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레지스터 전달 수준 설계단계에서 사전 클럭트리합성 가능여부 판단을 위한 경량화된 클럭트리 재구성 방법

        권나영,박대진,Kwon, Nayoung,Park, Daejin 한국정보통신학회 2022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Vol.26 No.10

        When designing chip, it considers design specification, timing problem, and clock synchronization on place & route (P&R) process. P&R process is complicated because of considering various factors. Chip uses clock tree synthesis (CTS) to reduce clock path dela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shallow-CTS algorithm for checking clock tree synthesizable. Using open source Parser-Verilog, register transfer level (RTL) synthesizable Verilog file is parsed and it uses Pre-CTS and Post-CTS process that is included shallow-CTS. Based on longest clock path in the Pre-CTS and Post-CTS stages, the standard deviation before and after buffer insertion is compared and analyzed for the accuracy of CTS. In this paper, It is expected that the cost and time problem could be reduced by providing a pre-clock tree synthesis verification method at the RTL level without confirming the CTS result using the time-consuming licensed EDA tool.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및 system on chip (SoC) 설계 시 디지털 회로는 클럭에 동기화되어 작동한다. 칩 설계 시, place & route (P&R)에서 설계 조건과 타이밍 조건, 클럭의 동기화 여부 등을 고려한다. P&R에서 클럭 경로에 대한 delay를 줄이기 위해, clock tree synthesis (CTS) 기법을 이용한다. 본 논문에서는 사전 클럭트리 합성 가능 여부 판단을 위한 shallow-CTS 알고리즘을 소개한다. 오픈 소스 Parser-Verilog를 사용하여 register transfer level (RTL) 합성가능한 Verilog를 파싱하여, Pre-CTS와 Post-CTS 단계를 진행하고, 가장 긴 clock path와 버퍼 삽입 전후의 표준편차를 비교하여 CTS의 정확도에 대해 분석한다. 본 논문에서 시간 투입이 많이 되는 licensed EDA tool을 사용하여 CTS 결과를 확인하지 않고, RTL 수준에서 사전 클럭 트리 합성 검증 방법을 제공하여 비용 및 시간문제를 감소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다수준 관점을 활용한 위험감수성향과 창의성과의 관계: 팀 수준 갈등의 매개역할

        권나영(Nayoung Kwon),오인수(Insoo Oh),김민수(Minsoo Kim) 한국인사조직학회 2019 인사조직연구 Vol.27 No.1

        빠르게 변화하는 환경으로 인해 조직은 끊임없이 혁신을 추구하고 있다. 이러한 기업의 혁신에 중요한 요소 중 하나가 창의성이다. 따라서 조직행동 분야에서는 창의성의 선행요인을 밝히기 위한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다. 또한 최근 들어 많은 조직들이 팀을 중심으로 성과를 관리하고 있기에 개인 창의성만큼이나 팀 창의성에 대한 연구 관심도 높아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다수준 관점에 따라 개인 창의성과 팀 창의성의 발현과정이 서로 다르게 나타날 것을 예상하고 이를 검증하였다. 먼저, 개인 수준에서는 위험감수성향이 높을수록 창의성도 높아질 것으로 보았다. 반면, 팀 수준의 위험감수 성향은 팀 갈등을 초래하고, 팀 갈등은 팀 창의성에는 부정적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았다.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국내 여러 기업의 구성원들에게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최종적으로 95개 팀 411명의 데이터를 분석에 이용하였다. 또한 본 연구의 데이터 구조가 다수준인 것을 감안하여 다수준구조방정식(Multilevel Structural Equation Modeling)을 활용하여 가설을 검증하였다. 가설 검증 결과 개인 수준에서는 위험감수성향이 높을수록 창의성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팀 수준에서는 팀 위험감수성향이 높을수록 팀 갈등이 높아지며, 팀 갈등은 팀 창의성을 약화 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개인의 위험감수성향은 창의성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지만, 팀 수준에서는 갈등으로 이어지지 않게 관리해야 할 필요성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창의성연구 확장이라는 의의를 지닐 것으로 기대된다. As employee creativity is an important source of organizational innovation and competitive advantage, organizations are increasingly seeking to foster individual creativity. In addition, with teamwork common in many organizations, individual creativity is often enacted in this context. Consistent with these trends, researchers have shown increasing interest in individual and team creativ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risk-taking orientation on individual and team creativity. We proposed that team risk-taking orientation associated with team creativity through team conflict. This study conducted multi-level analysis considering individual and team level simultaneously when team characteristics are composed of individual characteristics. To test our hypotheses, we collected survey-based data from diverse industries 411 employees and 95 teams in South Korea and utilized multilevel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lso we used Monte Carlo Method for assessing mediation effect. The results revealed that risk-taking orientation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individual creativity, but team risk-taking orientation was positively related to team conflict and that team conflict negatively related to team creativity. Moreover, the indirect effect of team risk-taking orientation through team conflict on team creativity. Based on these results, we discuss the theoretical and managerial implications of the study and suggest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on creativity.

      • KCI등재

        직무자율성과 급진적/점진적 창의성간의 관계: 팀 몰입의 조절효과에 관한 다수준 연구

        오인수 ( Insoo Oh ),김민수 ( Minsoo Kim ),권나영 ( Nayoung Kwon ),윤현주 ( Hyunju Yoon ) 한국중소기업학회 2016 中小企業硏究 Vol.38 No.4

        경영환경이 점차 불확실해지고 경쟁이 치열해 지면서, 조직 내 급진적 아이디어의 개발이 점차 강조되고 있다. 이에 단일한 창의성 개념에서 벗어나 급진적 창의성(radical creativity)과 점진적 창의성(incremental creativity)을 구분하여 연구할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개인의 직무자율성이 급진적 창의성, 점진적 창의성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또한 팀수준에서의 팀몰입 정도가 그들의 관계를 어떻게 조절하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를 위해 다양한 업종과 부서로부터 설문자료를 수집하였다. 먼저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직무자율성, 급진적 창의성, 점진적 창의성이 서로 구별되는 개념임을 확인하였다. 개별 구성원들은 팀에 소속되어 있는 존재이므로, 위계적 선형모형(HLM: Hierarchical Linear Modeling)을 통해 개인수준과 팀수준 변수를 동시에 고려하는 다수준(multilevel)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직무자율성은 급진적 창의성과 점진적 창의성 모두와 긍정적인 관계가 있었다. 팀수준의 팀몰입 정도는 직무자율성과 급진적 창의성간의 관계를 유의미하게 조절하는 효과가 있었다. 반면에 가설과는 달리, 팀몰입 정도가 직무자율성과 점진적 창의성간의 관계를 조절효과는 지지되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 한계와 향후 연구방향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팀 내에서 개인의 급진적 창의성이 잘 발휘되기 위해서는 직무자율성을 부여하는 노력을 더욱 장려할 필요가 있으며, 특히 팀 전체의 팀몰입 정도를 높일 필요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향후 급진적/점진적 창의성과 관련된 다양한 연구들이 진행되기를 기대한다. As business environment becomes more uncertain and competitive, the development of radical ideas in organization becomes more emphasized, and the necessity of studying on creativity by differentiating between radical creativity and incremental creativity beyond a broad and unitary construct has been proposed. The purpose of this paper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job autonomy on radical creativity and incremental creativity at individual level,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team commitment at team-level to those relationship. For this study, survey- based data were collected from various industries and teams in Korea. At first, performing confirmatory factor analyses, we checked for construct independence and discriminant validity of job autonomy, radical creativity, and incremental creativity. Then, we performed multilevel analyses using HLM (Hierarchical Linear Model) considering individual level and team level simultaneously because each individual was nested in a team. The results showed that job autonomy was positively related to radical creativity and incremental creativity. In addition, team commitment at team-level significantly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autonomy and radical creativity. On the contrary to hypotheses, the moderating effects of team commitmen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autonomy and incremental creativity was not supported. Finally, we discussed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 Through the study results, we were able to ensure that job autonomy is to be more provided to facilitate individual radical creativity in team, and specifically team commitment is to be more promoted at team-level. We expect that various studies on radical/incremental creativity will be progre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