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조선 전기 對明사신의 북경 관광지와 관광 소회

        구도영 역사학회 2019 역사학보 Vol.0 No.244

        The Joseon envoys had about 40 days in Beijing, and spent two to three days on a sightseeing tour. In the late 15th century, Joseon envoys toured the Temple of Confucius(國子監/孔廟), the ancestral shrine of Moon chun- sang(文天祥廟), the Chao tian gong(朝天宫). Since the Ming Dynasty made official tours of Joseon envoys in 1534, Joseon envoys have toured habitually the Temple of Confucius(國子監/孔廟), the Temple of Heaven(天壇) and the Temple of Ancient Monarchs(歷代帝王廟). In addition to that, they visited the Chao tian gong(朝天宫), the Daci’en Temple of Beijing(大慈恩寺/海印寺), and the Miaoying Temple(白塔寺). The Temple of Confucius, the Temple of Ancient Monarchs in the Ming Dynasty was meaningful to the Joseon people in terms of cultural homogeneity, confirmation and accumulation of knowledge. Tao tian gong and Taoism and Buddhist culture seen on the streets of Beijing were meetings with alien cultures. The Temple of Heaven, the Daci’en Temple of Beijing gave him the pleasure of seeing such splendid buildings, beautiful scenery, etc. Meanwhile, Joseon envoys criticized the customs of the Ming, facing their disappointment while touring Beijing. With the Joseon envoys continuing to tour Beijing for 100 years, they have not considered the Ming Dynasty as an ideal country only. 조선 사신은 약 40여 일 내외의 북경 일정 속에서 2~3일을 관광으로 보냈다. 15세기 말에는 國子監, 文天祥廟, 朝天宮 등을 방문했다. 명이 조선사신의 관광을 공식화한 1534년 이후 국자감, 天壇, 歷代帝王廟를 필수적으로 방문했으며, 그 외에 조천궁, 海印寺, 白塔寺 등을 방문하기도 했다. 명의 國子監, 歷代帝王廟는 조선인에게 문화적 동질감, 지식의 확인 및 축적 측면에서 의미가 있었다. 그리고 朝天宮과 북경 거리에서 보이는 도교, 불교 문화는 이질적인 문화와의 만남이기도 했다. 天壇, 海印寺는 화려한 건축물, 수려한 경치 등 보는 즐거움을 주었다. 한편 조선 사신은 북경을 관광하면서 그들의 실망스러운 모습도 마주하면서, 명이 더 이상 예의를 앞세우는 곳이라 보기 어렵다는 소회까지 토해낸다. 조선 사신이 명을 중화의 이상향으로만 그리지 않고 강도 높은 비판을 꺼낼 수 있었던 것은 명을 책으로만 접한 것이 아닌, 관광을 통해 여러 곳을 두루 경험하며 그들의 실상을 경험했기에 가능했다.

      • KCI등재

        15세기 중국에서 유행한 조선의 마미군 패션, 그 문화적 변용에 대하여

        구도영 수선사학회 2022 史林 Vol.- No.80

        The shape of the skirts of Chosŏn women was a dressy and wide throughout the Chosŏn Dynasty. So, there was a device to maintain the volume of the skirt. Usually several layers of undergarments were worn, which served as support for the skirt to look fuller. In the Chosŏn Dynasty, women's underwear not only played a sanitary role, but was also a part of fashion. At that time, women had to wear several layers of underwear under their skirts to follow the fashion of Chosŏn. A lot of fabric is needed, and these fabrics aren't cheap either. In Cheju Island(濟州島), agriculture was not developed, making it difficult to produce textiles, so they had to go to land cities by boat to purchase them. Cheju people wanted to find a more economical way, and that was mamigun(馬尾裙). In Cheju Island, it was more economical to wear a petticoat made of horsehair than to wear multiple layers of underwear when trying to create the effect of making a skirt look dressy. On land in Chosŏn, cotton fabrics are cheaper, but in Cheju Island, it is difficult to find fabrics, but horsehair was easy to find. In the end, Cheju's economic environment changed the materials of clothing. Mamigun was ‘the product of cultural transformation’ that followed the fashion of Chosŏn and replaced the material with horsehair, common in Cheju, instead of textiles. Mamigun, born in Cheju in the 15th century, was a unique 'petticoat' in that an underskirt was made of horsehair. In the West(西歐), the petticoat made from horsehair, crinoline, was also popular in the 19th century. Horsehair was used as a material for petticoats for women's dresses in both East and West. The mamigun, born in Cheju, was transmitted to the 'Jiangnan(江南)' region of Ming through maritime trade in the 15th century, and became very popular in the the Jiangnan area of Ming dynasty. Through mamigun, it is possible to confirm the existence of 'horsehair', which was used as a petticoat material in both East and West, as well as the new material and shape of clothes on Cheju Island, the change of culture within Chosŏn, the history of wide cultural exchange between Chosŏn and the Ming dynasty. .

      • KCI등재

        조선 전기 對明 陸路使行의 형태와 실상

        구도영 진단학회 2013 진단학보 Vol.- No.117

        본 글은 조선 전기 對明 使行의 종류와 파견 횟수, 사행단의 구성과 여정, 그리고 북경에서 이루어지는 공식절차 및 비공식 외교 활동 등을 파악하여 조선 전기 대명 사행의 형태와 사행 활동의 실상을 이해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조선의 대명외교가 사행을 통해 이루어졌으므로 사행의 구성과 형태에 대한 제도적 접근은 대명외교를 이해하는 데에 근간이 되며, 사행록을 통한 사행과정의 민낯을 확인하는 것은 당시 외교 활동의 실상을 보다 현실적이고 면밀하게 접근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한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사행은 크게 정기 사행인 節行과 비정기 사행인 別行으로 나뉜다. 특히 기존 연구에서는 節行 중에 冬至使가 中宗代에 추가되어 1年 3使에서 1年 4使로 이행되었다고 파악하여 왔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동지사는 추가된 것이 아니라, 정조사가 동지사로 대체된 것이므로 국초 이래의 1년 3사가 계속 유지되고 있었음을 확인하였다. 사행의 유형에 대한 면밀한 검토는 기본적인 사실 확인에서 그치는 것이 아니라 조선의 ‘사대’적 성격과 특징을 이해하는 주요한 전거가 되기 때문에 더욱 정확한 확인이 요구된다. 別行 파견은 국초 긴박했던 外交的 難題가 해결되고 進獻使 등이 폐지되자 15세기 후반 성종대 이후 급격히 감소하였다. 결국 조선은 사행을 더욱 많이 파견하고자 한 움직임이 없었으며, 오히려 16세기가 되면 사행파견이 15세기에 비해 절반 이하로 감소하였다. 사행단에는 正使, 副使, 書狀官의 三使臣을 중심으로 從事官, 從人, 護送軍으로 이루어졌다. 사행단은 외교문제 해결, 정보습득, 공무역 등 주요현안 해결과 통사의 중국어 능력을 배양하기 위한 조처가 안배되는 등 다양한 목적을 동시에 달성하기 위한 구성으로 이루어졌다. 사행단의 여정에 대한 구체적인 확인은 權橃의 『朝天錄』을 主本으로 하여 동 시기 여타의 『조천록』도 참고하였다. 사행단은 한양에서 압록강까지 국내 이동과정에서 각 지방의 감사, 판관, 수령, 찰방 등이 내알하여 베푸는 각종 연회와 성심스러운 대접를 받았으며, 각 지방의 관광지를 둘러보는 여유도 누렸다. 그렇지만 압록강을 건너 명 지역으로 들어가면 사정은 달라졌다. 사행단은 外國人으로서 스스로의 안위를 지켜야 했고, 驛舍의 피폐함으로 겨울에는 난방이 전혀 없는 곳에서 잠을 이루기도 하였으며, 각종 자연재해로 곤란을 겪기도 하였다. 또한 요동 관리들이 차량을 제 때 지급하지 않아 이들에게 뇌물을 바치면서 북경에 도달해야 했다. 어렵게 북경에 입성하면 조공국 사행단이 수행해야 할 공식 일정을 소화하였다. 사행단은 공식 절차를 치르는 가운데, 외교사안을 해결하는 데에 대부분의 시간을 할애하고 있었다. 양국의 공식적인 외교는 사대문서의 진상과 칙서의 화답이라는 외피로 이루어져 있었으나 조선의 사신들은 명의 문서를 마냥 기다리고만 있지 않았다. 그들은 조선의 이득에 부합하는 회답서를 받기 위해 명의 예부 관리들과 지속적으로 접촉하여 조선의 입장을 역설하였을 뿐만 아니라 조선에게 우호적인 朝鮮 出來 明使들의 집을 찾아가 조선의 외교문제가 잘 해결될 수 있도록 도움을 요청하였다. 명 예부 문서를 謄書해 와서 명 조정에서 논의되는 문서 내용을 꼼꼼하게 체크하며 수정사항을 요구하기도 하였다. 공식적인 외교는 양국의 문서 교환을 통해 이루어졌지만, 그 이면에는 원하는 회 ...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understand the types and historical facts of envoy activities to Ming dynasty in the early Joseon by examining the types and dispatch frequency of envoy, composition and journey of envoy and formal as well as informal diplomatic activities in Beijing. Envoy can be divided into periodic and non-periodic envoys. In particular, previous studies identified that Dongji envoy(冬至使) was added to previous 3 periodic envoys during Jungjong regime, which led to total 4 periodic envoy dispatch. However, Dongji envoy was not added to previous envoy dispatch. In fact, it replaced the existing Jeongjo envoy(正朝使). Thus, 3 envoy dispatch system had been maintained since the early period of Joseon. This is not only the basic truth of envoy but also indicates that the theories asserting Joseon attempted to expand envy dispatch along with the enhanced idealization of China in the 16th century should be modified. Non-periodic envoy was abruptly decreased during Seongjong regime in the late 15th century when the emergent diplomatic problems of early period were solved and the tributary envoy was abolished. Thus, there was no attempt to dispatch envoys more frequenty in Joseon. Instead, the frequency of envoy dispatch in the 16th century was less than half of those in the 15th century. An envoy team consisted of three envoys (Jeongsa(正使), Busa(副使), Seojanggwan(書狀官)), Jongsagwan(從事官), Jongin(從人) and convoy. The composition of envoy team was the combination of the missions such as solving diplomatic issues, information gathering and public trade and the measures to enhance Chinese language skills of the translators. To identify specific journey of envoy team, this article referred to 『Jocheonrok(朝天錄)』by Gwon Beol(權橃) and other similar 『Jocheonrok』at that time. During the domestic route from Hanyang(漢陽) to Aprok River(鴨綠江), the head officer of each local region provided various kinds of banquets and entertainments to consol the envoy team who would take a long journey to Beijing. The also provided the envoy team with the opportunity to visit famous attractions in their jurisdiction. However, once the envoy team entered into Ming territory crossing Aprok River, everything has changed. The envoy team has to protect themselves as foreigners and sometimes had to sleep without any heating because the posthouse condition was very poor. They sometimes suffered from natural disasters. In addition, the officers in Liadong region did not provide any vehicles timely so that they had to give bribes to obtain them for the journey. When they entered from the tough journey, they had to do formal schedules for a tributary envoy. While they fulfilled formal schedules, they spent most of times in solving diplomatic issues. Although the formal diplomacy of both countries appeared to consist of offering todayding documents and Royal letter for their return on its surface, there were many active lobbies of Joseon envoy to receive such Royal letters under the surface. In other words, Joseon envoys did not just passively wait for Ming's answer. They made active contacts with the officers in Yebu and appealed Joseon's position. They also visited Ming's high officers who had visited Joseon as Ming's envoy to ask for help to solve diplomatic issues smoothly. They even copied Ming's documents and checked how Joseon was discussed in Ming's government to ask for corrections, if any. Although the formal diplomacy was processed by exchanging formal documents between two countries, the key to problem-solving lied in the active lobbies and diplomatic activities of envoys and translators.

      • KCI등재

        16세기 조선 대명對明 사행무역使行貿易의수입품과 그 전개양상

        구도영 한국국학진흥원 2017 국학연구 Vol.0 No.34

        Legitimate trade between Joseon and Ming was done by envoys dispatched to Ming (envoy trade) since the beginning of Joseon Dynasty. In this paper, Joseon envoy trade is examined the import patterns by the main imports such as water buffalo horn, medicinal stuff, book, and silk. First, prohibition was laid on the export of the material to make bow, water buffalo horn, from Ming to Joseon. But Joseon tried to secure military supplies as the smuggling trade, despite the water buffalo horn is limited to 200 per year in the 16th century. Second, medicinal stuffs were in short supply in the 15th century but, the expansion of imports of medicinal products in the 16th century led to the transit trade of re-exporting medicines to Japan. Third, there is well record of the imports status of the books as a tool for academic inquiry, and it was actively imported as the private trade. Fourth, silk is a major import of public and private trade but the discussion about silk import status remained as the luxury or elegance item. In addition, the envoy trade imports of the 16th century Joseon are cataloged and listed in this paper. 조선과 명明의 합법적인 무역은 국초 이래 명으로 파견되는 조선사행단, 즉 사행무역使行貿易을 통해 이루어졌다. 사행무역은 공무역과 사무역으로 구분되며, 본고에서는 공적‧사적 경로를 통해 수입된 조선의 주요 수입품 수우각水牛角‧약재‧서책‧사라능단 등을 물품별로 구분하여 그 수입양상을 검토하였다. 첫째 활을 만드는 재료인 수우각은 군수품이라는 특성상 명이 엄격하게 반출을 금지하였으나, 16세기에 조선은 연간 200대로 물량이 제한되어있는 공식 수입 경로 외에 밀무역을 재개하여 군수품 확보에 만전을 기하였다. 둘째, 의약품인 약재는 15세기 수급이 부족하였으나, 16세기 약재 수입량 확대로 일본에 약재를 재수출하는 중계무역이 이루어지기도 하였다. 셋째, 서책은 학문탐구의 도구라는 특성상 사대부들의 기록에 수입 여부가 가장 잘 남아있으며, 사무역에서 활발하게 수입되었다. 넷째, 사라능단은 공사무역의 주요수입품이었으나, 사치와 품격의 갈림길에서 수입 중단 논의와 제재 노력이 16세기 내내 지속되었다. 이 외에 16세기 조선에서 사행무역으로 수입한 물품들을 총목록화하였다.

      • KCI등재

        中宗代 對明외교의 추이와 정치적 의도

        구도영 조선시대사학회 2010 朝鮮時代史學報 Vol.54 No.-

        본고에서는 중종대 외교 노선의 추이를 明 조정의 정국동향과 관련하여 살펴보고, 집권 후반기의 외교정책은 어떠한 정치적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것이었는지를 검토하였다. 먼저 중종대를 正德帝와 嘉靖帝 시기로 구분하여 명 조정의 정국동향과 이에 대한 조선의 대응책을 검토해 보았다. 정덕제는 정사에 관심이 없는데다, 京師 밖 출행도 매우 잦아서 황제가 신임하는 宦官이 정권을 장악하였다. 정덕제 치하에서는 어떤 정치적 개변도 환관의 협조 없이는 불가능할 정도였다. 그러한 정덕제 시기에 중종은 反正으로 즉위하였다. 따라서 명 조정의 왕위 계승 추인이 중요한 외교적ㆍ정치적 과제였다. 이에 조선은 원칙을 중시하는 明 禮部 관리들의 비판에도 불구하고 환관과의 우호적인 관계를 매개로 어려웠던 王位 承襲 문제를 해결하였다. 조선은 환관이 주도하는 명의 정치 상황을 비판하면서도 환관들을 통하여 외교적 난점을 해결하였으며, 이들의 뇌물 요구와 징색에 모두 응하는 등 친환관 노선을 걸었다. 정덕제가 후사도 없이 사망하자 가정제는 명대 황제 중 유일한 傍系로 皇位에 올랐다. 가정제는 즉위하자마자 그의 親父에 대한 존칭문제를 두고 신료들과 큰 정치적 갈등을 겪었으니, 이른바 대례의 사건이다. 이는 결국 가정제의 의도대로 귀결되었으나, 가정제는 친부모에게 지속적으로 尊號를 올리며 대례의의 정당성을 더욱 확고히 함으로써 자신의 권위를 높이려 하였다. 조선은 명의 황제와 신료들이 대립하는 대례의 관련 사안을 두고 進賀使 파견을 고민하였으나, 전례를 참고하며 명과의 관계에 누가 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그 수위 조절을 하였다. 그러나 중종은 재위 후반기로 갈수록 신하들과의 마찰 속에서도 대례의 경우처럼 황제를 위한 사행파견에 매우 적극적이었다. 이로 인하여 조선은 가정제에게 극진한 대우를 받는 성과를 얻었다. 신하들과 의견 충돌을 지양했던 중종의 일상적인 통치 방식과 달리 그가 사행파견을 강력하게 주도했던 이유는 중종 24년 대두된 辨誣問題를 해결하기 위함이었다. 변무문제는 작게는 王家의 문제지만 크게는 국가의 正統性과 관계되는 일이었다. 중종이 각종 폐단이 따르는 사행파견을 힘써 주도했던 것은 단순히 자주의식이 쇠퇴했거나 중국에 대한 의탁심이 강해졌기 때문이라고 볼 수 있는 것이 아니었다. 변무문제 해결을 위해 명과의 외교에 적극적으로 나서던 중 대례의 관련 사행 파견이 가정제로부터 극진한 환영을 받게 되자, 중중은 이를 전략적으로 이용하여 꼬리표처럼 따라다니던 자신의 반정 콤플렉스를 극복하고자 했던 것이다. 이러한 사실은 황제가 조선을 우대하는 이 기회를 이용하여 외교적 난점들을 해결해야 한다는 중종의 주장에서도 분명하게 드러난다. 중종의 변무 성취는 왕으로서의 정통성을 더욱 드높여 줄 수 있는 상징적 과업이었다. 중종대 조선은 명 조정의 정국동향의 변화에 주목하고, 이에 따라 다양한 외교노선을 취하였다. 정덕제 시기에는 친환관 노선을 통해 큰 무리 없이 왕위를 책봉 받았고, 가정제 시기에는 친황제 정책으로 변무문제를 해결하고자 하였다. 외교적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그에 맞는 전략을 추구하였던 것이다. 이러한 중종대 대명관계의 모습은 16세기 사대의식이 심화되어 가는 와중에서도 역동적인 외교가 전개되고 있었음을 보여주고 있다. The objective set in this article, is to inspect the development of the diplomatic course in Jungjong(中宗)'s reign with reference to a shifting of the political situation at the Ming dynasty court, and to examine what political purpose was Joseon's diplomatic policy toward Ming in the second half of the time of Jungjong(中宗). First, I would like to segment the time of Jungjong(中宗) on the basis of the emperors' change in the Ming, Zhengdedi(正德帝) and Jiajingdi(嘉靖帝). I also look through the shifting of Ming's political situation and Joseon's response to that. Zhengdedi(正德帝) was not interested in the affairs of state, and went out the capital of China frequently. So eunuchs trusted by him seized power. Nobody couldn't engage in politics without the cooperation of eunuchs under Zhengdedi(正德帝)'s rule. This time, Jungjong(中宗) was enthroned by deposing Yeonsangoon(燕山君) in Joseon. Therefore it is a diplomatic and political works of the greatest importance that the succession to the throne was ratified by the court of Ming. Though Ming's high-ranking government officials who valued principles as being very important criticized the succession to the throne in Joseon, Joseon solved the difficult problem about that by the medium of Ming's eunuchs. While Joseon criticized Ming's political picture led by eunuchs, Joseon sloved the diplomatic problems and continued to maintain the pro-eunuch stance, such that Joseon accepted all of their demands for bribes. Zhengdedi(正德帝) died without having a son to carry on his name, then Jiajingdi(嘉靖帝) succeeded to the throne in the quality of the only collateral line. This case was the only one of its kind in the Ming Dynasty. As soon as Jiajingdi(嘉靖帝) mounted the throne, he suffered political conflict with subjects because of his father's title. So called it is the Grand ceremony(大禮議). Finally that issue was concluded with Jiajingdi(嘉靖帝)'s intention. Furthermore, Jiajingdi(嘉靖帝) intended to raise his authority by strengthening legitimacy of the Grand ceremony(大禮議) with addressing eulogistic posthumous title of his parents. Joseon was in a quandary over whether to allow dispaching the envoys for celebration(進賀使) to the Ming as there was a feud between the Ming Emperor and his subjects about the Grand ceremony(大禮議) issue. So Joseon tried to control the diplomatic level without damaging relations between the Ming while Joseon refered to a precedent. But as Jungjong(中宗)'s time went on, he showed an more enthusiastic attitude on dispatching envoys to Jiajingdi(嘉靖帝) in spite of his subject's dissenting opinion. As a result, Joseon achieved excellent results that Joseon was kindly treated by Jiajingdi(嘉靖帝). The reason why he led dispatching envoys powerfully was to resolve the jonggye(宗系) correction issue emerged in 1592. Such his behaviour differed from his earlier management style that headed off the collision with his subjects. The jonggye(宗系) correction issue related to the royal family of Joseon. On the other hand, that issue connected to the legitimacy of the dynasty. Jungjong(中宗) took the lead in dispatching envoys though which followed by various negative effects. That did not mean a lack of a individuality and autonomy. It was that Jungjong(中宗) tried to overcome usurpation complex using this golden opportunity tactically. This facts showed clearly Jungjong(中宗) insisted Joseon had to solve the crux of diplomatic affairs using this Jiajingdi(嘉靖帝)'s hospitality too. To solve the jonggye(宗系) correction issue meant a kind of symbolic task that heighten the legitimacy of his throne for Jungjong(中宗). In Jungjong(中宗)'s time, the members of Joseon's court watched the shifting of the political situation in Ming's court, then they selected various diplomatic course. Jungjong(中宗) was fully invested by continuing to maintain the pro-Ming's eunuch stance in Zh...

      • KCI등재

        중종대 사대인식(事大認識)의 변화 - 대례의(大禮議)에 대한 별행(別行) 파견 논의를 중심으로 -

        구도영 한국역사연구회 2006 역사와 현실 Vol.- No.62

        Changes regarding ‘Perception of Sadae’(事大認識) that became apparent during the reign of King Jungjong- Examination of Discussions over the issue of dispatching a special envoy(別行) about the Grand ceremony(大禮議) in Ming(明) dynasty’s court -

      • KCI등재
      • KCI등재

        16세기 對明 私貿易의 정책 방향과 굴레 - 中宗代 明의 ‘조선사행단 출입제한 조치’를 중심으로 -

        구도영 조선시대사학회 2012 朝鮮時代史學報 Vol.62 No.-

        16세기 동아시아는 전 지역에 걸친 생산력의 확대와 경제활동 범위의 확장으로 지역 간 교역 욕구가 분출되던 시기였다. 이러한 변화는 폐쇄적인 대외정책을 고집했던 明의 정치적 입장과는 이질적인 흐름이었으나, 동아시아 전반에 걸친 국제교역의 확대는 결국 1567년 明이 국초부터 祖宗成憲으로 지켜왔던 海禁政策을 부분적이나마 해제시키는 동인으로 작용하였다. 16세기 각 국의 대명 무역 행태는 밀무역이나 약탈도 서슴지 않을 정도였는데, 이는 민간 세력이 독자적으로 벌이는 횡포가 아니었으며, 대명 무역이 가져오는 이익을 얻고자 하는 官 세력의 개입 하에 이루어지는 교역 형태였다. 동아시아 전반에 걸친 생산력의 증대, 이에 따른 구매력 증가, 그리고 교환수단으로서의 銀 유통구조의 확대 등은 조선도 예외는 아니었다. 조선은 국초부터 明에게 ‘禮義之國’으로 인정되어 監察의 법망에서 보다 자유로웠으며 이 때문에 여타의 조공국에 비해 자유로운 교역을 할 수 있는 특혜를 받고 있었다. 그러한 가운데 발생한 ‘玉河館外 외 출입제한조치’는 1522년(중종 17) 禮部 郎中 孫存이 조선의 通事가 明의 관본 서책 구입을 지나치게 원칙적으로 반응하며 시작되었다. 그런데 이 조치가 취해진 이후 조선인의 교역활동이 제한을 받게 되자, 이를 이용하여 명의 일부 상인들은 조선과의 교역을 독점할 수 있었다. 더 나아가 이들은 이미 확보한 독점적 이익을 지속하기 위해 조선에 대한 출입제한조치가 지속될 수 있도록 禮部를 매수하기에 이르렀다. 명의 官權과 商權의 유착관계로 인하여 출입제한 조치의 부당함을 호소하는 조선의 노력은 성취되지 못하였다. 그런데 이 사건에 대응하는 조선의 입장과 논리는 다른 동아시아 국가의 그것과 사뭇 달랐다. 신료들은 그간의 출입자유가 조선이 ‘예의지국’으로 인정받았기에 부여되었던 특혜였던 만큼, 출입제한조치의 발생은 조선이 예의를 잃었기 때문이며 그 원인은 재화를 탐하는 사무역 행위 때문이라고 판단하였다. 사무역 때문에 조선에 대한 대우가 강등된 것을 수치스럽게 여기는 위정자들은 기존에 누렸던 예우의 회복, 즉 출입자유를 회복하기 위해 오히려 무역을 더욱 제한하고, 심지어 대명무역을 아예 폐지해야 한다는 강경한 의견을 제시하기에 이르렀다. 당시 성리학의 심화 속에서 조선은 예의지국이라는 대외적인 국가브랜드를 지키는 것이 대명 무역의 이익보다 중요한 것이었다. 16세기 사회경제적 환경이 변화하고 대명 사무역이 본격적으로 확대되면서 기존의 사무역 정책이 재검토되어야 할 시기에 출현한 출입제한조치는 사무역을 여전히 비합법의 영역으로 둘 수밖에 없는 하나의 상징적인 사건이 되었다. 즉 출입제한조치로 촉발된 ‘禮義之國’의 딜레마가 사무역 정책에 대한 다양한 고민과 입장 변화의 움직임을 봉쇄시켜 버렸던 것이다. 사무역의 확대는 시대적 대세였으나 정부는 그것을 끝내 외면하면서 정책적으로 통제하는 데에 힘을 쏟았다. 그러나 정부의 정책적 노력으로도 사무역이 철저히 금지되지도 못하는 가운데 이를 비합법적인 영역에 가둬버린 것은 결과적으로 정부와 백성에게는 이익이 되지 못하면서, 그것이 가져오는 막대한 차익을 일부 특권층과 부상대고만이 향유하게 되는 상황을 맞게 하였다. 명에게 ‘예의지국’이라는 평가는 그간 조선이 여타의 조공국보다 자유롭게 교역을 전개 ... East Asia experienced eruption of craving for trade across different regions with the increased productivity and the expanded range of economic activity in the 16th century. Although such changes were inconsistent with the political position of Ming which adhered to the exclusive diplomatic policy, the expansion of international trade across entire East Asia played the role to partially mitigate the restricted trade policy adhered to by Ming from the early years since its foundation in 1567. The trade of each country with Ming sometimes took even the form of smuggling or plunder, which was not the tyranny committed independently by private organizations. It was a form of trade in which governmental power was involved in order to gain the profits from the trade with Ming. Joseon was not an exception in terms of the increased productivity, consequent increase in purchase power and the expansion of silver distribution. Joseon was acknowledged as a 'courteous country(禮義之國)' by Ming and consequently free from its inspection network. For this reason, Joseon was privileged to trade more freely than other tributary countries. Under this environment, the action of 'Limited Access besides Okhagwan(玉河館)' was caused by the excessively strict response of Joseon translator to the purchase of government-published books by Ming. However, as the trade activities of Joseon merchants were restricted by this action, some merchants of Ming used this situation to monopolize the trade with Joseon. Furthermore, they began to buy the Courtesy Department off to maintain their monopolistic privilege by sustaining the action of limited access. Due to the back-scratching relationship between government and merchant of Ming, the effort to appeal the unfairness of the action of limited access was not successful. However, the position and rationale of Joseon in responding to this event was quite different from those of other East Asian countries. The vassals asserted that the past privilege of free access had been granted to Joseon for Ming's acknowledgement of Joseon's courtesy and attributed the cause of the action of limited access to the loss of courtesy of Joseon which was in turn caused by the greedy private trade for wealth. The politicians who felt ashamed of the degraded treatment of Joseon due to private trade suggested that the private trade should be restricted more and even abolished. Under the condition at that time in which Neo-Confucianism was intensified, maintaining Joseon's national brand as a country of courtesy is more important than profits from the trade with Ming. As the socio-economical environment changes in the 16th century and the private trade with Ming was expanded in a full scale, the action of limited access which appeared during the period requiring reconsideration of past policy for private trade became a symbolic event in which private trade should be placed in the illegal domain. In other words, the dilemma of 'a country of courtesy' blocked the various considerations and the movement to change the position in private trade policy. Although The expansion of private trade was the needs of the times, Joseon government ignored it and put its efforts in controlling it with policy. However, while the private trade was not entirely prohibited even with such political efforts, restricting it within the illegal domain did not result in any benefit for both government and people but the situation in which very few privileged class and large wealthy merchants enjoyed huge benefits from it. Although the acknowledgement of 'a country of courtesy' by Ming was the cause for Joseon's freer trade than any other tributary countries, it was also the yoke which restricted Joseon in expanding private trade more actively. Joseon was the only country among tributary countries which placed private trade in the controlled domain, which was considered as a special trade form with Ming from the perspective of the East Asian trade ...

      • KCI등재

        16세기 조선 對明 使行貿易의 교역규모 검토

        구도영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2017 한국문화 Vol.80 No.-

        This study aims to confirm the trade scale of envoys’ trade to Ming which has not been illuminated on the study of trade order in the East Asia during the 16th century. The envoys’ trade to Ming for the early period of Joseon means the trade of public & private territory developed from the envoys’ route from Uiju(義州) to Liaodong, Peking since they left Joseon for Ming. A variety of classes engaged in the envoys’ mission participated in this trade. This study tried to analogize the aspects of envoys’ trade(public & private trade) in the 16th century through several supporting materials such as the regulations controlling the private trade, cases of uncovering the crackdown of trade, the flow of silver trade, the numbers of wagons used for envoys' mission by mentioning the scale of public & private trade in the royal court. However, the trade scale examined from this study, was mainly confined to that of Peking envoys’ group. As for the hundreds of convoys(護送軍)’ trade scale who should escort the envoys’ group as well as that of the Liaodong convoys’ group to Liaodong, it has been left for the future study assignment because it has not been considered in this study. If this is additionally studied in the future, we will be able to approach the scale of Joseon envoys’ trade in the 16th century much more close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