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가족-중심 보완대체의사소통(AAC) 중재가 자폐범주성 장애아동의 의사소통 능력과 가족 인식에 미치는 영향

        김경양,박은혜 한국자폐학회 2012 자폐성 장애연구 Vol.12 No.1

        언어 발달 지연 및 결함으로 인해 보완대체의사소통(alternative and augmentative communication, AAC) 적용이 필요한 자폐범주성 장애 아동을 위한 가족-중심 AAC 중재는 그 필요성이 강조되어왔으나 실제 적용 연구는 매우 부족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가정에서 자폐범주성 장애 아동을 대상으로 가족-중심 AAC 중재를 사례 연구로 실시하여, 아동의 의사소통 시도 및 형태의 변화를 살펴보고, 심층 면담을 실시하여 중재를 통한 가족의 경험 및 인식 변화를 질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족-중심 AAC 중재를 통해 대상 아동의 의사소통 시도가 증가하였으며 아동의 의사소통 형태도 변화하였다. 특히, 거의 나타나지 않았던 자발어가 증가 하였다. 둘째, 심층 면담을 실시한 결과, 연구에 참여한 부모는 가족-중심 AAC 중재를 통해 가족의 스트레스 감소 및 아동의 문제행동 감소, AAC에 대한 이해 등을 경험하였기에 가족-중심 AAC 중재를 긍정적으로 인식하였다. 본 연구의 의의는 전문가가 개별 가족의 가정을 직접 방문하여 가족의 일상을 중심으로, 가족이 AAC 중재의 주도적인 역할을 하도록 하는 개별화된 가족 중심 AAC 중재를 실시하여 그 효과를 알아본 것이다.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can be faced with many problems due to limited communication abilities. Therefore, interventions for alternative and augmentative communication (AAC) have been suggested to support children with autism and their family members. However, there has been only few researches to report the effectiveness of AAC intervention in family setting. The purpose of this case study is to describe the family-centered AAC intervention for a child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and his family. The procedure of the family-centered AAC intervention consisted of assessment of family' needs for AAC, the identification of priority communicative contexts at home, AAC device training and implementation at home, and four-step communication partner AAC training. Results obtained from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family-centered AAC intervention increased communication turns and spontaneous speech. Second, the mother and father who participated in the study were satisfied with the AAC device and training. Specially, they experienced the supports during the process of the individualized parents education course. The benefits of the study and specific implications for the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 KCI등재

        위치, 상황 기반 AAC 애플리케이션 개발에 대한 텍스트마이닝 분석: AAC 사용자 및 주변 관련인 리빙랩을 중심으로

        김경양,김영태,백경랑,박은혜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2022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Vol.65 No.2

        연구목적: 본 연구는 개발 단계에서부터 리빙랩을 활용하여 위치, 상황 기반 AAC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수요자의 의견 및 요구를 제안하고 반영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AAC 사용자 12명과 및 주변 관련인(부모, 교사 등) 23명을 대상으로 AAC 사용자 리빙랩 및 주변 관련인 리빙랩을 형성하여 위치, 상황 기반 AAC 프로토타입을 사용해 본 뒤 사용자 평가 및 요구를 전달하도록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Excel의 Power query, Pivot table을 활용하여 텍스트마이닝 분석에 활용되었다. 연구결과: 분석 결과는 AAC 사용자 리빙랩에서는 71개의 키워드, 주변 관련인 리빙랩에서는 48개의 키워드로 도출되었으며, 공통 키워드는 위치, 상황 관련에서는 4개, 애플리케이션 기능 관련에서는 21개로 나타났다. 결론: 리빙랩을 통해 제안된 요구들을 바탕으로 향후 개발될 AAC 애플리케이션에 반영하고 개선해야 할 점에 대해 제시하였다.

      • KCI등재

        스위치를 사용한 AAC 중재가 지체중복 장애학생의 의사소통 능력과 스위치 조절 능력 및 AAC 도구 사용 능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

        김경양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2015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Vol.58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monstrate the effects of switch training in AAC intervention on the communication, switch control, and AAC device use of children with severe physical disabilities. This study followed pre-test, AAC intervention with switch training, post-test and generalization. The research design of study was multiple case studies. AAC intervention with switch training comprised of cooperative evaluation by professionals, switch control training, and AAC device use training. The results found in this study were as followed: First, the communication of children (i.e. vocabulary evolution scores and communication behavior scores) is much improved after the post-test. Second, switch control capabilities of children is gradually enhanced in the post-test compared to the pre-test. Third, upgraded AAC device use capabilities of children were found in the post-test, for instance, children was able to handle 45 cells of AAC tools(Mytalkie) instead of 10 cells in the pre-test. This study highlights the importance of cooperative evaluation between professionals and the need for the study of switch training adaptation for children with physical severe disabilities during AAC intervention. 본 연구는 스위치를 사용한 AAC 중재가 지체중복 장애학생의 의사소통 능력, 스위치 조절 능력, AAC 도구 사용 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는 사전평가, 스위치를 이용한 AAC 중재, 사후평가, 일반화로 구성된 다중사례연구로 진행되었다. 스위치를 이용한 AAC 중재는 전문간 간 협력적 진단, 스위치 조절 훈련, AAC 도구 사용 훈련으로 구성되었다. 본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아동의 의사소통 능력은 사전에 비하여 사후에 어휘력 검사 점수의 향상과 의사소통 행동이 증가하였다. 둘째, 아동의 스위치 조절 능력은 사전에 비하여 사후에 점진적으로 향상되었다. 셋째, 아동의 AAC 도구 사용 능력은 AAC 도구의 10판에서 45판으로 사용이 가능할 수 있게 증진되었다. 본 연구는 AAC 중재에서 운동능력 제한이 심각한 지체장애 학생을 위한 전문가간 협력적 진단의 중요성과 함께 다양한 스위치 적용 연구의 필요성을 제언하였다.

      • KCI등재

        중도장애아동을 위한 가족중심 보완대체의사소통(AAC) 중재가 부모의 의사소통 전략 및 아동의 의사소통 능력에 미치는 영향

        김경양,박은혜 한국자폐학회 2013 자폐성 장애연구 Vol.13 No.1

        Children with severe disabilities are subject to various problems such as problem behavior and restricted social interaction due to limited communication skills. Therefore, the use of 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AAC) should be considered as effective communication intervention of children with severe disabilit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scribe two effects of family-centered AAC intervention such as the communication skills of the children, communication strategies of the parents.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6 children with severe disabilities and their families. The experiment design was the small group single-case design. It conducted over approximately 3 months, in the order of pre-test, intervention, and post-test. The intervention consisted of 12 sessions of the program.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 First, study has shown the increase in use of communication strategies by parents. Second, improvements of communication involvement and communication trials were observed to the children with severe disabilities, and differences were observed between snack activities and play activities for the communication turn taking. After AAC device used, the modes of communication resulted in decrease in the use of gestures, whereas remained the same or increase in the use of speech. As a result, communication effectiveness was increased in post-treatment rather in pre-treatment. These results suggest that family-centered intervention can be a positive influence on children-parent communication skills. 본 연구는 가족중심 보완대체의사소통(alternative and augmentative communication. 이하 AAC) 중재가 중도장애 아동의 의사소통 능력과 부모의 의사소통 전략 사용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6명의 중도장애 아동을 대상으로 사전-사후 분석을 통해 복합분석 단위의 소규모 단일사례연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실시한 가족중심 AAC 중재는 지원단계와 실행단계로 구분되며 7회의 소그룹 교육과 5회의 개별 가정방문으로 구성되었다. 본 연구결과에 따르면, 첫째, 가족중심 AAC 중재를 통해 부모의 의사소통 전략 사용이 유의미하게 증가하였고, 특히 요구하기 중심에서 반응하기와 모델링 사용으로 변화하였다. 둘째, 아동의 의사소통 발생 비율에서 유의미한 차이에 영향을 주었고, 사전에 비하여 사후에 아동의 의사소통 활동 참여도 및 의사소통 발생 비율, 대화 주고받기, 의사소통 형태, 의사소통 시도 효율성에서 변화가 나타났다. 이에 본 연구 결과에 따라, 부모와 중도장애 아동의 의사소통 전략 사용과 의사소통 능력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 가족중심 AAC 중재의 구성 요소 및 영향들에 대해 논의하였고 추후 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였다.

      • KCI등재

        특수교육 교육용 보조공학 진단평가 도구 개발을 위한 집단별 인식 및 요구 분석

        김경양,안나연,공진용 한국특수교육학회 2021 특수교육학연구 Vol.56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needs for parents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special teachers, and assistive engineers for analyzing the assessments and evaluation of the use of educational assistive technology as well as potential research for the future needs. This study consists of focus group interviews with five special teachers, two parents, and three assistive engineers. All interviews are recorded and transcribed.; the interview results in a qualitative study with four major topics including with 14 sub-topics. As a result of the study, four major topics are drawn as followed: first, the current status of the use of educational assistive technology in schools; second, the limitations of the administrative system in schools; third, procedure to develop educational assistive technology; final, improvement of multidisciplinary collaborative system for the assessment and evaluation. In conclusion, discussions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drawn. 본 연구는 장애학생 부모, 특수교사, 보조공학사를 대상으로 교육용 보조공학 진단평가 실태를 분석하여 요구를 살펴보고 향후 교육용 보조공학 진단평가 도구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를 실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본 연구는 집단별 포커스면담 및 심층면담으로 진행하였고 각각 5명의 특수교사, 2명의 부모, 3명의 보조공학사가 연구에 참여하였다. 면담 자료는 녹음하여 전사하였고, 현상학적 분석을 통해 총 4개의 대주제와 14개의 하위주제를 도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학교 내 교육용 보조공학 현황, 둘째, 제도의 한계, 셋째, 진단평가 도구 개발에 대한 방안 모색, 넷째, 진단평가를 위한 다영역 협력체계 강화와 같은 4개의 대주제 결과가 도출되었고 이를 토대로 향후 연구를 위한 논의 및 제언을 도출하였다.

      • KCI등재

        통합학급에서 협력적 AAC 지원이 발달장애 학생의 수업참여도 및 또래 상호작용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사례연구

        김경양,한선경,박은혜 한국자폐학회 2015 자폐성 장애연구 Vol.15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collaborative AAC(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support for included elementary student with disability. AAC support was implemented during lunch time, music, and additional individual speech therapy session. Special education professional and the speech-language therapist had worked together during the intervention procedure from initial assessment. Intervention included awareness education about disability and AAC for peers of inclusive classroom, selection and preparation of necessary AAC symbols for class participation, and developing opportunities for using AAC during the class. Pre and Post intervention data were collected via peer ratings and observation. AAC assessment and school environment assessment were done to prepare appropriate intervention. The results showed that positive class participation behavior increased during music and that interaction with peers also increased during lunch time. Especially, initiation behavior of the student with disability had increased. It revealed the importance and effectiveness of collaboration between special educator and speech therapist for AAC intervention as well as AAC as an effective inclusion strategies for students with communication difficulties. 본 연구에서는 무발화 발달 장애 초등학생 1명을 대상으로 한 사례연구로 통합 환경(음악시간, 점심시간)에서 특수교육전문가와 언어치료사간의 협력적 AAC 지원을 했을 때, 학생의 수업참여와 또래의 상호작용 증진에 어떠한 변화가 있는지 알아보자 하였다. 이를 위해 사전과 사후에 수업참여행동에 대해 비장애 또래 평정과 관찰 평가를 실시하였고, 관찰 평가를 통해 또래와의 상호작용을 측정하는 단일 사전사후설계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절차는 현재 AAC 수행수준 평가, 학교환경 평가, 사전평가, 협력적 AAC 지원, 사후평가로 진행되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수업참여에 대한 비장애 또래평정 결과, 사전에 비하여 사후에 바람직한 행동에 대한 점수가 높았으며, 이러한 결과는 음악시간의 관찰 평가에서도 동일하게 나타났다. 둘째, 점심시간의 상호작용 관찰에서도 사전에 비하여 사후의 상호작용행동이 증가하였고 특히 시작행동이 큰 폭으로 증가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특수교사와 언어치료사의 협력적 AAC 지원이 통합학급에서의 발달장애 학생의 수업참여행동과 비장애 또래와의 상호작용 증진에 효과적이었음을 의미하며, 협력적 AAC 팀을 구성하여 중재하는 AAC 팀 중재와 관련된 추후 연구의 필요성을 나타낸 것으로 볼 수 있다. 또한 학교에서 AAC를 활용한 교수학습 자료 개발 및 통합학급에서의 AAC 적용을 위한 교사와 또래 대상의 AAC 이해교육의 필요성 역시 알 수 있었다.

      • KCI등재

        보완대체의사소통 기기 활용 중재서비스 전달 모형의 적용 효과에 대한 연구

        김경양 한국보완대체의사소통학회 2019 보완대체의사소통연구 Vol.7 No.1

        Background and Objectives: 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is a communication system that should be entirely supported. Hence, it is essential to establish and provide AAC arbitration service at the government level.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 intervention service model through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devices and to implement it as a pilot project to verify its effectiveness. Methods: This study involved 26 subjects who had fulfilled the service criteria. The study design applied was the single group pre-post design. Results: The study results indicates that the study’s service model is effective following the post-test. The post-tests include: parent-child interaction, the number of communication behaviors, the number of vocabularies used. Conclusion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practical suggestions and recommendations were made. 배경 및 목적: 보완대체의사소통은 전 생애 동안 지원되어야 하는 의사소통 체계이다. 이에 정부 차원에서 AAC 중재서비스를 구축하여 제공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보완대체의사소통 기기 활용 중재서비스 모델을 개발하여 시범사업으로 적용한 후, 그 효과성을 검증하는 것이었다. 방법: 본 연구는 서비스 기준에 해당하였던 26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고, 연구 설계는 단일집단 사전-사후 설계로 진행되었다. 결과: 본 연구결과 다음에서 본 연구의 서비스 모델이 사전에 비하여 사후에 증가하여 효과적으로 나타났다. 첫째, 부모-아동 간 상호작용, 둘째, 의사소통 행동의 발생 횟수, 셋째, 사용한 어휘의 개수 등. 결론: 향후 연구 성과를 토대로 활용 방안 및 시사점을 제언하였다.

      • KCI등재후보

        치료실에서 보완대체의사소통 중재서비스 효과에 대한 사례보고

        김경양,이나영 한국보완대체의사소통학회 2017 보완대체의사소통연구 Vol.5 No.2

        Background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AAC) direct teaching of AAC intervention service in clinic center. The children who participated in this study were the students who did not participate in AAC intervention earlier. Method: Case 1 included a student with cerebral palsy and Case 2 included a student with a developmental disability. Through the AAC direct teaching of this study, we were able to examine the improvements in communication ability. The study design was a pre-post test. For Case 1, 48 sessions were conducted and for Case 2, 8 sessions were conducted. Results: The intervention and communication skills were evaluated, generalized, and maintained through conversation partner training before and after AAC. Conclusion: This study implies the significance of systematic AAC intervention by AAC experts in the clinic center, which is a separate environment for the performance of the pilot project. 배경 및 목적: 본 연구는 치료실에서 보완대체의사소통 중재서비스 시범사업으로 언어재활사의 AAC 직접 교수의 효과를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본 연구에 참여한 아동들은 기존에 AAC 중재에 참여하지 않았던 학생들로 사례 1은 뇌병변 장애학생, 사례 2는 발달장애 학생으로 선정하였다. 방법: 본 연구는 사전-사후 설계로 진행하였다. 결과: 본 연구의 AAC 직접교수를 통해 의사소통 능력의 증진을 살펴볼 수 있었다. 사례 1은 약 48회기의 효과를 살펴보았고, 사례 2는 8회기의 효과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에서는 AAC 기기 사용 및 의사소통 기술 습득과 숙달을 진행 한 후, 대화상대방 훈련을 통해 이를 일반화하고 유지하도록 중재하였다. 논의 및 결론: 본 연구는 시범사업의 성과로 분리된 환경인 치료실에서 AAC 전문가의 체계적인 AAC 중재의 효과를 살펴보았다는 의의가 있다.

      • KCI등재후보

        AAC 기기 활용 중재서비스를 위한 요구 및 인식 연구

        김경양 한국보완대체의사소통학회 2017 보완대체의사소통연구 Vol.5 No.1

        Background and Objectives: This study investigates the perception and needs of intervention services for AAC devices in preparation for implementation, as part of the Ministry of Welfare’s social services program. Methods: Quantitative research was conducted through questionnaires. Results: The respondents were the majority of the treatment room representatives, and most of them did not know whether they had heard about AAC. However, there was a high demand for AAC intervention services and a high response rate to retraining. Conclusions: There was a high demand for intervention services for the use of AAC devices in the field. Retraining as an AAC expert should also be considered. The recent trends in AAC devices and the need for training in diagnosis evaluation and intervention were high for reeducation. Discussions and suggestions are presented. 배경 및 목적: 본 연구는 복지부 지역사회서비스의 일환으로 시행을 준비 중인 ‘AAC 기기 활용을 위한 중재 서비스’에 대한 현장의 인식 및 요구를 조사하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방법: 설문조사를 통한 양적 연구를 진행하였다. 결과: 응답자는 치료실 대표가 많았고, AAC에 대해 들어 본 경험이 부족하거나 알고 있더라도 잘 모르는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그러나 AAC 중재서비스에 대한 요구가 높게 나타났고 재교육에 대한 응답이 높게 나타났다. 결론: 현장에 AAC 기기 활용을 위한 중재서비스에 대한 요구는 높게 나타났으나 이를 위해서는 AAC 전문가로서 양성될 수 있는 재교육이 반드시 고려되어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재교육에는 AAC 기기에 대한 최근 동향과 진단평가 및 중재에 대한 교육의 요구가 높게 나타났다. 이에 대해 논의 및 제언을 제시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