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자유학기제 진로탐색 이슈에 관한 질적 메타분석 : 교사와 학생들의 경험을 중심으로

        김민채 ( Kim¸ Minchae ),김영환 ( Kim¸ Younghwan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20 교육문화연구 Vol.26 No.6

        본 연구의 목적은 지난 8년간 자유학기제 진로탐색에 관해 교사와 학생들이 지적해 온 관련 이슈들을 도출하고, 그 변화를 파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자유학기제 관련 논문 중 교사와 학생들의 진로탐색 경험이 두드러지게 나타난 질적 연구 총 9편을 대상으로 질적 메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대상은 한국학술연구정보(RISS)에서 자유학기제 진로탐색 관련 키워드로 연구물 검색한 후 포함·배제 준거를 적용하여 선정하였으며, Nobbit과 Hare(1988)의 질적메타분석 7단계를 정리·발전시킨 나장함(2008)의 8단계를 수정·보완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자유학기제를 경험하면서 교사와 학생들이 인식한 진로탐색 관련 세부적 이슈 17개가 도출되었다. 이들은 다시 내용 연관성 및 활동 주체에 따라 포괄적인 5개의 그룹으로 정리되었는데, 5개의 그룹 간에는 인과 관계가 존재했다. 그 핵심은, 교사들의 경우 ‘학교 안팎으로 준비되지 않은 지원체제’로 인해 ‘부담감 속에서 책무성으로 떠맡은 진로탐색 활동’을 경험하고 있었으며 학생들은 ‘허울뿐인 진로탐색’으로 인해 ‘불만 속에서 진로 고민 없이 선택하는 진로탐색 활동’을 하고 있었다. 그 결과 진로탐색 효과는 나타나지 않았으며 ‘학교 활동 중 하나일 뿐 진로 자극은 가족에게서’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5개의 포괄적 이슈를 총괄하면서 최종적으로 ‘하향식 정책에 끼워 맞춘 교사 주도의 진로탐색’이라는 종합적 이슈가 도출되었다. 더불어 관련된 다양한 시사점도 탐색 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issues surrounding the career exploration activities provided by the free semester system, which has continued to be criticized by both teachers and students for the past 8 years, and examine the changes that have been made in relation to their critical debates. To this end, a qualitative method was employed to conduct a meta-analysis on an empirical basis of 9 research articles that specifically portray the impact of the free semester system on teachers and students, and their experience. Research articles for analysis were collected from RISS through a detailed search using key words relevant to the free semester system and career exploration activities. Then, Na’s (2008) 8 stages of meta-analysis – a methodological expansion on Nobbit & Hare’s (1998) 7-stage qualitative meta-analysis – was used as the methodological framework of analysis. As a result, 17 issues about career exploration activities were examined to have been most commonly raised by teachers and students throughout the implementation of the free semester system. The 17 problems were then categorized into 5 groups based on the relevance of subject matter and actors, which were shown to possess causal relations with one another. The key findings are, first, that teachers felt that they were obligated, yet overburdened, to carry out an activity that severely lacks the supporting system from both the school and community. Second, students perceived these activities to be ‘superficial’ and ‘perfunctory’, and therefore were participating in them without enthusiasm and proper deliberation of their career. Such findings are hardly of any indication that the career exploration activities are serving their purpose; students saw the activities as ‘merely another one of school’s extra-curricular activities’, while receiving most of their career motivation from family members. In examining the aforementioned categorical issues, we were able to conflate that the ineffectiveness of the ongoing career exploration activities are mainly attributed to the activities being teacher-driven as well as having been poorly ‘fitted in to’ schools in a manner of top-down policy implementation. Finally, several implications were suggested for better career exploration activities based on our findings.

      • KCI등재

        수어 동작 키포인트 중심의 시공간적 정보를 강화한 Sign2Gloss2Text 기반의 수어 번역

        김민채(Minchae Kim),김정은(Jungeun Kim),김하영(Ha Young Kim) 한국멀티미디어학회 2022 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Vol.25 No.10

        Sign language has completely different meaning depending on the direction of the hand or the change of facial expression even with the same gesture. In this respect, it is crucial to capture the spatial-temporal structure information of each movement. However, sign language translation studies based on Sign2Gloss2Text only convey comprehensive spatial-temporal information about the entire sign language movement. Consequently, detailed information (facial expression, gestures, and etc.) of each movement that is important for sign language translation is not emphasized. Accordingly, in this paper, we propose Spatial-temporal Keypoints Centered Sign2Gloss2Text Translation, named STKC-Sign2 Gloss2Text, to supplement the sequential and semantic information of keypoints which are the core of recognizing and translating sign language. STKC-Sign2Gloss2Text consists of two steps, Spatial Keypoints Embedding, which extracts 121 major keypoints from each image, and Temporal Keypoints Embedding, which emphasizes sequential information using Bi-GRU for extracted keypoints of sign language. The proposed model outperformed all Bilingual Evaluation Understudy(BLEU) scores in Development(DEV) and Testing(TEST) than Sign2Gloss2Text as the baseline, and in particular, it proved the effectiveness of the proposed methodology by achieving 23.19, an improvement of 1.87 based on TEST BLEU-4.

      • KCI등재

        영어 위치 전치사의 다의성 학습에 관한 연구: at, on, in의 인지의미론적 분석을 토대로

        김민채(Kim, Minchae),최문홍(Choe, Mun-Hong)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2020 교과교육학연구 Vol.24 No.5

        본 연구는 일반계 고등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영어 위치전치사 at, on, in의 다양한 의미들을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 살펴볼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전치사 at, on, in의 의미를 원형의미, 변형의미, 확장의미로 분류한 다음, 각 전치사에 대한 의미별, 영어 능숙도 수준별 습득도를 조사하여 원형-변형-확장의 의미 연속성이 습득의 연속성과도 관련이 있는지 알아보았다. 본 연구를 위한 검사지는 의미는 영상도식적이라는 인지언어학의 가정을 근거로 각 의미를 잘 표현하고 있는 도식적 이미지와 사실적 이미지를 혼합하여 만들었다.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전치사 in을 제외하고 on과 at의 경우에는 원형적 의미를 잘 습득한 학생들이 변형의미와 확장의미 또한 잘 습득할 가능성이 높았다. 영어 능숙도 수준에 따라서는 상급 학생들이 중급, 초급 학생들에 비해 원형의미와 변형의미의 습득률이 높았지만, 확장의미에 있어서는 크게 다르지 않았다. 또한 at의 경우에는 모든 의미범주에 있어서 상급 학생과 중급 학생 간 차이가 거의 없었다. 의미 경계가 모호한 상황에서 학생들은 주로 on을 선호하였고, at의 사용을 가장 꺼려했다. 이는 on, in, at의 순서로 습득률이 높은 결과와 일치하며, 특히 on의 원형의미와 변형의미에 대한 이해가 상대적으로 더 높은 것과도 관련이 있다. 이는 다양한 상황에서 사용되는 전치사에 대한 노출과 학습이 부족했기 때문이며, 따라서 동일한 공간 장면도 다양한 관점에서의 해석이 가능하고 그에 따라 다른 전치사를 사용할 수 있다는 사실을 주지시킬 필요가 있다. This study examined Korean EFL learners’ difficulty in learning English locative prepositions from a cognitive linguistic perspective. The meanings of at, on, and in, were hypothetically classified into three groups: prototypical, less typical, and extended. Schematic and realistic images were used to represent varying spatial situations, and 156 high school students at different levels of proficiency participated and were asked to choose an appropriate preposition. The results indicate that one’s awareness of prototypical concepts does not necessarily correlate with their ability to choose appropriate prepositions in less typical and extended contexts. However, those who have acquired the basic concepts of the prepositions show a tendency to accommodate them to less typical and extended situations in a target-like way. Although advanced learners demonstrate higher achievement in the normative use of the prepositions in less typical contexts, they were not much different from lower level learners with extended meanings. When spatial relations can be construed differently, they seem to choose a preposition that is more formally, rather than conceptually, familiar to them. All in all, these findings are not consistent with the claim that starting with prototypical usage instances and gradually moving to less typical and abstract ones can facilitate learning.

      • 아유르베다 의학의 도샤 타입에 따른 건강관리의 고찰

        김민채(MinChae Kim),유은주(EunJu You),윤천성(ChunSung Youn) 한국뷰티산업학회 2015 뷰티산업연구 Vol.9 No.1

        인간이라면 누구나 건강하고 아름다운 삶, 자기만족적인 삶을 살고 싶어 한다. 그러나 21세기 현대는 무분별한 경제개발 및 환경 관리 부족, 질병에 대한 약물 과다 사용으로 지구 온난화, 약물 부작용, 생태계의 파괴, 새로운 질병의 출현 등 많이 문제점에 둘러 싸여 있고 인간은 이런 문제점에 노출이 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마땅한 해결책은 미비한 채로 살아가고 있다. 그래서 그들은 본인 스스로의 건강이나 아름다움을 관리하기 위해 열심히 노력하고 있고 방안을 궁색하고 있다. 이에 인도의 의학이라는 아유르베다(Ayurveda)의 지식을 응용하여 많은 분들에게 아유르베다(Ayurveda)의 상식인 인간을 하나의 소우주로 보며 우리 삶의 모든 요소들을, 우리 주변 환경, 생물들을 반영하는 유기적인, 에너지적인 요소로 구분, 개인적인 체질과 질병 의 양상들을 자연의 영향력 들이 어떻게 투영되고 있는지, 음식, 허브, 생활양식 등 각각의 우리 자신의 생리적, 심리적 역할이 어떤 식으로 영향을 미치는 지에 대해 알고 본질적인 각각의 도샤(Dosha)관리, 도샤(Dosha)들의 특징, 특징에 따른 각각의 양생법, 허브, 오일 마사지, 요가의 연구를 통해 그들 각자가 본인에 맞는 건강관리를 할 수 있음을 도와드리는데 목적이 있다. 아유르베다(Ayurveda)에서는 스스로의 도샤(Dosha)를 이해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며, 도샤(Dosha)에 에너지를 제공하는 양생법, 요가, 오일마사지의 방법으로 균형적인 도샤 (Dosha)를 만드는 것이 본인의 건강을 지키고 젊음과 아름다움을 유지할 수 있는 자연적 인 노력이라 할 수 있다고 했다. 규칙적인 삶을 따르는 것과 스스로의 도샤(Dosha)에 맞는 오일을 사용한 마사지, 환경 요인의 변화를 중요시하여 그 계절에 맞는 생활양식이 필 요하며, 마음과 건강한 신체를 유지하기 위한 규칙을 적용받는 것은 마음과 신체에 균형 과 평화를 받게 된다. 또한 요가 수련은 질병의 예방 효과와 치료 효과를 동시에 가지고 있고, 신경호르몬과 신진대사에 자연스러운 질서와 균형을 가져오고 내분비 계통에 기능을 증진시켜 스트레스 해소에 강하고 비만의 치료에 효과적이다. Anyone human want to live a healthy and beautiful life, and a complacent life. But the Modern 21st century have had reckless of economic development and environmental management, drug over use of the disease, global warming, drug side effects, destruction of eco systems, and surrounded by a lot of problems such as the emergence of new diseases. Human beings are worthy solution without, despite these problems have been exposed to live while in significant. So many person are looking for ways to have ever High effort to manage the health and beauty of your own. In the application of knowledge of Ayurvedic medicine in India, looking at the common sense of the human Ayurvedic many people as a micro cosm of all the elements of our lives. Our surroundings, reflecting an organic creatures, separated by energy factors, that the constitution and the personal aspects of the natural history of the disease, how they are projected nutrition, food, herbs, lifestyle, etc. Each of our own physiological and psychological roles know about what affect this in any way. Their basic Dosha, Dosha of characteristics, regimens, herbs, oil massage, the study of yoga through, the each other can help as sure that the purpose of health care can meet in person. Ayurveda in understanding the Dosha in itself is very important, Dosha regimen that provides energy to the yoga, my health would create a balanced Dosha in the way of oil massage The guard said that to maintain youth and beauty can be called a natural effort. That follow the rules of life with massage oil for your Dosha in itself, and to look for changes in the environment, lifestyle factors necessary for that season, it is subject to the rules for keeping the mind and body healthy mind It will receive the balance in the body and peace. In addition, yoga practice will have a preventive effect and therapeutic effects of the disease at the same time, bring the natural order and balance to the nervous and hormone metabolism is effective in the treatment of obesity in a strong stress on the endocrine system.

      • KCI등재

        수가타 미트라의 자기 구조화 학습환경(SOLE) 발전과정 및 인터넷 댓글 분석

        김민채(Kim, MinChae),김영환(Kim, YoungHwa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7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7 No.23

        본 연구는 SOLE의 발전과정, 개념과 실행과정의 핵심을 분석·요약하였으며 Ted.com/Youtube.com/Google 신문기사에 제시된 총 785건의 국내외 댓글을 수집하고 이들의 논의태도, 어조 그리고 주제양상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SOLE의 개념은 크게 발견기(벽속의 구멍), 탐색기(구름속의 학교와 구름 할머니), 발전기(SOLE의 탄생과 발전)로 요약되었다. 이 과정에서 아이들은 스스로 학습 활동을 조직하고 그룹 활동을 통해 교육적 목표를 달성할 수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둘째, SOLE은 다음 세 가지 핵심 개념을 갖고 있다. ㉠아이들이 스스로 교육과정을 조직할 때 배움이 발생하고, 교사의 역할은 그 과정이 잘 수행되도록 준비하고 물러서서 지켜보는 것이었다. ㉡ 큰 질문들로 구성된 교육적 커리큘럼이 필요하다. ㉢ SOLE 실행과정의 핵심들은 큰 질문들, 자기 발견, 공유, 자발성이다. 셋째, 태도기반, 어조기반, 주제기반으로 빈도분석을 실시한 결과를 종합해보면 일반적인 대중의 인식은 SOLE을 시대적 패러다임에 따른 미래 교육의 대안으로서 긍정적으로 지 지하고 기대한다는 의견이 지배적이었다. 태도기반으로 볼 때 SOLE을 격려하고 지지하는 댓글이 절대적이었으며 어조기반 역시 긍정적 어조가 가장 높은 빈도를 차지했다. 주제기반으로 논의양상을 분석했을 때 다빈도 논의주제는 시대적 패러다임, 호기심/동기부여, 자유로운 환경, 교사/Granny 등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dentify the possibility of a new educational paradigm, and to recognize perception and response to SOLE. To achieve the goal of research purposes, the development process, concept, and performance process of the SOLE was summarized by analyzing with the literature related to Sugata Mitra s Hole in the wall experiment and SOLE. A total of 785 comment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from Ted.com/ Youtube.com/ Google.com to discuss about attitudes, tone, and theme aspects of SOLE. The result is as follows. First of all, the development process of the SOLE can be divided into a wide range of discoveries (Hole In the Wall), exploration (School in the cloud and cloud grannies) and development(birth and development of SOLE). During the discovery process, it was able to figure out children can organize themselves and reach educational goals in a group. Second, SOLE has three core concepts. First, education occurs when children organize their own learning curriculum. Second, the role of the teacher is stand back and simply observe the learning curve after prepare the process. Third, SOLE process needs the educational curriculum that consist of huge pool of questions. The cores of the SOLE process are major question, self-discovery, and sharing of confidence with a willingness to commit. Lastly, the general public is optimistic and has hopeful expectation about SOLE as an alternative to future education. There was an absolute and supportive attitude towards encouraging and supporting SOLE, and the affirmative tone was the highest frequency. When analyzing the discussion on the topic based on themes, the most discussed topic was curiosity/motivation, free environment, teacher/grannies and the era of contemporary paradigm. Overall, SOLE has plenty of potential as an alternative to the new educational paradigm because it clearly communicates the nature and direction of the future education.

      • 스마트폰을 이용한 심장 질환 교육을 위한 지원시스템 의 개발

        김민채 ( Minchae Kim ),김지현 ( Jihyun Kim ),남윤영 ( Yunyounq Nam ),최형오 ( Hyunqoh Choi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7 한국정보처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4 No.1

        본 논문에서 심장질환 교육을 위한 지원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심장전문의(교육자)가 환자의 심전도 그래프를 카메라로 촬영하여 업로드를 하면, 레지던트들이 (피교육자) 심전도 데이터를 확인한 후, 소견을 익명으로 코멘트 하여 심장질환에 대해 서로 토론함으로써 질환에 대한 이해도를 높일 수 있도록 개발하였다. 실명을 공개하지 않기 때문에 그 동안 토론 참여가 소극적이었던 레지던트들이 자유롭게 소견을 올림으로써 토론의 참여율을 더 높일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된다.

      • 페르소나를 적용한 간접적 사용자 경험 구현 모델 연구

        김민채(Minchae Kim),전수진(Soojin Jun) 한국HCI학회 2019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Vol.2019 No.2

        과거에 비해 많은 역할과 그에 대한 부담을 안고 살아가는 현대의 사람들은 가상공간에서 본래의 역할에 따른 정체성을 적극 드러내기도 하고, 익명의 가면 뒤에서 전혀 다른 정체성으로 활동하기도 한다. 본 연구는 사용자가 가상 공간에서 가질 수 있는 두 가지의 모순된 욕구-자아 표출과 자아 위장-에 초점을 맞춰, 이러한 상반된 사용자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한 방법으로 `페르소나를 적용한 간접적 사용자 경험구현`과 관련 요소 및 모델을 제안한다. 포괄적인 사용자 경험과는 차별화된 특징을 바탕으로 간접적 사용자 경험이 필요한 구체적 상황을 정리해 이 연구의 당위성을 제시하고, 사용자 경험 디자인 프로세스에 도출된 요소들을 적용하여 프레임워크를 구성해 보았다. 이러한 과정 및 연구결과를 통해 페르소나를 적용한 간접 경험 구현을 사용자 경험 모델링의 세분화된 한 방식으로 분류하고자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