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실어증 선별검사 도구개발을 위한 예비연구

        김향희,이현정,김덕용,허지회,김용욱,Kim, Hyang-Hee,Lee, Hyun-Joung,Kim, Deog-Yong,Heo, Ji-Hoe,Kim, Yong-Wook 한국음성학회 2006 음성과학 Vol.13 No.2

        An aphasia screening test can serve a main purpose of differentiating aphasics from non-aphasic patients in a quick as well as efficient manner. As a preliminary study for developing a standardized aphasia screening test for Korean patients, we constructed an aphasia screening test constituting items from the Paradise' Korean version-the Western Aphasia Battery(P K-WAB). All test items were analyzed in order to extract items with optimal item discrimination and adequate item difficulty indices. From the results, we were able to select some items from each subtest with optimal results of discriminant function analysis for aphasic and normal control groups. It is expected, thus, that information on the item analysis could be utilized in developing a Korean aphasia screening test.

      • KCI등재

        우리나라 언어치료사의 핵심역량

        전이슬(Yi-Seul Jeon),김덕용(Deog Young Kim),김용욱(Yong-Wook Kim),김향희(HyangHee Kim)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13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18 No.1

        배경 및 목적: 언어치료사의 직업적 역량과 직무를 수행하는 데 있어서 중요하게 작용하는 내면적 역량에 대한 인식제고를 통해 언어 치료사의 핵심역량에 대한 인식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방법: O*NET에서 제시한 언어치료사가 갖추어야 할 직업적 역량, 내면적 역량을 바탕으로 총 43문항에 대한 설문을 150명의 언어치료사에게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언어치료사 역량의 중요도와 수행/소유수준을 살피고, 이 둘의 기관별, 경력별, 학력별 차이를 살펴보았다. 그리고 우리나라와 미국 언어치료사의 역량 중요도를 비교하였다. 결과: 첫째, 총 43개의 역량에서 중요도가 수행/소유수준보다 높았다. 둘째, 기관별 중요도와 수행/소유수준은 병원 치료사가 각각 6개, 7개의 역량에서 다른 기관 치료사보다 높았다. 셋째, 경력별 중요도와 수행/소유수준은 5년 이상의 경력자가 각각 2개, 7개의 역량에서 가장 높았다. 넷째, 학력별 중요도와 수행/소유수준은 대학원 이상 집단이 각각3개, 6개의 역량에서 4년제 졸업생보다 높았다. 다섯째, 우리나라와 미국 언어치료사의 중요도 순위를 비교한 결과, 13개의 역량에서 우리나라가 상대적으로 높았다. 논의 및 결론: 전반적인 역량 분석을 통해 언어치료사의 핵심역량을 확인함으로써 전문성 향상과 인적자원 선발을 위한 자료로서의 활용을 기대한다. 또한 추후 우리나라와 미국의 언어치료사를 비교하는 연구의 기초자료로서 현재 문제점이나 시사점을 제시할 수 있다. Objectives: This study was aimed to survey what are perceived to be the core capacities of speech-language pathologists (SLPs). Methods: One hundred and fifty SLPs were surveyed with a questionnaire of 43 items based on the occupational and internal capacities by O*NET. We investigated the importance and performance/possession standards of the capacities, and explored the differences of capacities depending on the organization, experience and education. In addition, the priorities of SLPs in Korea and those in the United States were compared. Results: Firstly, importance of core capacities was rated higher than performance/possession standards for all 43 capacities. Secondly, when examining the discrepancies of SLP capacities in different organizations, the importance of 6 capacities and the performance/possession standards of 7 capacities were the highest for SLPs in hospital. Thirdly, when examining the discrepancies by experience, the importance of 2 capacities and the performance/possession standards of 7 capacities were the highest for those with 5 or more years of experience. Fourthly, when examining the discrepancies by education, the importance of 3 capacities and the performance/possession standards of 6 capacities were greater for those with degrees in graduate school or higher education. Fifthly, in comparing the priorities of SLP in Korea and those in the United States, the 13 capacities in Korea were relatively higher. Conclusion: The comprehensive analysis is expected to improve the professionalism and to be utilized as a resource for selecting human resources. Furthermore, it can be used as a material for future studies on comparison of SLPs in Korea and those in the United States.

      • KCI등재

        A Validation Study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Swallowing-Quality of Life Scale

        김자영(Ja Young Kim),김덕용(Deog Yong Kim),김향희(HyangHee Kim),조성래(Sung-Rae Cho)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13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18 No.3

        배경 및 목적: 본 연구는 삼킴장애 환자의 심리사회적 측면을 이해하고자 Swallowing-Quality of Life (SWAL-QOL) 척도를 한국어로 번안하여 신뢰도와 타당도를 측정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방법: 설문은 임상적으로 신경학적이거나 구조적인 구인두 삼킴장애로 진단받은 만성기 환자 중 자기보고식 설문이 가능한 환자 53명(30대, 40대, 50대, 60대 이상의 연령대)과 이들과 연령을 일치시킨 정상인 53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검사-재검사 신뢰도 측정은 5명의 삼킴장애 환자와 5명의 정상인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결과: 본 척도의 내적일관성 신뢰도와 검사-재검사 신뢰도는 모두 적절한 것으로 나타났다. 타당도 검증 결과, 본 척도는 모든 범주 및 문항에서 삼킴장애 환자와 정상인 간에 구별 가능한 도구였다. 공인타당도 검증을 위해 SF-36 척도와의 총점 간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두 척도는 서로 다른 구성문항을 측정하여 상관관계가 없었다. 내적 구성타당도 분석 결과, 본 척도는 총 7개의 범주(정신건강 범주, 사회적 기능 범주, 섭식 관련 범주, 일반적 건강 범주, 의사소통 범주, 부담감 범주, 음식 선택 범주)로 요인분석이 가능하였다. 논의 및 결론: 한국어판 SWAL-QOL은 국내 삼킴장애 환자의 삶의 질을 측정하는데 신뢰롭고 타당한 도구인 것으로 판단되었다. 향후 본 측정도구가 삼킴장애 환자들의 삶의 질 향상에 도움이 되기를 기대해본다. Objectives: Although impairment of the swallowing function is a troublesome symptom in the general population, until recently, there has been no instrument for evaluating dysphagia. The aim of this work is to study the psychometric properties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Swallowing-Quality of Life questionnaire (K-SWAL-QOL). Methods: A cross-sectional survey of 53 patients, who are clinically diagnosed as neurological or mechanical oropharyngeal dysphagia and have shown consistent symptoms of dysphagia during at least 6 months, was conducted. Fifty-three healthy age matched controls were recruited to evaluate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K-SWAL-QOL. Among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5 patients and 5 healthy controls were randomly chosen for the test-retest reliability. Results: Reliability was estimated using tests of internal consistency and test-retest reliability. The KSWAL- QOL was able to differentiate between dysphagic and nondysphagic patients. Construct validity was validated through a factor analysis. The psychometric properties of the K-SWAL-QOL were found to be largely similar to those of the original SWAL-QOL; however, 10 factors are clustered by 7 factors (Mental Health, Social Functioning, Eating Related, General Health, Communication, Burden, and Food Selection). A correlation study of the total score between the K-SWAL-QOL and the SF-36 (The Short Form-36), which is a widely used generic questionnaire for measuring health-related QOL, showed no significant results. Conclusion: K-SWAL-QOL is found to be a clinically valid and reliable tool for assessing the quality of life among Korean individuals with dysphagia. We expect that K-SWALQOL will contribute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for Korean patients with dysphagia in the future.

      • KCI등재

        경골 간부 골절 시 국소 마취 하에서 엔더정 고정술

        하상호 ( Sang Ho Ha ),이준영 ( Jun Young Lee ),김덕용 ( Deog Yong Kim ) 대한골절학회 2006 대한골절학회지 Vol.19 No.2

        목적: 전신 및 척추마취의 위험이 높았던 경골 간부 골절 환자에게서의 환자에게의 국소 마취하에 엔더정 내고정술을 시행하고 임상적 결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7년 1월부터 2002년 12월까지 경골 간부 골절에 대해 엔더정 고정술을 시행하였던 20예 중 전신 및 척추 마취가 불가능하여 국소 마취하에 엔더정 고정술을 시행하였던 10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각각의 환자에 대해서 수술 중 및 수술 후 전신 및 척추 마취하에 발생 혹은 악화 가능한 심장 및 간장 질환, 혈전 색전증 및 폐질환의 발생 여부에 대해서 평가하였으며, 골유합에 대해서는 방사선학적 및 임상적 평가를 하였다. 결과: 국소 마취제에 대한 부작용은 없었으며 모든 예에서 골유합을 얻을 수 있었다. 평균 골유합 기간은 18주였으며 굴곡 변형, 하지 단축 및 관절 구축 등의 합병증은 발생하지 않았다. 결론: 국소 마취하의 엔더정 고정술은 비관혈적 도수 정복 후 골수강내 금속정 삽입술의 장점을 얻을 수 있으며 수술 중이나 수술 후 환자 관리가 용이하고 골유합에 문제가 없어 전신 및 척추 마취가 불가능한 경우 유용한 수술법 중 하나로 생각된다. Purpose: To evaluate the clinical result of ender nailing under local anesthesis was done to patient with tibia shaft fracture who had high risk for general anesthesia or spinal anesthesia. Materials and Methods: 10 cases with ender nailing procedure under local anesthesia due to high anesthetic risk were selected from total of 20 cases with tibia shaft fracture operated with ender nailing. In each patient, hepatic, diabetic, cardiopulmonary complication and thromboembolism which can be initiated or aggravated by general or spinal anesthesia, were evaluated. Radiologic and clinical evaluation were used to check bone union. Results: There were no complication of local anesthesia. Bone union were acquired in all cases with average bone union period of 18 weeks. There were no evidence of flexion deformity, limb shortening or joint contracture. Conclusion: Ender nail fixations under local anesthesia enable close reduction & intramedullary nailing and is effective in patient care but has no problem with bone union. For this reason, ender nail fixation under local anesthesia seem to be effective method if general of spinal anesthesia is difficult.

      • KCI등재

        혈관부착 골 이식술을 이용한 주상골 근위 골절 불유합의 치료

        이준영(Jun-Young Lee),손홍문(Hong-Moon Sohn),유재원(Jae-Won You),김동휘(Dong-Hui Kim),김덕용(Deog-Yong Kim) 대한정형외과학회 2005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0 No.4

        목적: 주상골 근위 골절 불유합에서 배측 도달법을 이용한 혈관부착 골이식술 및 내고정술을 시행 받은 환자를 대상으로 방사선 및 임상적인 결과를 평가하고 수술 방법과 같이 보고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0년 1월부터 2003년 12월까지 주상골 근위 골절 불유합으로 혈관부착 골이식술 및 내고정술을 시행 받은 총 6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평균 연령은 27.8세(18-45)였고 전례에서 남자였다. 평균 추시기간은 13개월(8-18)이었으며 수상 원인은 낙상이 4예, 교통사고가 2예였다. 수술 방법은 전례에서 배측 도달법을 이용하여 Herbert 나사못을 이용한 내고정술과 제1,2 구획간 상지대 동맥(1,2 intercomparmental supraretinacular artery)을 이용한 혈관부착 골 이식술을 시행하였다. 결과: 전례에서 골유합을 얻었으며 골유합까지 기간은 평균 8,7주(7-11)이었다. 최종 추시 때의 Maudsley와 Chen의 평가 기준에 따른 결과는 우수가 4예, 양호가 2예였다. 합병증은 1예에서 요골 신경 감각 분지의 이상 감각을 보였으나 2개월 뒤 소실되었다. 결론: 심한 수근 관절염이 없는 주상골 근위부 골절 불유합의 치료에 혈관부착골이식술은 고정 기간의 단축 및 골유합률을 높일 수 있는 유용한 방법이라 사료된다. Purpose: To evaluate the radiographic and clinical results of the treatment of nonunion of scaphoid proximal fractures using vascularized bone graft and internal fixation, and to present the surgical procedures in detail. Materials and Methods: Six patients with established nonunion of scaphoid proximal fractures who had been treated by vascularized bone graft and internal fixation from the year of 2000 to 2003 were analyzed retrospectively. The mean ages were 27.8 years old (18-45) and all the patients were male. The average follow up period was 13 months (8-18), and the causes of injuries were fall down in 4 cases, and motor vehicle accident in 2 cases. The 1,2-intercomparmental supraretinacular artery was used as a vascular pedicle for the bone graft and fixed with a Herbert screw. Results: All the non-unions had united at a mean period of 8.7 weeks (7-11). According to the Maudsley and Chen s criteria, 4 and 2 cases showed excellent and good results, respectively. There was one case of dysesthesia on the superficial branch of the radial nerve after surgery, which was resolved in 2 months. Conclusion: A vascularized bone graft is an useful method for treating a nonunion of scaphoid proximal fractures without severe arthritic changes, and can achieve a shorter immobilization and improved bone healing.

      • KCI등재

        초발 뇌졸중환자의 기능회복에 대한 다수준 분석

        이시온(Sion Lee),한준희(Junhee Han),손민균(Min Kyun Sohn),이종민(Jongmin Lee),김덕용(Deog Young Kim),신용일(Yong-Il Shin),오경재(Gyung-Jae Oh),이양수(Yang-Soo Lee),주민철(Min Cheol Joo),이소영(So Young Lee),송민근(Min-Keun Song),안정훈( 한국자료분석학회 2023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25 No.3

        뇌졸중이란 뇌혈류 차단으로 산소와 영양공급이 막혀 뇌조직 일부의 손상이 초래되는 질병이다. 뇌졸중에 의한 사망률은 감소하는 추세지만 후유장애, 특히 기능장애로 불편함을 호소하는 환자는 늘어나고 있다. 그러나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만 지속될 뿐, 재발 환자를 포함하지 않은 초발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는 아직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한국판 수정 바델 지수(K-MBI)라 불리는 재활 분야에서 흔하게 사용하는 뇌졸중 환자의 일상생활활동 평가 도구를 기능점수의 기준으로 사용해 초발 뇌졸중 기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고 궁극적으로 보건의료 정책에 도움을 주고자 했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자료는 각 개체에 대한 반복적인 측정값으로 이루어진 종단자료로 상관성을 고려하는 분석 방법이 필요해 다수준 분석을 시행하였다. 일반화 추정 방정식 모형(GEE)으로는 모든 변수가 유의하게 나왔지만 다수준 모형은 배우자 유무(미혼보다 기혼), 입원 기간(짧을수록), 나이(적을수록)에 따라 기능점수 회복이 유의미했다(p-value<0.05). 또한, 초기 뇌졸중 중증도에 따른 기능점수의 차이가 있음을 확인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초발 뇌졸중 환자의 기능향상을 위해서 초기 뇌졸중 중증도에 따라 다른 의료적 접근의 필요성을 제시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Stroke is a disease in which oxygen and nutrition are blocked by blocking cerebral blood flow, causing damage to some of the brain tissue. The mortality rate from stroke is decreasing, but the number of patients complaining of discomfort due to aftereffects, especially dysfunction, is increasing. However, only studies on stroke patients continue, and studies on initial stroke patients that do not include recurrence patients are still insufficient. Accordingly, this study tried to identify factors affecting initial stroke function and ultimately help health care policies by using a tool for evaluating daily life activities of stroke patients commonly used in the rehabilitation field called the Korean version of the K-MBI. The data used in this study is longitudinal data consisting of repeated measurements for each object, and a multi-level analysis was conducted because an analysis method that considers correlation was needed. All variables were significant in the generalized estimation equation model (GEE), but the majority model showed significant functional score recovery depending on the presence of a spouse (married than unmarried), hospitalization period (shorter), and age (less); p-value<0.05.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re was a difference in function scores according to the severity of the initial stroke. Therefore,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presents the need for a different medical approach depending on the severity of the initial stroke to improve the function of patients with initial stroke.

      • SCOPUSKCI등재
      • SCOPUSKCI등재
      • SCOPUS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