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화학 보조학습 자료 개발에 관한 연구 : 반응속도실험을 중심으로

        김가영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47

        The assisted instruction for teaching materials in chemistry laboratory was studied as a model for modified laboratory program for reaction rate on high school chemistry cours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several assisted instruction program through modification of the reaction rates. We have approached reaction rate from an experimental point of view, describing what happens in the laboratory. The results suggest that the experimental method for measuring chemical reaction rates presented in 12th grade high school science textbooks and 8th grade high school chemical Ⅱ textbooks were classified by the methods of confirming production. To resolve these problems, an improved method for measuring the reaction rates was suggested.

      • 통합적 요리활동을 통한 다문화 수용성 함양

        김가영 진주교육대학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현재 시행되고 있는 대부분의 다문화 관련 행사나 교육을 살펴보면 음식과 관련된 내용이 꼭 포함되어 있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음식과 관련된 내용이 포함되어 있다는 것은 인간에게 있어 기본적인 욕구라고 할 수 있는 먹거리를 통해 공감대를 형성함으로써 교육의 목적을 달성하고자 하는데 의의가 있다. 요리활동은 단순히 음식을 만드는 방법을 익히는 것이 아니라, 오감을 활용하여 참여하는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친숙함과 친밀감, 만족감과 성취감을 느낄 수 있게 하는 교육이다. 따라서 생활 속의 친숙한 요소인 음식과 요리활동을 다문화교육과 연계하여 새로운 교육과정을 개발하여 접근한다면 좀 더 이상적인 다문화교육이 이루어 질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되어 본 연구를 시작하게 되었다. 요리활동은 유아들이 요리재료를 알아보고, 만들어 보고, 변화과정을 관찰하는 등 건강, 언어, 표현, 사회생활 영역을 통합하는 과정 중심의 통합교육으로서 가치가 있는 활동이며, 동시에 유아들이 매우 좋아하고 흥미 있어 하는 활동이다. 본 연구에서 중요한 핵심 요소인 다문화 수용성이란 다문화 사회에서 살아가는 시민으로서 자기와 다른 구성원이나 다른 문화에 대하여 인종, 국가 등과 같은 집단별 편견을 갖지 않고 자신의 문화와 동등하게 서로 인정하고 그들과 공존의 방향으로 조화로운 관계 설정을 위하여 협력하며, 외국인이나 이주민을 대할 때 출신지역이나 경제적 수준에 따라 차등을 두지 않으면서 세계시민의 한 일원으로서 보편적 가치에 입각하여 이를 실천하고자 하는 총체적인 의미의 태도로 정의한다. 다문화수용성은 우리 사회가 다문화 사회로 진전됨에 따라 여러 문화, 종교 및 종족적 기반이 다른 다양한 정체성을 가진 집단들과 더불어 살아가는 시민으로서 기본적으로 갖추어야 할 덕목과 역량이다. 본 연구는 베트남의 ‘월남쌈’을 통합적 요리활동 주제로 선정하여다문화수용성 함양을 도모할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을 하는데 그 의의를 두고 있다. 베트남의 대표적인 음식중 하나인 월남쌈은 반짱이라고 불리는 라이스 페이퍼를 미지근한 물에 담갔다가 뺀 후 각종 채소와 과일과 같은 재료를 넣어 싸먹는 음식이다. 월남쌈은 유아들에게 다소 익숙하지 않은 음식이지만 먹는 방법이나 각각의 재료, 다양한 색감 그리고 독특한 베트남의 소스까지 다문화적 요리활동을 통해 충분한 흥미를 유발 시킬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또한 월남쌈이 가지고 있는 다양한 특성을 응용해 언어활동이나 수·과학활동 그리고 표현활동 등과 같은 다양한 교육활동을 함께 연계함으로써 통합적인 교수접근법이 가져올 수 있는 개념의 심화와 확장성 또한 함께 고려 할 수 있다. 통합적 요리활동을 통해 여성가족부의 다문화수용성 측정 요소들인 다양성, 관계성, 보편성을 분석하고 관련지어 다문화 요리활동 프로그램 개발을 하고자 한다. 현재까지 다문화교육과 요리활동에 관한 연구는 다수 존재하나 다문화수용성과 요리활동에 관한 연구 보고는 아직 없으므로 교사들의 다문화 교육현장에서 활용되어 도움이 되었으면 한다.

      • 보육교사의 휴게시간 이용 실태와 인식

        김가영 광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2021년 현재 어린이집 보육교사들의 휴게시간 이용 실태를 파악하고 이에 대한 보육교사의 인식을 분석함으로써 보육교사에게 주어진 휴게시간 보장을 위한 방안을 모색하는 데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보육교사의 휴게시간 이용 실태는 어떠한가? 둘째, 보육교사의 휴게시간에 대한 인식은 어떠한가? 셋째, 어린이집 휴게시간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은 어떠한가? 본 연구에서는 G 광역시에 위치한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보육교사 31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검사 도구는 김도안(2019), 박지혜(2020)가 사용한 도구를 본 연구자가 연구의 목적에 맞게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자료 수집은 직접 배포와 온라인 전송 방식을 병행하였다. 수집한 자료를 IBM SPSS 25.0을 사용하여 다음과 같은 분석 하였다. 첫째, 연구대상의 인구통계학적인 특성을 분석하기 위해 빈도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였다. 둘째, 배경 변인에 따른 보육교사의 휴게시간 이용 실태와 휴게시간에 대한 인식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교차 분석을 실시하여 검증 및 피셔 정확 검정(Fisher’s Exact Test)을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보육교사들은 대체로 휴게시간을 제대로 보장받지 못하고 있었다. 여기에는 휴게시간의 법적 보장에 대한 기관의 민감성 부족뿐만 아니라 영유아의 특성, 보조교사, 통합보육, 학부모 등 다양한 원인이 그 배경에 있었다. 둘째, 보육교사들은 자신이 근무하고 있는 보육 기관이 근로기준법에 명시된 보육교사의 휴게시간 권리에 대해서 잘 모르고 있다고 인식하였다. 다시 말해, 보육교사들은 자신이 현재 법령으로 보장된 휴게시간을 활용하지 못하는 것은 기관이 이러한 법령이 있는 사실도 모르고 있기 때문으로 인식하고 있다는 것이다. 이는 앞서 기술한 노동자의 권리가 손쉽게 부정당하는 보육 교육 현장의 분위기를 상징적으로 보여주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셋째, 향후 휴게시간 보장정책의 문제점 및 개선 방향에 대해서 대다수 보육교사가 점심시간을 근무 시간에 포함해 조기 퇴근이 가능하도록 해야 한다는 점을 지적하였다.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휴게시간 이용에 대한 실태와 인식을 분석함으로써 휴게시간 보장 정책과 방안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보육교사에게 휴게시간은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갖고 있다는 점을 고려하면, 휴게시간 보장을 위한 다양한 정책과 방안이 모색되어야 한다.

      • 미국 드라마와 영어회화교재에 나타난 동사 get, make, take의 코퍼스 기반 연구

        김가영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영어회화 교수학습 자료로 많이 활용되는 미국 드라마와 영어회화교재를 비교하여 각각의 특징을 알아보고, 효과적인 어휘 지도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특히 실제 언어 사용에서 높은 빈도로 출현하며 우선순위 학습 대상으로 강조되는 다빈도 동사 get, make, take를 분석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이에 각 동사가 나타내는 의미 갈래, 연어 유형, 그리고 탈어휘적 활용을 살펴보았다. 동사별 의미 갈래 분류에는 LDOCE(Longman Dictionary of Contemporary English), 탈어휘동사구문의 활용도 분석에는 구어-COCA(The Corpus of Contemporary American English)를 참조하였다. 연구 결과에 의하면, 드라마와 교재 모두 get take, make 순으로 다양한 의미 갈래를 나타내었고, get의 의미 갈래는 넓은 범위로 분포했지만, take와 make의 의미는 LDOCE 기준의 활용도 높은 갈래 위주로 분포하였다. 동사별 의미 갈래의 종류와 빈도에 있어서 드라마 간에는 전반적으로 결과가 유사하게 나타났지만, 교재 간에는 차이가 컸다. 연어 종류에 관해서도 드라마와 교재 모두 get의 쓰임이 가장 많았으며, 모든 동사에서 ‘동사+명사’ 유형의 빈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다만, 그 외의 연어 유형에 관해서 교재는 매우 낮은 비율로 제시하였다. 나아가 드라마와 교재에 제시된 ‘탈어휘동사+명사’ 연어는 대부분 그 조합이 어느 정도 한정된 중 결합 연어로 밝혀졌다. 드라마와 교재가 공통으로 포함하는 탈어휘동사 연어의 종류는 많지 않았고, 일부 교재에서는 특정 동사의 탈어휘적 활용이 전혀 확인되지 않았다. 이처럼 드라마와 교재 모두 동사를 의미적, 연어적으로 다양하게 제시하고 있어서 문맥을 통한 어휘 학습의 필요성을 강조된다 하겠다. 나아가 교수학습자료 선정 시 교재는 그 종류에 따라서 동사를 학습하는데 한정된 정보만을 제공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할 것이다. 아울러 이러한 분석은 코퍼스를 바탕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효과적인 교수학습을 위하여 교수자의 적극적인 코퍼스 활용이 권장된다. The aim of this paper is to explore the characteristics of high-frequency verbs ‘Get’, ‘Make’, and ‘Take’. The research is based on the comparison between the verbs in American dramas and English conversation books for adults. A corpus-based analysis was conducted on the meanings, collocations, and delexicalized usages of each verb. In the process, LDOCE (Longman Dictionary of Contemporary English) and Spoken-COCA(The Corpus of Contemporary American English) were employed as references to classify the meanings and to analyze the substantive utilization of delexicalized verb phrases. The major findings from the study are as follows. Both the dramas and the books showed similar patterns with regard to the distribution of meanings. ‘Get’ was presented in the widest range, while ‘Take’ and ‘Make’ were weighted towards the most frequently used meanings according to the standard of LDOCE’s classification. There were also few tendencies shown in regards of types and frequency of each meanings. Those of distributed meanings were comparable in the use from the dramas, while there were large differences in them from the books. In terms of collocation, ‘Get’ was the most commonly appeared in the dramas and the books, and all three verbs were most frequently conjugated with nouns, while the other types showed very low proportion in the books. Moreover, most of the delexicalized verbs were found to be medium-strength collocations. Varieties as well as types of delexicalized verb phrases in the books misaligned with the ones in the dramas, and some books didn’t present any delexicalized application in certain verbs. Some implications can also be made from the results. The importance of learning vocabulary in context should be emphasized because both the dramas and the books contain verbs with various meanings and collocations. However, it must be noted that some books may not cover all the significant aspects of verbs, and that instructors have to provide additional examples to compensate. Lastly, it is recommended that instructors use corpus tools more actively in order to use teaching materials more efficiently.

      • 판화에 나타난 만화이미지 연구

        김가영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인쇄 기술의 발달은 판화의 탄생과 변천과도 연관이 깊다. 이는 판화가 순수한 예술적 기능보다는 복제에 의한 대량정보의 전달 측면에서의 발달을 의미한다. 하지만 사진의 발명으로 인해 판화는 독립된 순수예술의 조형언어의 표현으로 들어서게 되면서, 그 안에 있던 풍자적 이미지는 만화라는 대중매체의 양상으로 이어져 오게 된다. 즉, 이러한 판화의 경향 중 하나는 만화적 요소를 가지고 있는 것이라 할 수 있는데, 본 연구자는 만화가 현대의 대중문화 속에 깊이 침투해 가고 있고 각종 분야에서 점점 적극성을 띠어가는 추세를 보았을 때, 만화에 대한 새롭고 본질적인 이해를 하지 않으면 안 될 시점에 이르렀다고 보았다. 특히 만화 이미지가 순수한 고급예술과는 달리 소위 저급한 문화 유형들과 관계되어 있다는 이유로 만화의 연구에 대한 질적인 수준은 크게 개선되지 않고 있는 듯하다. 이러한 흐름 속에서 순수예술로서의 판화와 그 속에 나타난 만화의 개념을 정리해보고, 판화에 나타난 만화 이미지의 조형적 특징의 관계에 대해 주목하고자 한다. 연구의 본문은 다음과 같이 진행되었다. Ⅱ장에서는 판화와 만화의 정의 및 역사적 배경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판화란 ‘판에 의한 그림’을 말하며, 초기의 목적과는 다르게 인쇄술과 사진의 발달로 인해 순수 예술적 가치를 지니게 된다. 만화는 이러한 인쇄에서 판화를 거쳐 발전된 대중매체의 하나로 현대인들에게 가장 친숙한 예술적 대안으로 주목받고 있다. Ⅲ장에서는 판화와 만화의 상관관계와 만화 이미지의 특성에 대해 살펴보았다. 판화와 만화 이미지는 결코 분리될 수 없는 관계를 가지고 있었으며, 만화이미지는 추상성, 풍자성, 언어와 그림의 통합, 시간성, 단순화와 과장성, 환상성의 특징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만화는 조형성, 창의성, 정서성의 측면에서 예술적 의미를 가지고 있었다. Ⅳ장에서는 판화 속 만화 이미지가 나타난 작가별 작품을 다루었다. 많은 작가들은 회화 작업을 하면서 동시에 판화의 매력을 느껴 작품을 남겼다. Ⅲ장의 만화이미지의 특징을 다시 대중적, 풍자적, 단순화와 과장적, 환상적 이미지로 분류하여 분석하였다. 현대에 이르러 각 예술 분야가 그러하듯 판화에 있어서도 실험적 작업들로 인해 개념의 모호성과 허용범위에 대한 논란 등으로 다른 예술 작업과의 경계가 흐려지고 있다. 이러한 현대 미술사의 흐름 속에서 순수예술로서의 판화개념을 정리해볼 필요성을 느끼며, 그 속의 만화 또한 고급예술과 저급예술의 경계를 극복하여 새롭게 발전한 다양하고 탈장르적인 새로운 이미지의 관계를 짚어보고자 한다. 판화와 만화는 더 이상 기존의 개념에만 머물러 있어서는 안 되며, 앞으로 이 둘의 영역의 확장은 불가피할 것이라 보여 진다. Development of printing technology is deeply related to the birth and change of a printmaking, too. This means printmaking is a development not in a pure artistic function but rather in the side of delivering mass information by reproduction. However, as a printmaking came into a formative language expression of independent pure art by invention of photograph, satirical image that had existed in it was connected to the aspect of mass media called cartoon. That is, one of such trends in a printmaking is holding the element of cartoon, and the author decided that it is time to attempt a new and essential understanding on a cartoon, now that a cartoon is seeping into the modern popular culture with increasing positivity in every kind of fields. Particularly, it seems the qualitative standard of studying a cartoon has not significantly improved for the reason that a cartoon image is related to so-called low-class culture patterns, differently from pure classic art. In this current, the author aimed to summarize the concepts of a printmaking as pure art and a cartoon shown in it, and pay attention to the formative characteristics of the cartoon image shown in a printmaking. The body of this study was advanced as the following. In Chapter Ⅱ, the author investigated the definitions of a printmaking and a cartoon and their historical backgrounds. A printmaking means ‘a picture by printing’ and different from the initial purpose, it earns a pure artistic value due to the development of printing and photograph. A cartoon is one of such mass media developed from printing and then a printmaking, drawing attention as the most familiar artistic alternative to modern man. Chapter Ⅲ dealt with the correlation between printmaking and cartoon and the characteristics of a cartoon image. It was verified that images of printmaking and cartoon had an absolutely inseparable relationship and a cartoon image had the characteristics of abstraction, satire, unity between language and picture, time, simplification and exaggeration, and fantasy. Besides, a cartoon had an artistic sense in the aspects of molding, creativity and emotion. Chapter Ⅳ dealt with works by artist showing a cartoon image in printmaking. Many artists produced printmaking works feeling its attraction while working on paintings. Characteristics of a cartoon in Chapter Ⅲ were classified again into the public, satirical, simplified and exaggerated, and fantastic images for analysis. In the modern times, like the other fields of art, experimental jobs have made the border with jobs of other arts blurred with ambiguity of concepts, controversy over permissible range, etc. In such current of modern art history, the author feels a need to organize the concept of a printmaking as pure art, and as for the cartoon in it, too, will look into the new relationship of diverse, non-genre new image, newly developed overcoming the border between high and low class art. printmaking and cartoon should not remain at an existing concept, and it is deemed inevitable for both fields to expand henceforth.

      • 멀티미디어를 활용한 중국어 교수-학습 보조자료의 설계와 구현 : 정진출판사 고등학교 중국어 교과서를 중심으로

        김가영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멀티미디어를 활용한 외국어 교육의 효용성을 바탕으로, 중국어 교육에서의 멀티미디어 활용가치에 대해 살펴보고, 학교 현장에서 곧바로 활용할수 있는 중국어 Ⅰ 교과서와 연계된 멀티미디어 교수-학습 보조자료를 설계하고 구현하는 것에 그 목표를 두고 있다. 최근 들어 그 중요성이 크게 부각되고 있는 멀티미디어는 문자, 그림, 사진, 소리, 음성, 동영상, 애니메이션 등의 다양한 정보를 조합하여 나타낼 수 있기 때문에, 외국어 학습에 활용할 경우 학습자들에게 시각정보와 청각정보를 동시에 제공할 수 있어 더욱 긍정적인 학습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현재까지 노래, 영화, 인터넷, CD-ROM Title 등 멀티미디어를 활용한 외국어교수-학습에 관해 다양한 선행연구들이 진행되어 왔다. 그러나 고등학교 수업 현장에서 직접 활용할 수 있도록 교과서 내용과 연계되어 제작된 자료는 매우 드물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고등학교 중국어 교사들이 수업시간에 활용할 수 있도록 교과서와 연계된 교수-학습 보조자료를 설계하고 구현하고자 하였다. 보조자료의 제작을 위해 우선 제7차 교육과정에 의해 제작된 6종 교과서 중에서 가장 사용빈도가 높은 정진출판사의 고등학교 중국어 Ⅰ 교과서를 선택하여 제1과부터 제15과까지 어휘, 문법, 의사소통 기능 및 문화 등 교과서 내용을 분석하였다. 또한 본문과 관련된 자료를 수집하기 위해 중국어 교수-학습에 관련된 한국 및 중국의 인터넷 site를 이용하였으며, 부족한 자료들은 직접 제작하였다. 이러한 과정으로 제작된 보조자료는 각 단원별로 '회화자료', '노래자료', '동영상자료', '문화 및 기타자료'로 구분되어 제시된다. 회화자료로는 본문의 주요 내용을 원어민의 발음을 통하여 무한 반복하여 시청할 수 있는 교과서 본문과 관련된 플래시 애니메이션을 선정하였으며, 노래자료로는 본문의 어휘, 어법, 관용구 등을 쉽게 학습할 수 있도록 잰말놀이, 동요나 가요 중에서 각 단원의 주요 학습요소가 출현하는 것을 선정하여 학습 효과를 제고시키고자 하였다. 또한 동영상자료로는 TV 애니메이션과 중국드라마, 중국영화 등에서 본문과 관련된 내용을 발췌하여 실제 언어가 사용되는 상황을 제시하였으며, 문화 및 기타자료로는 본문과 관련된 중국 문화자료와 중국어 학습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기타 교수-학습 자료들을 제시하여 학습자들의 흥미를 유발하고자 하였다. 이와 같이 본고는 고등학교 중국어 Ⅰ 교과서와 연계된 멀티미디어를 활용한 중국어 교수-학습 보조자료를 설계 및 구현하였으며, 이를 CD를 제작하여 교과서지면의 한계를 뛰어넘어 학습자들에게 보다 현실감 있고 생동감 있는 살아있는 중국어 교육을 제공하여 고등학교 현장에서의 중국어 교수-학습에 미력하나마 도움이 되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sign and implement multimedia teaching-learning supporting materials that were linked with high school Chinese textbook Ⅰ and could be used in classrooms directly, after examining the value that multimedia had as a teaching-learning method in Chinese education, based on the fact that it was effective to teach foreign language by using multimedia. It is the recent trend to emphasize the significance of multimedia because it can convey a lot of information by combining it with various types of data such as letters, pictures, photographs, sounds, voice, motion pictures, and animation. It is expected that if multimedia is used as a tool of teaching and learning, the very property of multimedia can help learner to study and learn much more effectively because learners can be provided with visual and auditory information at the same time. Until now, many preceding studies have been conducted in the area of foreign language teaching and learning concerning the use of multimedia such as songs, films, Internet, and CD-ROM title in classrooms. However, there were rarely materials that were developed reflecting the contents of textbooks so that teachers could use them in classrooms directly. Thus, this study was aimed to design and implement supporting materials for teaching and learning that were linked with a textbook so that high school Chinese teachers could use them in instructing students. At first, to design supporting material, unit one to fifteen of the high school Chinese textbook Ⅰ published by Jeongjinsa, that were chosen as a textbook by the greatest number of high schools in Korea among six kinds of high school Chinese textbooks in the seventh educational curriculum, were selected and the areas of vocabulary, grammar, communicative function and cultural information were dealt with in the textbook were analyzed. In addition, Korean and Chinese Internet sites related with Chinese language teaching and learning were made of use to get materials connected with main text, and if there were not appropriate materials, the researcher developed them in person. The supporting materials designed were separated and then presented as 'materials for conversation', 'materials for singing', 'motion pictures', and 'cultural and other material' in each chapter. Materials of conversation consisted of flash animations that were linked with the text of the textbook and designed for learners to watch repeatedly with recorded voice of a native speaker's. Materials of singing was developed to help learners to study vocabulary, grammar, and idioms of the text with ease, so children's songs and Korean pop songs that were related to main teaming focus of the textbook were selected to be used for them to enhance the effect of learning. Motion pictures were made up of extracted parts from TV animation, Chinese soap operas, and Chinese films that reflected the text of the textbook, to provide real situations that native language was spoken in actual. Cultural and other materials was designed to encourage learners to be motivated by offering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that included cultural information of China related to the main text and that were helpful for Chinese language learning. In conclusion, this study was aimed to provide learners with more realistic and lively Chinese education and to help teachers to instruct in highschool classrooms without limitation the textbook had, by designing 'Chinese teaching-learning supporting CD material using Multimedia'.

      • 정서지능과 대학생 학업소진의 관계에서 성격5요인(BIG 5 Traits)의 조절효과

        김가영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국내 남녀 대학생을 대상으로 정서지능과 성격5요인 학업소진 간의 관련성과 정서지능과 학업소진과의 관계에 있어 성격 5요인(BIG 5 traits)의 조절효과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국내 대학생들의 소진은 다른 나라들의 경우와 비교하였을 때 그 정도가 더 심각한 경향이 있는데, 최근 코로나로 인해 사람들과의 접촉이 제한되고 주로 비대면으로 수업을 진행하게 되면서 대학생들의 대인관계는 단절되고 고립되는 경향성이 높아졌다. 이로 인해 대학생들은 이전에 비해 학업에 대한 스트레스를 더 많이 경험하여 소진에 이르는 경향이 높아졌고, 이에 대학생들의 학업 소진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통계청, 2020; Lee, 2003). 정서지능과 소진, 성격 5요인과 소진의 각 관계에 대해서 많은 연구들이 수행되었으나, 소진에 미치는 영향에서 정서지능, 성별, 성격 5요인의 조절효과를 살펴본 연구는 미비하다. 정서지능과 성격5요인 모두 개인이 가진 고유의 특성이며, 이러한 개인의 특성으로 인한 행동과 스트레스 조절 양상에 따라 소진에 미치는 영향이 달라지므로 두 요인을 함께 고려하여 소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 본 연구는 의의가 있다. 이를 위해 성인 진입기에 해당하는 국내 대학생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SPSS 26 프로그램과 SPSS PROCESS Macro를 통해 500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다음과 같이 실시하였다. 주요 변수들인 정서지능, 학업소진, 성격 5요인의 남녀 기술통계치와 측정도구의 신뢰도를 나타내는 Cronbach’s α 값을 산출하고 대상자들의 인구통계학적 특성, 각 변인들 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한 상관분석 및 주요 변인들 간 남녀 성차를 알아보기 위한 독립표본 t 검정을 실시하였다. 이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주요 변인들 간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정서지능과 학업소진, 성격5요인 간 유의한 관련성이 있었다. 둘째, t검정 결과 성격 5요인과 학업소진에서 유의한 남녀 성차가 있었다. 구체적으로, 정서지능에서는 유의한 성차가 없었고 정서지능의 하위변인에서만 성차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업소진은 여자 대학생의 경우가 남자 대학생보다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성격 5요인에서는 신경증과 친화성에서 여학생의 점수가 남학생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다. 셋째, 정서지능이 학업소진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성격5요인의 조절효과가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상담현장에서 치료적 개입 프로그램 개발에 있어 이론적 근간으로써 사용될 수 있겠다. 정서지능과 대학생들의 학업소진의 관계에서 성격 각 5요인의 조절효과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 본 연구는 상담 치료적 함의가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emotional intelligence, big 5 personality, and sex on academic burn-out among undergraduate students. First, descriptive statistics were conducted to analyze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participants, along with correlations between the variables. Second, t-test was conducted. As based on the t-test, it seemed to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males and females in academic burn-out and some of the sub-variables of emotional intelligence statistically. Third, this study investigated the two-way interaction effect of big 5 personality and emotional intelligence. The two-way interaction effect was significant. Based on these results,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the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 청소년 기업가정신교육의 효과성 검증에 대한 연구 : 2개의 대규모 실험연구를 중심으로

        김가영 국민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7631

        최근 기업가정신이 혁신과 경제성장이 주요 인자로 주목되면서 이를 함양시키는 기업가정신교육에 대한 관심이 세계적으로 높아지고 있다. 다수의 기업가정신교육 연구에서는 그 효과성에 대한 검증을 기업가적 의도(entrepreneurial intention)에 초점을 맞추어 진행하고 있다. 그러나, 성인과 청소년 등 다른 수준의 교육대상자들에게 동일한 교육의 측정지표를 적용하는 것에 대해서 오랜 기간 비판 받아왔다. 그 이유는, 청소년이 사회에 진출하기 까지는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데, 이를 잠재적 성인 창업자를 대상으로 개발된 창업에 대한 의지로만 측정하기에는 적합하지 않다고 판단되기 때문이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에서 시행되고 있는 청소년 기업가정신교육 평가를 위한 적절한 지표를 개발하고, 교육의 효과성을 검증하고자 한다. 연구 수행을 위해 국내에서 대표적으로 청소년 기업가정신교육을 진행 중인 두 기관을 선정하고 교육 전과 교육 후의 결과를 비교분석 하고자 한다. 이때, 실험연구의 보다 엄격한 인과관계 결과 도출을 위해 사전검사 및 사후검사 대상자를 동일하게 설정하고, 외생변수 제거를 위한 통제집단을 구성하여 검증하였다. 본 연구에서 청소년 기업가정신교육의 효과성 지표로 총 여섯 개의 변수, 기회발견, 기회활용, 개인 기업가 지향성, 창업의지, 창의성 역량, 사회적 문제해결력을 도출하였다. 분석 결과에서 청소년 기업가정신 교육은 위 여섯 가지의 지표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고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세부적으로 교육의 기간과 수준별프로그램 구성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기업가정신교육의 발전을 위한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Recent years have witnessed the worldwide growth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EE) as entrepreneurship is regarded as the key driver of innovation and economic growth. Most extant studies on EE have focused on its impact on entrepreneurial intentions. However, the application of the same EE measurements for both adults and adolescents has long been criticized; the indices developed for potential adult entrepreneurs may not be suitable for young entrepreneurs, considering the large time gap before they enter the workforce. This study aims to develop appropriate indicators for the assessment of youth EE in Korea and to examine the effectiveness of youth EE. Two large-scale quasi-experimental studies were conducted with pre- and posttest matched-comparison groups for verification. This study suggests six common variables for measuring the impact of youth EE: opportunity discovery, opportunity exploitation, individual entrepreneurial orientation, creativity capacity, social problem solving,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 The analyses showed that all these indicators positively influenced youth EE. We also proposed practical suggestions for the development of EE programs.

      • 뮤지컬 발성법과 발성 훈련법에 대한 연구 : 도구와 신체 운동을 활용한 발성 훈련 방법 중심으로

        김가영 단국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뮤지컬에 대한 전반적 이해를 바탕으로 뮤지컬 음악의 효율적 표현 도구인 발성에 대해 이론적 고찰과 정리를 했으며 뮤지컬 발성의 훈련법에 대해 연구를 하였다. 특히 뮤지컬 발성 훈련법 중‘도구와 신체 운동을 활용한 발성훈련법’에 대한 세부적인 연구를 했고 그 방법에 대해 소개를 하고자 하였다. 이 발성 훈련법을 계발한 이유는 많은 배우들과 가수들이 발성 훈련을 하는 데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을 알게 되었고, 본연구자도 대중적인 발성 연습 방법만으로는 효율적인 연습을 하기가 어려운 것을 경험하였기 때문이다. 대개 스케일 연습이나 노래를 직접 부르는 방법을 통해 발성 연습을 하고 있지만 자신이 부족한 부분을 채우는 데 적합한 세분화된 발성 훈련법이 없어 주먹구구식의 훈련을 하는 것이 현실이다. 또한 많은 발성 훈련법들이 존재하고 있긴 하지만 그 훈련 방법을 제대로 된 방향성을 가지고 실시하기에는 많은 어려움이 따른다. 1대 1 개인 트레이너 선생님이 있을 경우 직접 배우의 소리를 듣고 즉각적인 수정과 피드백을 통해 발성 훈련을 도와줄 수 있으나 트레이너와 함께 훈련을 할 수 있는 시간은 매우 제한적이며, 레슨 시간동안에 제대로 된 방법의 훈련을 한다고 해도 혼자 연습하는 시간에 올바른 발성 훈련에 접근하기에는 많은 어려움이 따른다. 또한, 발성 훈련의 길잡이 역할을 해주는 트레이너의 존재는 필수 불가결하다고 볼 수 있으나 부득이하게 트레이너 선생님이 없어서 혼자 훈련을 하는 배우들도 많이 존재한다. 혼자 연습을 할 때는 단순한 호흡 운동과 음계 연습만으로 제대로 된 발성에 접근하기가 쉽지 않다. 왜냐하면 혼자 훈련을 하는 과정 속에서는 방향성을 잡아주는 사람이 없기 때문에 자신이 지금 이 훈련을 왜 하고 있는지 그리고 구체적으로 어떤 부분의 향상을 위해 훈련을 하고 있는지 목표성이 모호해지기 때문이다. 그래서 본 연구에서는 배우 본인이 부족한 부분을 인지하고 그 부족한 부분을 채울 수 있게끔 다양한 각도에서 접근한 훈련법을 제시하였고 각 발성 훈련의 목표 또한 설정을 하였다. 그래서 배우가 자신의 목표에 맞는 훈련 방법을 선택하여 훈련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리고 언제나 훈련에 접근하기 쉽게끔 일상생활 속에서 쉽게 접할 수 있는 도구를 이용한 훈련을 소개하는 데에 초점을 두었다. 왜냐하면 발성 훈련이라는 것이 어렵고 추상적이기만 하면 접근하는 과정에서도 거리감이 느껴지고 적용하는 데에도 혼란이 많이 따를 수 있기 때문이다. 본 연구가 많은 학생들과 배우들이 올바른 발성에 한걸음 다가가는 데에 실질적인 도움을 줄 수 있기를 바란다. This research studied and organized vocalization which is the method to express effectively in Musical music based on general understanding on musical music. Especially worked on "Vocalization training method using tools and physical activities" thoroughly and would like to introduce it. The reason why this vocalization training method was developed was because it was found out that many actors and singers have difficulty to train vocalization and I myself also experienced popular vocalization method is not effective enough. Usually training is done through scale training and singing but these can't help to improve where they are lacking as there is no subdivided vocalization training method. There are many vocalization training methods but it is difficult to implement with right direction. Personal trainer can provide immediate feedback after they listen to their voices and help vocalization training but training time with trainer is limited. Even though they have proper training with personal trainer during lesson, still there are difficulties to have proper vocalization training when they are training alone. Trainers who guide them to proper vocalization training are essential but there are many actors who train on their own. When they train alone, it’s difficult to reach right vocalization just through breathing exercise and practicing scales. If there is no one to guide them, they can get easily confused and will have a hard time finding a reason behind the training as well they won’t be able to improve easily. Therefore, in this study, the training method approached from various angles to recognize the deficient part and to fill the deficient part was presented, and the target of each vocal training was also set. Thus, the actors were able to select and train the training methods that fit their goals. With a focus on introducing training using tools, that are easily accessible in daily life. Difficult and abstract vocal training can cause a lot of confusion. I hope that this study will help students and actors and will bring them a step closer to correct vocaliz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