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일상에서 읽는 한국인의 정체성

        황병기(黃昞起) 한국국학진흥원 2014 국학연구 Vol.0 No.24

        한국인의 문화유전자 연구는 문화체육관광부에서 후원하고 한국국학진흥원이 주관하며 2012년도부터 시작되어 연차적으로 진행되고 있다. 2012년도에는 설문조사를 바탕으로 ‘2012년에 주목할 한국인의 문화유전자’ 10가지를 선정하였다. 그 연구성과는 『한국인의 문화유전자』라는 책자로 발간되었다. 2013년도에는 20대부터 60대까지 10년 단위로 각 세대의 일상생활문화와 그 문화를 향유하는 한국인의 대표정서, 그리고 1970년 대부터 2000년대까지 10년 단위로 각 시대의 일상생활문화와 그 문화를 향유하는 한국인의 대표정서에 대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그 결과에 근거해 분야별 전문가들이 세대별 특징과 각 세대의 청년기인 20대 시절의 특징을 연구하였다. 2013년도의 설문조사에서 각 세대별 설문결과와 시대별 설문결과가 약간의 차이가 있긴 하지만 전 연령층의 대표적인 일상문화에서 느껴지는 한국인 특유의 정서로 조화와 어울림이 15.4%로 높은 응답률을 보였다. 2위로 응답된 것이 공동체 문화로 8.9%니까 이것까지 합친다면 25% 가량으로 어울림/조화/공동체문화가 대표적인 문화유전자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한국인 개인의 일상문화는 각각 다양한 모습을 띤다. 그리고 동일한 일상문화라도 그것을 누리는 사람마다 다른 목적과 의미를 지니고 있다. 스마트폰이나 컴퓨터게임을 자신의 일상문화로 꼽은 젊은 20대의 한국인들 가운데는 의외로 그러한 문명의 이기를 통해 어울려 사는 공동체를 꿈꾸는 사람들이 많다는 것이 설문에서 드러났다. 일반적으로 컴퓨터와 인터넷에 몰두하는 젊은 학생들을 바라보는 성인들이 젊은 세대의 폐쇄적 인성을 탓하고 개인주의와 상업주의에 빠져 있다고 그들을 비평하는 사이에 그들은 오히려 현 사회의 팽배한 개인주의적 경향에서 벗어나는 수단으로 그러한 문명의 이기를 활용하고 있다는 점을 알 수 있다. 지난 반세기 동안 한국인의 일상문화는 그 방식과 수단의 많은 변화가 있었다. 청바지와 통키타에서 스마트폰으로 수단의 변화가 있었고, 저항과 시위에서 조화와 여유의 방식으로 변화하였다. 그러나 자연스러운 정의정서와 어울림과 상생의 정서는 면면히 한국인의 정서로 유지되고 있다. 최근 한류가 전세계인의 공감대를 얻고 있는 것은 한국인에게 만민공통의 정서가 존재하기 때문일 것이다. 나라 밖의 시청자가 대장금을 보면서 눈물을 흘리는 것은 정으로 가득한 가족애와 한 인물의 부단한 도전정신과 열정 등이 누구나 공감할 수 있는 인류공통의 정서이기 때문일 것이다. 우리가 간과할 수 없는 것은 특히 한국인에게 어울림, 상생, 정, 열정과 같은 정서가 마치 생물학적 유전자처럼 세대에서 세대로 유전되고 있는 것 같다는 점이다. This is an essay on Korean identity analyzed from mediocre life and culture, according to the 2013’s survey hosted by Advanced Center for Korean Studies. According to that, Korean youth life and culture have been changed, but National emotion(Culture DNA) does not. The unique emotion of Korean which is gained from typical mediocre culture of all ages is harmonized. That response rate is respectively 15.4%. The response rate of community is 8.9%. Because two emotions are similar to each other, we can judge harmony/community is Korean overwhelming cultural DNA. Korean mediocre culture over the last half century has changed in the way of life and the means. Changes have been made from jeans and guitar to smart phone, from resistance and protest to harmony and freedom in various ways. However the emotion of Jeong(情: sympathetic heart) and harmony ceaselessly is maintained. According to the survey, we can not be overlooked that, in Korean, the emotions of harmony, mutuality, positivity and passion were like a biological DNA from generation to generation.

      • KCI등재

        한국국학진흥원 소장 유교목판의 특징과 기록유산적 가치

        김종석(金鍾錫) 한국국학진흥원 2010 국학연구 Vol.17 No.-

        본 논문은 한국국학진흥원 소장 목판이 갖는 기록유산으로서의 가치를 유교문화와 목판인쇄의 관련성, 한국 유교문화에서 차지하는 영남지역의 비중, 한국국학진흥원 소장 목판의 구성상의 특징을 중심으로 분석한 결과이다. 가치지향적 삶을 추구하는 유교문화의 특성상 기록유산은 가장 중요한 유교문화유산이며, 그 가운데서 목판이야말로 가장 핵심적인 유교문화유산이다. 한국국학진흥원 소장 목판은 한국에서 목판 제작이 가장 왕성했던 영남지역에서 수집된 결과라는 점에서 대표성을 가지면서, 동시에 그 저자들이 퇴계이황을 중심으로 역사적ㆍ학문적으로 서로 연결되어 있다는 점에서 그 유례를 찾기 어려운 독특한 컬렉션이다. 지금까지는 기록유산이라고 하면 으레고서와 고문서만 중시하는 경향이 있었다. 그러나 본 논문을 통해서 목판이야말로 과거 전통시대에 있어서 문화산업의 동향과 관련된 모든 정보가 집약되어 있는 일차적인 서지자료임을 밝혔다. This paper deals with the value of wood printing blocks of KSAC in the aspect of the relation of the Confucian culture and the Wood printing, the significance of Yeungnam district in the Korean cofucian culture, the compositional characteristics of KSAC's wood blocks. The documentary heritages are the most important heritages of the confucian culture in the aspect of characteristic of confucian culture seeking the ethically valuable life. The KSAC's wood blocks have the representativeness in the fact that they have been collected from the Yeungnam district where the most large number of wood blocks had been made in Chosun dynasty. And they have also the uniqueness in the fact that the authors of the wood blocks including Toegey LeeHwang (1501~1570) were related each other historically and academically. Speaking of the documentary heritages, People have tended to put emphasis on the old books or old papers as per normal. But this thesis revealed that wood block is the primary material having the trends and informations of culture industry in the modern period.

      • KCI등재

        해외 한국학의 동향

        김중순(Kim Tschung-sun) 한국국학진흥원 2003 국학연구 Vol.3 No.-

        해외 한국학을 국학의 관점으로 이해하는 것은 적절치 않다. 이 둘이 다 함께 한국을 대상으로 삼고 있지만, 출발과 접근법이 다르다. 이 글에서는 동남아와 러시아를 제외한 영미와 구라파의 연구 성과를 살핀다. 이런 성과물들은 주로 50년대 한국전쟁 이후에, 그리고 70년대 한국의 경제가 급속히 성장했을 때 나온 것이다. 그러나, 그들의 한국관은 직접적인 연구나 경험에 의하지 않고 식민지 시대에 간접적으로 전해진 인상을 바탕으로 한다. 그것이 오늘날 어떤 형태로 극복이 되고 있는지 각 분야별로 살펴본다. 특히 최근에는 해외 한국학이 포스트모더니즘의 경향을 띄고 국학의 전통에 대해 과감한 대립구도를 형성해 가고 있다. 학제간의 연구도 활발하고, 국내와 해외 학자들간의 교류도 활발하다. 몇몇 선도 그룹을 형성하는 학자들과, 그들의 저술을 소개함으로써 해외 한국학의 이러한 경향을 밝혔다. 그러나, 해외한국학의 걸림돌은 오히려 국내학자들의 고정관념에 있다. 그들의 “우리 것”에 대한 고집과, 한국학이 “우리의 소유물”이므로 해외한국학의 “잘못된 경향”을 방지하기 위해 더욱 분발해야 한다는 사명감이 그것이다. Korean Studies Abroad should not be understood from the view point of Kukhak(국학; 國學; National Studies) nor can they be compared in retrospect. Both of them deal with the same subject but differ in starting point and method of approach. In this paper, only the outcome of studies from United States and Europe will be discussed, while excluding that of South East Asia and Russia. Most of these results were made during the 50's after the Korean War, and in the 70's when the Korean economy began to develop rapidly. However, these studies had been conducted based on information indirectly gained from the Japanese rule. It is necessary to review, in every area, how these fallacies are being and should be overcome. Recent trends of Korea Studies Abroad, however, shows postmodernism in their academe methodology which contradicts the traditional and rigid method of Kukhak. As interdisciplinary approach is becoming more and more common, communication among scholars in Korea and abroad is forcing Kukhak to broaden their scope. These new trends are being introduced through the research of some leading young scholar groups. It should be noted that the obstacle is the tenacity of Korean scholars in their self-absorbed cultural identity. Their 'we-ness' consciousness and excessive sense of duty of 'our' Korean Study lead to overreaction in correcting the 'wrong' trends abroad.

      • KCI등재

        한국어의 세계화와 관련된 제반 사항

        박창원(Park Chang-won) 한국국학진흥원 2006 국학연구 Vol.8 No.-

        한국어의 세계화는 외국의 문물을 우리말로 효과적으로 표현할 수 있게 하는 내부적인 정비와 한국어를 국외의 좀 더 넓은 지역과 좀 더 많은 사람에게 전파한다는 외부적인 확산의 두 방향이 있다. 이를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해 우선되는 과제는 한국이 정치ㆍ경제ㆍ문화적으로 선진국이 되는 것이고, 실천적인 과제는 이러한 사업을 수행할 수 있는 제도를 구축하고, 인적 자원을 확보하는 것이다. 한국어를 해외에 효과적으로 보급하기 위해서는 외국에 한국어 교육을 위한 거점을 국가적인 차원에서 확보하고, 한국어를 제대로 가르칠 수 있는 교육자를 확보하는 동시에 이들의 교육자적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책을 강구해야 할 것이다. 아울러 수요에 맞는 즉 등급별ㆍ지역별ㆍ목적별로 교재를 개발하여 한국어 교육이 제 위치에 맞는 교육이 되도록 해야 할 것이다. The globalization of Korean Language is to be performed through two directions : One direction is th internal preparation to heighten the expressive function of Korean Language which is able to describe foreign language and culture effectively, and the other peoples. In order to progress this work effectively, we should make Korean Language one of the most forward among nations in the field of economy, politics and culture. And we should frame a whole system and ensure human resources. In order to make the Korean Language widespread among many nations and peoples, we are to ensure the lasting place to educate Korean Language, to train many educators to be competent for the work and to plan the program to develop their abilities. But the most important thing is that all the person who are going to learn Korean Language should be provide with a proper education suited to their ability.

      • KCI등재

        한국국제교류재단 해외대학 한국학 개설 현황 검토 —한국국제교류재단 ‘KF통계센터’를 중심으로

        곽낙현 한국국학진흥원 2023 국학연구 Vol.- No.50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국제교류재단(KF)에서 운영 중인 해외대학 한국학 개설 현황을 검토하는 것이다. 이에 대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국제교류재단(KF)은 동북아, 동남아, 서남아, 대양주, 북미, 중미카리브, 서유럽, 중유럽, 유라시아, 중동, 아프리카, 기타 등 12개의 지역별로 구분하여 107개국 1,408개 대학에 한국학 학위과정과 교양어학원 개설 등의 지원과 한국학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둘째, 지역별 해외대학 한국학 현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남미 7개국 34개, 대양주 2개국 13개, 동남아 11개국 141개, 동북아 4개국 711개, 북미 2개국 147개, 서남아시아 6개국 30개, 서유럽 14개국 78개, 아프리카 8개국 13개, 유라시아 6개국 89개, 중동 12개국 31개 , 중미 카리브 13개국 38개, 중유럽 22개국 82개 등 총 107개국 1,408개 대학에 한국학 프로그램이 개설되어 있었다. 셋째, 지역별 해외대학 학위과정 현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남미 4개, 대양주 9개, 동남아 57개, 동북아 259개, 북미 98개, 서남아시아 8개, 서유럽 31개, 아프리카 1개, 유라시아 39개, 중동 5개, 중미 카리브 1개, 중유럽 39개 등 총 551개 대학에서 한국학 학위과정이 운영되고 있었다. 학위과정이 가장 많이 개설된 지역으로 동북아를 대표적으로 꼽을 수 있었다. 넷째, 남미 30개, 대양주 5개, 동남아 84개, 동북아 452개, 북미 49개, 서남아시아 22개, 서유럽 47개, 아프리카 12개, 유라시아 50개, 중동 26개, 중미 카리브 37개, 중유럽 43개 등 총 857개 대학에서 한국학 교양어학원 프로그램이 운영되고 있었다. 다섯째, 지역별로 해외대학에 한국학이 가장 많이 개설된 대표적인 국가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남미는 아르헨티나, 대양주는 호주, 동남아시아는 태국과 베트남, 동북아시아는 일본과 중국, 북미는 미국, 서남아시아는 인도, 서유럽은 영국, 아프리카는 케냐와 탄자니아, 유라시아는 러시아, 중동은 아랍에미리트와 모로코, 중미 카리브는 멕시코, 중유럽은 독일 등이었다. 여섯째, 해외대학 한국학 확산과 진흥방안은 다음과 같다. ① 지역별 거점대학 한국학연구센터가 확대되어야 한다. ② 지역별 해외 대학 한국학 석박사 학위과정을 확대 개설해야 한다. ③ 지역별 한국학진흥을 위한 균형 있는 중장기 로드맵이 마련되어야 한다. ④ 해외대학 한국학진흥을 위한 방안으로‘해외기관 한국학진흥협의회’를 구성해야 한다.

      • KCI등재

        러시아 한국학 지원 체제 구축 연구

        김인숙(金仁淑) 한국국학진흥원 2013 국학연구 Vol.0 No.22

        러시아의 한국학은 150여 년의 역사를 가지고 있으나 한국학의 발전은 그에 비례하지 못하고 있다. 아직까지도 한국학은 동양학부의 하위 학문으로 중국학이나 일본학에 비해 상대적으로 경시되는 경우도 있어 적극적인 지원과 노력이 필요하다. 물론 여기에는 많은 이유가 있지만 중국과 일본에 비해 턱없이 적은 한국학에 대한 투자도 한몫을 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자는 어떻게 하면 한정된 자원으로 러시아의 한국학 발전을 효율적으로 지원할지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그 방법으로는 국내와 러시아 현지에 있는 한국학 지원 기관과 그 역할을 조사하고, 각 기관들 간에 지원이 중복되지 않도록 지원 체제를 구축하여 효과적으로 지원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였다. 먼저, 한국학 지원체제 구성을 위하여 교육부, 문화관광체육부, 외교부 산하 단체의 지원 분야를 살펴보았다. 러시아 현지의 한국학교, 한국교육원, 한글학교, 문화원, 세종학당, 현지 한국어 채택학교 등에서 한국어 교육을 통한 한국학 기반을 조성하고 있다. 여기서 길러낸 인재들이 한국학 대학에 진학하여 다시 한국어 교육기관의 교사 혹은 한국학 연구자로 남거나 취업하는 과정이 반복된다. 이러한 순환 과정에서 한국학 지원 기관들은 협의체를 구성하여 장?단기 러시아 한국학 발전 계획을 수립하여 적용하고 평가?수정?재투입하는 과정을 거친다. 교사협의체와 한국학대학협의체가 교육과정, 교재, 교사자원, 시설 등의 지원규모나 지원방법을 지속적으로 보완하고 개선한다면, 효과적인 한국학 지원체제가 구축되어 작동될 것이다. 러시아 한국학이 학문적으로 자리잡고 발전하기 위한 방안으로 본 연구에서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러시아 한국학 지원 단체들의 지속적인 모니터링으로 한국학 관련 한인단체, 연구자료, 한국학 관련대학, 연구소 등 인적?물적 인프라를 구축하고 연결해 주는 역할이 필요하다. 둘째, 한국 내에 있는 한국학 관련 기관과 러시아 현지 한국학 관련 기관들 사이에 원활한 정보 교류와 소통을 위하여, 러시아 현지와 국내에 러시아 한국학 발전을 위한 협의체를 만들고 정기적인 협의를 통하여 그 결과를 국내 해당 부서와 현지 기관에 전달한다. 셋째, 한국학 지원을 받는 러시아의 기관들에 대하여 성과관리를 하여 그 결과에 따라 환류 하는 것이 꼭 필요하다. 물론 효율적인 성과 관리를 위해서는 일률적인 평가보다 연구기관이나 대학들의 개별여건과 상황을 고려한 융통성 있는 평가운영을 하여야겠다. Korean Studies in Russia has a history of over 150 years. Nevertheless, the performance of the study does not proportionally. Korean Studies undoubtedly being neglected compared to Chinese Studies and Japanese Studies of the sub-disciplines of the Faculty of Oriental Studies. Compared to China and Japan, the part of this reason is the extremely scarce research funding. The researchers studied how limited resources should support the development of Korean Studies in Russia. In that way, I investigate the role of Korean Studies in Korea and local support agencies in Russia. To avoid duplication between each agency and to be an effective support, I build a support system. I tried to observe areas of support of Affiliated organizations of Ministry of Education, of Culture and Tourism, athletic department, of Foreign Affairs as Korean Studies support system components. The process of circulation is how the students trained in Korea Institute, Korean school. Council, Sejonghakdang, the adoption of the local Korean school go to college Studies by Korean institutions as a teacher or researcher on Korean Studies and are employed. In this course of the circulation, Studies support agencies configure the council establish, apply, evaluate, modify, long?short-term plan for development of the Russian Studies and repeat the process to apply the re-supply and the teacher council. If we complement and improve them, effective Studies support system is built to work. For Korean Studies in Russia to develop, conclusions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role of building and connecting the organizations related to Korean Studies, research, and Korea-related universities, research institutes, human and material infrastructure by the continuous monitoring of Russian Studies support groups is required. Second, for the seamless information exchange and communication between domestic Studies related agencies in Korea and Korea-related institutions in Russia and for the development of Russian Studies at the Russian local or domestic, we create a council and consult regularly deliver the results to national relevant departments and local agencies. Third, reflux about the Studies of Russia in agency receiving assistance based on the results of the performance management is necessary. Of course, it is required to operate flexibly, taking into account individual circumstances and situation than a uniform evaluation, according to the research institutions or universities.

      • KCI등재

        세계 속 인도네시아 한국학의 현황과 발전 방향

        전재강(全在康),박은희(朴恩姬) 한국국학진흥원 2015 국학연구 Vol.0 No.26

        인도네시아 한국학의 발전 방향을 모색하기 위하여 한국학의 개념, 세계 권역별 한국학의 현황, 인도네시아 한국학에 대한 기존 연구를 먼저 일별하였다. 그리고 이를 배경으로 하면서 2014년 8월에 실시한 현지 한국학 관련 설문 조사 결과를 집중적으로 분석하여 인도네시아 한국학의 구체적 발전 방향을 모색해 보았다. 발전 방향의 첫째는 교육 단계별, 교육 기관의 확대, 교육 과정 개발, 전문 인력 양성, 교재와 교육 방법 등의 개발에 체계적 지원의 확대가 가장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중등과 대학간, 대학상호간, 양국 상호간의 필요에 따른 교육 과정의 개발이 필요하다. 셋째, 초기 단계에 맞게 한국어 전문 교수를 비롯하여 한국 문학, 역사 등 한국학 요구의 순위에 따라 교수 전문 인력을 양성할 필요가 있다. 넷째, 우선 한국어 교육에 필요한 교재와 현지 사정과 우리의 다양한 문화를 내용으로 하는 교수법의 개발이 필요하다. 다섯째는 제도적으로 교육 기관을 늘여서 교육의 기회를 확대함으로써 고급의 한국학 수학에 쉽게 접근할 수 있게 해야 한다. 여섯째, 일련의 이런 발전 방향으로 나가기 위해서는 양국의 교류 협력을 증대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위에 제시한 표면적으로 당위적 측면의 발전 방향이면서도 설문의 구체적 내용을 반영하여 본문에서 논의에서는 발전 방향의 구체적 논리와 내용을 드러내 보여 주었다.

      • KCI등재

        한식의 브랜드화 방안

        정해옥(Jung Hae-ok) 한국국학진흥원 2006 국학연구 Vol.8 No.-

        본 내용은 한식의 브랜드화 방안에 대하여 조사한 것으로 우선, 한국음식문화의 특징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한국전통음식은 채식위주이고 채식과 육식의 절묘한 조화를 이루는 과학적인 음식으로 육류위주의 서양음식과는 달리 농경문화에 바탕을 두고 발달하여 곡물류 중심의 음식이 발달하였다. 한국전통음식의 특징은 밥을 중심으로 한 반찬문화가 발달하였는데, 곡류에 맛을 부여하는 다양한 조리법의 반창문화가 형성되었다. 반찬 중에는 삭힘 음식과 발효식품이 발달되었다. 조리방법은 기름을 적게 사용하고 국ㆍ찌개 등 습식문화의 발달로 밥과 반찬이 젖은 상태로 공급되며, 상차림은 전개형, 개별식의 문화로 일시에 한상에 모든 음식이 공급되어 전개된다. 음식은 조리 후 즉석 소비되며, 포장은 수송 수단으로 이용된다. 식품배합에서의 과학성을 특징으로 들 수 있는데, 다양한 주식과 김치ㆍ장류 등 발효음식의 과학성, 아침식사를 중요시하는 식문화의 특성과, “약과 음식은 그 근본이 동일하다”는 약식동원의 실천적 측면을 볼 수 있다. 자연과 인간을 하나로 인식하는 사상이 우리 식생활에 깃들여져 있다. 음식을 만들 때 5가지 맛의 조화, 계절과 음식과의 관계 등을 고려한 음식의 선택, 재료의 배합 등에 음양오행의 원칙을 적용시켜 식생활의 조화와 균형을 실천하였다. 다음으로, 한국음식의 종류별 브랜드 상품화 현황에 대하여 밥류, 죽류, 국수류, 만두류, 묵ㆍ두부류, 탕반류, 장류, 김치, 식초, 주류, 양념류, 육류, 어류, 해조류, 인삼류와 기타로 분류하여 알아보았다. 김치, 햇반, 불고기, 두부, 떡 등이 브랜드화 되어 수출되고 있는데, 햇반의 경우, 출시 8년 만에 1천억 수준의 매출을 달성(819억원, 2004년)하고 있고, 연평균 40% 이상의 신장세(1,050억원, 2005년)를 예상하고 있다. 김치는 브랜드화 된 대표 전통 한국음식이며, 각종 절임식품의 경우도 상품화 비율이 급격히 상승하고 있는데, 맛의 다양화, 포장의 다양화, 저장성 향상시킨 브랜드 김치가 제품화되고 있으며, 식염과 젓갈, 고추 가루 사용량을 줄인 제품개발이 필요하다. 한식의 브랜드화 방안을 위한 발전 전략으로는 (1) 한국음식 해외진출 방안, (2) 한국음식조리법의 표준화 및 상차림의 개선, (3) 한식 브랜드 개발에 대한 투자 확대, (4) 이미지 부각으로 브랜드 제고, (5) 자체 평가기준 설정으로 브랜드 명품개발, (6) 현지의 식문화를 고려한 브랜드 차별화, (7) 정규 조리교육기관의 활성화, (8) 한국음식의 문화 상품화, (9) 한식에 대한 홍보 인쇄물과 책자, (10) 건강식 브랜드, (11) 브랜드 도입을 위한 디자인 개선, (12) 다각적인 광고와 홍보, (13) 향토음식 관광상품화, (14) 간편식 브랜드 개발, (15) 한식의 대중화의 활성화, (16) 한식의 브랜드 개발의 명품화, (17) 판매 유통경로의 다양화로 구분하여 살펴보았다. 한식의 브랜드화 방안의 전망으로는, 해외의 한국식당 개설투자 지원에 의한 세계유명 관광지에 한국 식당 체인점 확충으로 해외 조기 한국식당 프랜차이즈화 구축으로 식재료 확충과 한국음식 브랜드를 제고하고, 단일 상표화할 한국음식의 개발로 국내시장과 현지생산 수요확산과 연계되어 한국음식 브랜드 상품의 수출 확산과 해외식품 박람회 등 홍보체계 확립으로 브랜드화 된 한국음식 수출 확대와 국가 이미지를 향상시킨다. 상품김치와 간편식 브랜드화 확산으로 음식문화의 국제성과 실용성 확보와 함께 부가가치가 높은 제조기술을 수출할 수 있다. 한국음식의 퓨젼화, 고급화로 관광이미지와 문화 이미지 제고 효과를 기대한다. 한국음식의 문화상품화로 인한 한국전통문화 체험 기회 확대와 관광산업 활성화를 기대하고, 브랜드화 된 한국식품과 한식당의 해외진출 확산효과를 기대한다. 전통식품산업의 혁신 분위기를 활성화 하여 기능성, 건강, 웰빙 식품산업의 신제품 개발 산업화를 촉진한다. Because of Korean boom, more and more tourists are coming to Korea. To continue the expansion of foreign tourists, we have to make brand of symbolic Korean food and advertize it globally. There are much more kinds of food other than Kimchi, Bulgogi, Japchae, etc, which are not being made yet. Hence, making brands of Korean food should be one of continued national policy. All people in the world are focusing on healthy and comfortable life. They prefer nature to artificial, natural to synthetic and our food is suitable to that. But there are many things still exist which must be improved. Things like lacking professional skill of traditional food, bad food habits of youngsters, etc. There are no systematic educational device and young people don't have interest to learn about traditional food these days. The government have to get interested about advertising traditional food first of all but it's not enough unless all the people must do it at the same time. Only national affection and interest can make superior brand of country's food industry. We shall simplify recipe and expropriate changed ordinary meal custom. We can make guarantee of market by franchising chains and verifying, fusion of sauces, like "rice cake pizza" for example. Also there are many things to be solved by developing studies of food industry and therefore, contacting them are necessary. To advance Korean food culture, we all have to be fond of and enjoy our own traditional food from childhood. As we can ascertain from the survey "images of today's Korean food", foreigners have huge interest of Korean food but don't have specific information about it. It means Korean food have enough competitiveness but organised for Koreans' own taste too much and not standardized yet. Korean foods are mostly based on vegetables and depends deeply on seasons. How about making brand's main image for nature and advertising it for tour conduct? We shall globalize Korean food by participating exhibitions, developing standard recipes, supporting it to make inroads into the world market. We already have Kimchi proved to be superior in all branch of taste, colour and nutrient. Korean food have big possibility to be popular globally since they have both good taste and shape. they can be improved more by packing skills and other techniques. It also need to give more indelible impression to foreigner. Korean food culture are giving depth to Korean boom. Increasing interest of health care meals is kind of world side trend which shows possibility of Korean food. As multinational corporations of 1960 to 1980 did, Korean food have capacity to make predominant brand like Coca-cola, cheese, curry and hamburger. Making effort to realize aims to name our own taste and culture world-wide should need conversion of value and strong pride of our own.

      • KCI등재

        조선시대 별급別給 분재의 사유와 변화 양상

        손계영 한국국학진흥원 2019 국학연구 Vol.0 No.39

        This paper examined the meaning, concept and reason of the special bestowal through 126 special gift writs stored in The Korean Studies Institute, and analyzed the changes and characteristics of the donor, donee and witness of the special bestowals by period. It reads as follows: ⑴The concept of “byeol-geub (別給)” implies ‘to bestow specially’ rather than ‘to bestow separately’. Thus this enabled special bestowals to be made to two or more donees at the same time, and it could also be possible to use the expression ‘pyeonggyun byeol-geub (平均別給, equal bestowal) in the special gift writs. ⑵The reasons of the special bestowal were largely divided into four such as ①ritual succession and serving parents, ②celebration, ③concern and consolation, and ④others. Among them, the largest number of the reason were passing the state examinations and the appointment of government official. And then it was appeared in the order expressing donor’s affection and favor for donee; ritual succession and patrilineal succession; being the eldest son or grand son; celebrating the birth of child especially a son and marriage, and so on. ⑶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donors, there were more cases of women than men. Women donors accounted for 50 to 80 percent of the 16th and 17th centuries, but by the 18th century, they had significantly decreased to 10 to 20 percent. In the case of donees, there were various cases of sons, daughters-in-law, daughters, sons-in-law, grandchildren, great-grandchildren, nephew, younger brother, children of secondary consorts, and consorts. However half of the cases were bestowal for sons and grandsons. ⑷Looking at the changes in witnesses involved in writing special gift writ, the average witness count in the first half of the 16th century was 3.85; by the end of the 18th century, there was less than one witness on average and even more than half of the cases donor wrote the writ without witnesses or clerks. By the 18th century, the principle of inheritance by equal distribution changed to the preferential inheritance for the eldest son and discriminatory inheritance for daughter, which appeared to have increased the authority of donors in special bestowal. This resulted in a sharp decrease in the number of witnesses and legal effect on the document itself, even if the donors, without witnesses or clerks, produced the inheritance documents by their own hands. 이 논문은 한국국학진흥원 소장 별급문기別給文記 126건을 대상으로 별급의 의미와 개념, 별급사유 등을 살펴보았으며, 시기별 별급의 재주 수취인 증인의 변화와 특징을 분석하였다. 그 내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1)‘별급別給’의 용어는 재주財主가 수취인에게 ‘따로 별도로 준다’는 의미보다는 ‘각별히 준다’는 의미가 내포되어 있다. 때문에 2명 이상의 수취인을 대상으로 동시에 별급이 이루어지는것이 가능했으며, 별급문기에서 ‘평균별급平均別給’ 등의 표현을 사용하는 것도가능할 수 있었다. (2)별급의 사유는 크게 봉사奉祀와 시봉侍奉, 경사에 대한 축하, 우환에 대한 위로, 기타 등으로 구분하였다. 그 가운데 과거급제 관직제수로 별급한 사례가 가장 많았고, 그 다음으로는 은애하는 마음을 나타내기 위한 표정表情, 장자 장손의 봉사奉祀승중承重, 자녀 손자녀의 경사에 대한 축하와 우환에 대한위로로 별급한 사례가 그 뒤를 이었다. 이밖에도 재주를 극진히 시봉侍奉한 것에 대한 보상, 서얼과 첩에 대한 배려 등 다양한 사유로 별급이 이루어졌음을 확인하였다. (3)재주의 특징을 살펴보면 재주가 여성인 사례가 남성인 사례보다 많았다. 시기별로는 여성 재주가 16~17세기에 50~80%를 차지한 반면, 18세기에는 10~20%로 현저히 줄어들었다. 수취인의 경우에는 아들, 며느리, 딸, 사위, 손자녀, 증손자, 조카, 동생, 서얼자, 첩 등으로 다양하게 나타났으나, 아들과 손자에게 별급하는 사례가 전체의 절반을 차지하였다. 수취인의 변화는 17세기 후반으로 넘어가는 시기에 두드러지게 나타났는데, 며느리와 손자며느리에게 별급하는 비중이 높아졌다. (4)별급문기에서 증인의 변화를 살펴보면, 16세기 전반의 평균증인수는 4명에 가까웠으나, 18세기 후반이 되면 평균 증인수가 1명도 되지 않으며 심지어 증인證人필집筆執 없이 재주가 자필自筆로 작성한 사례가 절반 이상을 차지한다. 이는 18세기가 되면 균분상속의 원칙이 장남 우대와 딸에 대한 차등분재로 변화해 갔던 사회적 인식과 분위기가 재주의 별급에 대한 권한을 더욱 높였던 것에서 기인한 것으로 보인다. 이로 인해 증인수가 급격히 줄어들었으며, 증인 필집 없이 재주가 직접 자필하여 분재기를 작성하더라도 문서 자체로 법적 효력을 가질 수 있었다.

      • KCI등재

        한국학 담론의 성찰과 한국학 실용화의 모색

        박경환(Park Kyung-hwan) 한국국학진흥원 2006 국학연구 Vol.8 No.-

        한국학 실용화의 가장 중요한 전제는 그것의 대중화이고 일상화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중요한 것은 한국학이 대중에 가까이 내려오는 것이다. 한국학의 성과가 소수 전문가들의 지적 탐구의 성과로 머문채 그 시대 대중의 삶과 유리되어 있다면 진정한 의미의 한국학의 창조적 계승은 물론이고 파생적 실용성을 기대할 수 없기 때문이다. 결국, 한국학의 보급과 실용의 목표는 한국학과 당대 한국인 간의 소통에서 주어져야 한다. 즉, 한국학이 담고 있고 문제 삼고 있는 대상이 지닌 긍정적 가치와 정서적 향유의 원천이 현재를 살아가는 한국인들의 가치세계와 인식세계 및 정감세계와 만나 긍정적 작용을 하는 것에서 찾아야 한다. 그렇게 하기 위해서는 전문가 중심 한국학 연구의 성과와 전통문화를 대중과 소통시키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학문적 탐구를 통한 전통과의 소통이 소수 연구자의 전유물인 반면, 감성적 체험을 통한 전통과의 소통은 누구에게나 열린 길이다. 그렇게 될 때 전통문화는 대중과 함께 하는 살아서 숨 쉬는 문화라는 현재적 의미를 부여받게 되고 감성과 인식의 대상으로서 대중의 의식세계와의 만남을 통해 재창조되는 과정을 거쳐 다음 세대에 남겨줄 새로운 전통으로 거듭나게 될 것이다. 이것이 바로 한국학의 대중화이고 전통의 대중화이다. 이러한 작업이 지닌 의의는 우리들이 이 전통 혹은 한국학의 대중화와 실용화 과정을 통해 문호수수文化授受의 일원으로 참여함으로써 생물학적 유한성을 넘어서 역사의 영속성에 참여하게 된다는 것이다. 그런 점에서 한국학의 근본을 두터이 하고 그것을 바탕으로 대중적 보급과 실용화의 길로 나아가려는 우리들의 노력은 우주의 영원한 시간성 속에서 우리자신을 어떻게 자리매김할 것인가 하는 실존적 의의와 맞닿아 있다. Putting Korean studies to practical use is close connection with popularization through mutual understanding with populace. Korean studies realizes its practical value by corning to an understanding with Koreans of the day. That is to say, Korean studies realizes its own practical value through having an influence on every social action processes of korean people. In the last issue, Popularization of korean studies is the most important precondition for put it practical use. Therefore, the achievement of popularization of korean studies depends on mutual understanding between korean studies and korean people of the day. For it, It is absolutely necessary to introduce the result of professional scholar's study about Korean studies to the populace. Encountering populace through their emotional experience, cultural heritage and Korean studies are vested with significance of the day. And through such process, cultural heritage and Korean studies can be recreated and become new tradition that leave in next generation. That is the way of practical use of Korean stud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