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쓰기 성취기준에 따른 학생 예시문 선정 방안 연구

        권태현 ( Tae Hyun Kwon ) 한국작문학회 2013 작문연구 Vol.0 No.18

        이 연구에서는 작문 교육 활성화를 위한 방안의 하나로 쓰기 영역의 성취기준에 따른 학생 예시문의 개념 및 필요성을 탐색하고, 외국의 학생예시문 제시 현황을 고찰하여 학생 예시문 선정의 방안을 구안해 보았다. 학생 예시문이란 ‘동료나 선, 후배 등 비슷한 수준의 학생들이 작성한글로서 쓰기 교수·학습이나 평가 장면에서 활용하기 위해 목적의식적으로 선정된 다양한 유형의 문자 텍스트’로 정의하였으며 그 효과로는 추상적인 성취기준에 대한 구체적 안내, 작문 교육에서의 실제적 측면의 강화, 쓰기 평가 전문성의 신장 등을 제안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학생 예시문 선정의 방안을 탐색하기에 앞서 미국과 호주, 캐나다 등 영미권 국가의 국가 단위 평가나 교육과정에서 학생 예시문 제시 현황을 고찰하였다. 그 결과 수준별 학생 예시문의 제공, 쓰기목적 및 상황의 제시, 성취 기준과 관련한 해설의 중요성과 같은 시사점을 얻을 수 있었다. 문헌 연구와 외국의 사례를 토대로 이 글에서는 ‘쓰기 성취기준의 분석, 성취 수준 및 쓰기 과제의 개발, 채점 기준 설정, 예시문 수집, 예시문 평가와 통계 처리, 예시문에 대한 질적 분석’에 이르는 학생 예시문선정의 절차 및 방법을 구안하였다. This study is aimed at contemplating the concept and necessity of example writings of students based on writing achievement standards in order to encourage Korean teachers to teach students how to write and also aimed at figuring out ways of selecting examples from students` writings, looking through similar cases in foreign countries Examples writings of students are writings that their peers with similar ability have written. They are defined as various types of written texts chosen purposefully for being utilized on writing exams or in teaching contexts. This study will provide concrete guidelines for writing achievement standards, strengthen writing education, and improve professionalism in writing assessment. In this study, we observed some classrooms where students writings are presented as examples in Unites States, Austrailia, and Canada before considering ways to select students samples. Consequently, we deduced the importance of giving students sample writing according to their level, presenting purposes or situations for writing, and explanation related to achievement standards. Based on relevant documents and case studies into foreign countries, we contrived a process and method for things as follows. - analysis of writing achievement standards. - development of achievement level and writing tasks - setting up criteria in scoring - collecting sample writings - assessment and statistic process of sample writings - qualitative analysis of sample writings.

      • KCI등재

        문학치료적 글쓰기 프로그램의 자기성찰적 교육 효과 연구-고등학생들의 설화 이어쓰기 양상과 심리 검사 결과와의 관계를 중심으로-

        권태현 ( Kwon Tae-hyun ) 한국문학치료학회 2012 문학치료연구 Vol.22 No.-

        이 연구는 진단서사를 활용한 문학치료적 글쓰기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를 실제 고등학생들에게 적용하여 그 효과를 탐색해보기 위해 작성되었다. 이를 위해 문학치료학의 자녀서사를 바탕으로 이야기 선택, 이야기 이어쓰기, 문학치료적 의미 탐색, 자기분석적 글쓰기로 이어지는 프로그램을 구성하여 실제 학생들의 쓰기 활동을 유도해 보았다. 그리고 그 결과를 부모 자녀 관계 심리 검사의 결과와 비교해 보았다. 학생들의 글쓰기 양상과 심리 검사에서 드러난 결과는 다음과 같이 해석해 볼 수 있다. 첫째, 밀치기와 감싸기 서사에 비해 가르기와 되찾기 서사를 선택한 학생의 수가 압도적으로 많아 서사 선택에 편중이 일어남을 볼 수 있었다. 이는 학생들의 자기서사의 성격을 추론하는 단서가 된다고 볼 수 있다. 둘째, 심리 검사 결과 함입불안이 낮은 학생들은 밀치기나 되찾기 서사를 선택하여 부모에 대한 의혹을 표현하는 경향이 있었다. 셋째, 심리 검사 점수가 높은 학생일수록 기존 작품 서사와 유사한 내용의 서사를 작성하였고 심리 검사 점수가 낮은 학생들은 서사적 균열이나 왜곡이 심한 서사를 작성하는 경향이 있었다. 넷째, 심리 검사 점수가 낮은 학생들의 서사에서는 중심인물이 사라지거나 주체적 행동이 약화된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문학치료적 글쓰기 프로그램은 이어쓰기와 분석적 글쓰기를 통해 학생들이 미처 깨닫지 못한 심리적 징후를 자연스럽게 포착할 수 있다는 점에 그 의의가 있다. 이는 문학에 대한 이해임과 동시에 자기에 대한 이해라는 점에서 학교 현장에서도 충분히 활용할 가치가 있는 교육 프로그램이라고 판단된다. This study is aimed to develop literary therapeutic writing program using the diagnostic epic and evaluate the effect of this program by applying it to high school students. To see this, the program which consists of subsequent writing and analytical writing was developed and the actual writing of students was induced. Also, writing results were compared with psychological test of parent-child relationship.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number of students select parting epic and restoring epic were more than students select pushing and enfolding epic. This might be the clue to know the nature of student`s self-epic. Second, the students who has high depression anxiety tend to select pushing and restoring epic and thus expressed doubts about parents. Third, the students who has high sores in psychological test tend to write epics similar to the original epic and the students who has low scores tends to write the epics appears a lot of cracks and distortion of narrative. Forth, In Epics created by students who has low scores in psychological test, the main character disappeared and the action of main character was weakened. The literary therapeutic writing program is significant because it can capture psychological symptom not known to himself.

      • KCI등재

        우리나라 고등학교 유형에 따른 쓰기 동기 구성 요인 분석

        권태현 ( Tae Hyun Kwon ),조성만 ( Seong Man Cho ),이영진 ( Young Jin Lee ) 청람어문교육학회(구 청람어문학회) 2010 청람어문교육 Vol.42 No.-

        이 연구는 우리나라 고등학교 유형에 따라 쓰기 동기 구성 요인을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경기 지역에서 인문계고, 외국어고, 과학고, 전문계고의 4개의 고등학교를 선정하여 총 2,579명의 학생들로부터 자료를 수집하였다. 인문계 고등학생의 쓰기 동기 구성 요인은 세 가지로 분석되었다. 첫째가 쓰기 효능감, 둘째가 경쟁적 보상, 셋째가 협력적 상호작용 요인이다. 이 세 요인의 총 설명 변량은 57.311%인데, 이 중 쓰기 효능감이 36.988%, 경쟁적 보상이 14.052%, 협력적 상호작용이 6.270%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외국어 고등학생의 쓰기 동기 구성 요인도 세 가지로 분석되었다. 첫째가 쓰기 효능감, 둘째가 협력적 상호작용, 셋째가 경쟁적 보상 요인이다. 세 가지 요인의 총 설명 변량은 68.035%로 나타났다. 이 중 쓰기 효능감이 42.946%, 협력적 상호작용이 15,142%, 경쟁적 보상이 10.846%를 차지했다. 인문계고와 비교해 볼 때, 외국어 고등학교에서 보다 활발한 협력적 상호작용이 이루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과학 고등학생의 쓰기 동기는 두 가지로 나타났다. 첫째가 쓰기 효능감, 둘째가 경쟁적 보상 요인이다. 이 두 요인의 총 설명 변량은 70.766%인데, 쓰기 효능감이 53.061%, 경쟁적 보상이 17.705%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문계 고등학생의 경우에는 쓰기 동기가 독자적으로 형성되지 않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는 전문계 고등학생들에게 쓰기에 대한 동기 자체가 결여되어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다. The aim of this paper is the analysis of writing motivation constructs according to the type of high school in Korea. There are 2,579 students out of 4 schools divided into type of academic, foreign language, science, vocational high school for this research, and the data of students` responses on questionnaire is analyzed. First, the writing motivation constructs of academic high school students consists of following three: writing self-efficacy(36.988%), competitive rewards(14.052%), and cooperative interaction(6.270%). They have explanation capability of 57.311% to total variance of the motivation. Second, the writing motivation constructs of foreign language high school students consists of following three: writing self-efficacy(42.946%), cooperative interaction(15,142%), and competitive rewards(10.846%). They have explanation capability of 68.035% to total variance of the motivation. Third, the writing motivation constructs of science high school students consists of following two: writing self-efficacy(53.061%), and competitive rewards(17.705%). They have explanation capability of 70.766% to total variance of the motivation. The last, In the case of vocational high school, significant writing motivation constructs was not found.

      • KCI등재

        장르 기반 쓰기 교육의 대안적 방법 탐색

        권태현 ( Kwon Tae-hyun ) 한국작문학회 2017 작문연구 Vol.0 No.32

        이 연구에서는 기존의 장르 기반 쓰기 교육이 텍스트 특질의 분석에 치중하는 한계가 있다고 보고, 수사학적 장르 이론을 활용하여 텍스트 생산의 목적과 맥락, 텍스트의 특질 간의 상호작용이 가능한 장르 인식 기반 쓰기 교육의 가능성과 방법을 탐색해보고자 하였다. 장르 인식에 기초한 쓰기 교육 방안에서는 장르에 대한 메타적 이해를 실현하기 위해 텍스트와 맥락의 상호작용, 장르 분석을 위한 발견 학습, 장르에 대한 비판적 인식의 함양을 주된 교육적 초점으로 삼아 교수 모형을 구성할 필요가 있다고 보았다. 이 같은 문제 인식을 바탕으로 이 연구에서는 장르 분석 과정을 체험하는 장르 개념의 이해 단계, 익숙한 장르를 비평하고 새로운 장르에 접근하는 장르 활용 방식 이해 단계, 장르적 글쓰기와 장르에 대한 메타적 인식을 정리하는 장르 글쓰기 수행의 단계로 전개되는 장르 인식 기반 쓰기 교육의 모형을 구안하였다. 이 연구에서 제시한 장르 인식 기반 쓰기 교육의 모형은 구체적 실행 연구를 통해 그 효과가 검증되어야 하겠으나, 중등 교육 현장에서 적용 가능한 장르 인식 기반 쓰기 교육의 방법을 제시함으로써 작문 교육의 실제성을 강화하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possibilities and methods of writing education based on genre awareness that can interact with textual production purpose, context, and textual characteristics using rhetoric genre theory due to the fact that the existing genre based writing education is limited to the analysis of text traits. In order to realize a meta-understanding of genres, the writing education program based on genre awareness is composed of the interaction of text and context, discovery learning for genre analysis, and cultivation of critical awareness about genre as the main educational focus. Based on the recognition of these problems, A model of writing education based on genre awareness was composed of three stages. the first stages of comprehension of the concept of genre to experience the process of genre analysis, the second stage of comprehension of the familiar genre, and understanding the genre usage approach to new genre, the third stage of performing genre writing. The model of writing education based on genre awareness proposed in this study should be verified through concrete implementation studies. However, It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strengthen the practicality of writing education by suggesting genre recognition based writing education method applicable in secondary education field.

      • KCI등재

        작문 교육을 위한 텍스트 유형의 체계화 방안

        권태현 ( Tae Hyun Kwon ) 한국작문학회 2015 작문연구 Vol.0 No.26

        이 연구에서는 국어교육의 텍스트 유형 연구가 언어 기능 영역의 특성에 따라 상향식으로 체계화될 필요가 있다고 보고, 텍스트언어학과 쓰기 및 인지 발달 이론, 원형 텍스트의 특성 연구 등을 참고하여 작문 교육에 적합한 텍스트 유형 체계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관련 연구들을 검토한 결과, 작문 교육을 위한 텍스트 유형의 체계화를 위해서는 언어 기능을 일차적 기준으로 하여 각 기능별 대표 텍스트와 세부텍스트를 선정하고, 필자의 인지(쓰기) 발달 수준에 따른 텍스트 위계화가 고려될 필요가 있다고 보았다. 이에 따라 글의 기능을 정보 전달, 설득, 친교, 정서 표현의 4가지로 구분하고, 각 기능별 대표 텍스트(설명문, 논설문, 서사문)와 세부 텍스트를 선정하였으며, 이를 인지 및 쓰기 발달 수준에 근거하여 연상적/수행적 단계(재생산, 구조화), 의사소통적 단계(재구조화), 통합적/반성적 단계(창의,생성, 대안제시)로 위계화한 텍스트 유형 체계를 제시하였다. 이 연구에서 제시한 텍스트 체계는 개별 텍스트의 분석을 통해 앞으로 수정, 보완되어야 할 것이나, 텍스트의 기능과 인지 발달의 단계를 조직화함으로써 보다 체계적인 텍스트 유형의 선정과 배열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is aimed at proposing systematization method of text types appropriate to writing education drawn reference from the text liguistics and writing, cognitive development theory in the way that the system of text types in Korean education should be designed from the bottom-up depending on characteristics of the functions of language. In this study, the fuctions of texts were classified into four of the informative, the argumentative, the intimate, the expressive. Next, representative and semi-representative texts were selected. These texts were also arranged in a hierarchy by the three stages of associative/performance writing(cognitive function of reproduction and organization) and communicative writing(reorganization) and unified/epistemic writing(originality and creation). The system of text types in this study should be evaluated and revised through the analysis of many texts but this study is expected to contribute more systematic selection and arrangement of texts by engaging functions of text and the stages of cognitive development.

      • KCI등재

        한국어 교재로서 옛 이야기 활용 방안 고찰 : 『코리안 테일즈(Corean Tales)』를 중심으로

        권태현(Kwon, Tae hyun) 다빈치미래교양연구소 2021 교양학연구 Vol.- No.14

        This article examines the nature of the Corean Tales, created by Korean language teacher Kim Jae-guk for Aston, and the source and meaning of the story contained in the book. Corean Tales is a Korean language textbook for foreigners. The story contained in this book was written by Kim Jae-guk, who had a representative story of the late Joseon Dynasty, and adapted the original work to a proper glossary. As one of the foreign language learning methods, novel reading was actively encouraged in Joseon, and was one of the learning methods that people interested in Korean often practiced. For those who knew some Korean words and idioms, it was natural to learn Korean language, culture, and customs through stories. Corean Tales shows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textbooks of the time and the origin of Korean textbooks for foreigners at the end of the Joseon Dynasty.

      • KCI등재

        한국어 학습자의 설명문 쓰기에 나타난 내용 조직 양상 분석

        권태현 ( Kwon Tae-hyun ) 한민족문화학회 2021 한민족문화연구 Vol.73 No.-

        이 연구는 한국어 학습자의 설명문 쓰기에 나타난 내용 조직 양상을 분석함으로써 한국어 쓰기 교육의 구체적인 교수 내용을 마련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내용 조직의 양상을 크게 형식적 구성과 의미적 구성으로 구분하고 외국인 유학생의 설명문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형식적 구성에서 한국어 학습자의 글은 전반적으로 단락을 과도하게 구분하는 경우가 많았다. 이는 관련된 여러 하위 정보를 합치지 않고 기계적으로 구분하여 작성했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최상위 구조 분석 결과, 삼단 구성을 온전히 갖춘 글은 전체 분석 대상의 절반 정도이며, 처음이 없는 경우보다 끝이 없는 경우가 두 배 이상 많았다. 셋째, 중간 부분의 의미적 구성을 살펴본 결과, 나열 구조 외에 시간 순서 구조나 비교-대조 구조가 빈번하게 쓰였는데, 나열 구조의 경우 관련 정보를 형식적으로 나열하여 독자의 이해에 효과적이지 못한 구성이 많았다. 비교-대조 구조는 예상 독자 분석이 부족하여 불필요한 정보를 견주는 경우가 많았으며, 시간 순서 구조의 경우 개인적 경험이나 감상이 빈번하게 노출되는 특징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한국어 쓰기 교육에서는 장르 개념에 대한 지식 교육이 보다 강화될 필요가 있으며 내용 조직 방식에 대한 체계적 교육이 필요해 보인다. 특히 처음이나 끝의 구성 방식, 다양한 의미 구조를 활용한 글쓰기 연습이 보다 강조될 필요가 있다.이 연구는 한국어 학습자의 글에 나타난 내용 조직 양상을 형식적 구성과 의미적 구성으로 구분하여 구체적으로 탐색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pare specific teaching contents for Korean writing education by analyzing the content organizational patterns in Korean language learners' expository writing. To this end, the aspect of the content organization was largely divided into formal and semantic composition, and expository texts of foreign students were analyzed qualitatively.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First, in the formal composition, the writings of Korean learners were often excessively divided into paragraphs. It was analyzed that this was because the related sub-information was not combined, but was mechanically divided. Second, as a result of the top-level structure analysis, about half of all analyzed texts with a three-stage structure were more than twice as many without an end than without the first. Thir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semantic composition of the middle part, a time order structure or a comparison-contrast structure was frequently used in addition to the sequence structure. The comparative-contrast structure was often compared with unnecessary information due to lack of predictive reader analysis, and the chronological structure was characterized by frequent exposure of personal experiences and impressions.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in Korean writing education, knowledge education on the concept of genre needs to be strengthened, and systematic education on the method of organizing contents seems to be necessary. In particular, there is a need for more emphasis on writing practice using the composition method of the beginning or the end and various semantic structures.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specifically explores the structure of contents in Korean language learners' writings by dividing them into formal and semantic configurations.

      • KCI등재

        쓰기 신념과 쓰기 수행의 관계 -쓰기에 대한 접근 방식을 중심으로-

        권태현 ( Tae Hyun Kwon ) 청람어문교육학회(구 청람어문학회) 2015 청람어문교육 Vol.53 No.-

        이 연구의 목적은 쓰기 신념과 쓰기 수행의 관계를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학생들의 쓰기 신념 수준과 쓰기 수행 결과를 비교 검증하였다. 또한 쓰기접근 이론을 고찰하여 예상되는 내용 특질을 추출하고 학생 글에 대한 질적 분석을 통해 쓰기 신념 수준에 따른 글의 내용 특성을 파악하였다.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쓰기 신념의 경우 요인분석 결과 교류적 쓰기 신념 1개 요인으로 구성되었다. 둘째, 쓰기 신념의 평균은 3.50, 쓰기 수행의 평균은 3.0으로 나타나 5점 척도를 기준으로 평균 이상을 보였으며 여학생이 남학생에 비해 쓰기 신념과 쓰기 수행 모두에서 유의하게 높은 수준을 보였다. 셋째, 쓰기 신념 상(25%), 중(50%), 하(25%) 집단 중 상 집단이 하 집단에 비해 쓰기 수행 결과 모든 쓰기 영역에서 유의하게 높은 수준을 보였다. 넷째, 쓰기 신념 수준에 따른 학생 글의 질적 분석 결과 쓰기 신념이 높은 필자는 정보를 거시적, 압축적으로 재구성하여 전달하며 논증과 비판, 해석 등을 풍부하게 사용하는 쓰기접근 경향을 보였다. 반면 쓰기 신념이 낮은 필자들은 정보의 재생 및 나열에 집중하며 개인적 관점이나 느낌 등을 단편적으로 전달하는 경향을 보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relation between writing beliefs and writing performance. For this, The outcome of writing performance and the level of writing beliefs were compared. Also, Using writing approaches model, Content characteristics of students`` book reviews were analysed based on the level of writing beliefs. First, The result of factor analyses showed that students`` writing beliefs were comprised of one factor of transactional belief. Second, Students`` writing performance and writing beliefs were above average(writing beliefs 3.5, writing performance 3.0 in 5.0 point scale) and female students group were higher than male student in both writing performance and writing beliefs. Third, ANOVA results indicated that group with high writing belief scored high on overall writing quality than group with low writing belief. Forth, Students with high writing belief showed the tendency of macroscopic and compact delivery of information and using demonstration, interpretation, criticism. While students with low writing belief tend to focus on enumeration and reproduction of information and convey fragmentary feeling or impress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