new information from misconceptions and errors. So, I mention some commonly cited dimensions of discontinuity and highlight elements of knowledge that serve both novices and experts, in spite of different contexts and conditions. I interpret the learners' misconceptions as the resources for cognitive growth within a very complex knowledge system. This theoretical view aims to characterize the interrelationships within many diverse knowledge elements rather than identify the particularly mistaken conceptions; it emphasizes the knowledge of a refinement and a reorganization rather than the replacement as primary metaphors for learning; and it provides a kind of framework which can understand misconceptions both flawed and productive. I have studied a more detailed understanding of some of these misconceptions. In this study, I first describe the epistemological base of mathematical misconceptions and errors with Lakatosian mathematical philosophy, Bachelard's epistemology and constructivism. I present an overview of the nature of mathematical knowledge, and then identify the terminology of mathematical misconception and mathematical error, and reanalyze their characteristics. "Mathematical misconception" is the students' incorrect conceptions and prior knowledges that can be right in limited domain. "Mathematical error" is the learning process and the result which systematically come from the learners' mathematical misconceptions. Secondly, this study presents some new ideas to analyse and diagnose the students' mathematical misconceptions and errors on the basis of Pascaul-Leone's neo-Piagetian theory. Although Pascaul-Leone's theory is a cognitive developmental theory, its psychological mechanism gives us new insights on mathematical misconceptions and errors. Comparing mathematical misconceptions and errors with Pascaul-Leone's psychological mechanism, I analyze mathematical misconceptions and errors in mathematical problem solving and diagnose the misleading factors using Schoenfeld's levels of analysis and structure and fuzzy cognitive map(FCM). FCM can present cause and effect with misconceptions that students have about the prerequisite knowledge and the problem solving. As a result, the students' mathematical errors on problem solving and their LC learning structures have the same nature. The structures in items of students' mathematical errors and misleading factors in cognitive tasks affect their mental processes with the same activation mechanism. LC learning structures were preferentially activated within the knowledge structures by F operator. With the same activation mechanism, the process that students' mathematical errors were firstly activated among conceptions could be explained. Also, this study presents new views concerning the classification of students' mathematical errors on the basis of experiential structuralism. Experiential structuralism's mechanism gives us the new insights on mathematical errors. Experiential structuralism is the new theory of cognitive organization and growth. It postulates that the cognitive system is organized into six autonomous capacity spheres: the quantitative-relational capacity, the qualitative-analytic capacity, the imaginal-spatial capacity, the causal-experimental capacity, the verbal-propositional capacity, the metacognitive-reflecting capacity. According to it, these capacities proposed that a set of specific cognitive abilities may be integrated into a general capacity under the guidance of five principles, that is, the principles of (1) domain specificity, (2) formal-procedural specificity, (3) symbolic bias, (4) subjective distinctness of capacities, (5) developmental variation. The hard core of mechanism consisted of 6 autonomous capacity spheres that are responsible for the representation and the processing of different reality domains. There are specific forces that are responsible for this mental organization. It is expressed in terms of a set of five organizational principles. By the theory, the classification of mathematical errors is ascribed to the interaction between the six autonomous capacity spheres. Different types of classification require the different autonomous capacity spheres. We can classify the mathematical errors in the domain of linear function problem solving by the cognitive psychological mechanism of experiential structuralism. Thirdly, I also try to find out how to change and develop the students' self-diagnosis and their misconceptions through several error-remedial teaching-learning methods which are designed in this study. For this, I do the case study of students' misconceptions on the learning of linear function, using a qualitative analysis with learning activity of conceptual change and conceptual growth. In learning activity of conceptual change, I find out that misconceptions can be developed into a correct conception as a result of learning activity of conceptual change. In learning activity of conceptual growth, I also come to know that misconceptions can be developed into new mathematical concepts or new ideas from student's misconceptions as a result of learning activity of conceptual growth. This study gives some cognitive psychological approaches on the students' misconceptions in mathematics learning. It also gives the cognitive psychological base that students replace misconception with the correct concept, revise errors, develop mathematical knowledge from their prior conceptions by themselves, and inquire into new mathematical concept.

      • 유휴공간 활성화를 위한 장소 브랜딩에 관한 연구

        김부미 홍익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시대의 흐름에 따라 공간들은 조금씩 모습을 바꾸어왔으며, 그 과정에서 기능을 상실하고 형태만 남아 방치된 공간이 발생하였다. 정부와 지방자치단체에서는 도시재생 뉴딜사업을 통하여 구도심이나 쇠퇴하고 있는 지역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노력하고 있다. 도시재생의 해결책 중 하나로 ‘유휴공간의 활성화’가 제시 되고 있다. 과거 국내 유휴공간을 문화공간으로 재생한 경우가 많았으나, 사회적 흐름에 따라 상업공간, 주거공간으로 까지 범위가 확대 되어 유휴공간을 활용한 브랜드들이 다변화하여 성장하고 있다. 현재 이루어지고 있는 유휴공간 활성화를 위한 재생 방안을 살펴보면 유휴공간의 장소성은 무시한 채 외형적 차원의 현대성을 부여 하는데 그쳐 재생된 유휴공간이 지속적으로 방문객을 확보하지 못하여 다시 유휴공간이 되는 문제점이 발생되고 있다. 따라서 연구자는 유휴공간에 사람들의 지속적인 유입을 위하여 장소적 특성을 바탕으로 한 유휴공간 활성화를 위한 장소 브랜딩(Place Branding)이 필요 하다고 판단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유휴공간에 내재되어 있는 의미적 가치 요소와 장소 브랜딩 방법을 통한 활용적 가치 요소를 실증적으로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사례분석을 통해 유휴공간 활성화를 위한 장소 브랜딩 방법을 고찰하는데 목적이 있다. 유휴공간의 활성화를 위한 장소 브랜딩에 관한 본 연구의 방법은 다음과 같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진행하였다. 첫째, 이론적 고찰을 통해 유휴공간과 장소 브랜딩의 개념에 대해 연구하고 서술한다. 둘째, 유휴공간의 의미적 활용 가치 특성과 유휴공간의 장소 브랜딩 방법에 대해 도출한다. 셋째, 도출된 특성을 토대로, 사례분석을 실시하고, 이를 종합 분석하여 유휴공간의 활성화를 위한 장소 브랜딩 활용 가능성을 제시 한다. 유휴공간의 자원적 가치에 관심을 가지고 유휴공간 활성화를 위하여 장소 브랜딩을 시도한 국외 사례의 경우, 단순히 건물의 형태를 물려받는 것이 아니라 그곳에 보이지 않는 정체성을 물려받아 인위적으로 만들래야 만들 수 없는 자신만의 ‘특별한 감성’으로 공간의 활성화와 더불어 지역 활성화, 나아가 도시재생 까지 이룬 사례들이 많았다. 유휴공간이 가지고 있는 의미적 가치는 공간이 가지고 있는 본질에 대한 깊은 성찰을 통해 차별화를 이룰 수 있는 중심이 된다. 이를 기반으로 한 장소 브랜딩 방법의 물질적 측면의 활용 요소와 비물질적 측면의 활용 요소가 결합된다면 장소에 대한 기존의 이미지가 더욱 더 강화되고 지속가능한 공간을 가능하게 한다. 현재 유휴공간의 활용이 활발한 사회적 배경에서 지속가능한 방법에 대한 고민이 계속 될 것으로 예상된다. 장소 브랜딩을 통한 유휴공간의 활성화는 유휴공간에 내재된 역사적 가치와 상징적 가치를 지속가능하게 하며, 지역문화에 활기를 불어 넣어 건축물의 재생을 넘어서 지역 활성화와 나아가 도시재생을 이루게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국내 유휴공간의 활성화 및 지속가능한 방법의 연구가 계속되기를 바라며, 유휴공간의 활성화를 위하여 장소 브랜딩이 활용 가능할 수 있도록 특성을 제시한데 의의가 있다. (Background and Purpose) Spaces have gradually changed their appearance with the flow of the time and have been abandon`ed and left unattended in the process. The government and local governments are progressing the New Deal policy to solve those problems of old downtowns and poor conditioned areas. As one of the solutions, ‘Regeneration of Idle Space’ has be presented. According to this social trends, brands using idle space grew by diversifying, and the flow limited to cultural space is expanding to commercial and residential spaces. However, while ignoring the locality of idle space, it concentrated on giving the appearance of modernity, creating another problem in an ever-changing real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semantic value elements inherent in idle space and based with that, analyze the place branding method of idle space and propose place branding as a strategic means of activating idle space. (Method) This study was conducted on the case of successful idle space was selected and studied, limited to Europe, which is called as a starting point for regenerative architecture. This study was conducted in following steps. First, research and describe the concept of idle space and place branding. Second, this study draws on the semantic value of idle space and how to brand the place in idle space. Third,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derived, this study provides a case analysis and presents the possibility of using place branding as a strategic methods to revitalize idle space. (Result) In overseas cases where place branding was attempted as a strategic method for its revitalization of idle space were not just inherited from the shape of a building, but the activation of its own 'Special sensibility', which cannot be made artificially. With the Special sensibility, there were many cases of revitalization of space as well as regional revitalization and even urban regeneration. The meaningful value of idle space becomes the center of discrimination through a deep reflection on the nature of space. If the material and non-material utilization elements of the place branding method are combined, the existing image of the place is more reinforced and sustainable. (Conclusion)It is expected that the current use of idle space will continue to be considered as a sustainable way. The revitalization of idle space through place branding sustain the historical value and symbolic value inherent in idle space and it can invigorate local culture, go beyond building regeneration, and even create urban regeneration. This study hopes to continue the study of the revitalization and sustainable methods of idle space in Korea, and it is meaningful that place branding can be used as a strategic tool for revitalizing idle space.

      • 핀터극에 드러난 정치성의 양상

        김부미 동국대학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thesis aims to explore the political aspects in Herold Pinter's plays. The thesis consists of four chapters: the introduction, politics of space, politics of language, and the conclusion. In general, the thesis focuses on the significance of the ambiguity that is prevalent in Pinter's early and later plays. To prove it, I closely read the plays and argued with or against several theorists' critical understandings of Pinter's plays. The thesis is to study Harold Pinter's messages through four pieces of works ;The Caretaker, One for The Road, Mountain language and Party time. After the introduction that generally overviews the whole thesis, the first chapter deals with political meaning of spaces in Pinter's The Caretaker and Party Time. I argue that in these plays characters try to occupy and dominate their own spaces and show their superiorities in power structures. Through close reading of The Caretaker, I show how the two brothers, who have had power in the play, deceive and intimidate a stranger to expel from their spaces. I also argue that Party Time discloses how the mass ignores of the truth to gain favors from the oppressor; for this purpose, Pinter shows how the mass is located in-between two separated spaces--the space of the oppressor and the space of the oppressed. In the third chapter, Pinter indirectly presents the ambiguity in the language that politically represents oppressions and subversions. In terms of language and politics, The Caretaker and Party Time show how languages are used as the strategies to maintain the power by the oppressor rather than means of communication. In One for the Road, I argue, Pinter reveals how the oppressor use language illegitimately and unethically in order to justify the ideological claim that the oppressor are always right; but, the oppressor's verbal justification contrasts to the physical torture, rape, and infanticide. In Mountain Language, I interpreted that Pinter reflects the linguistic colonization; moreover, this play emphasizes the oppressed's subversive actions via muted resistance rather than verbal one. All in all, I read the linguistic and spatial politics through the hiatus of ambiguity in the texts. This hiatus of ambiguity ironically reveals how Pinter's plays represent the contradictions in everyday lives of the mass society. In addition, I argue that Pinter's plays show that we have to face the uncomfortable, but undeniable truth about unjustifiable oppressions.

      • 동대문시장 이용 의류 바이어의 특성이 점포선택에 미치는 영향

        김부미 建國大學校 2002 국내석사

        RANK : 247631

        Dongdaemun Market has developed as the largest commercial zone with the emergence of the shopping section revolving around retailing business firms such as Miliore and Doosan Tower. But on account of the stagnation of the local commercial sphere, the long-term depression of Taiwan and Japanese economies, the departure of the actual consuming age group of the 10s to the early 20s from the market, the emergence of SPA brand and the like, it has begun to become recessive since the latter half of 1999. Against this background, this study was intended to help those engaging in wholesale clothing business sell their clothing, activate the Dangdaemun shopping section and provide accurate information on less-known clothing buyers. For this purpose, this study attempted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 and criteria for store choice of clothing buyers, primary consumers, in Dongdaemun Market. The structure of Dongdaemun Market was divided into Dongpyunje located to the east and Seopyunje located to the west with Dongdaemun Stadium as the basis. This study conducted the questionnaire research for those buyers purchasing clothing products in Dongpyunje. It sought to make an investigation into their characteristics and store choice criteria, the degree of involvement in clothing, clothing information search and store choice. The following statistical analysis method was used for purpose of this study: Reliability test was conducted for items on store choice and factor analysis was conducted for the degree of involvement in clothing. t-test, one-way analysis of variance(ANOVA) and Duncan's multiple range test were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in buyers' store choice criteria according to store characteristics and the difference in the degree of involvement in clothing according to demographic characteristics. Pearson product moment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correlation among store-related factors, the degree of involvement in clothing, information search and demographic factor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factors influencing buyers' store choice criteria. As a result, the following findings were obtained: Clothing buyers in Dongdaemun Market showed the high proportion of male experienced buyers and numerous employed buyers tended to purchase clothing products. Most of them managed several stores and had the unclear boundary of clothing obedience. Therefore, it is thought that they have difficulty engaging in a deep buying activity. Most buyers were engaging in transactions on credit and in many cases paid money for clothing with the balance kept for one week, one month or three months. The amount of payment was discounted at a certain rate and it was possible to return clothing products hundred-percent. The age group of clothing buyers was in the later 20s and had the educational background of more than graduation from junior college. They were paid more than 1,000,000won and many buyers, on average, spent less than 100,000won on clothing expenses a month. The factors becoming criteria at the time of store choice included factors relating to sales person, quality, price, store, which had both reliability and validity. An attempt was made to conduct factor analysis on the degree of involvement in clothing,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it was divided into four factors such as fashion, delight in clothing, clothing symbolism and risk perception. The source of information in buyers' information search was found to be in order of sales people, other buyers and surrounding people, in-store display and show window. There were the correlations among the number of stores, advertising, presented in-company information, small single store, specialized fashion magazine, clothing obedience and sales people, buyers and surrounding people. An attempt was made to investigate store choice criteria and clothing involvement.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all of quality, store and price had the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items concerning the degree of involvement in clothing. This study had the limitations in that it failed to elicit the characteristics of buyers as a whole as they was not properly conducted because the small number of the collected questionnaires due to time constraint. To provide practical assistance for wholesale stores, it is necessary to select only capable buyers and make a deep study of them as well as elicit their overall characteristics. And it is thought that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the ideal model of the well-performing wholesale clothing stores.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strive to investigate Dongdaemum Market at a national level and improve its conflicting structure in a progressive way.

      • 독일어 부정사에 대한 고찰-부정사의 응집구조를 중심으로

        김부미 숙명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1998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의 목표는 응집적 부정사 구조(koh rente Infinitivkonstruktion)를 생성변형문법을 이용하여 분석하는 데 있다. 형태론적 관점에서 독일어 동사는 정형(finit)동사와 부정형(infinit)동사로 구별될 수 있다. 정형동사는 문장에서 성, 수, 시제 및 화법을 나타낼 수 있는 활용동사인 반면에, 부정형 동사로서의 부정사는 형태상으로 변형될 수 없고 그 때문에 이러한 동사적 범주(성, 수, 시제 및 화법)를 특징지을 수 없다. 따라서 독일어 부정사는 대부분 주절에 종속되어 주절의 의미를 보충해주는 보문 역할을 한다. 이러한 부정사 구조 중에서도 상위동사(Matrixverb)와 보문동사(Komplementverb)가 동사복합체(Verbkomplex)를 형성하고 단일 문장 구조를 이루는 것을 응집적 부정사구조(Koh rente Infinitivkonstruktion)라고 한다. 응집적 부정사구조라는 개념은 Gunar Bech가 그의 저서 Studien ber das deutsche verbum infinitum(1955)에서 처음 제시하였는 데, Bech의 독일어 부정사 구조에 대한 분석에는 생성문법 분석의 이론 구조에 기초한 인지적 통찰이 있었다. 그 때문에 응집적 부정사구조에 대한 많은 연구가 생성문법이론에 기초하여 분석되었다. 본 논문의 주요 내용은 크게 3가지로 나누어 볼 수 있다. 먼저 1장에서는 부정사를 형태적으로 분류한다. 독일어 부정사는 불변화사 'zu'를 통한 특별한 단어형태를 보여주고 있는데, zu는 직접적으로 부정사 앞에 놓이거나 동사의 처음과 끝 부분 사이에 놓일 수 있으며, 대부분의 부정사 기능에서 zu는 필수적이고, 화법조동사와 같은 특별한 경우에 zu가 없이 사용된다. 그러므로 이 장에서는 독일어의 zu를 포함하지 않는 부정사와 zu를 포함하는 부정사로 나누어 고찰한다. 2장에서는 zu-부정사구문이 접속사가 있는 부문장과 갖는 관계와 상호전환 가능성에 대해서 다루고 있다. 이와 더불어 부정사구문의 의미적 주어가 주문장의 어떤 성분에 의해 통제되는가를 분석하고 응집구조와 관련된 특별한 구조형태를 보이는 동사들을 분류한다. 독일어 부정사의 응집성은 상위동사와 보문동사의 밀접성 여부에 관련된 것이어서 그 구문이 응집적인가 비응집적인가는 상위동사에 달려 있다고 할 수 있으며, 응집성을 보이는 상위동사로는 화법조동사, 지각동사, 사역동사 및 주어통제동사 등이 있다. 이 동사들은 특별한 속성을 보여주는 보문을 취하면서 항상 문장 내에서 상위동사와 보문동사가 동사복합체(Verbalkomplex)를 형성하게 된다. 마지막으로 3장에서는 부정사구문이 비응집구문과 응집구문으로 구분되는 기준과 그 기준에 따른 응집구문의 대표적인 예라 할 수 있는 자리바꾸기(Scrambling)와 A.c.I(Akkusativus cum Infinitivo)구조에 대해서 분석하고 있다. 또한 재귀대명사가 인칭대명사와 어떤 상보적 관계를 가지고 있는가를 분석한다. 응집부정사구문의 가장 일반적인 기준으로는 한 문장이 문장가치가 있는 단위를 포함하고 있는가 아닌가하는 것이다. 즉, 그것이 한 문장을 포함하고 있으면 비응집적이고, 반대로 한 문장을 포함하지 않았으면 응집적이라는 것이다. 또한 응집구문이 되려면 외치(Extraposition)가 이루어져서는 안되며 문장경계에 장벽이 없어야 한다. 다시 말해서 주문동사와 보문동사가 밀접하게 연결되는 것을 방해하는 어떤 요소도 있어서는 안 된다. 또한, 응집 부정사구조에서는 부정어(Negation)의 영역이 주문장 동사에까지 미치게 된다. 여기에서 문장은 뚜렷한 경계를 가진 통사적 단위로 생각된다. 예를들어 문장성분은 문장경계 내에서만 재귀대명사화될 수 있고, 문장성분은 문장경계 내에서만 이동될 수 있으며 더불어 문장은 전체적으로만 이동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응집 기준에 합당하는 구조의 대표적 예로는 A.c.I구조가 있다. 이 구조의 특징은 주동사가 4격목적어와 부정사를 보충어로서 취하는 데 이때 명사구의 4격이 상위문 동사에 의해 할당되며, 이 명사구의 의미역은 부정사구의 술부로부터 부여된다는 것이다. A.c.I외에 응집구조의 증거로써 자리바꾸기(Scrambling)와 재귀대명사화(Reflexivierung)가 있는 데, 자리바꾸기는 대명사가 응집영역안에서만 앞으로 이동될 수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고, 재귀대명사화는 결속이론을 통해서 인칭대명사가 아니라, 재귀대명사가 나타나는 이유를 보여준다. 본 논문에서는 이 모든 문제를 다룰 때에 생성문법의 일반가설과 보편원리를 사용하여 분석하지만, 원리에 치중하지 않고 많은 예문을 제시함으로써 이해를 돕는 데 중점을 두고 있다. 응집부정사구조는 최근에 와서 최소성 이론을 통해서 분석되었는데, 특히 응집부정사구조에 대한 연구는 Rizzi의 상대화된 최소성이론, Baker의 통합이론, Chomsky의 장벽이론, Fanselow의 격최소성이론 등을 이용하여 분석되었다. 앞으로 생성변형문법이 언어의 보편성을 추구하는 만큼 이러한 독일어 부정사의 응집구조가 다른 여러 언어들에서는 어떠한 양상을 보이는 가에 대해서 연구해 보는 것도 좋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Die Ziel von der vorliegenden Arbeit ist, die koh rente Infinitivkonstruktion anhand der generativen Transformationsgrammatik zu analysieren. Im morphologischer Hinsicht ist beim Verb zwischen der finiten Form und den infiniten Formen(Infinitiv, Partizip) zu unterscheiden.Die finite Verform ist die konjugierte Verbform im Satz, mit der Person, Numerus, Tempus and Modus bezeichnet werden. Der Infinitiv als infinite Verbform ist morphologisch unver nderlich und deshalb nicht imstande diese verbalen Kategorien zu kennzeichnen.Folglich erg nzt der Infinitiv die Bedeutung des Hauptsatzes als Komplementsatz und ist dem Hauptsatz untergeordnet. Eine der Infinitivkonstruktionen ist "die koh rente Infinitivkonstruktion(KIK)", das hei t, das Matrixverb und das Komplementverb bilden einen Verbkomplex und eine monosententiale Konstruktion. Mit der vorliegende Arbeit kann folgenderma en zusammengefa t werden: Im 1. kapitel habe ich zwischen den Infinitiven mit 'zu' und den Infinitiven ohne 'zu' unterschieden.Der Partikel 'zu' steht entweder unmittelbar vor dem Infinitiv oder zwischen dem ersten Verbteil und dem Verbstamm. In den meisten Funktionen des Infinitives ist der Partikel 'zu' obligatorisch, aber in einigen besonderen Verwendungsweisen ist er fakultativ oder fehlt obligatorish. Im 2. Kapitel habe ich den Bezug zwischen "Infinitiv mit zu" und "da -Satz" behandelt. Der Infinitiv mit zu tritt meistens altermativ zum da -satz auf. Au erdem habe ich die Verbklassen behandelt, bei denen nur ein Infinitiv mit zu bzw. nur ein da -satz stehen kann. Dar ber hinaus habe ich dargestellt, woher der Inf seinen Subjektaktanten gewinnt. Diese werden in der generativen Literatur als das Kontrollproblem behandelt. Ich habe mir ansehen, welche Verben berhaupt Zu-Infinitive als Subjekte und als Objekte nehmen. Au erdem habe ich drei Verbklassen differenziert, die im Bezug auf KIK in der speziellen Konstruktionsform auftreten und die spezielle Komplementsatz nehmen: Verbanhebung, Subjektkontrollverb und Wahrnehmungsverben. Schlie lich, im 3. Kapitel habe ich ber die Kriterien f r Satzwertigkeit und Koh renz betrachtet und einige der klassischen Kriterien aufgelistet. Mit vorliegenden Kriterien habe ich zwischen der koh renten Konstruktion und der inkoh renten Konstruktion unterschieden. Als allgemeines Kriterium f r Koh renz kann gelten, ob eine Konstruktion eine satzwertige Einheit einbettet oder nicht.In der Literatur hei en S tze, die einen anderen Satz einbetten, inkoh rente Konstuktionen; insbesondere sind dies S tze, die satzwertige Infinitive enthalten. S tze, die keinen Satz einbetten, aber trotzdem eine Infinitivkonstruktion enthalten, hei en koh rent. Satzwertige Infinitive sind inkoh rent, und umgekehrt sind koh rente Infinitive nicht satzwertig. Au erdem habe ich die Umstellung der Satzglieder(Scrambling), die A.c.I(Akkusativus cum Infinitivo) und die Reflexivierung als Evidenz von der koh renten Infinitivkonstruktion behandelt.

      • 시험불안감소 프로그램이 중학생의 시험불안에 미치는 효과

        김 부미 경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599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prove the following hypotheses: 1) The Test Anxiety Reduction Program will decrease middle students' unease related to tests. 2) The Test Anxiety Reduction Program will decrease the sub-factors(factor of concern or factor of emotion) that could cause that unease. A total of 402 male middle school students in the Suseong district in Daegu participated in this study. From this group, a total of 24 students exhibited higher test anxiety levels through TAI-K. These students were divided into 2 groups with 12 students in an experimental group and 12 students in a control group. The cognitive behavioral program was applied to the groups for 80 minutes twice a week for 13 times in total. During the process, a pre-test using TAI-K was performed a week ahead of the program and on the last test day of the program. A pro-test was performed 5 weeks after the program. The obtained data were analyzed with ANOVA, using the three self-esteem test pre-test, post-test, and further-test) and their respective sub-categoric scores. All of the data were analyzed by SPSS 15.0, and the statistical significant level was set at .05. Presenting the results that are in accordance with the above hypotheses, the Test Anxiety Reduction Program is expected to help alleviate the anxiety of middle school students concerning exams and contribute to further research.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