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고등학교 학생들의 인지 양식과 인지 수준이 화학 문제 해결에 미치는 영향

        권소현(So Hyeon Kwon),최병순(Byung Soon Choi) 한국과학교육학회 2002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22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the influence of students` cognitive styles and cognitive levels on chemistry problem solving. 322 1 lth grade students were administered Group Embedded Figures Test (GEFT), Group Assesment of Logical Thinking(GALT), and chemistry problem solving task about mole and stoichiometry. Chemistry task was made of ten items, 5 items of them include misleading factor(irrelevant information). The students who are field-independent and in formal operational stage got higher scores than those who are field-dependent and in transitional stage. In 5 items which have no misleading factor GALT had significantly contributed to the regression equation, while in 5 items which have misleading factor GEFT was significant contribution to the regression equation. In two items of misleading items, students who used the irrelevant information were significantly more field dependent than those who did not use this information.

      • KCI등재

        부산북항재개발사업에서 색채계획을 통한 경관조성방안

        권소현(So-Hyun Kwon),이중우(JoongWoo Lee) 한국항해항만학회 2012 한국항해항만학회지 Vol.36 No.8

        국내 최초로 대규모 항만재개발이 추진되고 있는 부산북항재개발 사업에서도 항만도시의 경쟁력을 위해 국가차원에서의 경관계획을 반영하고 있으며, 해양도시 이미지 개선 및 가치향상의 과정에서 고유의 자연, 역사, 문화적 자원과 함께 각종시설, 건축물, 상징물, 생태녹지대의 상황과 특성에 맞는 경관조성에 노력을 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먼저 부산의 경관의 특성을 분석하고, 부산시도시디자인계획(2010), 특히 색채계획과 해외의 경관색채계획의 사례조사를 수행하였다. 이를 통해 부산북항재개발 사업에서 색채계획을 반영한 경관조성방안을 다루었으며, 그 결과는 향후 다른 재개발사업에서 기초자료로 활용 할 수 있으리라 판단된다. In the Busan North port redevelopment project, which is the first large scale port redevelopment project in this country, it adopted the national landscape plan for competitiveness of port city. Furthermore, it includes many efforts on landscape formation in the process of improvement of ocean city image and enhancement of its value, which fits for the situation and characteristics of the original nature, history, and culture resources, together with all facilities, structures, symbols, and eco green belt. Firstly this study attempted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Busan landscape, Busan city design plan(2010), especially coloring plan, together with the case study of landscape color plan for foreign countries. From the basis of this analysis, it was proposed a landscape enhancement strategy in the Busan North port redevelopment project through the coloring plan and it is expected that the result would be used for the basic data for other redevelopment project.

      • KCI등재

        AHP를 이용한 선교항해장비의 상대적 중요도 평가

        권소현(So-Hyun Kwon),정우리(Woo-Lee Jeong),문성배(Serng-Bae Moon) 한국항해항만학회 2021 한국항해항만학회지 Vol.45 No.1

        IMO는 자율운항선박을 인간의 간섭으로부터 독립하여 다양한 수준으로 운용되는 선박으로 정의하였다. 자율운항선박 안전운항지원서비스는 항계 및 협수로 내에서 안전하게 항만에 접이안하여 화물을 신속하게 적양하 할 수 있도록 육상에서 지원하는 공공 서비스 개발을 통해 자율운항선박의 안전성과 효율성을 향상시키기 위함이다. 이를 위하여 안전운항지원서비스에는 자율운항지원, 접이안 및 계류지원, 화물 적양하 및 선박입출항 지원, PSC 점검 지원, 상태모니터링 지원, 사고대응지원의 6종 서비스 개발을 포함하고 있다. 이 중 사고대응지원서비스를 위해 선교항해장비에 대한 상대적 중요도를 전문가 집단의 의사결정방법 중 하나인 AHP 방법을 사용하여 구체적이며 정량적인 방법을 통해 객관적인 판단으로 안전하고 효율적인 안전지원서비스 제공을 위한 선교항해장비를 계층화하여 상대적 중요도를 평가하였다. 자율운항선박 안전운항지원서비스 중 사고대응지원서비스를 위한 선교항해장비를 수심정보, 위치정보, 속력정보로 구분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AHP 적용결과, 수심정보, 위치정보, 속력정보의 순으로 중요도를 평가하였으며, 위치정보제공을 위한 장비별 상대적 중요도는 레이더, DGPS, ECDIS, 자이로 컴파스, 자동조타장치, AIS 순으로 평가하였다. 이는 항해사 장비별 활용도와 해양사고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설문조사결과와 유사함을 알 수 있었다. According to IMO, MASS is defined as a vessel operated at various levels independent of human interference. The safety navigation support service for MASS is designed to improve the safety and efficiency of MASS by developing public services on shore for ship arrivals/departures and for cargo handling. The safety navigation support service consists of a total of six types of services: autonomous operation, berthing/unberthing/mooring, cargo handling and ship arrival/departure service, PSC inspection, condition monitoring, and accident response support services. In order to support accident response service, the relative importance of a bridge navigational equipment was assessed by stratifying the navigation system to provide safe and efficient support services by objective judgment through specific and quantitative methods using AHP, one of decision-making methods used by an expert group. The survey was conducted by dividing the bridge navigational equipment into depth, location, and speed information. As a result of applying the AHP method, the importance of depth, location, and speed information was assessed. The relative importance of each equipment for providing location information was also assessed in order of Radar, DGPS, ECDIS, Gyro compass, Autopilot, and AIS. This was similar to survey results on the utilization of each operator’s preference and its impact on marine accidents.

      • IoT 제어를 위한 비전 기술과 프로젝션 AR 통합 맥락 인지 기술

        권소현(So-Hyun Kwon),차진원(Jin-Won Cha),변정현(Jung-Hyun Byun),한탁돈(Tack-Don Han) 한국HCI학회 2020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Vol.2020 No.2

        다양한 스마트 스페이스에 대한 연구가 진행됨에 따라 Internet of Things(IoT)를 이용한 스마트 스페이스 연구 또한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연구는 일반적으로 다양한 센서를 이용하여 맥락인지(context-awareness)기술을 이용한 IoT 제어 플랫폼을 중심으로 진행된다. 하지만 기존의 IoT 제어에 사용되는 맥락 인지 기술은 다수의 센서를 기반으로 하며 비용이나 확장성 및 사용자의 편의성면에서 비효율적이라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이에 본 논문은 비전 기술과 프로젝션 AR 을 결합한 형태의 맥락 인지 기술을 제안한다. 또한 하나의 비전 카메라와 프로젝터만을 사용하여 높은 확장성 및 편리함을 제공하는 기술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기술은 여러 종류의 IoT 를 제어하는 등의 다양한 스마트 스페이스 환경에서 객체 제어에 많이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 다구찌기법을 이용한 920㎒ 대역 RFID 리더 안테나 설계 연구

        권소현(So-Hyun Kwon),고재형(Jae-Hyeong Ko),최진규(Jin-Kyu Choi),정찬용(Chan-Yong Jung),홍재희(Jae-Hee Hong),김형석(Hyeong-Seok Kim) 대한전기학회 2009 대한전기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2009 No.7

        본 논문에서는 다구찌 기법을 사용하여 최적설계 한 중심 주파수가 920㎒인 휴대용 RFID 리더안테나를 제안한다. 제안한 안테나는 모서리가 절단되고 정사각형 마이크로스트립 패치에 네 변으로부터 슬롯을 갖는 구조이다. 이러한 슬롯구조는 마이크로스트립 패치안테나를 소형화 시킬 수 있으며, 슬롯이 없는 구조에 비해서 약 18%의 안테나 크기 감소가 가능함을 실험을 통해 확인 하였다. 슬롯의 구조를 갖게 되는 소형의 안테나는 복잡한 설계변수에 따라 변화하므로 최적의 안테나 설계를 위해서는 해석 및 시험단계에 수많은 반복이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해석 및 실험 횟수를 최소화할 수 있는 실험계획법인 다구찌법의 직교배열 표를 도입하여 설계할 때의 주요 요소들의 민감도 해석을 수행하고 그 영향성을 분석하여 해석결과를 바탕으로 설계반복을 최소화 하면서 최적의 구조를 갖는 안테나를 설계 하였으며 유전율이 4.4이고, 두께가 3.2㎜ 인 Epoxy 1.6T의 기판상에 제작한 안테나 특성에 대한 실험 결과를 제시하였다.

      • KCI등재

        자폐 스펙트럼 장애 아동의 라이트 박스 훈련이 감각처리 및 작업에 미치는 영향: 단일사례연구

        권소현(So-hyun Kwon),안시내(Si-Nae Ahn) 한국인지운동치료협회 2020 한국신경인지재활치료학회지 Vol.12 No.1

        목적: 자폐 스펙트럼 장애 아동의 라이트 박스 훈련이감각처리 및 작업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고자 하였다. 방법: 본 연구는 단일 대상 연구로 행동간 중다 기초선설계를 적용하였다. 중재는 주의집중, 소근육, 변별에 대한라이트 박스 훈련으로 진행하였다. 기초선과 중재기의 모든회기에서 각 과제 기반 영역에 대한 평가를 실시하였으며, 사전·사후 평가로 감각처리, 놀이, 사회성숙도에 대한 평가를 실시하였다. 각 회기의 평가와 사전·사후 평가 결과는시각적 분석과 경향선 분석을 통해 중재 효과를 입증하였다. 결과: 회기별 평가 결과, 주의집중·소근육·변별 영역에서 기초선에 비해 중재기에 평균 점수가 증가하여 경향선의기울기가 급격하게 증가하였다. 중재 전후 평가 결과, 전반적발달 연령은 일정하게 유지되었으며, 감각처리-감각요소(낮은 지구력/근긴장도)의 감각 처리 능력이 증가하였으며, 놀이와 사회성숙도의 중재 점수가 증가하였다. 결론: 자폐 스펙트럼 아동의 라이트 박스 훈련은 감각처림및 작업의 수행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으며, 작업치료의적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We examined the effects of Light Box training on sensory processing, play and occupation of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This is a single-subject study with a design of multiple-baseline across behaviors. The intervention proceeded with Light Box training for attention, fine motor, and discrimination. The assessment of each task-based area was carried out at all sessions of the baseline and intervention period, and the assessment of sensory processing, play, and social maturity was conducted through pre- and post-evaluation. The evaluation results of each session and the pre-post evaluation results were compared through visual analysis and trend line analysis. In the results of each session evaluation, the inclination of the trend line increased drastically in the attention, fine motor, and discrimination, because the average score increased during the intervention period compared to the baseline. In the results of the pre-post evaluation, the pervasive developmental age remained constant, while scores of the sensory processing-sensory factor(low endurance/ton) as well as play and social maturity increased. Light Box training on children on the autism spectrum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sensory treatment and work performance and confirmed the applicability of occupational therapy.

      • 전라지역 분청사기 가마터 조사 현황과 성격

        권소현(Kwon Sohyun) 국립광주박물관 2018 아시아 도자문화 연구 Vol.- No.1

        고려말기 상감청자의 전통을 계승하여 제작되기 시작한 분청사기는 전국 각지의 가마들을 통해 다양한 모습으로 제작되는데, 특히 경상도 지역에서는 인화 분청사기, 충청도에서는 철화 분청사기, 전라도에서는 조화박지 분청사기가 유행하는 지역적인 특색을 보인다. 본 논문은 이러한 분청사기의 특징으로 얘기되는 지역적 특색에 대해 현재까지 발굴조사를 통해 알려진 전라도 지역 가마터의 현황을 살펴보고 그 성격에 보다 구체적으로 접근해 보고자 하였다. 조사된 자료를 통해 운영시기, 지역에 따른 제작 양상 등 지역적인 특징을 파악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분청사기 가마터는 1980년대를 시작으로 지표조사와 발굴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는데, 본 글에서는 전남지역 광주 충효동, 고흥 운대리, 보성 도촌리, 영암 상월리, 곡성 구성리, 장성 추암리 등과 전북지역 부안 우동리, 완주 화심리, 고창 수동리, 고창 용계리, 고창 용산리, 김제 청도리 등 발굴조사가 이루어진 가마터를 대상으로 발굴 개요 및 출토 유물의 특징을 살펴보고, 기형, 시문 장식기법, 명문을 중심으로 그 성격과 제작시기 등을 살펴보았다. 전라지역 분청사기의 특징은 첫째 제기의 제작, 둘째 시문장식기법 중 조화박지 기법과 분장기법에서 그 특징을 크게 꼽을 수 있는데, 반상기와 저장운반용기의 구분에 따른 시문기법의 차이가 나는 것을 알 수 있다. 셋째, 조선청자, 백자, 흑유와 동반 생산되고 있다. 넷째, 출토되는 명문 중 관사명으로는 ‘내섬’, ‘예빈’, ‘인수’, ‘장흥’, ‘사(선)’ 이 있다. 이 외에도 지명, 용도, 사기장 이름, 품질표시, 지방관아명 등의 명문도 일부 보인다. 이러한 특징들을 종합해 볼 때, 고려말 상감청자의 전통을 이은 상감 분청사기의 제작에서부터 백자로 이행해가는 과정, 분청사기의 마지막 단계인 덤벙분장 분청사기의 제작까지도 모두 포함하고 있어 전라지역 분청사기의 제작시기는 14세기 말~16세기 전반까지라고 말할 수 있다. 향후 다른 지역 분청사기와 비교한다면 전라지역 분청사기의 특징과 성격이 보다 명확해지리라 생각된다. Taking the baton from the sanggam (inlaid) celadon tradition at the end of the Goryeo Dynasty, buncheong ware began to be produced in a variety of forms at kilns across the country. Gyeongsang-do Province mainly produced buncheong ware with stamped designs. In Chungcheong-do Province, buncheong with designs in iron underglaze prevailed Jeolla-do Province specialized in buncheong with incised and sgraffito designs. This paper examines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of buncheong ware by scrutinizing buncheong kiln sites in Jeolla-do that have been discovered in excavation surveys. This survey data will also aid in the identification of regional characteristics, such as operation periods of kilns and aspects of buncheong production. Buncheong kiln sites have been investigated through excavations and ground surveys conducted since the 1980s. This paper analyzes excavations and excavated relics from surveyed kiln sites in Chunghyo-dong, Gwangju; Undae-ri, Goheung; Dochon-ri, Boseong; Sangwol-ri, Yeongam; Guseong-ri, Gokseong; and Chuam-ri, Jangseong in South Jeolla-do Province as well as Udong-ri, Buan; Hwasim-ri, Wanju; Sudong-ri, Gochang; Yonggye-ri, Gochang; Yongsan-ri, Gochang; and Cheongdo-ri, Gimje in North Jeolla-do Province. It further explores characteristics and production dates of buncheong wares by inspecting forms, decoration methods, and inscriptions. The four distinctive features of the buncheong ware produced in Jeolla-do Province are as follows: (1) the prevalence of ritual vessels; (2) the wide use of incising, sgraffito, and slipping methods, which were employed differently in tableware and containers for storage and transportation; (3) the production of Joseon celadon, white porcelain, and black-glazed stoneware alongside buncheong ware; (4) inscriptions of office names, such as “Naeseom” (Procurement Office), “Yebin” (Dignitary Reception Agency), “Insu” (Office of Abdicated Kings), “Jangheung” Office, and “Sa (seon)” (Office of Royal Cuisine), as well as place names, intended uses, names of master ceramicists, quality marks, and names of regional offices. Buncheong wares from Jeolla-do include the sanggam buncheong that inherited the tradition of sanggam celadon in the late Goryeo period and evolved into white porcelain and the buncheong dipped in white slip, the type that emerged in the final stage of buncheong’s development. Buncheong wares from Jeolla-do appear to have been produced in the late fourteenth to early sixteenth centuries. Further comparison between buncheong wares from Jeolla-do and those from other regions will help to more clearly characterize Jeolla-do buncheong war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