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Saccharomyces cerevisiae에서 번역 개시 인자 eIF1A 돌연변이에 대한 분석

        권성훈,김준호,최보경,김나연,최도희,박경준,어정현,배성호,Kwon, Sung-Hun,Kim, Jun-Ho,Choi, Bo-Kyung,Kim, Na-Yeon,Choi, Do-Hee,Park, Kyoung-Jun,Eoh, Jung-Hyun,Bae, Sung-Ho 한국미생물학회 2009 미생물학회지 Vol.45 No.3

        번역 개시 인자 eIF1A는 진핵생물에서 43S preinitiation complex 형성을 비롯한 번역 개시 과정의 여러 단계에서 필수적인 역할을 하며, 잘 보존된 oligonucleotide-binding (OB) fold를 가지고 있는 단백질이다. 본 연구진은 이전 연구에서 eIF1A가 RNA annealing 활성을 가지고 있으며 double-stranded RNA에 결합하여 안정된 복합체를 형성한다는 것을 발견한 바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활성을 나타내는데 필요한 active site를 찾고, 이러한 활성이 효모의 성장에 필수적인 기능인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여러 가지 돌연변이를 제조하였다. N-말단과 C-말단은 제거되었지만 완전한 OB-fold를 가지고 있는 eIF1A($\Delta$T)는 RNA annealing 활성을 보이는 반면, OB-fold에 돌연변이가 도입된 단백질들은 모두 활성이 사라졌다. 또한, R57D 돌연변이를 제외한 모든 OB-fold 돌연변이는 dsRNA에도 결합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eIF1A의 RNA annealing 활성과 dsRNA 결합에는 완전한 OB-fold domain이 필요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돌연변이들이 효모의 성장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 RNA annealing 활성과 효모의 성장은 뚜렷한 연관성이 없었으며, 적어도 R57D와 K94D 경우에는 돌연변이가 성장하지 못하는 원인이 생체 내 eIF1A 단백질의 안정성과 관계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Translation initiation factor eIF1A performs essential functions in various initiation steps including 43S preinitiation complex formation in eukaryotes, and contains a highly conserved oligonucleotide-binding (OB) fold. In our previous study, we discovered that eIF1A possesses RNA annealing activity and forms a stable complex with double-stranded RNA. In this study, we initiated site-directed mutations in eIF1A to find the active sites for these biochemical activities and to investigate whether they are essential functions for yeast cell growth. A truncated protein, eIF1A($\Delta$T), devoid of both N- and C-terminal domains but containing an intact OB-fold exhibited RNA annealing activity. In contrast, all point mutations in OB-fold domain, except R57D, impaired both RNA annealing and dsRNA binding activities, indicating that the intact OB-fold domain is required for both activities. Viabilities of the mutant yeast cells were not correlated with RNA annealing activity but with the in vivo protein stabilities in the case of R57D and K94D.

      • KCI등재

        조지훈 시의 시조 형식미와 존재적 공간성

        권성훈(Kwon Sung Hun) 동아인문학회 2021 동아인문학 Vol.54 No.-

        본고는 고전미가 함의 된 조지훈 시편이 전통적 시가로 구축되었다고 보고, 시조 형식미와 함께 존재적 공간성에 주목했다. 현대문학사에서 조지훈(1920~1968) 시는 고전미에 입각하여 전통성과 함께 민족정서를 동양사상으로 형상화 했다. 민속학과 역사학을 겸비해온 그의 전통적 세계관을 시로 한정 지을 때 시가 양식인 시조 형식을 통해 창작된 시편들이 두드러진다. 게다가 초기 현대작품에서 전통 율격으로 전개되는 시를 통해 시조 부흥에 직간접적으로 이바지하고 하고 있다. 그의 고전미는 살펴볼 시편에서 시조 양식으로 민족 정서를 보존하고 계승하는데 발휘되고 있다는 사실이다. 요컨대 이글은 조지훈 시편들의 시행 배열들이 전반적으로 시조 율격을 바탕으로 하고 있으며, 그것은 전통을 구현하고 고전을 강화시키고 있다는 것을 밝히는데 있다. 조지훈의 시는 시조의 독특한 미학 형식인 초장, 중장, 종장의 3행과 3장 6구 4음보라는 일정한 개념을 유지하고 있다. 다만 그의 한편의 시가 완결된 시조 형식을 모두 갖추어 있지는 않지만 부분적으로 시조 형식을 취하고 있다는 것이다. 그것은 각 장에서 각각의 음보와 구, 자수 등의 각각의 마디를 통해 시적 리듬과 함께 음악성을 가지게 하는데 기여한다. 전통 율격인 3장 6구 4음보를 기본 구조로 하는 시조 형식에의 시편들이 그의 작품에서 주로 발견되고 있다. 그렇지만 그동안 조지훈의 연구는 동양적 고전을 추구하며 민족적 전통성을 수호했다는 시론에만 머물러 있는 한계를 드러내고 있다. 또한 고전미를 형식미로 고찰한 경우 전통의식과 연관되어 있다고 평가할 뿐 구체적으로 시조 형식을 대입한 탐구가 없었다. 이에 해방기 전후 전형적인 시조 형식미로 전통성을 구현해온 조지훈의 시편에 천착했다. 거기에 담긴 의미를 마르틴 하이데거가 존재와 시간 에서 주장한 공간성으로 살폈다. 하이데거는 존재하는 모든 것은 내부성이라는 공간 속에 속해 있기 때문에 이를 배제하고는 현존재를 설명할 수 없다고 했다. 이것은 세계의 공간성으로 파악하는 것으로 현존재는 환경세계라는 현상 속에서 만나는데 있다. 이처럼 세계 내부에 있는 현존재는 그러한 공간성을 통해 확인할 수 있으며 상호관계에 의해 구성된다는 것이다. In the history of modern literature, Cho Ji-hoon (1920~1968) built tradition and ethnic sentiments in Eastern thought, based on classical beauty. When limiting a poetry-only view of his traditional worldview, which combines folklore and history, the psalm created through the form of sijo of the poetry style stands out. In addition, it is an early contemporary work that directly or indirectly contributes to the renewal of sijo when it was developed in traditional rules. His classical beauty is the fact that it is demonstrated in maintaining and inheriting the ethnic sentiment in sijo form of the psalm to be examined. In short, the execution arrangements of the psalms are generally based on sijo rules, which embodies tradition and reinforces the classics. This tells us that he was trying to create a near original form inherited from ancient shijo rather than referring to the transitional malformed time of the early modern sijo. At the time of Cho Ji-hoon, he maintained a certain concept of the founder"s unique aesthetic formal first chapter, middle chapter, last chapter general 3 lines and 3 chapters, 6 wards, 4 notes. However, although his poems do not have all of the completed Sijo form, they are partially in the Sijo form. It contributes to having musicality with poetic rhythms in each chapter through each node such as each note and ward, embroidery. His work mainly finds the psalm in sijo form, which is based on the traditional rule"s 3 sheets, 6 wards, and 4 notes. However, in the meantime, Cho Ji-hoon"s research has shown the limitations that remain only in the poetic theory that he pursued oriental classics and preserving ethnic traditions. In addition, when considering classical beauty as formal beauty, it is only evaluated that it is associated with traditional rituals, and there was no search that specifically substituted sijo form. In this regard, attention was paid to the psalms of Cho Ji-hoon, who inherited traditionalism before and after the liberation period and implemented the typical sijo formal beauty, and traced the meaning contained there to the spatiality that Martin Heidegger claimed in “Existence and Time.” Heidegger cannot explain the present existence without excluding it because everything that exists belongs to the space of internality. To grasp this in terms of world spatiality, the present existence is the existence that we meet in the phenomenon of the environmental world. In this way, the present existence inside the world can be confirmed through such spatiality and is composed of mutual relationships. In this way, the formal beauty that Cho Ji-hoon"s classical beauty acts on starts from the spatiality of the world. It can be grasped by dividing it into three stages, the spatiality of the present existence and the instrumental existence that exists in the space, which is the nature of the space of the world, that Heidegger said.

      • KCI등재

        장순하 초기 시조 의식 고찰

        권성훈(Kwon, Sung-Hun) 한국시조학회 2017 시조학논총 Vol.47 No.-

        이글은 전후시대 대표적 시조시인 장순하(1928~)의 초기 시조에 나타난 시의식을 탐구하였다. 장순하가 감각적인 방법으로 창작하고 있는 시세계를 시간적 상황, 공간적 상황, 개체적 상황으로 보았다. 이것은 고전과 전통 사이에서 시대의 요구와 함께 장순하의 독창적인 창작방법으로 유입되고 있으며, 그의 초기 시조에서 집중적으로 관찰되고 있다. 명시적으로 이를 근거로 장순하가 주창한 ‘현대 시조의 상황 의식’을 담보로 그의 초기시집인『백색부(白色賦)』와『묵계(默契)』에 드러난 시의식을 연구하고자 한다. 분석방법으로서 마르틴 하이데거의 『존재와 시간』을 통해 논의를 개진하였다. 본고가 주목한 그의 초기시는 인간, 자연, 우주, 민족, 조국, 생명, 세계, 실제, 근원 등 본질성과 실존성에 관한 관심과 사색이 상황 인식이라는 세 가지 창작방법으로서 시간적, 공간적, 개체적 의식으로 형상화되고 있다. 이 관점에서 하이데거의 존재론에서 선보인 시간성, 공간성, 일상성의 학문적 자장이 장순하의 시세계를 관통하고 있는 바, 이것을 도구화하여 초기 시조를 통해 밝혔다. 첫째 ‘시간적 의식과 근원적 존재성’에서는 자신이 속해 있는 현재라는 시간 속에서 역사를 호출한다. 그러면서 아픈 시간들을 인식하면서 민족을 통해 화자의 근원성을 성찰하게 하고, 현재는 과거를 통해 성장하고 그 안에서 자라온 실재라는, 근원적 의미를 살피는 등 시간 의식과 함께 근원적 존재성을 발견하게 한다. 둘째 ‘공간적 의식과 자연적 생명성’에서는 공간을 둘러싼 세계의 의미를 탐색하게 만든다. 이 때 공간은 한국적인 것으로 시적 풍경을 채우면서 세계 내부의 어떤 공간과 그 공간의 의미를 발견하게 해 준다. 또한 시에서 공간이라는 소재를 정할 때, 자신이 있었던 곳, 혹은 마땅히 있어야 하는 ‘장소’로 회귀하고 있다. 셋째 ‘개체적 의식과 일상적 공동체’에서는 민족을 이루고 있는 여러 ‘주체들의 연대’로 현시된다. 민족이라는 공동체 안에 놓인 개별적인 개체들의 삶을 통해 이 땅에 살고 있는 개체들의 실존을 보여준다. 이것은 한민족 안에서 개체가 겪어온 절망과 좌절의 역사도 이웃하고 있는, 민족 공동체 의식의 발로라는 것이다. This paper searched for the poetic awareness that was shown in the earliest sijos of the post-war representative prominent poet Jang, sunha. We can see that the market system that Jang, sunha created in a sensible way is a temporal situation, a spatial situation, and an individual situation. Between classical and traditions, this has flowed into Jang, sunha creative way of generation to the needs of the era, which is intensively observed in his early sijo. Explicitly, based on this, let's study the poet awareness that appeared in his early poetry collection "white part" and "tacit understanding", collateralized by "consciousness of contemporary sijo" . As a method of analysis, discussions were held using the "existence and time" of the multi-dimensional hierarchy. His early works focused on this time as three creative methods of interest recognition and contemplation about human, nature, space, ethnicity, motherland, life, world, actual, source, , Spatial, and individual consciousness. First, "temporal consciousness and fundamental existence" invoke history in the present time in which we belong. In addition to recognizing the time of illness, it is also necessary to recognize the origin of the speaker through ethnicity, and to explore the underlying meaning of the past, which has grown and developed in the past and to discover the root existence. The second, "Space consciousness and nature 's life" makes it possible to explore the meaning of the world around space. In this case, the space is filled with poetic scenery in the Korean style, and it is decided to discover the arbitrary space inside the world and the meaning of the space. In addition, when determining the material to be used as a space in the city, it has been returned to the place where it has to be or has to be natural. Third, "objective consciousness and everyday community" is manifested in several "solidarity of subjects" forming ethnic groups. This indicates the existence of an organism living in this area through the life of individual objects located in a community of ethnic groups. This is the development of consciousness of ethnic communities, which is adjacent to the history of despair and setbacks experienced by the object among the Korean people.

      • KCI등재

        현대 여성 시조의 무의식 재현 방법 연구 ― 정수자·홍성란 시조를 중심으로 ―

        권성훈 ( Kwon Sung-hun ) 한국시가문화학회(구 한국고시가문화학회) 2018 한국시가문화연구 Vol.0 No.41

        이글은 한국현대 여성 시조시인 정수자(1957-)와 홍성란(1958-)시조에 나타난 시의식을 분석심리학자 칼 구스타브 융(1875-1961)의 무의식을 중심으로 언어학의 관점에서 고찰하였다. 논구할 시인들의 시조에서 관찰되는 ‘심혼의 언어’들은 창작 과정을 거치면서 사물적 현상이나 감각적 요소에 즉물적 무의식이 삼투하여 기표로 저장된 것에 주목했다. 시인의 언어는 무의식과 개별적인 것이 아니라 선재된 세계의 자아와 동일화되어 주조되는 것이므로 서로 상호작용을 통해 반응하고 체화된 ‘무의식의 언어’로 나타나고 있다. 창작을 정신분석에서 볼 때 언어화되기 이전의 비언어는 비의식의 세계이기 때문에 근원적으로 존재하지 않는 듯 존재하는 무의식이 작품을 매개로 형상화되는 것이다. 이것을 융의 관점에서 무의식이 어떠한 존재적 양상으로 분화되는지에 대한 여성 시인에 대한 탐구는 남성 시인과 구별될 뿐 아니라 여성 시인만이 가지고 있는 ‘시적 도취’와 ‘정서적 특질’을 무의식의 언어로서 발견할 수 있다. 무의식적으로 시인들의 시에서 동원되는 것이 상징 체계의 언어라고 할 수 있으며, 그것은 시인의 욕망이 무의식의 의미 작용으로 통한다. 인류의 원초적 상징의 해석자로 평가받는 융은 무의식의 언어를 상징으로 해독하고 무의식을 개인적 무의식과 집단적 무의식으로 구분하였고, 집합적 무의식으로서 그림자(shadow), 페르소나(Persona), 아니마(Anima), 아니무스(Animus), 원형 등의 개념으로 확장되며 무의식의 세계와 자아가 통합된 자기실현(selbstverwirklichung)으로 나아간다고 보았다. 해석학 관점에서 보다 심화된 자아를 발견하고 성장된 인간 주체성을 찾아가는 것이 무의식 이론의 본질이라는 점에서 시인들의 텍스트에서 암시하고 있는 무의식 양상을 파악하고자 이러한 주된 개념들을 본고의 연구 방법으로 사용했다. 살펴볼 시인들의 시가 언어적으로 상징적 구조를 가지며 기억의 메모리에서 의식화되어 표상되고, 의식과 전의식을 거쳐 무의식적으로 억압된 이미지로 묘파되며, 상징성을 이루고 있다는 것을 여성 시조시인 정수자와 홍성란 시조를 통해 밝혔다. This writting examined from the perspective of linguistics centering on unconsciousness of analytic psychologist Carl Gustaf Jung(1875-1961), sijo poet shown in Korea’s modern women’s founder poet Jeong Suja(1957-) and Hong Seongran(1958-) founder. The “language of heart” observed in the founder of a poet pointing to notice, through the creative process, noticed that immediate physical unconscious penetrated into objective phenomena and sensory elements and was stored in the registration table. Because the language of the poet is formed not as individuals of unconsciousness but as identity with the ego of the wire material world, the poet also reacted through interaction without knowing, and it was dissolved in “unconscious language” has been done. As the nonverbal language before being translated into languages when viewing creation from psychoanalysis is a nonconscious world, it was formed as an intermediary of an unconscious work that existed so as not to exist fundamentally. From this Jung’s point of view, the quest for a woman poet that unconscious is differentiated into what existence is not only distinguished between male poets, but also the “poetic narcissism” that only female poets have I can find “emotional character” as an unconscious language. Being unconsciously mobilized in poetry can be the language of the symbolic system, which allows the poet’s desire to communicate with unconscious meaning. Judged as an interpreter of the primitive symbol of humanity, Jung deciphered the language of the unconscious as a symbol and separated the unconscious into a personal unconsciousness and a collective unconsciousness, and the shadow, persona, Anima, Animus and prototype, and proceeded to self-realization (selbstverwirklichung) in which the unconscious world and the self are integrated. From the viewpoint of analytics, trying to grasp the unconscious aspect implied by the poet’s text in terms of the essence of unconscious theory that finding a deepened ego and finding the subjectivity of a human being developed is these the main idea of this paper was used in the research method of this paper. It has a linguistically symbolic structure of the poet’s poem to investigate, it is expressed in memory of consciousness in memory of memory, through consciousness and preconscious, it was unconsciously suppressed in the image suppressed, it revealed through sijo poet of Jeong suja and Hong Seongran’s sijo that internal and external aspects. Therefore, it can have the foundation on which “conscious entity” “self” as “symbolic product unconsciously germinated” and “unconscious subject” such as “poet” can be considered. Specifically, it evoked a representation of remarkable memory in the case of text, analyzed through shadows, suppressed images to personas, double-sided symbols as Anima Animus for each animated chapter in each chapter, in texts, twelve in total.

      • KCI등재
      • 프레임 구조물에 대한 민감도 정보를 이용한 내구보강 기법의 적용

        권성훈(Sung Hun Kwon),유홍희(Hong Hee Yoo) 대한기계학회 2009 대한기계학회 춘추학술대회 Vol.2009 No.5

        In this paper, the technique to reinforce the durability performance of structure using the sensitivity information for the frame structure is applied. The fatigue life calculation for the frame structure is performed from the quasi-static and transient analysis and the characteristics of two methods are compared for the fatigue analysis. Then the reinforcement technique is applied. First, some design variables related to the locations of fatigue failure is selected. Then sensitivities of fatigue life at fracture points with respect to the variation of design variables are calculated and the vector composed of gaps between the target life and initial life cycles is calculated. If the number of fatigue fracture points is same as the number of design variables, the variations of the design variables are calculated from the linear algebraic equation. Ifnot, the variations of the design variables are calculated from the optimization formulation with the constraints.

      • KCI등재
      • KCI등재

        현대시조 전후 세대의 불교성 연구

        권성훈(Kwon, Sung-hun) 한국시조학회 2022 시조학논총 Vol.56 No.-

        본고는 1950년대 전후 세대의 현대시조에 나타난 불교적 양상을 통해 고유한 정형 양식과 그 의미를 탐구했다. 현대시조 문학사에서 1950년대 전후 시조는 현대시조 개척기로 평가한다. 현대시조 개척기의 전개 과정은 1910년대 현대시조 태동기와 1920~40년대 현대시조 모색기를 거치면서 발생 되었다. 1920년대 최남선, 이은상, 이병기 조운 등에 의해 펼쳐진 ‘시조부흥운동’과 함께 고시조라는 구태를 벗었다면 1950년대 시조 개척기에 현대문학 장르로써 시조가 본격적으로 확립되었다. 일제강점기에서 산업화 시대 사이에 놓인 당대의 문학은 전통과 순수로 구성되면서 세대의 변화와 함께 첨예한 대립을 촉발했다. 당시 소수 시조 시인들은 일제강점기와 해방 그리고 한국전쟁의 참상과 폐허 속에서 실존의 위기를 경험하면서 1950년대의 전통적 세계관을 시조 문학을 통해 열어갔다. 이들은 민족 유일한 주체적 언어로서 시조를 옹호하며 고전적 미의식과 형식미학을 펼쳤다. 게다가 개화기 근대시조 형성기와 현대시조 개척기에서 고수한 전통성을 수용하면서도 반근대적인 시조 형식의 변화를 모색했다. 이 가운데 삶의 변화와 시대적 문제를 시조를 통해 관찰하면서 이전에는 없었던 다양한 불교적 사유를 보여준다는 것이다. 이 글에서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1950년대 전후 세대 불교의식을 살피기 위해 2장에서는 1950년대 전후 시대와 시조를 고찰한다. 이어 3장에서는 전후 세대의 시조와 불교의식의 양상으로 세 가지로 분류해서 탐구했다. 먼저 1950년대 시조에서 불교적 사유로 구성된 시편을 통해 유사한 형식으로 형성된 작품군을 중심으로 고찰했다. 이 글은 텍스트 시편에서 두드러진 불교적 사유인 자연적 인과성, 부처의 표상, 인드라망의 세계 등을 시적 양식으로 형상화하고 있는 단시조, 연시조, 산문적 시조로 살폈다. 첫째 단시조와 자연의 인과성에는 이호우, 이영도, 최승범, 송선영을, 둘째 연시조와 부처의 표상에서는 김상옥, 박병순, 이태극을, 셋째 산문적 시조와 인드라망의 세계에서는 정소파, 장순하, 박경용 등의 시조를 중심으로 전후 세대 불교의식을 고찰했다. 1950년대 전후 세대 시조 개척기 시조 시인들은 시대적 좌절과 폐허 속에서 시조로서 전통의식을 추구하며 시조 부흥에 이바지했다. 그것은 저마다 시의식 속에서 민족 정서를 보존하고 시대정신을 계승하는데 불교적 사유가 결합 되어 나타난다. 이처럼 혼돈과 격동의 시기 불교적 사유를 가진 시조는 초월적인 것보다는 현실적으로 연원하며 실존적인 문제를 파고들고 있다는 것이 특이점이라고 할 수 있다. This paper explores the sijo orthopedic style and its meaning through the contemporary sijo Buddhist aspects of the generation around the 1950s. In the history of contemporary sijo literature, sijo before and after the 1950s is evaluated as a pioneering period of contemporary sijo. The development process of the modern sijo pioneering period occurred during the early period of the modern sijo in the 1910s and the search for the modern sijo in the 1920s and 40s. If the old form of ancestor sijo was removed along with the ‘Sijo Revival Movement’ conducted by Choi Namseon, Lee Eunsang, Lee Byeonggi and Jo Un in the 1920s, Sijo was established as a genre of contemporary literature during the pioneering period of sijo in the 1950s. The contemporary literature, which was placed between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and the industrialization period, is composed of tradition and innocence, triggering a sharp confrontation along with the change of generations. At that time, the minority sijo poets experienced the period of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and liberation, and the crisis of existence in the tragedy and ruins of the Korean War, and opened their world view through the sijo literature in the 1950s. They defended Sijo as the nation"s only independent language and cultivated classical aesthetics and formal aesthetics. While accommodating the traditions adhered to in the period of the formation of modern sijo and pioneering period of contemporary sijo during the enlightenment period, anti-modern sijo change was sought. By observing the changes in life and the problems of the times through sijo, it reveals a variety of Buddhist thinking that has never existed before. In order to examine the Buddhist consciousness in the before and after period in the 1950s based on previous research in this article, Chapter 2 examines the before and after period and sijo of the 1950s. In Chapter 3, we sought to classify the founders of the before and after generation and Buddhist consciousness into three categories. First, this study focused on a group of works formed in a similar format through the psalms composed of Buddhist thought in Sijo in the 1950s. Therefore, this article analyzed the Buddhist thoughts prominent in text psalms, such as natural causality, Buddha"s representation, and the world of Indraman, by dividing them into short sijo, sequence sijo, and prose sijo in poetic style. Studying on Buddhist consciousness of before and after generations focusing on sijo, the sijo poet of the text sijo, first, Lee Hou, Lee Yeongdo, Choi Seungbeom and Song Seonyeong for the short sijo and the natural causality, second, sequence sijo and Buddha"s representation, Kim Sangok, Park Byungsoon, Lee Taeguk, prose sijo and the world of Indraman, Jeong Sopa, Jang Soonha, Park Kyungyong. The sijo poets of the before and after generation in the 1950s who were examined in this way contributed to the revival of sijo by pursuing traditional consciousness as sijo amidst the frustration and ruins of the times. It preserves the ethnic sentiment in each ritual and manifests itself in combination with Buddhist reasons to inherit the zeitgeist. Buddhist consciousness, which appeared in a time of chaos and turbulence, operates realistically rather than transcendentally, and delves into existential problems.

      • KCI등재

        이지엽 시조 연구

        권성훈(Kwon, Sung-Hun) 우리문학회 2016 우리文學硏究 Vol.0 No.49

        이글은 한국현대시문학사에서 비교적 변방에 있는, 시조시인 연구로서 시대적 흐름의 관점에서 1980년대 이후 ‘현대시조의 개성화 시대’의 중심인물 이지엽(1958~)의 시조 세계를 논의하였다. 이지엽은 1979년 시조집 『아리사의 눈물』을 출간하여 등단한 이래, 1982년『한국문학』백만원 고료 시부분 신인상과 1984년 『경향신문』 신춘문예 시조가 당선되었고, 다수의 작품집을 출간하였고, 주요 시조 문학상 등을 수상하였다. 현대시조단의 문학적 성취를 보이며 문학계와 학계에 많은 영향을 미친 이지엽은 시조시인이자, 연구자로서 지속적인 창작과 시조 연구의 중심테마가 되어온 ‘토속어의 수용과 에코페미니즘’(사설시조) ‘비정형성의 구현과 기하학적 상상력’(비정형시조) ‘단시조의 개신과 단형 극서정성’(단시조) 등으로 세분화하여 그의 시세계를 구명함으로써 ‘현대시조의 개성화시대’(1980~2000년대)의 견고한 ‘미학적 동선’과 ‘시조사의 일축’을 확인할 수 있다. ‘토속어의 수용과 에코페미니즘’에서는 사설시조에 사실적 이야기를 거느리고 구체적 토속어를 접목시켜 자신만의 독특만 시어로 희화하고, 보편적인 의미 공간을 창출하면서 사회적, 생물학적인 ‘여성성의 한계’를 극복하여 ‘대지의 여성성’이라는 에코페미니즘의 시론을 구현하고 있다. ‘비정형성의 구현과 기하학적 상상력’에서는 시조정형을 감각적인 비정형성의 미의식으로 구현하면서 기하학적 상상력을 통해 탑재하여 직선적 불완전한 존재 속에 함이 된 곡선적 세계를 깨달아가는 의미의 차원으로 천착되어 진다. ‘단시조의 개신과 단형 극서정성’에서는 현대성에 부합하게 단시조를 개신하여 비정형적 단시조 안에서 형식미학을 찾아 ‘압축과 절제라’는 구도위에서 비정형적 구성과 의미의 배치를 통해 ‘일탈과 확장’을 주면서 서정을 극대화하는 바, ‘단형극서정성’이라는 새로운 권역을 구축하고 있다. This article discusses the poetic world of Lee Jee-yeub (1958-), a representative of the Korean poetry group, considered a “model of Korean modern poetry,” from the perspective of the eras in the history of Korea modern poetry. Lee Jee-yeub published the Korean poetic collection “Tears of Arisa (1979),” and afterwards, he received an award in the novice section in “Korean Literature,” winning one million won (1982). He also won the annual spring literacy contest in the Korean poetry section from the “Trend Newspaper”(1984), left a large number of anthologies, and was awarded a prize. He especially engaged in vigorous activities as a creator, founder, and researcher (university professor) in the area of Korean Poetry. Additionally, he published “open poetic”(1996), a work on overall literacy regarding poetry, particularly Korean poetry, and “Korean poem poetic”(2000), a work on Korea poetry-specific literacy regularly, which has never failed to have a positive influence on novice poets and researchers in the field of poetry. He also shared his ideas with them, which makes him unique in the modern Korean poetry group. In this context, it is easy to consider that people identify with Lee Jee-yeub in Korea’s modern poetry history. Additionally, this study serves to identify active poets in each period. These include the “modern Korean poetry beginning period”(1910), “modern Korean poetry exploitation period”(1920-1940), “modern Korean poetry form stable period”(1950-), “modern Korean poetry identity secure period”(1960-1970), and “modern Korean poetry individualization period”(1980-2000’s). The poets include Lee Byung-gi (1891-1968), Lee Tae-geuk (1913-2003), Kim Je-hyeon (1939-), Lee Jee-yeub (1958-) and others in this order in units of 20 years. Thus, Lee Jee-yeub had significant accomplishments in the modern Korean poetry group’s political and academic aspects, and exercised significant influence in literacy and academia;he departmentalized Korean poetry, focusing on continuous creation and research as a poet and researcher in the field of Korean poetry. His classification of Korean poetry is as follows: “acceptance of local language and eco-feminism”(editorial Korean poetry), “realization of informality and geometric imagination”(informal Korean poetry), “reformation of short Korean poetry and short-string extreme lyricism”(short Korean poetry), and soon. Hence, he could deepen his Korean poetry theory and therefore confirmed stable “aesthetic circulation” and “refusal of Korean poetry history” in the “modern Korean poetry individualization period” (1980-2000’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