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비언어 커뮤니케이션의 정서적 상징성 : 애니메이션 『심슨 가족』을 중심으로

        구보름 남서울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1855

        We live in a globalized world. Therefore, a focus is moving on mutual communication. In the communication, nonverbal communication takes up 65% to 70% of the contents of the total communication in the same cultural bloc. Therefore, nonverbal communication is important. A British zoologist Desmond Morris said that humans are unconsciously linked to nonverbal communication. According to his explanation, they are originated from water plant and evolved to ‘a naked ape’. They still possess the memory of that time inside and outside. It is because of ‘neoteny’. Neoteny is the persistence of the characteristics of infancy throughout life. Morris maintains that neotenylasts, from birth to the end of growth. His theory that views a human as an animal enabled complete examination into the mythical property in human nature. In this paper, the emotional symbolism of behavioral patterns expressed in ‘The Simpsons’, which was the very popular TV animation in the nineties of America, will be analyzed on the basis of the Morris’s theory. The reason why the program was chosen is that it dealt with social issues. Among the issues, the problems of (i) the aged, (ii) environment, and (iii) the minority (illegal immigrants) were focused and the episodes dealing with those issues were chosen. This paper used the following analytical method: Actant Model of Greim as, it defined the behavioral patterns of the characters in the animation for the roles of the objects. And then it extracted the nonverbal communication of gesture, eye contact and silence as suggested by Morris and displayed themin diagram form. After that, it introduced semiology of mythical concept of Roland Barthes, a French semiotician, to examine the cultural emotion contained in each of the behavioral patterns.

      • 가상현실 애니메이션에 나타난 현존감으로써 자기대상 연구

        구보름 중앙대학교 첨단영상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1855

        The development of the fourth industrial technology has realized Multidimensional and intuitive interaction with space throughout social culture. The technology of virtual reality is used widely in different areas and has revolutionized the direction of interaction between humans and digital space. Since its first appearance in a science fiction in 1982, it has been applied to and combined with various fields. Particularly, through its combination with art that reflects and expresses what humans think or do, the viewer can break up and structuralize virtual areas either physically or emotionally beyond space and arouse a more extended sense of cognition. Virtual reality that is equipped with diverse approaches to art has extended art to new areas of creation with its characteristics of contents such as ‘experience’ and ‘immersion’. It has also brought about change in human attitudes towards art beyond the boundaries of interaction presented by visual expressions previously. The extension of virtual reality contents should be discussed prior to the development of virtual reality contents that are associated with psychological changes in humans and will emerge in the so-called Metaverse era. Therefore, this study is attempted to analyze the presence of virtual reality animations and derive factors that exert psychological effects grounded on the self-psychology theory of American psychoanalyst Heinz Kohut. Concerning the presence of virtual reality contents, a variety of measurement tools have been utilized to reveal its existence and characteristics. Yet, because the analysis is grounded on the user’s subjective experience, there was a limitation that the theoretical criteria were rather ambiguous. Therefore, regarding the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f virtual reality animation users, this study is attempted to derive factors by focusing on psychological effects from relationship with the object among the functions of presence. In particular, the analysis applied the psychological effects of the self-object to analyze human psychology in relationship with the object. It is because this researcher performs analysis focusing on the aspects of ‘social presence’ through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object in virtuality and the user. Virtual reality animations allow the user to interact and have a series of socialities in virtuality. Here, the more similar the situation in which the interaction occurs is to reality, the stronger the user can feel the ‘sense of existence’ as if it really existed there. The fact that the factors of virtual reality animations form a relationship through interaction with the user plays roles as the self-object in Kohut’s theory. Kohut says that through the self-object, human psychology can be analyzed in relationships. Therefore, revealing the self-object elements of virtual reality animations is related to analyzing psychologically the sense of presence that the user gets to feel virtual reality like reality. However, it may be somewhat limited to substitute artificial objects into the theory that analyzes real human psychology. According to Kohut, however, the self-object simply involves the objects in reality and appears in all cognitive moments one can experience in real life. At this time, the object may be an actual human, an object, or some intangible outcome. This is not limited to interaction but refers to any experience that can project ‘self’. This study conducted case analysis to derive the factors by selecting three virtual reality-based works that fulfill the conditions necessary for social presence. Next, this author derived the requirements of the object presented according to Kohut’s clinical experiments and analyzed the factors fulfilling the requirements for each of the works. By conducting cross-tabulation analysis on the factors of social presence and the psychological effects of the factors of the self-object, this study suggests a model of psychological effects that the factors of virtual reality animations can exert on the users. According to the findings, the psychological effects that can be gained through interaction between the users and the factors of social presence of virtual reality animations are significantly related to the psychological effects that the factors of the self-object can present. As the factors that allow the users to interact within virtual reality and feel a sense of social presence, this study derived the psychological effects of subjectivity, direct participation, emotional exchange, and appropriate compensation. For example, it was possible to derive psychological effects on the self-object users similar to mirror self-object attributes like recognition, praise, memory, opportunity, or maintenance and twin self-object attributes such as consistency with the feelings, deeds, or the beings. This means that the psychological effects of the self-object are significantly related with social presence. Based on the findings, it is possible to lay the theoretical foundation for whether the self-object can be used as the presence of virtual reality animations, and through the theory, the indicators can be presented to explore the factors that can induce the presence of virtual reality. Moreover, prior to the production of new virtual reality contents, this study has analyzed user psychology to allow the results to be applied to the production of contents and enhance the quality further. 오늘날 4차 산업기술의 발전은 사회문화 전반적으로 공간에 대한 다차원적이고 직관적인 상호작용을 가능하게 만들었다. 가상현실(Virtual Reality)의 기술은 광범위한 분야에서 사용되며 인간과 디지털 공간의 상호 작용 방향에 대한 혁명을 일으켰다. 1982년 공상 과학소설에서 처음 등장한 시점부터 다양한 분야와의 응용과 결합이 일어났다. 특히 인간의 생각과 행동을 반영하고 표현하는 예술과의 결합은 감상자가 공간을 넘어 물리적으로나 감정적으로 가상 영역을 해체하고 구조화하며 보다 확장된 인지감각을 일으켰다. 예술로의 다양한 접근 방식을 가진 가상현실은 체험(Experience)과 몰입(Immersion)이라는 콘텐츠의 특성으로 예술을 새로운 창작의 영역으로 확장시켰다. 또한 기존의 시각적 표현이 주는 상호 작용의 경계를 넘어 예술에 대한 인간의 태도에 대한 변화를 가져왔다. 가상현실 콘텐츠의 확장은 인간의 심리적 변화와 연결되고 이른바 메타버스(Metaverse)시대에 등장할 가상현실 콘텐츠 개발에 앞서 논의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가상현실 애니메이션(Virtual Reality Animation)의 현존감(Presence)을 미국의 정신분석학자 하인즈 코헛(Heinz Kohut)의 자기심리학(Self psychology)이론을 기반으로 심리적 효과를 주는 요소를 도출하고자 한다. 가상현실 콘텐츠의 현존감(Presence)은 그동안 다양한 측정도구를 활용하여 그 존재와 특성을 밝히고자 하였다. 하지만 사용자의 주관적 경험을 통한 분석이기에 이론적 기준이 다소 모호하다는 한계점이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가상현실 애니메이션 사용자의 심리적 특성을 현존감(Presence)의 기능 중 대상과의 관계를 통한 심리적 효과에 초점을 맞추어 살펴보고자 한다. 특히 대상과의 관계에서 인간의 심리를 분석한 자기대상의 심리적 효과를 분석에 적용하여, 정서적 경험의 측면인 ‘사회적 현존감(Social Presence)’에 측면에 초점을 맞추어 분석한다. 가상현실 애니메이션은 상호작용(Interaction)으로 사용자가 가상현실 안에서 일련의 사회성을 가지게 된다. 여기서 상호작용을 하는 상황이 현실과 유사할수록 사용자는 마치 거기에 존재하는 것과 같은 현존감(Presence)을 강하게 느낄 수 있다. 가상현실 애니메이션의 요소가 사용자와 상호작용을 통하여 관계를 형성하는 것은 자기대상을 통하여 관계 속에서 인간의 심리를 분석할 수 있다는 코헛의 이론에 따른다. 즉, 가상의 대상이 사용자의 자기대상(Self Object)과 유의미한 영향성을 가지고 있다는 가설로서 가상현실 애니메이션의 자기대상 요소를 밝히는 것은 사용자가 가상현실을 현실과 같이 느끼는 현존감(Presence)의 심리적 분석과도 연결될 수 있다. 코헛에 따르면 자기대상은 단순히 현실의 대상을 포함하며, 실생활에서도 체험할 수 있는 모든 인지적 순간에서 나타난다고 말한다. 이러한 측면은 인공적으로 만들어진 가상의 대상이 자기대상으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다는 예상을 가진다. 인간의 자기대상과의 경험은 단순히 상호작용으로만 국한되지 않으며 ‘자기(Self)’를 투사할 수 있는 모든 경험을 뜻한다. 이러한 연구배경에 따라 본 연구는 사회적 현존감(Social presence)을 위해 필요한 조건에 성립하는 세 가지 가상현실 애니메이션 사례작품을 선정 및 분석하였다. 이어 코헛의 임상실험에 따라 제시된 대상의 요건을 도출하고 ,요건에 부합한 요소를 각 작품마다 살펴보았다. 특히 정서적 경험의 측면인 사회적 현존감(Social presence)으로서의 요소와 자기대상의 요소를 도출하여 상관관계를 확인하였다. 또한 가상대상의 자기대상적인 기능의 가능성과 현존감(Presence)으로써의 영향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사례 작품의 설문조사를 진행하였으며, 연구결과 가상현실 애니메이션의 자기대상(Self object)요소와 사회적 현존감(Social presence)의 요소가 사용자와의 상호작용을 통하여 유의미한 영향을 가지고 있음이 나타났다. 특히, 사회적 현존감(Social presence)의 정서적인 측면으로써 사용자에게 건강한 자기(Self)를 형성하는 자기대상이 가상현실 애니메이션의 현존감(Presence)적인 효과와 유의미한 영향을 보였으며, 가상현실에서의 자기대상적인 기능으로서 나타났다. 이에 결론적으로 가상현실의 현존감(Presence)은 정서적 경험의 측면으로 자기대상과 유의미한 관계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연구의 결과는 앞서 연구배경 및 목적에서 주지한 바와 같이 가상현실 사용자의 현존감(Presence)을 보다 심리적인 측면으로 살펴볼 수 있는 측정도구를 마련할 수 있으며, 추후 현존감(Presence) 발생을 위한 작품의 제작적인 측면에서 심리적 접근의 토대를 마련할 수 있다. 이러한 연구를 배경으로 후속 연구는 가상현실의 현존감(Presence) 강화를 자기심리학적 측면으로 바라보는 수용자의 임상적 분석을 통하여 실질적 과학 이론의 근거를 다져 새로운 가상현실 콘텐츠의 제작에 앞서 사용자의 심리분석을 통하여 나아가 콘텐츠 제작에 적용하여 품질 개선을 도모하고자 한다.

      • 러시아·CIS 고려인 무용단체의 한국무용 전승과 현지 활동에 관한 분석 : 국립남도국악원 『해외동포 및 국악단체 초청연수』 참가 단체를 중심으로

        보름 조선대학교 교육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1567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present conditions and activities of the Korean traditional dance groups and their members who are mostly the third or forth or fifth descendants of the Korean immigrants in Russia and CIS. It is to find out how they manage to educate themselves and carry on concerts activities maintaining their identity as Koreans in Russia and Commonwealth of Independent States, out of harsh environments without proper supports in both finding funding and stages to perform.

      • 지역사회의 독거노인 보호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보름 조선대학교 2008 국내석사

        RANK : 1327

        <국문초록> 지역사회의 독거노인보호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성 명 : 한보름 지도교수 : 오을임 조선대학교 정책대학원 사회복지학과 오늘날 우리나라에서는 저출산·고령화에 대한 사회적문제가 가장 큰 이슈로 대두되고 있으며 그 가운데에서도 노인부부세대와 독거노인가구의 증가현상이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다. 독거노인가구증가는 부양할 가족이 동거하지 않음으로써 주변 환경으로부터 고립 될 가능성이 높으며 노인부부가 함께 생활하는 가구에 비해 더 취약한 상황으로 사회적 자원을 획득하는데 있어서도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또한 스스로 문제를 해결하지 못해 일상생활에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어 사회적 지원을 필요로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독거노인의 다양하고 복합적인 문제를 해결하고 노인의 특성을 고려한 사회적 안전망구축에 관심이 증대되고 있는 점을 고려해서 도시와 농촌지역에서 거주하는 독거노인들의 생활실태를 파악하고 지역사회보호 실태를 분석하여 지역사회보호활성화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기 위함이 목적이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첫째, 도시와 농촌지역에 독거노인의 일반적 사항, 경제상태를 파악한다. 둘째, 도시와 농촌지역에 독거노인의 일상생활수행능력과 건강상태를 조사하여 분석한다. 셋째, 도시와 농촌지역에 도움관련과 여가 및 사회활동실태를 파악한다. 넷째, 그들의 서비스 욕구 및 경험, 만족도를 조사하여 분석한다. 다섯째, 이와 같은 생활실태와 지역사회보호서비스를 바탕으로 지역사회 독거노인보호를 위한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를 위해서는 문헌조사연구방법과 설문조사방법을 병행하였다. 문헌연구로서는 독거노인의 전반적인 생활, 즉 인구사회학적 특징, 경제생활, 건강 및 의료생활, 여가생활등에 관한 국내의 참고서적, 관련 논문 및 학술지 등을 참고하는 문헌조사 연구방법을 사용하였다. 본 조사는 광주광역시 D구와 전라남도 J군 지역에 거주하고 있는 독거노인을 모집단으로 하였으며, 설문지는 총 300부를 배부하여, 280부를 회수하였으며, 회수된 설문지 중 무성의하거나 무응답 16부를 제외하고 광주광역시 D구 150부, 전라남도 J군 114부로 최종 분석대상으로는 264부를 사용하였다. 지역사회 독거노인보호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에 수집된 자료의 분석방법은 통계적 방법을 활용하였으며, 통계패키지 프로그램인 SPSS for Windows 12.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또한 기술통계(descriptive analysis)로 전체적인 응답경향과 분포를 살펴보기 위하여 빈도분석(frequeucy analysis)를 실시하여 전체항목의 빈도, 퍼센트를 산출하였다. 그리고 도시와 농촌을 차이를 살펴보기 위해서 교차분석(crosstabs analysis)을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본 조사결과에 따른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조사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으로 75세 후기고령의 다수의 여성노인이며, 사별하고 장기간 독거로 생활하고 있으나 자녀들과 교류가 빈번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나 다양하고 복합적인 문제를 갖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으며 경제상태로 일하지 않는 노인이 다수이며, 기초생활보장 수급권자, 기초노령연금 지원자가 많아 경제적 어려움을 갖고 있다. 건강상태로는 나쁜편으로 KADL(일상생활수행능력)으로 목욕하기, KIADL(수단적일상생활수행능력)은 교통수단이용하기가 가장어려운 것을 나타났다. 도움에 관해서는 자녀와의 관계와 사회적 안전망이 필요하며, 여가 및 사회활동에 있어서도 하루 종일 특별히 하는 일이 없다 보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비스 욕구로는 결연서비스, 정서지원서비스, 의료서비스, 가사지원서비스, 기타서비스, 개인활동서비스 순으로 나타났고, 이용경험으로는 개인활동서비스, 가사지원서비스, 의료서비스, 정서지원서비스, 기타서비스, 결연서비스 순이며, 서비스 만족도는 개인활동서비스, 정서지원서비스, 기타서비스, 가사지원서비스, 의료서비스 순으로 나타났으며 서비스 욕구에 따라 만족도는 높으나 이용경험은 제한적인 것으로 볼 때 독거노인의 지역사회보호서비스가 중요한 것을 알 수 있다. 이상과 같은 조사결과를 토대로 지역사회의 독거노인보호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지역사회보호서비스 확대가 요구된다. 둘째, 독거노인지역사회보호서비스 전달체계를 개선해야 한다. 셋째, 사례관리기능을 강화해야 한다. 넷째, 지역사회주민 참여 확대가 요구된다. 다섯째, 지역사회보호서비스 홍보를 강화해야 한다. 오늘날 우리사회에서 독거노인은 경제적 빈곤과 만성질환에 시달리면서도 가족과 사회로부터 적절한 부양을 받지 못하는 노인들이 많아지면서 다양하고 복합적인 문제를 갖고 생활하고 있다. 더불어 지역사회는 핵가족화와 개인주의 경향이 확대되면서 지역사회공동체가 상실되어가게 되면서 기본적인 사회적 안전망을 구축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독거노인의 문제를 지역사회를 기반으로 하는 지방정부가 적극적으로 개입하여 평생 살아온 지역사회에서 평안한 노후를 보낼 수 있도록 정책적, 실천적 노력이 필요하다.

      • 연출의 게스투스 수용 방법 연구 : <마라/사드> 공연을 중심으로

        보름 청주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1327

        This paper examines how gestus, a basic element of Brecht's epic theater, was accepted in the direction of Peter Weiss's <Marat/Sade>, where the epic theatre’s vibrance effect works well. Surveying the audience after staging the theatre, this paper examines if the performance, using the gestus acceptance method, provided the viewers with the right to enjoy didactic messages. This paper explores and offers answers to the following questions: (1) Can gestus, a major element of Brecht's theatre theory, also work well in other dramatists' works?; (2) What is the process of accepting gestus, and what messages can be delivered through that process?; and (3) Can the directors today allow the audience to experience didactic and enjoyable performing arts through gestus in delivering the works' messages? The gestus acceptance method is outlined after examining the gestus theory, undergoing the prior and actual production stages, and staging the theatre with the acceptance of gestus, and after surveying the audience. First, for Brecht's gestus works, the <Marat/Sade> uses Brecht's epic elements, Artaud's cruel theatre, and other theatre techniques, but in terms of its performance, its own epic elements were analyzed and thus staged. Thus, if human and social interpersonal relationships that express the social gestures of gestus can also be found in other works, the didactic and entertaining theatres that Brecht insisted on could be established. Second, in the process of accepting gestus, the works and characters first need to be analyzed from a broad social viewpoint. The human being that gestus intends to express is a social animal who cannot live alone. To analyze humans as members of the society at all times, an objective analysis of the society is needed. After completing the social analysis, a process is needed to objectify the work. Thus, this study completed the process of determining the cast for gestus, analyzing the work, constructing the characters, and staging the theater with elements of gestus. As history repeats itself, if a director, through an objective analysis of and development of insights on the society, finds the times' popular themes and stages a theatre to drive the audience to identify with such themes or to empathize with the characters encountering such themes, then the audience will leave the theatre with the question of how to live a righteous life. Third, after the staging of <Marat/Sade>, the audience was surveyed, revealing that they enjoyed the work and obtained didactic messages from it. Thus, in delivering their works’ messages to the audience, today’s directors can allow the audience to experience didactic and entertaining performing arts through gestus. It is hoped that this study would pave the way for other diverse studies on Brecht's gestus, and would be of great help for the staging of theatres.

      • 울릉도 자연관광자원의 보존가치 평가 : 울릉공항 건설을 중심으로

        보름 경희대학교 일반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1311

        인류 생존의 기본바탕이 되는 자연환경과 이를 보호하려는 다양한 활동에 대한 관심이 증가되면서 관광분야에서도 자연관광자원이 갖고 있는 가치에 대한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우리나라 동해상에 위치한 울릉도는 수려한 자연경관뿐만 아니라 이를 바탕으로 형성된 독특한 생활문화 그리고 독도를 향하는 관문이라는 경쟁력을 가진 대한민국의 대표적인 자연관광자원이다. 이러한 울릉도 내에 최근 논란이 되고 있는 울릉공항 건설에 관한 사안에 대해 주목해 볼 수 있는데, 이와 관련해서 관광수요 증대에 따른 지역산업발전 등으로 나타나는 긍정적 의견과 환경오염과 획일화된 관광지로의 지역성 손실 등을 우려하는 부정적 의견이 대립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므로 지역주민과 지자체를 비롯한 울릉도 관광개발 관계자들이 이러한 갈등을 해소하고 울릉도가 갖고 있는 가치에 대해 쉽게 이해할 수 있는 울릉도 자연관광자원에 대한 구체적인 기초자료의 제공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가상 가치 평가법(CVM)을 적용하여 울릉도의 보존가치를 객관적인 수치로 계량화할 뿐만 아니라 보존가치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변수들을 추정하여 영향관계를 규명하는 데 주안점을 두었다. 또한 울릉도의 보존가치를 보다 정확하게 측정하기 위하여 ‘보존기금’이라는 명목으로 가상적 상황과 실제 상황1(자동이체 및 은행지로용지), 실제 상황2(개인정보 공유)를 설정하여 응답자로 하여 가구당 연간 지불의사금액(WTP)을 추정하였다. 로짓분석에 대한 결과를 요약해보면, 울릉도 ‘보존기금’에 대한 지불의사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중요한 변수는 ‘제시금액’과 환경에 대한 인식의 ‘자연중심’으로 제시금액이 낮을수록, 환경에 대한 인식이 자연중심적일수록 보존기금에 대한 지불의사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밖에 실제 상황 2의 최종모형에서 제거된 ‘항공서비스’에 대해서는 항공서비스를 통해 울릉도 방문의사가 높을수록 지불의사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가상적 상황의 시나리오에서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울릉공항 건설의 ‘부정적 요인’은 울릉공항 건설에 대해서 부정적인 견해를 갖을수록 지불의사는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로짓분석의 최종모형으로부터 추정된 계수를 이용하여 가구당 연간 지불의사금액의 평균값을 계산한 결과, 가상적 상황의 경우 47,034원, 실제 상황1의 경우 45,160원, 실제 상황2의 경우에는 42,453원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절단된 평균값은 가상적 상황의 경우 34,416원, 실제 상황1의 경우 33,646원, 실제 상황2의 경우에는 32,841원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분석결과는 가상적 상황이 울릉도의 보존가치를 과대평가하고 있음을 나타낸다. 이는 가설적 편의를 최소화하기 위해서 실제 상황의 시나리오를 통해 진실에 가까운 가치를 평가하는 것이 바람직함을 지적해주는 선행연구를 다시 한 번 입증한 결과이다. 또한 울릉도의 보존가치를 평가함에 있어 지불의사금액의 평균값보다 절단된 평균값으로 측정하는 기법이 더 효율적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가장 적합한 방법에 따라 실제 상황 2의 최종모형과 절단된 평균값을 이용하여 추정된 가구당 울릉도의 보존가치는 연간 32,841원으로 평가할 수 있고, 이러한 분석결과를 토대로 통계청에서 제시한 2010년 우리나라 총 가구 수(17,339,422)를 고려한 보존가치는 연간 약 5,694억 원으로 평가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서 최종적으로 도출된 울릉도의 보존가치는 개발과 보존사이의 논란에 직면해있는 울릉도의 보존·관리 및 개발방향 수립에 필요한 근거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또한 지방자치단체와 지역주민에게 대규모 관광시설을 개발하는 것이 지역경제 활성화 차원에서 무조건 유리할 것이라는 인식에서 벗어나게 해주고 그들로 하여금 자연관광자원으로서 가치가 뛰어난 울릉도의 보존에 대한 필요성을 인정받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As more people have begun to pay close attention to the natural environment, Tourism Areas have begun to be aware of the important values of natural tourism resources. Ulleung Island, which is located in the East Sea of South Korea, is the typical tourism resources of South Korea. Ulleung Island has not only the greatful natural landscape, but also the important role as a gateway toward Dokdo Island. In addition, Ulleung Island has the unique cultural atmosphere. Recently, the construction of airport in Ulleung Island aroused heated debate. Some people are in favor because they think that it would promote the development of the tourism industry with the expanding of trourism demand. In contrast, some opponents suggest that it would produce the problem of various environmental pollutions. And then Ulleung Island might lose its own regional specific feature. Thus, it is time to provide that the underlying data on natural tourism resources of Ulleung Island in order to help those stakeholders of Ulleung Island and tourism development to facilitate its valu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preservation value of Ulleung Island with objective data using the contingent valuation method (CVM) to find acting factors and their interaction. To investigate a family willingness to pay (WTP) for Ulleung Island more accurately, this study set 3 nominal scales which are hypothetical situation, actual situation 1 and actual situation 2. According to the results of analysis on logit model, two crucial variables, to the payment intention of the preservation fund for Ulleung Island, are ‘proposed amount’ and ‘nature-oriented awareness of new environment paradigm (NEP) perception levels’. The payment intention is higher the less bid in proportion to the nature-oriented awareness. In addition, payment intentiondepended on the degree of air service intention which was eliminated on final model of actual situation 2. Moreover, the negative factors of the Ulleung airport construction, estimated in statistics only in the scenarios of hypothetical situations, was showed that payment intention is lower with the increasing of negativity to the construction. Furthermore, mean WTP per year, each household using the coefficients estimated from the final model of logit analysis, was 47,034 Won on hypothetical situation, 45,160 Won on actual situation 1, and 42,453 Won on actual situation 2. And truncated mean WTP was 34,416 Won on hypothetical situation, 33,646 Won on actual situation 1, and 32,841 Won on actual situation 2.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hypothetical situation overestimate the preservation value of Ulleung Island and reaffirm that it should estimate actual situation which close to the truth through scenario in order to minimize the hypothetical convenience pointed out by previous studies. In addition, it was demonstrated that the technique using truncated mean WTP was effective to measure the preservation value rather than mean WTP. Therefore, according to the most appropriate method, annual preservation value each household estimated using final model of actual situation 2 and truncated mean WTP is 32,841 Won. Based on these results of analysis, estimated annual preservation value of Ulleung Island was estimated to approximately 569.4 billion Won considering the total number of households in South Korea in 2010. In this study, Preservation value of Ulleung Island was derived and it can be used as an evidence to establish the directions of the conservation, management and development for Ulleung Island which is in the face of controversy between development and conservation. In addition, It is expected that these results call on local residents, autonomous groups and government departments to be aware of the fact that the development of large-scale tourism facilities is not always advantageous in the invigoration of local economy. It is also expected that it would be the opportunity for the them to recognize the need for the preservation of Ulleung Island outstanding the value of natural resources.

      • 음식 요리를 활용한 한국어 수업지도 방안 연구 : 외국인 유학생을 대상으로

        보름 남서울대학교 복지경영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1311

        본 연구의 목적은 외국인 유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한국어 수업 지도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그들이 좋아하는 음식의 요리 과정을 이용하여 다양한 한국어 어휘와 한국 문화를 배울 수 있도록 지도안을 구성하였다. Ⅱ장에서는 한국어 교육에서 문화 교육이 필요함을 강조하고, 그 지도 방법에 대해 제시하였다. 그러나 모든 문화를 연구하기에는 범위가 지나치게 넓기 때문에, 실생활에서 가장 쉽게 접할 수 있는 음식 문화를 활용하여 한국어 지도 방안을 제시하였다. 또한 ‘음식 요리’를 활용한 한국어 수업의 교육적 가치를 고찰하고, 그 실행 방법을 소개하였다. Ⅲ장에서는 현재 주요 대학기관에서 사용하는 한국어 교재 4권에 등장하는 음식 관련 어휘들을 분석하였다. 그중 빈도가 높은 어휘를 토대로 수업 지도 방안에 활용할 음식을 선정하였다. Ⅲ장의 분석 내용을 바탕으로, Ⅳ장에서는 음식 선정 이유를 5가지로 서술하고 해당 음식들의 요리 방법을 제시하였다. 나아가 실제 수업에 활용될 수업 모형과 교수 학습안을 <초급>, <중급>, <고급>의 3단계로 나누어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외국인 학습자들이 실생활의 한국어 어휘와 한국 문화를 효과적으로 습득할 수 있도록 음식 문화를 활용한 교육 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방안은 외국인 학습자들이 한국인의 삶을 간접적으로 경험함으로써 한국 문화를 받아들이고 사고를 확장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본 연구가 현존하는 한국어 교육 자료에 조금이나마 보탬이 되기를 기대한다. 주제어 한국어통합교육, 음식 만들기 수업, 외국인유학생, 다문화사회, 한국의 식문화, 문화를 활용한 한국어 교육 The purpose of this experiment is to set a teaching plan for Korean class subjected to foreign students. Thus, through cooking their favorite food they are able to learn Korean terminology and culture. In Chapter II, it presents a guidance for learning Korean culture, as it is important to learn the culture to understand the Korean language. However, there are various aspects of culture, so to focus on one it suggests a culture that is easily accessible in life, the food culture. Additionally, we look at the educational value of Korean class by “cooking food” and its implementation method. In Chapter III, it analyzes the food related vocabulary in four Korean textbooks used in major university institutions. The food choice for teaching is the frequently used vocabularies. Based on the chapter III analysis, Chapter IV describes the five reasons for the food choice and suggests the food cooking methods. Furthermore, the teaching model and lecture have three stages: beginner, intermediate and advanced. In this experiment, it proposes a teaching method that uses the food culture so that foreign students can effectively learn Korean terminology and culture used in everyday life. Furthermore, this teaching method helps foreigners indirectly experience culture, and its recommends to understand Korean culture and widen their knowledge. Lastly, it hopes this experiment could additionally contribute to the existing Korean educational resources. Key words: Korean integrated education, Food making classes, Foreign students, A multi-cultural society, Food culture of Korea, Korean language education using cul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