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신조어 속에 나타난 한국과 독일 언어사회의 특징 - 한국과 독일의 신조어 비교 분석을 중심으로

        장영익 한국독일언어문학회 2018 독일언어문학 Vol.0 No.82

        Die Grundlagen unserer Untersuchung bilden das Neologismen-Online-Projekt “Die Wortwarte” (http://www.Wortwarte.de) und die Neologismen-Erhebung des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Language. Es wurden insgesamt 2387 Neologismen im Deutschen und 625 (247 Wörter und 378 Phrasen) im Koreanischen aus dem Jahre 2016 untersucht. Fazit: Klassifikation nach Wortarten: Die Auswertung von 2387 deutschen Neologismen zeigt, dass der größte Anteil mit 93,76% (2238 Belege) auf die Substantive fällt; mit 5,11% (122 Belege) auf Adjektive; mit 1,09% (26 Belege) auf Verben; mit 0,04% (1 Beleg) auf Adverbien, während die Auswertung von 247 koreanischen Neologismen zeigt, dass der größte Anteil mit 99,6% (246 Belege) auf die Substantive fällt; mit 0,4% (1 Beleg) auf Adverbien. Klassifikation nach Wortbildungsarten: Die Auswertung von 2387 deutschen Neologismen zeigt, dass der größte Anteil mit 84,42% (2015 Belege) auf die Komposita fällt; mit 11,02% (263 Belege) auf Fremdwörter; mit 2,01% (48 Belege) auf Suffixbildungen; mit 1,89% (45 Belege) auf Präfixbildungen; mit 0,63% (15 Belege) auf Kontaminationen; mit 0,04% (1 Beleg) auf Kurzwörter. Aber die Auswertung von 247 koreanischen Neologismen zeigt, dass der größte Anteil mit 28,74% (71 Belege) auf die Komposita fällt; mit 21,86% (54 Belege) auf Suffixbildungen; mit 19,03% (47 Belege) auf Kontaminationen; mit 17% (42 Belege) auf Kurzwörter; mit 9,31% (23 Belege) auf Fremdwörter; mit 2,43% (6 Belege) auf Neubildungen; mit 1,62% (4 Belege) auf Präfixbildungen. Klassifikation nach Themen: Neologismen im deutschen Korpus befassen sich mit unterschiedlichen Themen aus 37 Bereichen. Der größte Anteil mit 29,87% (713 Belege) gehört zum allgemeinen Wortschatz. Hier nennen wir die 4 wichtigsten Bereiche: IT/Computer (290 Belege; 12,15%), Gesellschaft (245 Belege; 10,26%), Politik (190 Belege; 7,96%), Wirtschaft (180 Belege; 7,54%). Neologismen im koreanischen Korpus kommen aus 29 Bereichen. Der größte Anteil mit 56,16% (351 Belege) gehört zum allgemeinen Wortschatz. Hier nennen wir die 4 wichtigsten Bereiche: Gesellschaft (79 Belege; 12,64%), Wirtschaft (61 Belege; 9,76%), Gesetz (19 Belege; 3,04%), Politik (18 Belege; 2,88%). 2016년에 독일어와 한국어에서 나타난 신조어를 비교·분석하기 위해 독일어 온라인신조어 프로젝트인 Die Wortwarte와 국립국어원에서 출간한 <2016년 신어 조사 및사용 주기 조사>에서 수집된 신조어를 연구 자료로 삼는다. 연구 결과 2016년에 나타난 신조어는 독일어가 2,387개로 625개인 한국어 신조어보다 훨씬 많았다. 한국어에서는 구를 제외한 단어는 247개로 조사됐다. 신조어를 품사별로 분석한 결과, 독일어와 한국어에서 모두 명사가 가장 많이 형성되었다. 독일어에서는 명사 이외에도 형용사, 동사, 부사가 나타난 반면, 한국어에서는 명사 이외에 단 한개의 부사만 나타났다. 조어 유형별 분석에서는 독일어와 한국어에서 모두 합성어가 가장 생산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독일어와 한국어 신조어를 각 전문 영역별(일반 분야 포함)로 분석한 결과, 독일어의 경우 37개 분야, 한국어의 경우 29개 분야에서 신조어가 생성되었다. 신조어 생성 분야 상위 5개를 살펴보면, 독일어의 경우 일반, IT/ 컴퓨터, 사회, 정치, 경제의 순으로 나타난 반면에, 한국어의 경우 일반, 사회, 경제, 법률, 정치의 순으로 조사됐다. 이는 독일과 한국 사회에서 이슈화되는 문제가 각 사회의상황에 따라 차이가 있음을 보여준다.

      • KCI등재

        독일어와 한국어의 장소지시어 연구(Lokaldeixis im Deutschen und Koreanischen)

        성상환 ( Sang Hwan Seong ),현희 ( Hee Hyun ) 한국독일언어문학회 2016 독일언어문학 Vol.0 No.71

        본 논문은 독일어와 한국어의 장소지시어의 비교에 관한 연구이다. 독일어 hier, da, dort와 한국어의 장소지시어 여기, 저기, 거기를 중심으로 지시어의 종류와 쓰임에 대해 비교분석을 행한 후 두 언어의 장소지시 어가 번역된 용례에서 어떻게 구체적인 실현이 되는가를 코퍼스를 중심으로 살펴보고 독일어를 전공하는 독일어능력 중급이상의 한국어모어화 자들을 대상으로 독일어 장소지시어 습득실험을 실시하였다. 또한 한국에 체류하며 한국어를 습득하는 독일인모어화자를 대상으로 이들이 한국어의 장소지시어를 어떻게 구사하고 있는지도 간단한 습득실험을 통해 확인하게 되었다. 독일어의 장소지시어인 hier, da, dort의 쓰임에서 전통적으로 3등분하는 연구와 2등분하는 연구가 있었는데 독일어가 한국어로 번역되는 과정에서 한국어의 ‘저기’에 해당하는 독일어표현이 여전히 체계적인 등가물로 존재하지 않음을 확인하였고 장소지시에 있어 체계적인 3가지 구분에 대한 논증이 빈약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독일어를 습득하는 한국어화자들의 경우 독일어의 da의 활용에 어려움을 겪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최종적으로 한국어를 학습하는 독일인들의 경우 대화상대의 관점을 반영하는 한국어의 ‘저기’에 대해 ‘여기’와 ‘거기’ 에 대립되는 체계적인 구분이 불가능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대상을 지시할 때 주체적인 원천지점(Origo)으로 화자만이 중심이 되는 독일 어와 대화상대 및 대화참여자에 대한 관점이 추가적으로 문법화되어 있는 한국어사이의 체계적인 문법간 차이에 기인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러한 관점은 해당 표현들의 독일어교육이나 한국어교육에도 적극적으로 반영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독일 한국학과와 한독 문화교류 - 베를린 자유대학교 한국학과를 중심으로

        곽정연 ( Goak Jeang-yean ) 한국독일언어문학회 2023 독일언어문학 Vol.- No.100

        한국 독어독문학과와 독일 한국학과는 양국에 관한 연구를 통해 학문적 기반을 마련하면서 인력을 양성한다는 점에서 한독교류의 토대를 마련한다. 본고는 한국과 독일의 문화교류에 초점을 맞추어 베를린 자유대학 한국학과의 발전과정과 현황을 고찰하여 한국 독어독문학과와 학계 그리고 한독문화교류에 주는 시사점을 도출한다. 베를린 자유대학 한국학과는 국내외 기관 및 다양한 분야의 연구자들과 협력하여 한국학의 학문적 방법론을 정립하며 사회과학과 인문학의 학제 간 연구로써 한국학의 기초를 마련하고, 방문학자, 학술대회, 특강, 저서, 언론을 통해 담론을 확산한다. 이로써 독일이 한국을 이해하는 데 학문적 기반을 마련하고, 교류를 수행할 후속세대를 키운다. 또한 자유대학 한국학과는 북한 대학과의 학술교류를 통해 남북이 교류할 수 있는 학술적 공간을 만든다. 한독 간 문화교류를 강화하기 위해 한국 독어독문학과는 방문학자 제도를 활성화하여 글로벌 맥락에서 독일을 고찰하는 다학제적 연구를 수행해야 하고, 한국과 독일의 유관기관과 독일 한국학과와의 연구와 교육 협력 그리고 학생교류를 활성화해야 한다. 경제 규모 세계 10위 국가로서 한국이 세계 여러 나라와 문화교류를 지속적으로 수행하며 국제사회에서 적합한 역할을 담당하기 위해서는 외국어문학과의 균형적 발전을 주요과제로 삼아야 한다. Die Germanistik in Korea und die Koreanistik in Deutschland bereiten eine Basis für den koreanisch-deutschen Austausch, indem sie den wissenschaftlichen Nachwuchs ausbilden und durch die Erforschung der beiden Länder eine wissenschaftliche Grundlage für die Beziehungen beider Länder schaffen. Mit Fokus auf den kulturellen Austausch zwischen Korea und Deutschland untersucht vorliegender Beitrag den Entwicklungsprozess und aktuellen Stand der Koreanistik an der Freien Universität Berlin und leitet Implikationen für die Germanistik in Korea sowie den Kulturaustausch zwischen Korea und Deutschland ab. Das Institut für Koreanistik an der Freien Universität Berlin arbeitet mit in- und ausländischen Institutionen und Forschern aus verschiedenen Bereichen zusammen, und betreibt eine interdisziplinäre Forschung zwischen Sozial- und Geisteswissenschaften. Damit etabliert es eine wissenschaftliche Methodik für die Koreanistik und festigt damit auch den Status der Koreanistik als wissenschaftliches Fach in Deutschland. Das Institut für Koreanistik an der Freien Universität fördert den Diskurs über Korea durch wissenschaftliche Konferenzen, Sondervorträge, Bücher, Medien u.s.w. Darüber hinaus bietet es einen akademischen Raum für den innerkoreanischen Austausch durch die universitäre Zusammenarbeit mit Nordkorea. Germanistik-Institute in Korea sollten Gastwissenschaftler einladen, multidisziplinäre Forschung über Deutschland im globalen Kontext betreiben, mit dem Institut für Koreanistik in Deutschland Studierende sowie Forschungs- und Bildungsinhalte austauchen und mit den Institutionen in Korea und Deutschland zusammenarbeiten, die den Kulturaustausch zwischen Korea und Deutschland fördern. Als Land mit der zehntgrößten Volkswirtschaft der Welt sollte Korea Experten aus verschiedenen Ländern der Welt in ausgewogener Weise ausbilden, um den kulturellen Austausch nachhaltig voranzutreiben und damit eine angemessene Rolle in der internationalen Gemeinschaft zu spielen.

      • KCI등재

        독일의 ‘쉬운 언어 Leichte Sprache’에 나타나는 언어적 특징과 활용 사례

        남유선 한국독일언어문학회 2018 독일언어문학 Vol.0 No.82

        독일은 이미 2006부터 이른바 ‘쉬운 언어 Leichte Sprache’라고 하는 하나의 간편화된 독일어 사용법을 도입했다. 학습장애 Lern-Schwierigkeit를 겪고 있는 사람들과독일어에 능숙하지 못한 사람들을 위한 정책이다. 독일정부에서는 쉬운 독일어로 다양한 사회적 이슈와 공지 사항을 제공하고 있다. 이를 통해 시민들이 좀 더 많은 정보를공유하고 주요 의제에 대한 논의과정에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특히 공공기관을 중심으로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으며, 주요 정당의 정책에 대한 홍보에도 적극적으로 활용되고 있다. 2014년에는 ‘쉬운 언어’ 지침서를 발간하였다. 쉬운 언어가 필요한 사람들이 참여하여 그 언어적 특징과 규칙을 만들어 가고 있다. 쉬운 독일어의 중요한 규칙은 짧고 단순한 문장이다. 쉬운 언어가 필요한 사람들이 참여하여 쉬운 독일어로 쓴 텍스트의 이해정도를 함께 검증한다. 이런 과정을 거친 후에야 비로소 ‘쉬운 독일어’의 표식을 얻을 수 있게 된다. 쉬운 언어가 독일 사회에서 어떠한 기능을 하고 있는지 살펴보고 독일사례가 우리사회에 던져주는 시사점을 논하였다. Deutschland hat bereits seit 2006 einen vereinfachten deutschsprachigen Sprachgebrauch namens Leichte Sprache eingeführt. Es ist eine Richtlinie für Menschen mit Lernschwierigkeiten und für Personen, die kein Deutsch beherrschen. Die Bundesregierung bietet verschiedene soziale Themen und Ankündigungen in leichtem Deutsch an. Dies gibt den Bürgern die Möglichkeit, weitere Informationen auszutauschen und an Diskussionen über wichtige Tagesordnungen teilzunehmen. Insbesondere wird es vor allem von öffentlichen Institutionen aktiv gefördert und für die Bekanntmachung der wichtigsten Parteienpolitik genutzt. Im Jahr 2014 wurde das Handbuch „Leichte Sprache“ veröffentlicht. Menschen, die eine leichte Sprache brauchen, nehmen daran teil und machen ihre sprachlichen Merkmale und Regeln. Die wichtige Regel für Leichtes Deutsch sind kurze und einfache Sätze. Außerdem wird das Verständnis des Textes in leicht zu bedienendem Deutsch von Personen, die eine leichte Sprache benötigen, überprüft. Erst nach diesem Vorgang erhalten Sie das Zeichen "Leichtes Deutsch". Es wurden die Anwendungsbeispiele der leichten Sprache in der deutschen Gesellschaft gezeigt und die Auswirkungen des deutschen Falls auf die koreanische Gesellschaft diskutiert.

      • KCI등재

        Nonverbale virtuelle Kommunikation - Textbasierte Emoticons in Südkorea und Deutschland

        강태호,쉴로트만 한국독일언어문학회 2013 독일언어문학 Vol.0 No.61

        이 논문은 사이버 커뮤니케이션 상황에서 한국과 독일의 비언어적 신호들이 어떤 형태를 취하며 어떤 의미를 갖는지 비교하고자 했고, 이때 특히 텍스트 이모티콘들에 주목했다. 이를 위해 먼저 컴퓨터 전문가들만의 소유물이었던 채팅이 어떻게 대중화, 다양화되었는지를 역사적으로 간단히 살폈고, 채팅 언어의 언어학적 특성들을 개괄했다. 그 대표적인 특성으로는 경제 논리에 따른 축약과 구두성 및 일상성이었다. 다음으로는 사이버 채팅 상황에서 일상적으로 사용되는 한국과 독일의 텍스트 이모티콘들을 비교, 검토해 보았다. 한국의 텍스트 이모티콘들은 주로 수직적인 ‘동아시아 스타일’을, 독일의 경우는 수평적인 ‘서양 스타일’을 따르는 특성을 보였다. ‘동아시아 스타일’ 이모티콘들은 수직형으로 배열되어 다양한 눈과 손 형태 표현이 가능한 반면, ‘서양 스타일’ 이모티콘들은 주로 입 모양을 중심으로 변화한다. 또한 한국의 경우에는 독일에는 거의 나타나지 않는 수줍음 또는 수줍은 웃음을 의미하는 이모티콘들이 많이 발견되는데, 이는 동양적 또는 유교적 사고방식에 기인하는 듯하다. 이러한 동양적 또는 유교적 사고방식은 독일의 경우와는 달리 한국에 거짓말을 뜻하는 이모티콘이 사용되지 않는다는 점에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한국과 독일의 텍스트 이모티콘 분석을 통해 분명히 드러난 점은, 이 이모티콘들의 해독을 위해서는 순수하게 언어학적 측면뿐 아니라 사회언어학적, 문화언어학적 측면들까지도 고려되어야 한다는 사실이다. 결국 디지털 커뮤니케이션 상황에서의 문자 언어 사용은 미디어의 글로컬한 특성으로 인해 독특한 형태를 띠며 발전해 왔으며, 여기서 지역성 Lokalität은 점점 더 중요해지고 있다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키츠독일어에 관한 논쟁

        강명희 ( Kang Myoung Heui ) 한국독일언어문학회 2019 독일언어문학 Vol.0 No.84

        본 논문에서는 독일 청소년 언어이자 이주민 언어의 특징을 나타내는 키츠독일어 Kiezdeutsch를 둘러싼 논쟁에 대해 소개하고 이를 통해 현대 독일어의 변화 현상에 대해 고찰해보고자 한다. 청소년들의 사용 언어뿐만 아니라 인터넷, 영화, 대중음악, 광고 등에서 빈번하게 나타나는 키츠독일어는 일련의 규칙성을 지닌 어휘적, 문법적 특징을 통해 단순한 유행으로서의 청소년 언어가 아닌 독일어의 새로운 변이형으로서의 지위를 나타내는 것으로 간주되기도 한다. 본 논문에서는 키츠독일어의 지위와 언어적 자질에 따른 서로 다른 입장들을 살펴봄으로써 주요 쟁점이 무엇이고, 어떠한 이유로 이러한 논쟁이 발생하는지에 대해 파악해보고자 한다. 이와 같은 상대적 비교를 통한 고찰은 키츠독일어의 속성을 보다 더 다면적 관점에서 바라볼 수 있게 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를 위해 키츠독일어의 지위는 방언과 슬랭, 피진어와 인종어, 청소년 언어의 양식과 변이형 등의 입장에서 살펴보고, 키츠독일어의 언어적 자질에 대해서는 음성적 자질과 문법적 자질을 기준으로 분석해보고자 한다. 키츠독일어는 특히 문법적 규칙의 단순화로 인해 DaF 학습자들에게 많은 혼동과 오류를 야기시킬 수 있으며, 이로써 본 논문에 따른 후속 연구들을 통해 지속적인 관찰과 연구가 이어지길 기대한다. Kiezdeutsch' ist ein Sprachgebrauch der deutschen Migrantenjugendlichen, der sich in den multiethnischen Wohngebieten von Großstädten entwickelt hat. Das Migrantendeutsch wird auch als 'Turkendeutsch', 'Turkenslang' oder 'Kanak Sprak' bezeichnet. Diese Bezeichnungen werden jedoch in dem Sinne negativ verstanden, da man sie mit mangelhaften Sprachkenntnissen der Einwanderer in Verbindung bringt. Dafur verwendet die Professorin Wiese der Universität Potsdam den Namen 'Kiezdeutsch'. Sie hat Kiezdeutsch als Jugendsprache und Multiethnolekt betrachtet und gleichzeitig als einen neuen Dialekt des Deutschen definiert, der auf der Grammatik der deutschen Sprache basiert. Nach Wiese ist Kiezdeutsch kein 'falsches Deutsch', sondern eine sprachliche Varietät mit systematischen Regeln. Viele Kiezdeutsch- Sprecher sprechen auch gut Standarddeutsch und können je nach Situation wählen. Kiezdeutsch hat sich in den Medien verbreitet und wird teilweise auch von den deutschen Jugendlichen ohne Migrantenhintergrund gesprochen. Es gibt unterschiedliche Meinungen zum Status von Kiezdeutsch. Einige Sprachwissenschaftler argumentieren, dass Kiezdeutsch im Gegensatz zu Wiese kein Dialekt ist, sondern ein Slang oder ein Pidgin als Kontaktsprache. In diesem Beitrag wurden verschiedene Aspekte der Kontroverse um Kiezdeutsch behandelt.

      • KCI등재

        비언어적 사이버 커뮤니케이션 -한국과 독일의 텍스트 이모티콘을 중심으로

        강태호 ( Tae Ho Kang ),디륵슐로트만 ( Schlottmann Dirk ) 한국독일언어문학회 2013 독일언어문학 Vol.0 No.61

        이 논문은 사이버 커뮤니케이션 상황에서 한국과 독일의 비언어적 신호들이 어떤 형태를 취하며 어떤 의미를 갖는지 비교하고자 했고, 이때 특히 텍스트 이모티콘들에 주목했다. 이를 위해 먼저 컴퓨터 전문가들만의 소유물이었던 채팅이 어떻게 대중화, 다양화되었는지를 역사적으로 간단히 살폈고, 채팅 언어의 언어학적 특성들을 개괄했다. 그 대표적인 특성으로는 경제 논리에 따른 축약과 구두성 및 일상성이었다. 다음으로는 사이버 채팅 상황에서 일상적으로 사용되는 한국과 독일의 텍스트 이모티콘들을 비교, 검토해 보았다. 한국의 텍스트 이모티콘들은 주로 수직적인 ‘동아시아 스타일’을, 독일의 경우는 수평적인 ‘서양 스타일’을 따르는 특성을 보였다. ‘동아시아 스타일’ 이모티콘들은 수직형으로 배열되어 다양한 눈과손 형태 표현이 가능한 반면, ‘서양 스타일’ 이모티콘들은 주로 입 모양을 중심으로 변화한다. 또한 한국의 경우에는 독일에는 거의 나타나지 않는 수줍음 또는 수줍은 웃음을 의미하는 이모티콘들이 많이 발견되는데, 이는 동양적 또는 유교적 사고방식에 기인하는 듯하다. 이러한 동양적 또는 유교적 사고방식은 독일의 경우와는 달리 한국에 거짓말을 뜻하는 이모티콘이 사용되지 않는다는 점에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한국과 독일의 텍스트 이모티콘 분석을 통해 분명히 드러난 점은, 이 이모티콘들의 해독을 위해서는 순수하게 언어학적 측면뿐 아니라 사회언어학적, 문화언어학적 측면들까지도 고려되어야 한다는 사실이다. 결국 디지털 커뮤니케이션 상황에서의 문자 언어 사용은 미디어의 글로컬한 특성으로 인해 독특한 형태를 띠며 발전해 왔으며, 여기서 지역성 Lokalitat은 점점 더 중요해지고 있다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비의도적 언어폭력성에 대한 이론적 고찰

        김미연 ( Kim Miyeon ) 한국독일언어문학회 2017 독일언어문학 Vol.0 No.78

        언어는 대상을 표시하기 위해서만 존재하지 않는다. 대상에 대해 안다는 것은 인식능력 즉 정신활동을 통해서 얻어지는 것으로 앎의 내용보다 앎을 알아가는 인식론적 과정이 중요하다. 본고는 이러한 인식론적 과정이 의도하지 않은 언어폭력과 관계있다고 전제한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비의도적 언어폭력의 원인이 ‘안경에 비쳐진 세계에 의한 해석’에서 비롯될 수 있다는 전제하에, 이 ‘안경’의 본질을 칸트, 바슐라르, 비트겐슈타인의 이론적 관점에서 살펴보았다. 의사소통 표현의 옳고 그름은 주관적 인식의 형식, 다시 말해 문화적 배경에 따른 주관적 판단에 따라 결정지어질 수 있다. 인간에게 인식되는 대상체계는 인간의 인식형식을 떠나 그 자체로 존재하는 세계가 아니다. 오직 인간의 인식형식에 따라 시공간적 실체성과 인과성의 모습으로 나타나는 세계로 볼 수 있다. 다양한 세계를 비추는 ‘안경’으로 인한 언어폭력성을 바슐라르의 ‘문화콤플렉스’ 이론과 비트겐슈타인의 ‘언어게임’ 이론을 통해 비교하였다. 문화콤플렉스는 문화적 기호체계의 영향을 받는데, 이는 문화적 기호체계가 한 사회의 상징체계와 긴밀한 관계를 갖고 있기 때문이다. 다양한 언어게임 규칙은 제도성이나 사회활동을 반영하는데, 이때 한 단어의 의미는 언어게임 상황과 맥락의 이해에 따라 위험스럽고 불완전한 의사소통의 수단이 될 수도 있다. In dieser Arbeit wird anhand erkenntnistheoretischer Gesichtspunkte untersucht, wie unbeabsichtigte Sprachgewalt in der Kommunikation vorkommen kann und welche kulturellen Hintergrunde dahinterstecken. Als theoretische Grundlagen sind die Erkenntnistheorien von Kant, die Sprachspieltheorie von Wittgenstein, die Kulturkomplextheorie von Bachelard. Diese Arbeit geht davon aus, dass verschiedene Erkenntnisaspekte unbeabsichtigter Sprachgewalt eine wichtige Rolle spielen. Unsere Erfahrungserkenntnis kann ein Komplex aus dem sein, was wir durch kulturelle Eindrucke empfangen, und dem, was unser eigenes Erkenntnisvermogen zur Verfugung steht. Schulische Ausbildung und kulturelle Assoziation beeintrachtigen bei der Imagevorstellung sehr. Dabei stellt man fest, dass solche Beeintrachtigung auch fur die Kommunikation gilt und dass unbeabsichtigte Sprachgewalt dadurch verursacht wird. Wittgenstein betont beim Sprachgebrauch, dass eine assoziative Verbindung zwischen dem Wort und dem Ding vorkommt. Abschließend lasst sich zusammenfassen, dass man nicht nur grammatische Sprachkompetenz, sondern auch soziale Sprachkompetenzleistung braucht, um erfolgreiche und konfliktfreie Kommunikation durchfuhren zu konnen. Dabei benotigt man auch ein richtiges und erweitertes Urteilvermogen, damit man uber den Gegenstand hinaus anschauen kann.

      • KCI등재

        수능 독일어Ⅰ 문법 문항 분석 - 2007 개정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성지혜 ( Sung Ji-hye ) 한국독일언어문학회 2017 독일언어문학 Vol.0 No.77

        본고에서는 독일어과 2007 개정 교육과정에서 문법 교육과 관련된 부분이 어떻게 제시되고 있으며, `수능 독일어Ⅰ`에 얼마나 충실하게 반영되었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서 2007 개정 교육과정의 적용시기 동안 시행된 2014학년도부터 2016학년도 수능과 수능 모의평가 독일어Ⅰ의 문법 문항의 내용 영역을 타당도의 측면에서 고찰하고 향후 수능 독일어 문법 문항이 나아가야 할 방향과 개선점을 제안하고자 한다. 2007 개정 교육과정에서 독일어 문법은 발음, 어휘, 기본적인 의사소통 표현과 함께 언어재료로서 다루어진다. 이것은 문법 그 자체가 독일어 교육의 목표가 아니라 의사소통을 위한 하나의 수단이며, 평가에서도 학습자의 문법지식보다 실제 언어 사용 능력을 평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5지 선다형을 택하고 있는 수능이 학습자들의 언어능력을 얼마나 공정하게 평가할 수 있는지는 여전히 재고해야할 문제이지만 내용 영역에 따라 문항의 출제비율을 조정하고 출제 문항의 범위를 명시적으로 제시하는 등 몇 가지 방향 설정을 통해서 어느 정도 타당성을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In dieser Arbeit geht es darum, wie die auf die Grammatik bezogene Ebene im Curriculum 2007 fur Deutsch Ⅰ vorgelegt wird und wie das die Suneung- Prufung beeinflusst. Dafur wird der Inhalt fur Grammatik der Suneung- Prufungen von 2014 bis 2016 hinsichtlich der Validitat analysiert. Anhand der Grund von der Resultatsanalyse werden in dieser Arbeit die Optimierungsmoglichkeiten fur die Suneung-Prufungsaufgaben fur Grammatik vorgeschlagen. Im Curriculum 2007 wurde die Grammatik mit der Aussprache, dem Wortschatz und den grundlegenden, kommunikativen Ausdrucken als ein Sprachenstoff behandelt. Das bedeutet, dass Grammatik kein fundamentales Ziel fur den Deutschunterricht ist, sondern ein Mittel zur Kommunikation. Deshalb ist es richtig, in der Prufung die kommunikative Kompetenz wichtiger als Grammatikwissen von den Schulern einzuschatzen. Wie gerecht die Suneung-Prufung, die Multiple- Choice-Prufungsaufgaben annehmen, die Kompetenz von den Schulern einschatzen kann, muss nochmals uberlegen. Trotzdem kann sie durch einige Orientierungen wie Kontrolle der Haufigkeit der Prufungsaufgaben nach dem Inhalt und offensichtliche Vorzeigung des Bereiches der Prufungsaufgaben einigermaßen die Validitat sicherstellen.

      • KCI등재

        Sprachpflege im Wandel. Eine Darstellung neuerer Entwicklungen von Begriff und Praxis in Deutschland

        ( Kim Dong Uk ) 한국독일언어문학회 2018 독일언어문학 Vol.0 No.82

        독일사회에서의 언어순화 개념과 언어순화 실천의 변화 이 논문에서는 독일의 언어와 언어관용의 영향을 받는 언어순화 운동의 발생이유와 그 결과를 살펴보는 것과 더불어 개인화, 다양화, 급격한 인구변화, 교육의 확대, 글로벌화, 그리고 디지털화의 현대적인 흐름에 기반을 두는, 언어순화 실천과 언어순화 개념의 개별적이면서도 결국 서로 연관된 발전에 대해서도 기술하고자 한다. 이 논문의 전반 부분은 언어순화의 역사적인 흐름의 문제점에 방향을 두고, 언어순화가 독일에서 그 시작부터 21세기까지 어떻게 다양하게 진행되었는지를 살펴 본 후, 현대화된 독일사회에서의 언어순화 움직임의 변화를 살펴본다. 이 기간 동안에 새로 형성된 단체들의 언어순화 활동에 있어서의 전제 조건과 이 활동의 선두주자들을 스케치해 보고자 한다. 이 논문의 후반 부분은 언어순화의 개념적인 변화를 테마로 삼았다. 언어순화의 컨셉은 그의 전통과 내부적인 문제들로 수난을 겪으며, 이미 오래전부터 비판을 받아왔다. 이에 대한 언어학적인 연구의 세가지 부류를 각각 소개하고자 한다. 하지만 이러한 연구들은 언어순화개념에 어떠한 새로운 현실성을 마련해 주지 못했다. Der vorliegende Aufsatz verfolgt die Absicht, den Wandel der deutschen Sprachpflege in seinen Entstehungsgrunden und Folgen uberblicksartig zu beschreiben. Dabei erfolgt eine getrennte Darstellung der tatsachlich miteinander verschrankten Entwicklung von Sprachpflegepraxis und Sprachpflegebegriff. Der erste Teil des Textes ist problemgeschichtlich orientiert und arbeitet heraus, wie unterschiedlich sich Sprachpflege in Deutschland von ihren Anfangen bis ins 21. Jahrhundert vollzogen hat. Nach diesem Ruckblick geht es uns um deren Entwicklung in der modernisierten deutschen Gesellschaft. Umrissen wird zunachst die neugebildete institutionelle Landschaft der Spracharbeit mit Rahmenbedingungen und Akteuren. Der zweite Teil des Aufsatzes thematisiert den begrifflichen Wandel. Das Sprachpflegekonzept leidet sowohl unter seiner Tradition als auch unter internen Mangeln und steht seit langerem in der Kritik. Drei unterschiedliche Wege der sprachwissenschaftlichen Reaktion darauf werden im einzelnen vorgestellt. Diese Beitrage haben dem Sprachpflegebegriff jedoch zu keiner neuen Aktualitat verholfen. Der Wandel der von ihm einst bezeichneten Praxis selbst hat ihn offenkundig entbehrlich gemach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