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어린이집 교사의 기질이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김동례(Dong Rye Kim),윤해옥(Hae Ok Yoon),정효은(Hyo Eun Jeong)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5 열린유아교육연구 Vol.20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어린이집 교사의 기질이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영향을 미치는데 매개변인으로써 정서노동의 효과를 알아보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전남지역 어린이집교사 321명을 대상으로 기질, 정서노동, 교사-유아 상호작용 검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각 변인간의 관계와 영향력을 살펴보기 위하여 구조모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어린이집 교사의 기질은 교사의 정서노동을 매개로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어린이집 교사의 기질은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영향을 미치는데, 매개변인으로 어린이집 교사의 정서노등이 투입되면 교사-유아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이 더욱 설명해 준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어린이집 교사의 기질과 정서노동은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밝혀졌다. This study, whice focuses on the mediation of a teachers``s emotional labor, examines the effects of teacher’s temperament on teacher-child interactions in a child care center.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consist of 321, day care center teachers working in Jeonnam Province. A structural model is analyzed to identify the relation between each variable and their effect. A teacher’s temperament showed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s on teacher-child interactions in the mediating effects of the emotional labor of child care center teachers. Therefore the emotional labor of day care center teachers represent important variables in explaining teacher-young children interactions.

      • KCI등재후보

        예비유아교사들의 디지털 역량 강화를 위한 교수공동체 경험 탐색

        김동례(Dong-Re Kim),박부숙(Boo-Sook Park),송명숙(Myung-Sook Song) K교육연구학회 2024 사회과학리뷰 Vol.9 No.1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들의 디지털 역량강화를 위한 교수공동체 경험을 탐색하였다. 참여자는 G시 S대학교 유아교육과 교수 6인으로, 디지털 역량 강화를 위한 프로그램을 구성하고 학습과정과 적용과정을 질적연구하였다. 디지털 역량 강화를 위한 교수들의 학습과정 탐색 결과 교수들은 디지털 친화력 부족에서 오는 두려움에서 벗어나고자 하였고, 디지털 기기 다루는 방법을 실행하며 서로 창의적 아이디어를 내면서 배우는 즐거움을 느꼈다. 디지털 역량 강화를 위한 목적을 가진 모임답게 팀워크를 발휘하며 지식을 구성해 갔다. 디지털 역량 강화를 위한 교수들의 현장 적용 탐색 결과 교수들은 디지털 교육을 접하면서 유아와 같은 호기심이 생겼고, 유아교육 현장과 연계하여 실천적 지식이 되도록 디지털 교육의 순기능을 살리고자 하였다. 또한 예비유아교사들의 역량을 키우기 위해서는 교과목마다 디지털 교육과정을 적용하기로 하였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예비유아교사들의 디지털 역량 강화를 위해서 교수자를 위한 다양한 공동체 모임과 연수가 활성화되기를 기대한다. This study explores faculty community experience to consolidate the digital competence of S University students in G City. The participants were six professors of the Depart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who formed a program to strengthen digital capabilities and conducted qualitative research on program learning and application processes to reinforce digital competence. As a result of learning process exploration of the professors for digital competence consolidation, they tried to get out of fear deriving from the lack of digital-friendliness, implemented digital devices handling methods, made creative ideas each other, and felt joy of learning. As a community with a goal of reinforcing digital competence, they demonstrated teamwork and built up knowledge. According to the professors’ onsite application exploration results to reinforce digital competence, they had child-like curiosities as they encountered digital education and tried to make good use of digital education’s positive function so that digital education can become practical knowledge in connection with early childhood education. They decided to apply digital education to the curriculum of each subject in order to enhance the preservice early childhood education teachers’ competence. Based on the study results, various communities and training for teachers are expected to be invigorated for consolidation of digital competence of the preservice early childhood education teachers.

      • KCI등재

        2019개정 누리과정에 대한 보육교사의 인식 및 운영지원요구

        김동례(Kim, Dong Ry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1

        목적 본 연구는 유아중심⋅놀이중심 교육과정인 2019개정 누리과정에 대한 보육교사의 구성방향에 대한 인식 및 현장적용의 일반적 경향과 관계 및 운영지원 요구를 살펴보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방법 이를 위하여 J도와 K시의 보육교사 269명을 대상으로 2019개정 누리과정에 대한 보육교사의 인식 및 운영지원요구를 검사하기 위해 설문도구를 활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1.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보육교사의 인식수준을 파악하기 위해 기술통계를, 집단 간 인식의 차이를 분석하기 위해 t-test, ANOVA와 Scheffe 추후분석을 수행하였다. 결과 연구결과는 첫째, 2019 개정 누리과정의 구성방향에 대한 보육교사의 인식은 교사의 자율성을 강조하는 교육과정이, 현장적용에 대한 보육교사의 인식은 유아들의 놀이 및 놀이시간을 전반적으로 확장시키고 지원한다는 인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교사의 자율성 강조, 추구하는 인간성의 적절성, 유아들의 놀이 및 놀이시간의 확장. 지원에 대한 인식에서 연수와 평가인증 참여횟수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참여횟수에 따라 인식수준도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2019개정 누리과정의 운영지원에 대한 보육교사의 요구는 교사 대 유아의 비율의 축소, 행정업무 경감과 같은 근무환경의 개선에 대한 지원을 가장 필요로 하고 있었다. 그리고 놀이중심 현장적용 사례집이나 교사 지도서 같은 참고자료 지원, 예비교사 및 양성교육과정의 변화 필요, 초등학교 교사의 누리과정에 대한 이해 필요에 대한 요구 등이 연수와 평가인증 참여횟수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참여횟수에 따라 요구수준도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는 보육교사들에게 개정누리과정에 지속적인 관심과 실행을 위한 유아중심⋅놀이중심 교육과정의 성공적인 현장 안착을 위한 밑거름이 되는 교사교육의 기초자료를 제공함과 동시에 2019 개정누리과정 실행을 위한 유아교사 재교육 또는 연수지원을 위한 방법 모색과 긍정적인 평가제 참여를 통한 인식개선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general trends, relationships, and operational support request of childcare teachers perception and field application of the 2019 revised Nuri curriculum, which is a child-centered/play-centered curriculum. Methods To this end, a questionnaire tool was used to examine the childcare teachers perceptions and operational support request for the 2019 revised Nuri curriculum targeting 269 childcare teachers in J and K citie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21.0 statistical program. Descriptive statistics was used to examine the childcare teacher s perception level, and the t-test, ANOVA and Scheffe follow-up analysis were performed to analyze differences in perception between groups. Results In the results, first, the childcare teacher s perception of the composition direction of the 2019 revised Nuri curriculum was that a curriculum that emphasizes the autonomy of teachers was found to be high, and in addition, the childcare teachers’ perception about field application was found to be high in terms of overall expansion and support of children s play and play time. In addition,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the number of training and evaluation certification participation in the perception of teachers autonomy emphasis, the appropriateness of the pursuit of humanity, and the extension-support of children s play and play time, and the level of perception was also higher for the number of participation. Second, childcare teachers request for support for operation of the 2019 revised Nuri curriculum required support for improvement of the working environment, such as reduction of the ratio of teachers to children, and reduction of administrative work. In addition, support for reference materials such as play-centered field application casebooks and teacher guidebooks, the need for changes in pre-service teachers and training curriculum, and the need for elementary school teachers to understand the Nuri proces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depending on the number of training and evaluation certification participation. Also, it was found that the level of request was higher according to the number of participation. Conclusions Therefore,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vide basic data for teacher education, which is the foundation for a successful on-site settlement of the children-centered-play-centered curriculum in order for childcare teachers to continue to pay attention to and practice the revised Nuri curriculum, and suggest that it is necessary to find a way to support re-education or training for early childhood teachers for the implementation of the 2019 revised Nuri curriculum and to improve perception through positive participation in the evaluation system.

      • KCI등재

        어린이집원장의 건강과 소진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김동례(Kim Dong Ra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7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7 No.19

        본 연구의 목적은 어린이집원장의 건강과 소진이 삶의 질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함이다. 이를 위하여 K시와 J도에 소재한 어린이집에 재직 중인 집합교육과 직무교육에 참여한 어린이집원장을 임의표집하여 26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21.0을 이용하여 t-검증, 일원변량분석, Pearson 적률상관분석, 중다회귀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에 따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어린이집원장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삶의 질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원장의 결혼유무, 연령, 경력, 학력, 어린이집유형, 근무시간, 급여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어린이집 원장의 건강과 소진 및 삶의 질의 정도는 어린이집 원장의 건강상태 평균 3.39, 소진은 2.65, 삶의 질은 3.28로 나타나 보통정도로 확인되었다. 셋째, 어린이집 원장의 건강은 삶의 질에 2.3%의 영향력을, 소진은 삶의 질에 12.0%의 영향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나 어린이집 원장의 건강과 소진은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이 확인 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해 어린이집원장의 건강을 증진시키고 소진을 예방·완화하여 어린이집원장의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는 정책적 방안을 마련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the health status and burnout of childcare center director on the quality of life. For this purpose, this study arbitrarily sampled 266 childcare center directors who worked at childcare centers located in K city and J province and participated in the collective education and job education, and conducted a questionnaire survey. The data collected for this study were analyzed by t-test, one-way ANOVA, Pearson 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 Win 21.0.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from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difference in quality of life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of childcare center director, it was found that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the marital status, age, career, educational background, type of childcare center, working hours, and salary. Second, in relation to the healthcare, burnout, and quality of life, the childcare center director’s health status was mean 3.39, burnout 2.65, and quality of life 3.28, showing a normal level. Third, it was found that the health status of childcare center director had an influence of 2.3% on the quality of life and the burnout had an influence of 12.0% on the quality of life, confirming that the health status and burnout of childcare center director affected the quality of life. Through these results, this study aims to provide basic data to prepare policy strategies to improve the health status of childcare center director, to prevent and alleviate burnout, and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of childcare center director.

      • KCI등재

        어린이집 교사의 과학교수지식 및 과학교수효능감과 교사-영유아 상호작용과의 관계에 미치는 교수창의성의 매개효과

        김동례 ( Dong Rae Kim ),백영숙 ( Young Suk Paik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2015 어린이문학교육연구 Vol.16 No.2

        본 연구는 어린이집 교사의 과학교수지식 및 과학교수효능감과 교사-영유아 상호작용과의 관계에서교수창의성의 매개효과를 알아보는 데 그 목적을 둔다. 연구대상은 전라남도에 소재하고 있는 어린이집의 교사 309명을 대상으로 수행하였다. 연구결과로는 첫째, 어린이집 교사의 과학교수지식은 매개 변인인 교수창의성과 종속변인인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에 정적인 영향력을 미치며, 교수창의성은 어린이집교사의 과학교수지식이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정적인 영향력을 증가시킴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어린이집 교사의 과학교수효능감은 매개변인인 교수창의성과 종속변인인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에 정적인 영향력을 미치며, 교수창의성은 어린이집교사의 과학교수효능감이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정적인 영향력을 증가시킴을 알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어린이집 교사의 과학교수지식 및 과학교수효능감은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을 설명하는 중요한 변인이며, 교수창의성이 결합되었을 때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을 더욱 잘 설명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어린이집 교사의 교수창의성은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을 설명하는 중요한 변인임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 among child care teachers’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in science teaching, science teaching efficacy and teacher-young children interactions in the mediating effects of instructional creativity of day care center teachers. The subjects are 309 day care center teachers working in Jeoll south province. Analysis of data is conducted with SPSS WIN 18.0.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ly positive relationships between child care teachers’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in science teaching and teacher-young children interactions in the mediating effects of instructional creativity of day care center teachers. Second, there were significantly positive relationships between child care teacher’s science teaching efficacy and teacher-young children interactions in the mediating effects of instructional creativity of day care center teachers. Therefore, important variables in explaining teacher-child interactions are instructional creativity of day care center teachers.

      • KCI등재

        어린이집원장의 감성리더십이 보육교사의 감성지능과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김동례(Dong-Re Kim),마미정(Mi-Jong Ma) 한국콘텐츠학회 2017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7 No.10

        본 연구의 목적은 어린이집원장의 감성리더십이 보육교사의 감성지능과 보육교사의 삶의 질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함이다. 이를 위하여 K시와 J도에 소재한 어린이집에 재직 중인 교사 277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20.0을 이용하여 빈도분석과 기술통계, Pearson 적률상관분석, 중다회귀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에 따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어린이집 원장의 감성리더십 전체는 감성지능 전체 간에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으며 보육교사의 감성지능 전체에 7.2%의 영향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어린이집원장의 감성리더십 전체는 삶의 질 전체 간에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으며 보육교사의 삶의 질 전체에 9.9%의 영향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해 어린이집원장의 감성리더십과 보육교사의 감성지능을 위하여 보육교사의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는 정책적 방안을 마련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child care center director’s emotional leadership on childcare teachers’ emotional intelligence and quality of life. For this purpose, this study conducted a questionnaire survey of 277 teachers working at child care centers located in K and J provinces. The data collected for this study were analyzed by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Pearson’s product moment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using SPSS Win 20.0.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the child care center director’s emotional leadership h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emotional intelligence, and has a 7.2% influence on child care teachers’ emotional intelligence. Second, it was found that the child care center director’s emotional leadership h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quality of life, and has a 9.9% influence on child care teachers’ quality of life. Through these results, this study aims to provide basic data to prepare policy strategies for improving child care teachers’ quality of life in terms of child care center director’s emotional leadership and childcare teachers’ emotional intelligence.

      • KCI등재

        사회 · 정서발달 프로그램이 유아의 정서지능, 자아존중감,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효과

        김동례(Kim, Dong-Re) 한국영유아보육학회 2020 한국영유아보육학 Vol.0 No.120

        본 연구는 사회 · 정서발달 프로그램을 실시한 집단이 유아의 정서지능, 자아존중감,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은 K지역에 소재한 SJ어린이집에 다니는 A반, B반 만 5세 2학급의 유아 총 24명이였으며, 실험집단(12명), 통제집단(12명)을 임의 배정하였다. 사회 · 정서발달 프로그램은 총 14회기로 주 2회(화, 목) 진행되어, 7주 1회 40분씩 진행하였다. 연구의 결과를 평가하기 위해 유아의 정서지능, 자아존중감, 친사회적 행동 척도를 사전 · 사후검사를 실시하고 수집된 자료는 SPSS 24.0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사회 · 정서발달 프로그램이 통제집단 보다 유아의 정서지능에 미치는 효과가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둘째, 자아존중감에도 미치는 효과가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셋째,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효과가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된 연구결과를 토대로 유아의 정서지능과 자아존중감, 친사회적 행동을 발달시켜 긍정적인 사회적 관계를 형성시키는 기초자료가 제공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is study attemp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ocio-emotional development program on 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 self-esteem, and pro-social behavior.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a total of 24 children in two classes, 5 years old in class A and B in SJ daycare center located in K region, and they were randomly assigned to the experimental group (12) and the control group (12). This study conducted a socio-emotional development program comprising a total of 14 sessions twice a week (Tuesday, Thursday), and 40 minutes once a week for seven weeks. To evaluate the results of the study, pre-social and post-tests on the 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 self-esteem, and pro-social behavior scales were performed, an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SPSS 24.0. In the results of this study, first, the effect of socio-emotional development program on 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 was found to b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experimental group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Second, the effect on self-esteem was found to be significantly higher, and third, the effect on pro-social behavior was found to be significantly higher. These results of analysis suggest that basic data can be provided to develop positive social relationships by developing 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 self-esteem, and pro-social behavior.

      • KCI등재

        근무기관 유형에 따른 어린이집 평가인증 운영과정에 대한 보육교사의 인식

        김동례(Kim, Dong-Rye),정효은(Jeong, Hyo-Eun) 한국영유아보육학회 2014 한국영유아보육학 Vol.0 No.87

        본 연구는 근무기관 유형에 따른 어린이집 평가인증 운영과정에 대한 보육교사의 인식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평가인증에 참여한 보육교사 198명을 대상으로 연구자들이 개발한 질문지를 사용하여 어린이집 평가인증 운영과정에 대한 인식을 조사ㆍ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어린이집 교사들은 어린이집 평가인증 운영과정인 신청, 자체점검, 평가, 심의, 운영원칙의 적절성에 대해 보통이라고 응답하였다. 또한 법인어린이집 교사가 다른 유형의 어린이집 교사보다 평가인증 운영과정에 대해 더 적절하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보다 합리적이고 의미 있는 평가인증 운영과정을 위한 시사점 및 향후 연구과제에 대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teachers’ perception on the operation process of child care center accreditation system and further to suggest a direction of its future development. The questionnaire prepared through this process was distributed to 198 from teachers.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through one way ANOVA to see differences among the group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The childcare teacher considerably well perceived the operation precess of childcare center accreditation system. The teachers of corporate child care centers were satisfied with the ones of other types of child care centers were done.

      • 개인정보보호법을 대비한 개인정보보호 시스템에 관한 연구

        김동례(Dong Rye Kim),심기창(Gi Chang Shim),전문석(Moon-seog Jun) 한국정보보호학회 2011 情報保護學會誌 Vol.21 No.6

        개인정보보호법이 2011년 3월 국회 법사위에서 통과되어 2011년 9월 30일 시행예정에 있다. 시행예정에 있는 개인정보보호법은 기존 공공기관의 개인정보보보호에 관한 법률을 포함하게 된다. 기존의 개인정보보호 관련 법규 및 시행령은 크게 관리적 보호조치와 기술적 보호조치로 구분된다. 기술적 보호조치의 주요 기반기술은 개인정보보호시스템, 접근통제, 암호화, 출력매체, 접근 및 이용, 웹사이트 노출방지대책 등으로 분류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개인정보보호 기술적 조치사항의 주요기반기술에 대해 기술 및 솔루션, 시스템을 살펴보고 최근 웹 사이트 및 내부 업무시스템에서의 개인정보보호 시스템 특징을 연구하고 단계적 적용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2011년 9월 30일 시행되는 개인정보보호법에 대비하여 기술적 보호조치 단계를 제시함으로써 개인정보 담당자 및 정보보호 담당자에게 한정된 예산과 일정기간에 단계별로 개인정보보호 수준을 높이는 참조 모델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예비유아교사의 디지털 리터러시와 테크놀로지 자아효능감과, 메타인지 전략, 그릿 간의 관계 분석

        김동례(Dongre Kim),김효원(Hyowon Kim) 한국영재교육학회 2024 영재와 영재교육 Vol.23 No.1

        본 연구는 미래사회 변화에 대응하는 유아교사의 핵심역량으로 거론되는 디지털 역량과 관련하여 예비유아교사의 디지털 리터러시와 테크놀로지 자아효능감, 메타인지 전략, 그릿 간의 관계를 통합적으로 규명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광주광역시 소재 S대학의 유아교육 전공 1~4학년 학생 150명으로 대상으로 테크놀로지 자아효능감, 메타인지 전략, 그릿과 디지털 리터러시를 측정하여 구조모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테크놀로지 자아효능감, 메타인지 전략, 그릿과 디지털 리터러시 간의 인과관계를 설정한 모형은 타당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테크놀로지 자아효능감과 메타인지 전략은 디지털 리터러시에 정적인 영향을, 그릿은 메타인지 전략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테크놀로지 자아효능감은 디지털 리터러시에 직접효과, 메타인지 전략을 매개로 간접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마지막으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예비유아교사의 디지털 역량 신장을 위한 교육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conducted with the purpose of identifying the integrated relationships between digital literacy, technology self-efficacy, metacognitive strategy and grit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in relation to digital competencies, which are mentioned as the core competencie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to respond to future social change. To this end, a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as conducted by measuring digital literacy, technology self-efficacy, metacognitive strategy and grit among 150 first- to fourth-year early childhood education students at S University in Gwangju. The results of structural model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the results showed that the equation model of causal relationships between digital literacy, technology self-efficacy, metacognitive strategy and grit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was valid. Second, technology self-efficacy and metacognitive strategy were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digital literacy, and grit was found to have a negative effect on digital literacy. Third, it was confirmed that technology self-efficacy had a direct effects on digital literacy and an indirect effect mediated metacognitive strategy. Through this, educational implications for improving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digital literacy wer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