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다문화 가정 유아의 이중언어 교육에 대한 유아교사 인식조사

        권이정(Kwon, Yijeong) 한국영유아보육학회 2016 한국영유아보육학 Vol.0 No.101

        본 연구는 다문화 가정 유아의 이중언어 교육에 대한 유아교사 인식에 관하여 조사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충북의 C시에 소재한 유치원과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118명의 유아교사들이 참여하였으며 질문지법을 사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 중 구조화된 질문들은 빈도분석을 시행하였으며, 반구조화된 질문의 경우 유형별로 분류하여 제시하였다. 연구결과 유아교사들은 이중언어 습득이 가능하다고 보았으나 과반수의 유아교사들은 이중언어습득이 유아의 언어발달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다문화 가정 유아의 이중언어 습득여부에 대하여 민감성이 높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다문화 가정 유아를 위한 이중언어 교육프로그램의 필요성을 인식하는 것 보다는 한국어를 교육하는 프로그램의 필요성에 대하여 높이 인식하고 있었으며, 유아는 한국어를 처음 배운 후 다문화 언어를 배워야 한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유아교사들은 다문화 가정 유아에게 한국어와 다문화 언어를 가르치는 주체를 다문화센터와 다문화 가정이어야 한다고 믿고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teacher for young children perceive bilingual education of young children who have immigrant parents. 118 teachers who work at preschool and kindergarten in C city, Chungcheongbuk-do were participants. To collect data, the survey method was used. The survey was designed of semi-structured questions and structured questions. The semi-structured data were categorized based on the theme and the structured data were analyzed using frequency and percentage.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About 50% of teachers are negative toward the possibility of bilingual education. 2) Teachers have low sensitivity toward multicultural children’s foreign language acquisition. 3) Teachers perceive the necessity of bilingual program but they also children should learn Korean first. 4) Teachers perceive the multicultural family center and multicultural families have primary responsibility for multiculral children’s bilingual education.

      • KCI등재

        다문화 수업 수강 여부에 따른 예비유아교사들의 다문화 교육에 대한 태도, 다문화 교육에 대한 인식, 다문화 교수효능감에 대한 연구

        권이정(Yi-Jeong, Kwon) 중앙대학교 문화콘텐츠기술연구원 2014 다문화콘텐츠연구 Vol.0 No.17

        본 연구는 다문화 수업을 통해 예비유아교사들의 다문화 관련 역량들을 어떻게 증진시킬 수 있는 가에 대한 가능성을 모색해보고 예비유아교사들을 위한 다문화 수업이 나아가야 할 방향성에 대해 생각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3년제 유아교육과에 재학 중인 학생들 중 ‘다문화 가정의 이해’ 수업을 듣는 2학년 학생들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연구 참가자들에게 2013년 3월부터 2013년 6월에 걸쳐 기말고사를 제외한 총 14주의 수업을 실시하였으며 학기가 시작된 첫 주에 다문화 역량을 측정할 수 있는 사전 검사를 실시하였고 모든 수업이 끝난 후인 15주째에 사후 검사를 실시하였다. 다문화 역량 검사에는 다문화 교육에 대한 태도 검사, 다문화 교육에 대한 인식 검사, 그리고 다문화 교수효능감에 관한 검사를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예비유아교사들의 다문화 교육에 대한 태도는 다문화 수업을 받고 난 후 받기 전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2) 예비유아교사들의 다문화 교육에 대한 인식은 다문화 수업을 받고 난 후 받기 전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3) 예비유아교사들의 다문화 교수효능감에는 다문화 수업을 받기 전과 후에 차이가 없었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how pre-school teachers can improve their multiculture-related abilities by taking multicultural education courses and to explore how to develop multicultural education courses for pre-school teachers. For this purpose, 64 pre-school teachers were selected among those who took the course “Understanding Multicultural Families” as participants in the study. Participants were all sophomore female students who enrolled in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program at a Junior College. The study was conducted from March 2013 to June 2013 for a total of 14 weeks. On the first day of class, a test was taken to examine the participants’multicultural aptitutde including their attitudes and perceptions toward multicultural education, and multicultural teaching efficacy. After taking a total of 14 classes, their multiculture-related abilities were re-examined on the 15th week. findings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 1)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pre-school teachers attitudes toward multicultural education after they took the course. 2)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pre-school teachers perceptions toward multicultural education after they took the course. 3) There is no difference in the pre-school teachers multicultural teaching efficacy after they took the course.

      • KCI등재

        다문화 경험에 따른 예비유아교사의 다문화 교육에 대한 관심도 및 인식과 태도의 차이

        권이정(Kwon, Yi-Jeong) 한국영유아보육학회 2013 한국영유아보육학 Vol.0 No.82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들의 다문화 관련 경험의 정도와 유형을 실태조사를 통하여 파악하고, 그 다문화 경험에 따라 예비유아교사들의 다문화 관심도와 다문화 인식, 그리고 다문화 태도에 어떤 차이가 있는가를 살펴보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이를 위하여 전북지역의 3년제와 4년제 교사 양성 프로그램에 재학하는 2학년 예비유아교사 중 198명을 대상으로 질문지법을 사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에 사용된 도구는 다문화 관련 경험을 기술하게 만든 질문지와 모경환과 황혜원(2007)의 다문화 인식 척도, 그리고 옥장흠(2009)이 교사 다문화 태도 척도(TMAS)를 수정하여 만든 도구를 사용하였다. 자료를 분석하기 위하여 다문화 경험의 빈도와 유형을 기술하는 기술통계 기법을 사용하였고, SPS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일원변량분석(ANOVA)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체 예비유아교사들의 86.36%가 다문화를 직·간접적으로 경험했다고 답하였으며, 그 중 가장 많은 경험의 유형으로, 간접경험의 경우는 TV나 인터넷과 같은 대중매체를 통하여 이루어졌으며 직접경험은 유아 관련 기관에서의 아르바이트를 통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다문화 경험에 따라 다문화 관심도에만 차이가 나타났으며, 다문화 태도와 다문화 교육에 대한 인식은 다문화 경험 유형에 따라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examined what kinds of experiences pre-service kindergarten teachers have prior to being teachers and how pre-service teachers" multicultural experiences are related to their multicultural interests, multicultural attitudes, and perceptions toward multicultural education. One hundred ninety-eight sophomores of each 3-year program and 4-year program were selected, and they were asked to describe their multicultural experiences. A Multicultural Understanding Scale, which was originally created by Pang(2005) and modified by Mo and Hwang(2007), and A Teacher Multicultural Attitude Survey, which was modified by Ok(2009), were used to gather data.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and ANOVA was used. The findings are as follow: 1) The majority of pre-service teachers had multicultural experiences directly or indirectly; mass media and part-time are each represented as a main agent for their indirect experiences and direct experiences. 2) Pre-service teachers have "average" levels of "multicultural interests, perceptions, and attitudes. 3) The multicultural interests of pre-service teachers are different, depending on their multicultural experiences.

      • 예비유아교사들의 실습지도교사와 실습생의 관계에 대한 실습 전후 인식에 관한 연구

        권이정(Kwon Yi jeong) 한국포괄영유아아동교육지원학회 2016 포괄영유아,아동교육지원연구 Vol.4 No.1

        This study aims to examine pre-service kindergarten teachers perceptions regarding the relationships between supervising teachers and their student teacher using a metaphor image. 45 senior students who attended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department at a university and completed the teaching practicum course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students were asked to give a metaphor with an image regar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a supervising teacher and their student teacher 2 times each before they left for the practicum and after they came back to class. They also wrote journals for these metaphor images and did group discussions.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during the spring semester of 2016. The collected data was coded and categorized for analysis.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Pre-service teachers were aware of the relationship between a student teacher and their supervising teacher based on the 4 types of balances of power between the two subjects before they went through with the practicum. 2). After the practicum, pre-service teachers perceived the relationship in a similar fashion to their prior perspective depending on the degree of power balance, but they were also able to grasp the power position in the relationship.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들이 실습경험에 따라 실습지도교사와 실습생의 관계에 관한 인식이 변화되는가를 알아보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C시의 4년제 유아교육과에 재학하고 있는 4학년 학생 45명이 연구에 참여하였으며 교육실습과목이 있는 2016년 1학기 동안 연구가 진행되었다. 예비유아교사들의 인식의 변화여부를 측정하기 위하여 메타포 이미지와 저널을 이용하였다. 예비유아교사들은 실습지도교사와 실습생의 관계에 관한 메타포 이미지와 저널을 실습을 다녀오기 전과 후에 각각 작성하였다. 예비유아교사들의 메타포 이미지와 저널은 코드화하여 범주를 나누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1) 예비유아교사들은 실습지도교사와 실습생의 관계에 대하여 실습 전에는 두 주체간의 힘의 분배정도에 따라 인식하고 있었으며 분배의 정도에 따라 4가지 종류, 즉 서로 호혜적인 관계, 도움을 주는 자와 도움을 선별하는 자의 관계, 도움을 주는 자와 받는 자의 관계, 미완성자를 완성시켜가는 자의 관계로 나누었다. 2) 예비유아교사들은 실습 후에 실습지도교사와 실습생의 관계를 분배의 정도에 따라 4가지 종류, 즉 서로 호혜적인 관계, 도움을 주는 자와 받는 자의 관계, 각인관계, 절대권력을 휘두르는 지배자와 피지배자의 관계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힘의 분배양식 이 실습 전보다 좀 더 분명하고 극단적인 형태로 나타났다.

      • KCI등재

        다문화 결혼 이민자 어머니의 부모참여에 대한 인식과 실제에 대한 연구

        권이정(Kwon, Yijeong)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2018 어린이미디어연구 Vol.17 No.1

        본 연구는 다문화 결혼 이민자 어머니의 부모참여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고 실제로 자녀의 교육을 위해 실행하는 활동의 실제에 대해 알아보기 위하여 시행되었다. 이를 위해 사례연구법(Case Study)을 사용하였으며 의도적 층화추출 표집(A stratified purposeful sampling) 방법을 이용하여 다문화 결혼 이민자 어머니 5인을 선정하였다. 심층 면담법을 사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고 각 어머니에게 총 3회씩의 면담을 실시하였다. 첫 번째 면담에서는 반구조화된 질문지법을 사용하였고 두 번째와 세 번째 면담에서는 구조화된 질문지법을 이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계속해서 읽으면서 반복되는 패턴을 찾아 주제를 만들었다. 본 연구에서 어머니들은 유치원 뿐 아니라 가정에서 유아의 학업을 위해 부모가 돕는 모든 활동이 부모참여라고 인식하고 있었으며 이에 맞게 부모참여활동을 실행하려고 노력하고 있었으나 부모참여를 통해 도와줄 수 있다고 인식하는 활동과 실제 어머니들의 부모참여 사이에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perception of multicultural immigrant mothers’ parent involvement to help their children’s education. For this purpose, case study was used and 5 multicultural immigrant mothers were selected as study participants using A stratified purposeful sampling method. Three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each multicultural immigrant mother using in - depth interview method to collect data. The semi - structured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the first interview and the structured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the second and third interviews. In order to analyze the collected data, the researcher continued to read to find recurring pattern and categorized. In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multicultural immigrant mothers perceived parent involvement from a comprehensive perspective. As a result, multicultural motherts perceived that parents participation in activities to support children’s education in kindergarten as well as home was considered as parent involvement. However, there was a difference between the activities that the parents perceive to be able to help their children through their participation and the actual activities.

      • 부모교육에 대한 부모와 기관장의 인식 비교

        권이정(Yijeong Kwon),박수진(Sujin Park),이경희(Kyunghee Lee),조미경(Mikyung Jo)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2017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Vol.2017 No.10

        본 연구는 부모교육에 대한 부모와 기관장의 인식에 차이가 있는가를 비교하기 위하여 이루어졌다. 연구의 자료를 수집하기 위하여 설문지법을 사용하였으며 연구의 대상은 86명의 어린이집 기관장과 어린이집에 재원하고 있는 5세 유아를 둔 부모 94명 이었다. 연구결과는 SPSS 18을 사용하여 통계분석을 하였으며 부모와 기관장의 인식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교차분석과 t검증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나타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부모와 기관장은 부모교육의 필요성과 주제에 관해서 인식에 차이가 있었다. 운영방법에 대해서는 부모교육을 실시하는 요일에 관한 내용 이외의 모든 항목, 즉 횟수, 시간, 강사, 홍보방식에 대한 부모와 기관장의 인식이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부모교육을 활성화하기 위한 방법과 도움이 되는 프로그램에 대한 인식에 있어서도 부모와 기관장은 차이를 보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perceptions of parent and supervisor of child care centers about parent education. The questionnaires were used to collect the data of the study.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94 parents who have 5 - year - old children who were in child care centers and 86 supervisors of child care centers.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nalyzed using SPSS 18 and Chi-square analysis and t - test were used to find out the difference of perception between the parents and the supervisor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Parents and supervisors are differed in perceptions about the needs and themes of parent education. As for the method of operation, the parents and the head of the agency differed in all items other than the day on which the parent education was conducted, namely, the number of times, the time, the instructor, Finally,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parent and supervisor in terms of how to activate parent education and awareness of helpful programs.

      • KCI등재

        유 · 초등 특수교사들의 다문화에 대한 관심도와 배경변인에 따른 인식과 태도 및 교수효능감 차이

        권이정(Kwon, Yijeong),박현주(Park, Hyun-Ju) 한국영유아보육학회 2014 한국영유아보육학 Vol.0 No.86

        본 연구에서는 단설 및 병설유치원, 일반학교 특수학급, 그리고 특수학교에 재직 중인 특수교사 162명을 대상으로 다문화에 대한 관심도, 다문화교육에 대한 인식과 태도 및 교수효능감이 그들의 배경변인에 따라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에 대해 알아보았다. 조사 결과 교사들의 교직경력에 따라 다문화에 대한 관심도에 차이를 보였으나 그 외의 변인에 대해서는 관심도에 차이가 없었다. 또한, 다문화 교직경력과 근무기관에 따라 다문화교육에 대한 인식, 태도, 교수효능감에 집단 간에 통계적으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특수교사들의 종교 유무에 따라 다문화교육에 대한 교수효능감에서 집단 간에 차이가 나타났고, 다문화 아동과의 접촉 경험 유무에 따라 다문화교육에 대한 인식에서 집단 간에 차이가 나타났다. 그리고 다문화교육에 대한 인식과 태도 및 교수효능감 간에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다문화교육 구현을 위한 교사교육 프로그램 개발의 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This study aims to inquire whether special education teachers" multicultural awareness, multicultural attitudes, and multicultural teaching efficacy differ depending on their background variables: teaching years, institution type, religion, and experience with children who have foreign parent(s). For this purpose, 162 special education teachers were chosen for this study; the survey method was used to collect data. To analyze the data, an independent variable t-test, correlation, and ANOVA were used, and a Tuckey test was also used for a post hoc comparison. Through this study, these findings were found: 1) There is no difference between groups based on their teaching years and institution type. 2) Experience with children who have foreign parent(s) influences multicultural awareness. 3) Religion influences multicultural teaching efficacy. 4) Multicultural attitudes, multicultural awareness, and multicultural teaching efficacy are correlated.

      • KCI등재

        메타포이미지를 활용한 예비유아교사들의 실습지도교사와 실습생의 관계에 관한 인식 연구

        권이정(Kwon Yijeong) 서원대학교 사범대학 부설 교육연구소 2015 교육발전 Vol.35 No.1

        본 연구에서는 메타포이미지를 활용하여 예비유아교사들이 인식하고 있는 실습지도 교사와 실습생의 관계에 관한 개념을 알아보았다. C시의 4년제 유아교육과에 재학하고 있는 4학년 학생 45명이 연구에 참여하였으며 교육실습을 다녀온 후 제출한 메타포이미지와 저널을 중심으로 분석이 이루어졌다. 연구결과 예비유아교사들은 실습지도교사와 실습생의 관계를 두 주체간의 힘의 분배정도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그 정도에 따라 4가지 종류의 관계로 나누었다. In this study, a metaphor image of pre-kindergarten teacher’s regarding the concept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 and apprentice training that they recognize was examined. 44 senior students who attended Early Childhood Education department at a university and completed teaching practicum course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result is followed: Pre-service teachers were aware of the relationship between an apprentice and her/his apprentice training teacher based on the balance of power between the two subjects. The relationship was divided into four types depending on the degree of power balance.

      • 증강현실 기반 그림책이 만 2세 영아의 언어발달과 주의집중에 미치는 영향

        방현실(Bang, Hyun-Sil),권이정(Kwon, Yi-Jeong)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2018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Vol.2018 No.6

        본 연구는 만 2세 영아들의 언어발달과 언어표현력, 주의집중에 증강현실 그림책이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았다. G시에 소재한 어린이집 2곳 21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여 전통적 교수방법집단, 증강현실 기반 교수방법 집단, 전통적 교수와 증강현실 기반 교수방법을 함께 사용한 집단으로 구분하였다. 실험은 4주간 16회가 실시되었으며 언어발달을 측정하기 위해 PRES를 사용하였고, 주의집중 분석을 위해 비디오 촬영을 실시하여 시간 표집법을 활용하였다. 연구 결과 전통적 교수와 증강현실 기반 교수방법을 함께 사용한 집단은 다른 교수 방법 집단에 비해 언어발달과 주의집중에서 유의한 향상을 보였으나, 표현력 향상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지 않았으며, 증강현실 기반교수 방법만 받은 집단은 전통적 교수방법을 받은 집단과 유의한 차이가 나지 않았다. 본 연구의 결과를 보면 증강현실 기반을 적용한 언어 발달 교육프로그램이 만 2세 영아의 언어발달과 주의집중 향상을 위하여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augmented reality picture books on language development, language expressiveness, and attention in 2 – year – old infa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21 2 – year – old infants in G city were selected as study subjects and classified into traditional teaching method group, augmented reality - based teaching method group, and traditional teaching and augmented reality - based teaching method.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16 times for 4 weeks. PRES was used to measure language development, and video was taken for attention analysis and time sampling method was used.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 group using traditional teaching and augmented reality-based teaching methods showed a significant improvement in language development and attention, compared with other teaching methods.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expressive ability improvement among groups based by teaching method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groups receiving the traditional teaching method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a language ability training program based on augmented reality can be effectively used to improve the language ability and attention of 2 – year – old infa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