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AI DAPR 신뢰도 검증에 참여한 미술치료사의 협력적 셀프스터디

        구지영,신예섬,김수인,김진경,김태은,손창배 한국미술치료학회 2024 美術治療硏究 Vol.31 No.2

        본 연구는 협력적 셀프스터디 방법론으로 AI DAPR 신뢰도 검증 과정에 참여한 연구자이자 참여자인 미술치료사 6인의 체험을 탐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자료 수집은 두 단계로 이루어졌다. 첫 번째로 각 연구자는 ‘체험 전 자료’, ‘체험 중 자료’, ‘체험 후 자료’의 3단계로 회상 일지를 작성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두 번째로는 각 연구자의 회상 일지를 통합하여 원고지 200자 기준 85.7장의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 분석은 Willis(2007)가 제시한 항시 비교법을 3단계로 압축하여 분석하였다. 이 결과, ‘미술치료사의 전문성에 대한 불안과 안도’, ‘AI 그림 검사의 유용성’, ‘AI 그림 검사의 제한과 한계’, ‘미술치료사의 전문적 역량 강화에 도움 됨을 발견’이라는 4개의 소범주와 ‘미술치료사의 도전과 성장’이라는 1개의 대범주가 도출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experience of six art therapists who participated in the AI DAPR reliability verification process as both researchers and subjects using a collaborative self-study methodology. Data collection was occurred in two phases. Firstly, each researcher collected data by writing retrospective journals in three stages: ‘pre-experience data,' ‘during-experience data,' and ‘post-experience data.' Secondly, the researchers integrated their retrospective journals, resulting in a total of 85.7 pages based on the manuscript of 200 characters. Data analysis was conducted by compressing Willis's (2007) constant comparative method into three stages. The findings revealed four subcategories: ‘anxiety and reassurance regarding the expertise of art therapists,' ‘utility of AI drawing tests,' ‘limitations and constraints of AI drawing tests,' and ‘enhancement of art therapists' professional competence with the help of AI.' Additionally, one overarching category emerged: ‘challenges and growth of art therapists.' Based on these results,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were discussed.

      • KCI등재

        중국 다롄의 한국인과 일본인 사회에 대한 비교 연구

        구지영 동북아시아문화학회 2019 동북아 문화연구 Vol.1 No.60

        The aim of this study is to review the characteristics of immigration and negotiation in Northeast Asia in Globalization era by comparative analysis between Korean and Japanese community in the Chinese coastal city. I conducted the fieldwork in Dalian, Liaoning Province from 2013 to 2016. The results could be summarized into the four categories. First, I looked at the characteristics and pending issues of Korean and Japanese community in China through the previous research. The keywords of Korean society study included national ethnic relationships and social mobility. Those of Japanese were gender, generation, self-initiated expatriates, and active migration. All these were constructed during the processes in which business companies extended to China were trying to continue the corporate culture of one’s home country cheaply, and had flexibilities in the labor market as their backgrounds. Second, I examined the growth and shrinkage of economical space. Investment and bankruptcy of STX in Dalian affected the growth and reduction of Korean Society definitely. Otherwise, the Japanese had an overwhelming influence in Dalian economy. Although the scale of Japanese society was reduced because of political conflicts between China and Japan, the importance of Dalian as a mediator between two countries is growing more. Third is about change and response of the social space. The life of immigrants was unstable ones that affected directly by the fluctuation of global, national and local scale. Thus, the representative organizations of immigrants were carrying out many activities to show that they were members of local society. Finally, there were individuals who acted as intermediaries throughout the community. Those had a legal foreigner status and strong tendency to stay. The role of Korean-Chinese as a mediator between both Korean and Japanese society was important.

      • KCI등재

        글로벌 가치사슬에서의 부가가치 획득 영향요인 연구: 개발도상국가를 대상으로

        구지영 한국경제지리학회 2022 한국경제지리학회지 Vol.25 No.2

        현대 세계 경제 체제의 주요 특징인 글로벌 가치사슬은 주로 선진국에 의해 주도되어왔고 개발도상국은상대적으로 저부가가치 활동을 담당함에 따라 가치분배의 지리적 불균형이 발생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가치분배의 불균형은 점차 완화되기 시작하였는데, 이와 같은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는 것이 본 연구의목적이다. 연구 목적의 달성을 위하여 다양한 영향요인 중 글로벌 가치사슬에서의 산업 업그레이딩 방식에 초점을 맞춰 개발도상국의 부가가치 획득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OECD 부가가치 기준 교역자료(TiVA)의전산업, 식료품·담배산업, 섬유·의류 산업, 컴퓨터·전자산업, 자동차산업을 대상으로 패널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전산업의 경우 개발도상국의 부가가치 획득은 총생산량을 증가시키고 고부가가치 제품을 생산하며 전방참여도를 높일수록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세부 산업별 분석결과는 산업별 특성에 따라 조금씩다른 양상으로 나타났다. The global value chain, as a major feature of the contemporary global economic system, has been mainly led by developed countries. Whereas developing countries have taken the relatively low value-added activities and this made geographical imbalances in value distribution. This imbalance in value distribution, however, began to gradually alleviated. Related to this phenomenon,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analyze the factors affecting factors. Focused on the method of upgrading the industry in the global value chain, the impact on the acquisition of value-added in developing countries was analyzed among the various factors to achieve the research purpose. Panel analysis was conducted on all industries, food and tobacco industries, textile and clothing industries, computer and electornics industries, and automobile industries of the OECD Value-Added Trade Data (TiVA).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confirmed that in all industries, value-added acquisition in developing countries was improved by increased total production, high value-added product production and participation in early stage. The analysis results by detailed industry showed slightly different patterns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each industry.

      • KCI등재

        지구화 시대 한국인의 중국 이주와 초국적 사회공간의 형성 ―칭다오(靑島)의 사례를 통해

        구지영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2011 한국민족문화 Vol.40 No.-

        This study is to consider the meaning of transnational social space and migration of people in the era of globalization by the example of Korean town in Qingdao, China. So far, most of the study on Korean immigrants in China were focusing on corporate activities. However, if we change the focus to everyday life of Korean people (which is not directly related to corporate activities), we can find that diverse people are in it.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aspect of transnational social space of Koreans by focusing on the following three themes based on the filed research on daily life of Koreans in the Qingdao Korean community. First of all, this study deals with not only the Korean business related population, but also various peoples of the Korean community in Qingdao from the early 1990s to 2008. It was found that the number of Korean immigrants surged within a short period in relation to the economic changes of Korea in the initial stage and there was a internal segmentation in that process. Secondly, this study consider the subject meaning of the action crossing the borders through the rhetoric regarding the immigration motives of the self- employed running small business. These people belonged to the fringe group at the hierarchy system of Korean society and their movement to Qingdao means the escape from the fringe. Such movement was also the process of incorporating China symbolized in their imagination into the structure of center and fringe. It has duality since this symbolized China make the 'current China' become the fringe and attempted to be equal to the 'future China'. Thirdly, as the Qingdao was incorporated into the spacial hierarchy system, the daily life of Koreans there was based on the standards of Korean society. This resulted in continuous copying of Korea in the land of China. Since 2008, the global economic changes and policy changes of Chinese government has affected the Korean community in Qingdao. Many Koreans moved again to the third country because of appreciation of yuan and endangered position as the investor. This study is about one example of transnationalKorean community in the era of globalization. To sum up, this transnationalcommunity seems to be floated, not to be rooted in one place, through the process of construction and re-construction of the conceptual boundary. 본 연구는 중국 칭다오 한인사회를 사례로 지구화시대 한국인의 이동과 초국적 사회공간의 형성에 대해 고찰하는 것이다. 지금까지 중국으로 이동한 한국인에 대한 연구는 거의 대부분 기업 활동이 중심이었다. 하지만, 연구의 초점을 기업에서 일상공간으로 옮겨보면, 실제로는 기업 활동과 직접적인 관련이 없는 다양한 사람들이 이 속에 포함되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본고에서는 칭다오시 시남구(市南區)의 한인 집단거주지의 일상공간에 대한 현지조사를 바탕으로, 다음 세 가지 연구 주제에 초점을 맞추어 오늘날 한국과 중국을 잇는 초국적 사회공간의 양상에 대해 파악하고자 했다. 첫째, 1990년대 전반에서 2008년까지 칭다오의 한국인 사회를 기업관계자뿐만 아니라 다양한 배경을 가진 사람들을 포함하여 총체적으로 파악하였다. 이를 통해 기업진출을 계기로 시작된 한국인의 이동은 모국의 사회경제적 변화와 밀접하게 연동되어 단기간에 급증하였고, 이 과정에서 이주사회의 내적 분화가 이루어졌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이주 동기에 대한 수사(rhetoric)를 통해 경계를 넘는 행위의 주관적 의미에 대해 고찰하였다. 조사지의 영세 자영업자들은 대체로 한국사회의 중심-주변의 위계구도에서 주변화된 사람들로, 칭다오로의 이동은 주변으로부터의 탈출로 그려지고 있었다. 또 이 공간적 이동은 그들의 상상 속에서 상징화된 ‘중국’을 그 중심-주변의 구조에 편입하는 과정이기도 했다. 이 상징화된 ‘중국’이란 ‘지금의 중국’을 주변화시키고, ‘앞으로의 중국’에 동일시하는 양면성을 내포하고 있다. 셋째, 이렇게 칭다오를 공간적 위계질서로 편입하는 것은 이곳에서의 일상을 한국 사회의 기준에 맞춰서 계획하고 실천하게 했다. 이는 끊임없이 한국적인 공간을 복제하는 것으로 귀결되었다. 2008년 이후 지구적 규모의 경기변동과 중국의 정책변화는 이 공간에 직접적인 타격을 주었다. 위안화 평가절상으로 인한 생계의 압박과 ‘투자자’라는 사회적 지위가 흔들리는 상황에서 많은 사람들이 제3국으로 이동하거나 귀국하였다. 본 연구는 지구화시대 사람의 이동은 상상된 경계를 구성․재구성하며 국경을 넘어 부유(浮游)하는 사회공간을 형성한다는 것(형성할 수 있다는 것), 다른 한편 이 공간은 권력과의 관계에서 그 한계를 지닌다는 것을 드러내는 하나의 사례가 될 것이다.

      • KCI우수등재

        글로벌 가치사슬 거버넌스와 가치 분배의 변화에 관한 연구 - 선진국과 개발도상국의 산업별 비교 분석을 중심으로 -

        구지영 대한지리학회 2022 대한지리학회지 Vol.57 No.2

        In the global economic system, developed countries have led governance to determine and adjust the distribution of values by organizing a global value chain. Whereas developing countries have participated in this system and the added value produced has been distributed disproportionately. However, it has begun to confirmed that governance of the global value chain gradually changed from a hierarchical form to a non-hierarchical through case studies. This study started from quantitatively confirming these changes. A comparative analysis was conducted on the textile and apparel industries, the computer and electronic industries, the motor vehicles industries. Also, it was analyzed whether the imbalance in value distribution between developed and developing countries was alleviated accordingly. As a result, a decrease in hierarchy was confirmed in all industries to be analyzed, even there are still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dustry. With these changes, it was confirmed that the imbalance in value-added distribution between developed and developing countries was alleviated, which appeared to be slightly different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s and hierarchy of each industry. 글로벌 경제체제에서 선진국은 글로벌 가치사슬을 조직하여 가치의 분배를 결정하고 조정하는 힘인 거버넌스를 주도해왔으며 개발도상국은 이에 참여하는 형태로 구성되어 생산된 부가가치는 불균형한 형태로 분배되어왔다. 그러나 점차 글로벌 가치사슬의 거버넌스가 위계적인 형태에서 비 위계적인 형태로 변화되는 것이 사례연구를 통해 확인되기 시작하였고 이에 본연구는 이러한 변화를 계량적으로 확인하는 것에서 출발하였다. 섬유·의류 산업, 컴퓨터·전자산업, 자동차산업을 대상으로 비교·분석하였으며, 그에 따른 선진국과 개발도상국 간의 가치 분배 불균형이 완화되는지도 함께 분석하였다. 그 결과 산업의 특성에 따른 차이는 존재하지만, 분석대상 산업 모두에서 위계성의 감소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변화와 같이 선진국과 개발도상국간의 부가가치 분배의 불균형도 완화됨을 확인하였으며, 이는 산업별 특성 및 위계성의 정도에 따라 조금씩 다른 양상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지구화시대 일본인의 아시아 이동 : 이시다 가족을 사례로

        구지영 한국해양대학교 국제해양문제연구소 2019 해항도시문화교섭학 Vol.0 No.21

        The aim of this study is to review the new current of migration in East Asia since the 1980s through the case of a Japanese family. The author conducted the participant observation research about the transnational migration of Ishida family from Qingdao in 2005 through Dalian to Si Racha and conducted the Oral Life History interview to see it throughout his life. This article was described at Ishida’s point of view who had decided migration and intended to answer three research question. First, are migrating people non-Japanese existence and is the research about this beyond Japan? The move of Ishida family showed how did the current problems which Japanese society is facing - population reduction and intergenerational economic dependence in provincial cities - progress in transnational space. Second, what are the characteristics of transnational move in East Asia since the 1980s and how are they different from traditional immigration. The migration in the global era was originated from the transnational expansion of the business activity. The individuals have repeated migration dependent on the current of money which was looking for the cheaper manufacturer, and the pathway of migration is still uncertain either. Third, would this method of research - participant observation and oral life history - compensate which aspect of the previous study? In the previous studies, the author could learn the migration of this period from the international relationships, this case enabled to look the migration through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cities. This means that the uncertainty that migrating people are facing, can be overcome by the city networks. 본고는 한 일본인 가족의 사례를 통해 1980년대 이후 동아시아의 새로운 이동 흐름에 대해 고찰하는 것이다. 필자는 2005년부터 칭다오, 다롄, 시라차로 이어지는 이시다 가족의 초국적 이동을 참여관찰 했고, 이를 전 생애에서 조망하기 위해 구술생애사(Oral Life History) 인터뷰를 진행했다. 본문은 이동을 결정하는 카즈오의 시점에서 서술하여, 다음 세 가지 연구문제에 답하고자 했다. 첫째, 이동하는 사람들은 일본인답지 않은 존재로 이에 대한 연구는 일본 밖의 사안인가? 이시다 가족의 이동은 지방도시의 인구감소와 세대 간 경제의존이라는 현재 일본사회가 직면한 문제들이 어떻게 초국적 공간에서 전개되는지를 보여주었다. 둘째, 1980년대 이후 동아시아에 발생한 초국적 이동의 특징은 무엇이며 기존의 이민과 어떻게 다른가? 지구화시대 이동은 기업 활동의 초국적 확산에서 비롯된 것으로 더 저렴한 생산지를 찾아다니는 자본을 따라 개인은 이동을 반복했고, 그 이동경로 또한 불확실한 것이었다. 셋째, 이 연구방법으로 선행연구의 어떤 면을 보완할 수 있는가? 선행연구에서는 국가 간 관계를 통해 이 시기의 이동을 보았다면, 이 사례는 도시 간 관계를 통해 이동을 바라볼 수 있게 해주었다. 이는 오늘날 이동하는 사람들이 직면한 불확실성을 지속가능한 도시 네트워크를 통해 극복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 KCI등재

        지구화시대 조선족의 이동과 정주에 관한 소고 - 중국 청도(靑島)를 중심으로 -

        구지영 영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3 人文硏究 Vol.- No.68

        More than a half of Korean Chinese moved to coastal areas of China, Korea, or Japan with their sociocultural status stuck on boundaries in the process of deepening economic mutual dependence of East Asia in the 1990s. This study explored the changes of modern boundaries as well as transnational lifestyles of Korean Chinese in the following three aspects based on the locally identified data and review. First, the paper explored the mechanism of migration and the expansion of lifestyles. The migration and settlement of Korean Chinese took place mostly through human networks while each space constituting lifestyles is closely connected through functional variations. This means that overseas areas such as Korea and Japan provided important income sources and economic capital necessary for their migration and settlement while the three northeast provinces provided sources of labor and familial reproduction. Additionally, the coastal areas in China such as Qingdao have become the second hometown of Korean Chinese, recognized as the settlement for the next generations. Second, this study diachronically looked into the process of one ethnic group's settlement in a totally unknown area based on a case study of Qingdao. Korean Chinese were invited to various labor markets related to Korea from the 1990s and diversified their areas of employment into entrepreneurship, independent service providers, professional engineers, office workers, and blue-color laborers from the 2000s. On the other hand, while the decrease of Korean population since the late 2000s depressed the ethnic economy, Qingdao has become a center of transnational lifestyle of ethnic Koreans. Third, they continuously organize and reorganize new boundaries to repeat exclusion and inclusion internally and externally rather than being confined as a group called ethnic Koreans. This study explored the aspects of boundary establishment that goes beyond the scope of ethnicity by focusing on classes. It was found that Korean Chinese had ceaselessly used their status as a people on the boundary in terms of social mobility. 한중수교 후 조선족은 인구의 절반 이상이 원거주지를 떠나 중국의 연해부나 한국, 일본 등지로 이동했다. 본고에서는 현지조사 자료에 근거해 조선족이 형성하는 초국적 생활세계와 근대적 경계의 변동양상을 다음 세 가지 측면에서 고찰했다. 첫째, 이동의 기제와 생활세계의 확장이다. 조선족의 이동과 정주는 대개 인적 네트워크를 통해 이루어졌으며, 생활세계를 구성하는 각 장소들은 기능적 분산으로 밀접하게 연계되어 있었다. 둘째, 청도 사례를 통해, 하나의 종족집단이 무연(無緣)의 장소에 정착하는 과정을 통시적으로 살펴보았다. 이주 초기 한국(인)과 관련된 고용노동시장으로 유입된 조선족은 2000년대부터 기업가, 서비스 자영업자, 전문기술자와 사무원, 단순육체노동자 등으로 분화되었다. 한편, 2000년대 말부터 한국인 인구의 감소로 종족경제권이 침체기에 접어들었음에도 불구하고, 청도는 조선족의 초국적 생활세계의 중심으로 정착하고 있다. 이 배경에는 ‘세계의 공장’으로 초국적 생산네트워크에 편입된 후, 사람, 자본, 물자 이동의 창구로 자리 잡은 중국의 연해부의 구조적 위상이 있을 것이다. 또 이러한 접촉 공간에서는 조선족과 같은 경계인이 매개자로서의 사회적 위치를 활용하여 경제적 자본을 축적하기가 용이했다. 셋째, 도시 이주자들은 조선족이라는 하나의 집단 범주에 머물러 있는 것이 아니라, 끊임없이 새로운 경계들을 구성․재구성하면서 내외적으로 배제와 포섭하고 반복하고 있었다. 여기서는 계층을 통해 종족범주를 넘어서는 경계구성의 양상과 사회이동의 기제에 대해 간략하게 살펴보았는데, 이 과정에서 조선족은 경계인이라는 자신의 위치를 부단히 활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KCI등재

        농촌의 인구유입과 지역변화- 전라남도 장흥군의 귀촌을 사례로 -

        구지영,안영진 국토지리학회 2014 국토지리학회지 Vol.48 No.4

        The rural return migration increased around in the late 1990s in Korea. This is a phenomenon that the people who have various social experience and backgrounds move from urban to rural areas. It causes not only an increase in population, but also a change in quality of life in the rural areas. This study aims to look into the characteristics of rural return migrants and then to consider the regional changes. We chose Jangheung-county, Jeollanamdo-province for this research where the repopulation is increasing and then categorized the return migrants based on the reasoning of returning to the rural areas from the urban areas. We made certain of the general characteristics, the preparation for returning to the rural areas, the regional choice for returning and the economic and social activities after returning to the rural area among return migrants, and then we analyzed it through the frequency-cross analysis and the deep interviews. With this study, we can predict some changes and impacts on the rural areas due to returning from the urban area. 우리나라 농촌지역은 1990년대 후반을 기점으로 도시에서 농촌으로 인구가 이동하는 ‘귀촌’이 증가하고 있다. 이는 다양한 사회적 경험과 배경을 지닌 인구집단들이 도시에서 농촌지역으로 이주하는 현상으로, 농촌인구의 수적 증가뿐 아니라 질적 변화까지 수반하는 인구이동의 한 형태이다. 이 연구의 목적은 이러한 귀촌의 특성을 살펴보고, 그에 따른 지역적 영향을 고찰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우리나라 서남권에 위치하며 귀촌 양상이 활발한 전라남도 장흥군을 사례지역으로 하여, 장흥군으로 이주한 귀촌인을 귀촌 목적에 따른 유형화를 시도하였다. 그리고 이 연구는 귀촌 유형의 일반적 특징과 아울러 귀촌 준비 형태, 귀촌지역의 선택, 귀촌 후 사회 및 경제적 활동 등을 파악하고 그 차이를 비교 분석해 보았다. 그리고 이 연구는 이에 바탕으로 하여 향후 발생할 농촌의 지역변화에 미칠 영향을 고찰해 보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