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통합적 보편교육 또는 교양의 과학화 : 포스트휴먼과 교양교육의 딜레마

        김응준(Kim, Eung-Jun) 다빈치미래교양연구소 2021 교양학연구 Vol.- No.17

        휴머니즘 이후 인간을 지칭하는 소위 포스트휴먼시대는 과학기술적으로 인간의 삶을 구성하는 시대를 지칭한다. 이 경우 과학기술은 인간 삶의 중심에 자리를 잡게 되며 나아가 교양교육 또한 과학기술적 세계관의 영향을 받게 된다. 문제는 이 변화된 삶의 조건이 교양과 교양교육에 어떠한 영향을 미칠 것이며 어떠한 변화를 교양과 교양교육은 준비해야 하는가라는 질문에 대답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시대변화에 관한 하나의 사례를 찾아보기 위해 본 논문은 소위 포스트휴먼시대를 바라보는 두 관점, 즉 트랜스휴머니즘과 포스트휴머니즘이 교양이라는 교육 이념과 어떠한 연결점을 찾을 수 있는지 그리고 어떠한 위험성을 내포하고 있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이러한 고찰은 포스트휴먼과 인간을 분리하는 것이 아니라 인간의 변화된 삶의 조건이 무엇인지를 이해하면서 교양의 의미를 다시 살펴보는 것을 의미한다. The post-human era after humanism influences human lives scientifically and technologically. In this case, science and technology will be positioned at the center of human life, and furthermore, liberal arts education will also be affected by the scientific and technological worldview. Also, we have to answer the question of how living conditions changed will influence on the liberal arts and liberal arts education and what kind of changes liberal arts education should prepare for the mankind. In order to find out one example of such a change in this time, this paper examines two perspectives of the so-called posthuman era: transhumanism and posthumanism. Different perspectives can explain the meaning of liberal education and the latent danger of technology imprinted in human lives. These considerations will not separate post-humanity from humanities but re-examine the meaning of liberal arts, understanding what kind conditions changed in human lives.

      • KCI등재

        대학 교양한문교육의 현황과 개선방향 연구

        심호남(Shim, Honam) 다빈치미래교양연구소 2021 교양학연구 Vol.- No.16

        교양한문교육은 위기를 맞이했다. 유명 대학에서도 교양한문교과는 입지가 축소되고 있다. 지금까지의 교양한문교육은 대부분 인성교육이나 기본교육 차원에서 충효나 정절 같은 학생들이 일부 공감하지 않는 구절들도 교수자의 일방적인 강독방식으로 수업해 왔다. 현 세대의 대학생들은 漢文에 관심이 적으며 오히려 한문에 대한 적대감이 크다. 과거방식의 답습은 학생들에게 한문에 대한 거부감을 키워 교양한문교과를 더욱 줄어들게 할 가능성이 크다. 본 연구는 사회적 영향력이 큰 주요 대학들(서울대, 고려대, 연세대, 중앙대, 경희대)의 교양한문현 상황을 직시하고 향후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해 모색한다. 서울대학교와 고려대학교의 경우, 양과 질적인 면 모두에서 큰 문제가 없음을 확인하였다. 연세대학교의 경우 양적인 면에서 빈약하며 원주캠퍼스에는 사실상 교양한문교육이 실시되지 않고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중앙대학교의 경우 고전을 현대화하는 교육이 특장점이지만 교양한문교육이 단 한 과목에 그쳐, 과목의 다양성 면에서 아쉬움이 있다. 경희대학교의 경우는 비교적 많은 교과목이 열리며 텍스트의 다양성이 돋보였다. 그러나 국제캠퍼스의 경우는 사실상 한문교육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는 문제점이 있음을 확인했다. 양적인 문제에 있어서는 교양 교육 당국의 책임 있는 자세가 요구된다. 질적인 면에 있어서는 단순한 강독과 주입식의 교양한문교육은 지양해야 하며 현시대와 맞는 교육으로의 변화가 필요하다. 비판적 사고능력(critical thinking), 창의성(creativity), 소통 능력(communication), 협업능력(collaboration) 등을 키울 수 있는 융합과목으로 변신이 시급하다. Chinese Classics as Liberal Arts Education is facing a crisis. In famous universities, liberal arts and literature departments are also losing ground. Most of the Chinese Classics as Liberal Arts Education so far has been taught by professors in a one-sided way, even if some of the phrases that students do not sympathize with, such as loyalty and fidelity, in terms of personality education or basic education. The current generation of university students are less interested in Classical Chinese and are rather hostile to Chinese characters. Following the past method is likely to increase students" reluctance to Classical Chinese literature, further reducing the number of Chinese Classics as Liberal Arts Education courses. This study faces the current situation of Chinese Classics as Liberal Arts Education at major universities with great social influence (Seoul National University, Korea University, Yonsei University, Chung-Ang University, and Kyung Hee University) and seeks directions in the future. In the case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and Korea University, it was confirmed that there were no major problems in both quantity and quality. Yonsei University is poor in quantity, and there is a problem that there is virtually no Chinese Classics as Liberal Arts Education at Wonju Campus. In the case of Chung-Ang University, education to modernize the classics is a feature, but there is a regret in terms of the diversity of subjects, as there is only one Chinese Classics as Liberal Arts Education. In the case of Kyung Hee University, relatively many subjects were held, and the diversity of text stood out. However, in the case of Global campus, there was a problem that Chinese Classics as Liberal Arts Education was virtually not conducted. On quantitative matters, the responsible attitude of the liberal education authorities is required. In terms of quality, simple reading and cramming-style liberal arts education should be avoided, and a change to education suitable for the current era is needed. It is urgent to transform into a convergence course that can develop critical thinking, creativity, communication, and collaboration.

      • KCI등재

        고전읽기 관련 교양교육 사례연구의 현황과 진단

        최윤경(Choi, Yoon Kyoung),한수영(Han, Soo Young) 다빈치미래교양연구소 2021 교양학연구 Vol.- No.16

        이 연구는 1990년대 후반부터 최근에 이르는 교양교육에서의 고전읽기 교육 사례연구를 검토했다. 고전읽기 영역이 문해력과 의사소통 능력을 기르기 위한 교수학습과정으로 재구성되면서 이에 관련된 ‘사례연구’가 축적되고 있다. 교양교육에서의 고전읽기에 관련된 사례연구는 크게 두 방향으로 나누어 살펴볼 수 있다. 먼저 교양교육의 목표에 따라서는 ‘의사소통교육’, ‘인성교육’, 자기몰입과 자기 탐구를 유도하는 ‘텍스트 몰입교육’, 그리고 교육 연계의 실천 활동을 강조하는 ‘읽기 비교과’로 분류해 볼 수 있었다. 구체적인 수업방식의 측면에서는 ‘읽기-쓰기-말하기(혹은 듣기) 통합형’, 말하기를 보조적으로 활용하는 ‘읽기-쓰기 중심형’, 그리고 작품의 통독이나 심화적 읽기를 바탕으로 주제 탐구나 주제 확장에 주력하는 ‘읽기 중심형’으로 나누어 볼 수 있었다. 사례연구는 첫째, 교양교육 프로그램이 다양화되는 실례로서 교육내적 자원을 축적해간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둘째, 교양교육이 대학 교육편재 내에서 제도화되며 교육적 지위를 획득해 간 지점을 보여준다는 점, 셋째, 대학교양교육이 문화변동과 교육에 대한 사회적 요구를 반영하고 있으며, 미래의 읽기교육 방향에 대한 지표를 제시할 수 있다는 점에서도 의의가 크다. 그런데 사례연구가 개인적인 경험이나 주관적인 평가에 의거하고 있는 경우도 발견되어, 사례연구가 교양교육 담론을 구성하는 데 선순환적으로 기여하고 있는가에 대한 질문도 제기해 볼 수 있다. 사례연구는 필요하며, 앞으로도 지속적으로 생산될 것이다. 대학 교양교육의 터전이 아직 불확실하며, 그 위에서 고전읽기 교육의 틀이 현재 부단하게 구성되고 있는 중이기 때문이다. 대학교양교육에서 고전읽기는 새로운 리터러시를 필요로 하는 시대적 요구에 부응하여 앞으로도 다양하게 변주되어 갈 것이다. 따라서 지속 가능한 사례연구를 위해서는 사례연구에서 필요한 기본 요소나 논리, 연구 방법에 대한 본격적인 토론이 필요하며, 연구윤리 기준에 대한 논의도 필요하다. 또한, 텍스트와 읽기 자체를 대상으로 삼아 사례연구의 외연을 넓혀나갈 필요가 있다. The present study reviewed the case studies of liberal arts education related to classical reading education from the late 1990s to recent times. Cases of liberal education were roughly categorized into two groups - first based their objectives: ‘communication education’, ‘character education’, ‘text-oriented education’ which induces self-immersion and self-inquiry, and ‘extracurricular reading’ that emphasizes practical activities related to education. Then, in terms of specific teaching methods, there was the ‘Integrated Reading-Writing-Speaking (or Listening)’ type, ‘Reading-Writing-centered’ type which considers speaking auxiliary, and a ‘Reading-oriented’ type which focuses on topic exploration and expansion based on thorough or in-depth reading. Case studies show that, first, Korean university education reflects the changes in reading culture. Second, that liberal arts education has been institutionalized within the ubiquity of university education and that it has acquired educational status, and third, they serve as an example of the diversification of liberal arts education programs and is meaningful in that it can share educational resources. However, case studies may show weakness as academic papers because they are based on individual experiences or intuitive judgments. We may question whether the process of converging individual cases into the discourse of liberal arts education and expanding the discourse draws a virtuous cycle. Variants of reading classics in university education will continue to appear as a response to the demands of the times requiring a new literacy. Therefore, for sustainable case studies, substantial discussions on the basic elements, reasoning, and methods required for case studies are needed, along with discussions on research ethics.

      • KCI등재

        비대면 교양교육에 대한 대학생의 만족도 연구

        이난 중앙대학교 다빈치미래교양연구소 2022 교양학연구 Vol.- No.21

        This study investigated college students' satisfaction with non-face-to-face liberal arts education conducted in the context of COVID-19 for the past two year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se it as a basis for the reorganization and development of liberal arts education in the future. For this study, 2,809 university students from J University were surveyed using a questionnaire, and frequency analysis and difference verification were performed. Based on the survey results, it is summarized as follows. First, strategies to motivate learners in non-face-to-face liberal arts classes and to provide feedback on tasks and grades are needed. Second,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the ability to utilize IT in the liberal arts class, the skills necessary for employment, the use of foreign languages, the understanding of various cultures, and the ability to proactively solve complex problems. Third, in the methodological aspect of liberal arts classes, learning through relationships should be conducted. Fourth, satisfaction with the roles of teachers and learners in liberal arts classes for male students should be increased. In addition, active efforts are needed to increase the satisfaction of liberal arts classes in the College of Humanities and Engineering. Fifth, the satisfaction level of real-time online class + real-time online class was the lowest in the form of liberal arts class operation. On the other hand, the satisfaction of face-to-face class + video class and face-to-face class + face-to-face class was high. The liberal arts class should be operated based on direct interaction, and sufficient discussion and discussion should be made about proceeding with the full non-face-to-face class. Lastly, the core of liberal arts education should eventually become the educational content, and the needs and demands of learners should be reflected when composing the liberal arts education content. 본 연구는 지난 2년간 COVID-19 상황에서 수행된 비대면 교양교육에 대한 대학생의 만족도를 조사하여 향후 교양교육의 개편 및 개발을 위한 근거로 활용하기 수행되었다. 본 연구를 위해 J대학교 대학생 2,809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활용하여 조사하여 빈도 분석 및 차이 검증 실시하였다. 조사 결과를 토대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비대면 교양 수업에서 학습자의 동기 유발을 위한 전략과 과제와 성적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하는 전략이 필요하다. 둘째, 교양 수업에서 IT 활용, 취업에 필요한 기술, 외국어 사용, 다양한 문화의 이해 및 복잡한 문제를 주도적으로 해결하는 능력을 강화해야 한다. 셋째, 교양 수업의 방법론적 측면에서 관계를 통한 학습이 이루어져야 한다. 넷째, 남학생을 대상으로 교양 수업에서의 교수자와 학습자 역할 만족도를 높여야 할 것이며, 인문대학과 공학대학의 교양 수업의 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적극적 노력이 필요하다. 다섯째, 교양 수업의 형태에서 실시간 온라인 수업 + 실시간 온라인 수업의 만족도가 가장 낮았으며, 대면 수업 + 동영상 수업과 대면 수업+대면 수업의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교양 수업은 결국 직접적 상호 작용을 기반으로 운영되어야 할 것이며, 전면 비대면 수업으로 진행하는 것에 대한 충분한 논의와 토의가 이루어져야 한다. 여섯째, 교양교육의 핵심은 결국 교육 내용이 되어야 할 것이며, 교양교육 내용을 구성할 때 학습자의 필요와 요구가 반영되어야 한다.

      • KCI등재

        대학 고전 교양교육과 ‘고전 100선’의 문화정치

        천정환(Cheon, Junghwan) 다빈치미래교양연구소 2021 교양학연구 Vol.- No.17

        대학 교양교육은 항상 대학의 사회적 위상과 함께 진동해 왔으며, ‘고전-교양주의’ 또한 앞으로의 대학의 위기와 함께 변할 가능성이 높다. 본고는 서울대, 고려대, 연세대, 성균관대, 경희대, 전남대, 경북대, 부산대, 카이스트, 포스텍, 한양대, 서강대 등 12개 ‘주요’ 대학에서 선정한 ‘고전’, ‘권장 도서’, ‘○○○선’ 등의 목록을 모으고 그 목록을 비교해 보았다. 이를 통해 한국 주요 대학들이 ‘합의’하고 ‘규범화’한 고전-교양교육의 일단을 드러내고, 그 모순과 동요를 살펴보고자 했다. 이를 위해 한국 대학들이 선정・추천한 ‘교양 고전’들은 과연 어떤 텍스트들인지를 살폈으며, 목록이 가진 ‘차이’와 ‘반복’을 통해 고전-교양주의의 공시적・통시적 맥락을 드러내고자 했다. 한국 대학들이 선정・추천하는 ‘고전 ○○○선’ 텍스트들의 대종은, 사서삼경을 위시한 중국고전과 미국 등의 서양의 ‘현대’ 고전이다. 그래서 한국의 ‘고전’은 동아시아와 서구 제국 중심의 지적 전통과 지정학적 세계상의 산물이라 할 수 있다. 또한 이 논문에서는 한국에서 처음 미국의 ‘자유교양’이 소개되고 그 영향으로 ‘고전 권장도서’가 발표되던 1960년대의 목록과 오늘날 대학 ‘고전 목록’을 비교해 보았다. Liberal education of universities has been determined and varied by the changes in the social status of universities. In this vein, “liberal and classical education” is likely to be reorganized in line with the crises facing today"s universities. This study collects and compares all the reading lists for undergraduate students ― the so-called “best book recommendations”, “Must-Read Classics”, or “great books” ― selected by the twelve major universities, such as Seoul National University, Korea University, Yonsei University, Sungkyunkwan University, Kyung Hee University, Chonnam National University,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Pusan National University, KAIST, POSTECH, Hanyang University, and Sogang University. Through such a comparative analysis, this study aims to show what Korean prestigious universities have “agreed” and “standardized” on liberal and classical education and to explore the fissures and contradictions of such a canonization. By examining classical texts selected and recommended by the universities as “Classics for Liberal Education”, this paper attempts to locate liberal and classical education both synchronically and diachronically, based on the “differences” and “repetitions” among the listed books. Notably, Chinese classical texts, such as the Four Books and Three Classics and Western books in the modern times have been a large portion of the most important Classics selected and recommended by Korean universities. In this regard, Korea"s canonization of classics is no other than a product of Korean intellectual history (tradition) and geopolitical order centering on East Asian or Western European powers. This research also expands to a comparison of today"s reading lists with those in the 1960s when “liberal education” from America was introduced to Korea for the first time and the so-called great books of classics started to be selected and listed under its influence.

      • KCI등재

        대학 교양교육 개선 방향에 대한 재학생 요구도 분석: 교양교육과 전공교육 간 관계를 중심으로

        한재범,김효정,신윤호 중앙대학교 다빈치미래교양연구소 2023 교양학연구 Vol.- No.25

        본 연구는 교양교육의 현주소를 파악하고 개선 방향을 제시하기 위함을 목적으로 경기도 및 강원권역에 캠퍼스를 두고 있는 A대학의 학생 371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교양교육의 만족도와 요구도를 파악하기 위해 교양교육 편성 및 운영과 교수학습 방법에 대한 만족도와 교양교육의 핵심역량별 기여도, 교양교육과 전공교육 간의 관계 인식, 교양교육 개선 요구의 영역으로 기술통계분석과 평균차이검정을 통해 분석되었다. 결과적으로 학생들은 교수학습 방법에 가장 높은 만족도를 보였으며, 교육과정편성 시 학생들의 의견 반영에 대한 만족도가 가장 낮게 나타났다. 교양교육의 핵심역량 함양에 대한 기여도에 대한 인식 조사에서는 전공계열별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교양교육과 전공교육 간 관계에 대한 인식에서도 전공계열에 따른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교양교육 개선 요구분석에 있어서는 교양교육과정 편성에 학생들의 요구를 미반영하는 것에 문제점을 꼽았다. 본 연구는 전공과 교양교육의 연계의 필요성에 대한 학생들의 요구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전공계열에 따른 교양교육과의 연계의 차이점을 시사하고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current status of general education and suggest development directions by conducting a survey of 371 students at A University which has multiple campuses in Gyeonggi and Gangwon provinces. In order to investigate the satisfaction and needs of general education, the researchers analyzed satisfaction with the organization and operation of general education and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contributions to core competencies, percep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general education and major education, and needs for improvement of general education through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es and mean difference tests. As a result, students showed the highest satisfaction with th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and the lowest satisfaction with the reflection of students' opinions when organizing the curriculum.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majors in their perceptions of the contribution of general education to fostering core competencies.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also found in the percep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general education and major education. The analysis of the needs for improvement of general education indicated that students' needs are not reflected in the curriculum of general education. This study is valuable in that it confirms the need for students to connect their majors with general education and suggests differences in the connection between majors and general education.

      • KCI등재

        교양 마이크로디그리와 복수 학위제도의 효용성

        강연임(Gang, Yeon-im) 다빈치미래교양연구소 2022 교양학연구 Vol.- No.18

        급변하는 사회는 대학 교육에서도 변화를 요구하고 있다. 사회에서 요구하는 역량을 파악하고, 그것을 학생들에게 교육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교육 콘텐츠와 교육 방법이 필요하다. 대학 교육이 시대 변화에 민감하게 대응하는 것이 적절한지에 대해서는 이견이 없지 않지만, 중요한 점은 교양교육의 경우 사회의 요구를 무시할 수 없다는 점이다. 그러한 요구에 대응하면서 학생들의 능력을 키우고자 운영하는 것이 바로 마이크로디그리와 교양 학위제도이다. 교양 마이크로디그리는 지정된 교양 교과를 집중 이수함으로써 단기간에 미니학위를 취득하거나, 역량별 미니학위를 교양 학위로 연계하여 복수학위를 취득케 하는 데 목표를 둔다. 이를 위해 총 다섯 개 역량, 즉 이타적 인성 역량, 자기애적 감성 역량, 주체적 자립 역량, 창의적 문제해결 역량, 융화적 소통 역량을 설정하고 각 역량별로 5~8개의 교과를 배치하여 운영한다. 교양 마이크로디그리의 이수를 통해 학위를 취득하는 제도가 교양 복수 학위제도이다. 교양 복수 학위는 해당 마이크로디그리에서 각 12학점씩, 총 36학점을 이수하면 취득할 수 있다. 교양 교육과정 개편의 가장 큰 의미는 학생 중심 교육이 가능하다는 점이다. 학생 스스로 학위를 취득하기 위하여 긴 안목에서 교양 교과를 선택적으로 학습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교양 마이크로디그리와 전공 교육을 연계하기도 하여 학문의 다양성과 확장성을 경험할 수도 있다. 교양 마이크로디그리와 교양 복수학위를 이수하는 과정에서 학생들은 자연스럽게 융복합적인 사고능력도 기를 수 있다. 교양 마이크로디그리와 복수 학위제도는 급변하는 사회에서 요구되는 전문성을 교양 학위를 통해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이다. 또한 전공학과의 변화를 효과적으로 모색하기 어려울 때 교양교육 과정을 통해 변화하는 시대상에 탄력적으로 대응하면서 전문성 제고도 강구할 수 있다. The changes in education according to the changed social changes were examined through the Liberal Arts Micro Degree and Bachelor of Liberal Arts system. There are many disagreements as to whether it is positive for education to respond sensitively to changes in the times, but the important point is that Liberal Arts education that meets the needs of society is necessary. It can be said that Liberal Arts Micro Degree and Bachelor of Liberal Arts system in Liberal Arts education are actively converging these. The above discussion is summarized as it is. First, changes in the educational environment and the necessity of redesigning Liberal Arts education were investigated. In modern society, knowledge and information required by society are rapidly changed regardless of tim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seek changes in the Liberal Arts education of the Universities in order to meet such demands. Now, it is necessary to move away from the perception that Liberal Arts are simply credits to be completed for graduation, and to seek a horizontal link between Liberal Arts subjects, and furthermore, it must change to the direction of educating the newly required professionalism. To achieve this, the need for a redesign of the Liberal Arts education is emerging because it is only possible to improve the existing Liberal Arts education system. Second, the operational status and educational performance of the Liberal Arts Micro Degree were reviewed. The Liberal Arts Micro Degree aims to acquire additional degrees in a short period of time by intensively completing designated Liberal Arts subjects, or to obtain Dual Degrees by linking mini-degrees by competency to Liberal Arts Degrees. To this end, a total of five competencies, namely, altruistic personality competency, narcissistic emotional competency, independent self-reliance capacity, creative problem-solving capacity, and integrative communication capacity were established, and a Micro Degree course was provided for each competency. International Society and Human Rights Expert Course for altruistic personality competency, Art Culture Planning Course, Creative Musical Production Practice Course, Festival Play Culture Planning Expert Course for narcissistic emotional competency, ICT Utilization Master Course, Korean Language Proficiency Crtification Course, Cultural Content Creator Specialist Course for independent competency, Software Coding Course, Convergence Cultural Knowledge Cultivation Course, Content Convergence Startup Course for solving competency the creative problem, and In the integrative communication competency, the Liberal Arts English Course, Humanities Counseling and Healer Course, and Communication Master Course were included. Third, the effectiveness of the Liberal Arts Micro Degree System and the Dual Degree System was examined. In order to meet the social needs, it is the Micro Degree and the Double-Degree Liberal Arts system that have expanded the Liberal Arts education to seek changes. Through this reform of the Liberal Arts curriculum, student-centered education can be made possible. This is because students can selectively study Liberal Arts subjects from a long-term perspective in order to obtain a degree on their own. It can also lay the foundation for convergence education. This is because the diversity of disciplines can be recognized by linking the Liberal Arts Micro Degree with major education. In the process of completing the Liberal Arts Micro Degree and Double Liberal Arts Degree, students can naturally develop convergence thinking skills. In addition, the professionalism required in a rapidly changing society can be solved through a Liberal Arts Degree. In general, the problem of rigidity to changes in majors can be actively resolved in Liberal Arts education.

      • KCI등재

        교양과학 교과목과 온라인 글쓰기 피드백의 접목 : 숙명여대 <현대사회와 과학기술> 사례를 중심으로

        정세권(Jeong, Se-Kwon) 다빈치미래교양연구소 2021 교양학연구 Vol.- No.16

        본 논문은 숙명여대에서 2013년부터 개설해 온 교양과학 교과목 강좌에 온라인 글쓰기 피드백을 시도한 과정과 그에 대한 평가, 그리고 향후 교양과학 교과목과 글쓰기 교육의 접목에 대한 함의를 제시하고자 한다. 숙명여대는 2013년 교양교육을 강화할 목적으로 새로운 교과목을 개발하는 과정에서 교양과학 교과목인 <현대사회와 과학기술>을 개설했다. 이 교과목은 과학기술에 대한 역사적, 철학적, 사회학적 고찰 속에서 오늘날 주목받고 있는 과학기술의 다양한 성격과 쟁점을 이해하는 것을 목표로 삼았다. 2013년 하나의 강좌가 개설된 이래 여러 분반, 그리고 다른 주제의 교양과학 교과목이 증설되었고, 과학기술에 대한 비판적 사고를 함양하는 데 기여해 왔다. 또한 해당 교과목의 수강생들은 과학기술과 관련된 다큐멘터리를 한 편 시청하고 이에 대한 비판적 에세이를 작성하여 과제로 제출했고, 과학기술학을 전공한 교수가 간단하게 첨삭하는 방식으로 피드백해 왔다. 그런 와중에 2020년 2학기 숙명여대 교양교육연구소가 구축한 온라인 글쓰기 피드백 시스템인 [사]을 활용하여 수강생들에게 더욱 수준 높은 글쓰기 지도를 할 수 있는 기회가 마련되었다. 학생들은 강좌를 통해 과학기술에 대한 비판적인 사고를 함양하고, 온라인 글쓰기 피드백을 통하여 글쓰기 교육 전공자로부터 표현, 구성, 내용까지 다양한 글쓰기 지도를 받았고, 이를 수정하여 교수에게 최종 제출했다. 본 논문은 현대사회에서 과학기술의 성격을 이해하고 이에 대한 비판적인 사고를 함양하는 교과목에서 온라인 글쓰기 피드백을 활용한 글쓰기 교육을 접목했을 때 어떤 교육적 효과가 나올 수 있으며 그 한계는 무엇인지 살펴보고자 한다. 나아가 향후 과학기술에 대한 글쓰기 교육이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해 제언하고자 한다. This paper aims to introduce the encounter of science liberal education and on-line writing feedback at Sookmyung Women"s University in 2020 and to suggest some implications from lecture evaluations. While other universities has developed <Writing on Science and Technology> courses for writing education according to academic track and the accreditation for engineering education since the early 2000s, Sookmyung Women"s University has two specific backgrounds for this encounter. Firstly, the science liberal course, <Science, Technology and Modern Society> has dealt with the history and social, moral, ethical issues of science and technology in modern society for improving critical thinking on science/technology, and additional courses have been installed until now. Secondly, the General Education Research Institute of Sookmyung Women"s University initiated the project for innovation of liberal education in 2019, and this project promoted the development of on-line writing feedback system. In 2020, students at this course, after lectures dealing with some issues on biomedicine, had to submit review paper about a documentary on genetic diagnosis and personal, social questions to on-line writing feedback system. Four experts on writing teaching read students" papers and made comments on expressions, structures, contents of papers via on-line feedback system, and students had to submit their revised paper to professor of this course. For improving critical thinking as well as the ability to write on science and technology, the aims and targets, curriculum contents and subject of education have to be pondered on, and new experiment to integrate science liberal education with writing teaching at Sookmyung Women"s University suggest some implications on science and technology writing educations which have been promoted at many domestic university about two decades.

      • KCI등재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교양교육 디지털 : 전환의 속도전에서 지속가능한 미래로

        정연재 중앙대학교 다빈치미래교양연구소 2023 교양학연구 Vol.- No.22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stimate the problems and directions of liberal arts education after the COVID-19 pandemic. COVID-19 has presented significant questions to not only teachers and learners but also to the liberal arts education system as a whole. The COVID-19 pandemic transformed all-too-obvious questions, such as why students should study the liberal arts, from whom they should learn, when they should learn, and where they should learn, into urgent matters. Consequently, we should have appropriate answers regarding the type of liberal arts education we should provide after the pandemic, given the strong trend of convenience and effectiveness. In this context, this paper sets the tasks of liberal arts education by period and suggests directions to pursue in each period. First, the short-term task is to activate the function of healing and recovery from the scars of the COVID-19 pandemic. In particular, the pandemic has left the strong impression that our society is in danger, and those scars left by the pandemic on the educational community will not heal easily. Accordingly, in teaching the young generation, who is deeply wounded in a society in which disasters have become commonplace, the importance of self-care and the value of connections has increased. The medium-term task is to reflect on the nature of education in the midst of the rapid transformation to digital education. The ‘new-normal’ discourse has made us recognise that lectures based on face-to-face communication are outdated while non-face-to-face classes have become the “new normal”, and EduTech is the catalyst that will change our education system. However, the pandemic has clearly shown that schools could not be completely transformed to a non-face-to-face environment and has made us realise that we should promote the use of and flexible attitude toward EduTech, while also adhering to the irreplaceable elements of face-to-face education. The issues of digital transformation in the field of liberal arts education should be seen from the viewpoint of how to develop students' learning outcomes in the digital era. From this perspective, digital technologies should play the role of an educational support system rather than a substitute system for in-person education. The long-term task is to solidify the framework of sustainable education. It is true that, so far, college education has made us believe that achieving short-term goals is more important than long-term sustainability by basing itself on a modernization paradigm focused on economic growth. However, universities need to provide not only education for the purpose of employment but also basic skills that will promote sustained growth throughout a student's life. Presenting a vision of sustainable liberal arts education is acutely needed in the present day and age where the value and utility of universities are strongly questioned due to a significant reduction in degree effects, subsequent changes in students' attitudes toward higher education, the popularization and commercialization of higher education, the oversupply of higher education, and an uncertain future and employment crisis. 본 글의 목적은 팬데믹 이후 교양교육의 과제와 방향을 가늠해보는데 있다. 코로나19는 교수자와 학습자뿐만 아니라 교양교육 제도 자체에 중대한 질문을 던졌다. 팬데믹은 교양교육을 왜 배워야 하고, 누구에게 배워야 하고, 언제 배워야 하고, 어디서 배워야 하는가에 대한 너무나당연한 문제를 절체절명의 질문으로 전환시켰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글은 교양교육의 과제를 시기별로 설정하고, 각각의 시기에 모색해야할 방향을 제시하였다. 우선 단기적 차원의 과제는 코로나의 상처로부터 치유와 회복의 기능을 활성화시키는 것이다. 팬데믹은 우리사회가 위험사회에 있음을 각인시켰고, 특히 팬데믹이 교육공동체에 남긴 상처는 쉽게 아물지 않을 것이다. 따라서 재난이 일상화된 사회에서 깊은 상처를 입은 청년세대에게자기돌봄의 중요성과 더불어 연결의 가치를 심어주는 것은 중요하다. 중기적 차원의 과제는 디지털 전환의 속도전에서 교육의 본질에 대한 성찰을 수행하는 것이다. 뉴노멀 담론에 따르면, 대면 소통에 기반을둔 강의실 수업은 시대에 뒤떨어진 것이고, 비대면 원격 수업이야말로새로운 정상이며, 에듀테크(EduTech)야말로 우리의 교육을 새롭게 변화시킬 촉매제로 인식하게 만들었다. 그러나 팬데믹은 학교가 비대면 환경으로 완전히 옮겨질 수 없다는 것을 분명하게 보여주었고, 따라서 대면교육의 대체 불가능한 요소를 견지하면서 에듀테크에 대한 유연한태도와 활용을 도모해야 함을 일깨워주었다. 교양교육 분야에서 디지털전환 이슈는 디지털시대에서 어떻게 학생들을 성장시킬 수 있는가 하는문제에서 바라보아야 할 것이다. 장기적 차원의 과제는 지속가능한 교육의 프레임을 확고히 하는 것이다. 그 동안 대학교육은 경제성장 위주의 근대화 발전 패러다임에 토대를 둠으로써 단기적인 목표 달성이 장기적 지속가능성보다 더 중요하다는 믿음을 심어온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이제 대학은 취업을 위한교육뿐만 아니라 생애 전반에서 지속적인 성장을 촉진할 수 있는 기본기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학위효과의 현저한 감소, 이에 따른 고등교육에 대한 학생들의 태도 변화, 고등교육의 대중화와 상품화, 고등교육에서의 공급초과, 불확실한 미래와 고용의 위기 등 대학의 가치와 효용성에 대해 강한 의혹이 제기되고 있는 현시대에 지속가능한 교양교육의비전 제시는 절실하게 요구된다.

      • KCI등재

        브런즈윅의 렌즈 모델의 교양교육 연구 적용 가능성과 의의에 대한 고찰

        임낭연(Lim, Nangyeon) 다빈치미래교양연구소 2022 교양학연구 Vol.- No.18

        본 연구는 교양교육 연구의 다양한 측면에 유용하게 적용할 수 있는 사고의 틀로써 브런즈윅의 렌즈 모델을 제시하고, 그 다양한 적용 가능성에 대하여 논의한다. 고전적 브런즈윅 렌즈 모델은 유기체의 환경 지각에 대한 설명을 제시하는 모델이다. 그런데 인간의 대상 판단 과정과 환경 지각 과정 간의 유사성으로 인해, 렌즈 모델은 수십 년 간 다양한 분야에서 확률적 판단 연구에 적용되어 왔다. 교양교육 현장에서도 다양한 주체의 다양한 판단 활동이 이루어지므로, 인간의 판단을 설명하는 틀인 렌즈 모델의 적용 가능성이 크다. 따라서 본 논문은 현재까지 교양교육 분야에서 본격적으로 적용되지 않았던 프레임웍인 브런즈윅의 렌즈 모델을 소개하고자 한다. 더 나아가, 교양교육 연구에서 렌즈 모델을 적용할 수 있는 추후 연구 방향성과 그 의의에 대하여 논한다. The current study suggests Brunswick"s lens model as a conceptual framework that can be applied to various aspects of liberal arts education research and discusses its possibilities of application. The original Brunswick"s lens model explains how an organism perceives its environment. Due to the similarity between the processes of human object judgment and environmental perception, the lens model has been extensively applied to probabilistic judgment research in many fields for decades. In the field of liberal arts education, different subjects make various judgments, so there are numerous possibilities of research applying the lens model. Therefore, this study introduces Brunswick"s lens model, a framework that has not been actively applied in the field of liberal arts education until now. Furthermore, future research directions for the application of the lens model in the study of liberal arts education and its significance ar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