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로티의 비트겐슈타인 해석

        곽소현 범한철학회 2007 汎韓哲學 Vol.47 No.4

        Rorty's understanding of Wittgenstein Sohyun Gwak The main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reason why Rorty is considered as a philosophical relativist by scrutinizing his interpretation on Wittgenstein. The paper also aims to dissolve the relativistic problem of Rorty’s point of view from the different standpoint, what is called, experientialism. Rorty accepts Wittgenstein's point of view that philosophy is a therapeutical function and admits the abstract facet of experience embedded in the later Wittgenstein's concept, ‘form of life'. However, Rorty seems to overlook the physical aspect of experience. His interpretation on experience is inevitable since he made an effort to expand contingency of language. His theory of linguistic contingency does not offer any constraints on language use. This is the point where Rorty's view has been criticized for being relativistic. The criticism that Rorty's claim is relativistic would be dissolved if he accepted Wittgenstein's view on experience thoroughly, in which both physical and abstract aspects of experience are embedded. The dissolution of relativism can be achieved through the experiential point of view in which experience includes physical and abstract facets together. 문】본 논문의 주된 목적은 비트겐슈타인에 대한 로티의 해석을 검토함으로써 로티가 철학적 상대주의자라고 비판받는 원인을 분석하고, 이러한 상대주의적 난점을 체험주의적 관점에서 해소하려는 것이다. 로티는 철학이 치유적 활동이라는 비트겐슈타인의 철학관과 후기 비트겐슈타인의 ‘삶의 형식’에 담긴 경험의 추상적 층위에 대한 해석을 수용한다. 그러나 경험의 물리적 층위에 대한 고려는 간과하고 있다. 이러한 로티의 경험에 대한 해석은 자신의 ‘언어 우연성’ 논제를 전개시키기 위해서 불가피한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언어 우연성’에 관한 로티의 주장은 언어 사용의 제약 지점을 설정하지 않기 때문에 철학적 상대주의라는 비판을 불러오고 있다. 로티가 철학적 상대주의자라는 비판은 경험의 물리적 층위를 포함하고 있는 비트겐슈타인의 입장을 온전히 수용한다면 해소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이에 대한 구체적인 해명은 경험이 물리적이고 추상적인 층위를 동시에 포괄한다는 체험주의적 시각을 통해서 가능하다.

      • KCI등재

        도와 일상성

        곽소현(Gwak, So-Hyun) 새한철학회 2014 哲學論叢 Vol.75 No.1

        이 글의 목적은 노자와 후기 비트겐슈타인의 관점을 본질주의적 사유와 충돌하는 반본질주의적 측면에서 조명할 경우, 기존 본질주의 철학 전통이 간과해 온 관계적 일상성이라는 가치가 새롭게 창조될 수 있다는 점을 밝히는 것이다. 먼저 노자는 ‘극기복례’와 ‘인’으로 대표되는 유가적 본질주의를 ‘거피취차’라는 주장을 통해 비판한다. 그리고 유가적 본질주의가 간과해온 인간의 본래적 자연성과 유무상생의 관계로 구성되는 일상성의 가치를 새롭게 부각시킨다. 또한 후기 비트겐슈타인은 전기 철학의 언어 본질주의적 관점이 갖는 한계에서 벗어나 후기에서는 ‘언어 놀이’와 ‘가족 유사성’ 개념을 제시한다. 이를 통해 비트겐슈타인은 문장의 의미가 드러나는 지점이 인간이 실제로 언어를 사용하는 ‘일상성의 맥락’에 있다는 점을 밝힌다. 또한 의미 생성의 주된 역할이 ‘인간의 언어 사용 활동’에 있다는 점을 드러낸다. 이러한 관점은 전기 비트겐슈타인의 입장에서는 제외되었던 가치들이다. 마지막으로 ‘본질주의적 이상’에서 ‘관계적 일상’으로의 이들의 공통적인 관심 전환은 인간 삶의 중요한 의미가 불변하는 본질이나 미래적 이상에 있는 것이 아니라 바로 지금 여기서 우리가 실제로 활동하고 있는 구체적 일상에 있음을 강조한다. 이같은 노자와 후기 비트겐슈타인의 관계적 일상성에 대한 강조는 끊임없이 변화하는 유동적 세계 통찰 안에서도 우리의 사유가 불안이나 지적 허무주의로 귀결되지 않고, 오히려 삶의 역동성을 긍정적으로 누릴 수 있도록 해주는 가능적 장을 연다는 점에서 의미 있는 것이다. 이들 관점을 한마디로 표현한다면 인간을 위한 참된 삶의 길로서의 ‘도는 일상에 있다’고 할 수 있다. The main issue of this paper is to reveal that Lao-tzu and the latter philosophy of Wittgenstein have anti-essentialism" perspective in common. First, Lao-tzu criticizes Confucius"s Essentialism, and claims 去彼取此. And through this argument, Lao-tzu recreates a value of innate human naturality. Also, Wittgenstein deconstructs essentialistic standpoint of his early philosophy, and emphasizes "the dailiness of life" in the latter period of philosophy. In virtue of this argument, He clearly shows that the centrality of a sense creation means not the essence or ideal but a context of dailiess. And from the fact, it follows that the value which means activity of human"s language use is restored. In this way, They deeply sympathize what deconstruct the concept of essense, and emphasize ‘realtions’ and ‘the dailiness of life.’

      • KCI등재

        장자 수양론에서의 은유

        곽소현(Gwak, So-Hyun) 새한철학회 2015 哲學論叢 Vol.79 No.1

        이 글의 목적은 ‘인간이 어떻게 세계의 변화와 하나의 기(一氣)로 막힘없이 통할 수 있는가’를『장자』내편에 등장하는 수양에 관련된 은유들을 분석함으로써 밝히는 것이다. 분석 결과 드러난 장자의 ‘기(氣) 통하는 몸’ 수양법은 인간이 실제로 기의 차원에서 이 세계 변화와 하나가 되어 자연에 순응함으로써 애락의 고뇌를 벗어나 건강한 생명을 영위할 수 있다는 것을 밝혀준다. 이를 위한 논의 전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가 정명론과 상반되는 관점에서 장자의 은유적 표현 양식이 갖는 현대적 · 철학적 중요성을 ‘체험주의 은유’ 이론과의 접맥을 통해 밝힌다. 둘째, 장자의 고요한 물과 거울, 바람, 칼 은유를 분석한다. 분석 결과 장자 수양의 핵심은 비움(虛)과 중심(中) 유지에 있다. 그리고 각 은유들에 담긴 수양법과 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물과 거울 은유에서는 비움 · 조화 · 평정 유지로 덕을 쌓는다. 둘째, 바람 은유에서는 ‘평상시의 자연스러움에 맡김’이라는 방법으로 중심을 지키고 만물을 동등한 차원에서 긍정한다. 셋째, 칼의 은유에서는 중도를 따름으로써 애락의 고뇌를 벗어난다. 이것이 인간이 기의 차원에서 이 세계 변화와 하나가 될 수 있는 장자의 ‘기 통하는 몸’ 수양법이다. 이상의 논의는 첫째, 장자의 은유적 표현이 갖는 현대적 · 철학적 가치를 밝히고 둘째, 인간이 세계와 하나의 기로 통할 수 있는 수양법을『장자』내편의 은유 분석을 통해 구체적으로 드러냈다는 점에서 가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 논의는 장자 수양의 궁극적인 이상적 경지가 어떤 것인가에 대해서는 구체적으로 논의하지 못했다. 이것은 장자의 이상적 인간형을 유(遊)와 관련시켜 분석할 때 밝혀질 문제다. 이러한 점은 차후의 지면을 빌어서 좀 더 구체적으로 논의할 수 있기를 바란다. The main issue of this paper is to clarify Chuang-tzu’s method of self-cultivation by examining metaphors in inner chapter of Chuang-tzu. I designed the study as follows. First, I will clarify the philosophical importance of Chuang-tzu’s metaphor in contradiction to Confucian rectifying names. Second, I will examine the metaphor in inner chapter of Chuang-tzu, which are calm water, mirror, wind and cleaver. According to them, the main point of Chuang-tzu’s method of self-cultivation is emptying out(虛) mind and maintaining center(中). In this, the purpose of self-cultivation is to learn, unity of Qi(一氣). There are three concrete methods of self-cultivation as below. First, To empty out mind (虛心) and maintain the harmony(和) and balance(平). This is expressed in metaphors of calm water and mirror. Second, To be natural in a casual manner(寓諸庸) and rest at the center of the celestial potter’s wheel(道樞). This is expressed in metaphor of wind. Third, To be free from suffering of the life and death by following nature(緣督). This is expressed in metaphor of cleaver. These are the methods of Chuang-tzu’s self-cultivation. By following these, human can learn unity of Qi(一氣), follow nature and maintain healthily life.

      • KCI등재

        망각과 운명애

        곽소현(Gwak, So-hyun) 대한철학회 2014 哲學硏究 Vol.130 No.-

        이 글의 목적은 '안지약명(安之若命)'으로 대표되는 장자 운명관을 현실 체념적이고 노예적인 순응주의로 간주하는 이택후(李澤厚)의 입장과 해석상의 충돌을 시도하고 장자의 입장이 참된 운명 긍정론임을 밝히는 것이다. 이것은 특히 망(忘)의 역할 분석을 통해 진행된다. 그 결과 새롭게 창조되는 가치는 두 가지다. 하나는 통상적으로 인식의 결여나 질병 상태 등 부정적 기능으로 간주되어 온 망각의 긍정적 역할이며, 다른 하나는 몸·생사·세계 변화를 일기(一氣)의 운행으로 통찰함으로써 운명에 긍정적으로 대처하는 '기 통하는 인간'의 가능성이다.이러한 논의를 위한 글의 전개는 다음과 같다. 먼저 명(命)의 용례 분석을 통해 '안지약명(安之若命)'의 의미를 밝힌다. 분석 결과 안지약명은 '인간의 힘으로 어찌할 수 없는 상황 앞에서는 마음 편히 운명을 따르라'는 의미다. 다음으로 안지약명을 노예적 순응주의로 간주하는 이택후의 입장에 반대해 장자 입장이 운명 긍정론임을 밝힌다. 이것은 장자의 운명 대면법을 네 단계로 추적함으로써 진행된다.첫째 부득이(不得已)한 운명적 상황을 있는 그대로 직시한다. 둘째 이 때 망각을 통해서 인간적 애락(哀樂)의 고통과 물아(物我) 구분을 해소한다. 셋째, 몸·생사·세계 변화를 일기(一氣)의 운행으로 통찰한다. 넷째, 이러한 과정은 운명 앞에 긍정적으로 대처하는 기(氣) 통하는 인간을 탄생시킨다. 그는 왜 운명 앞에서 긍정적일 수 있는가?기 통하는 인간은 사물의 이치에 통달하고 그것의 흐름에 따라서 자유자재로 변화하며, 그 결과 외계 사물로 인해 자신의 생명을 해치지 않는다. 따라서 어떤 운명적 상황 앞에서도 사태를 있는 그대로 긍정하며 담담히 포용할 수 있다. 즉 장자의 기 통하는 인간은 운명을 긍정한다. 여기서 이택후의 비판은 극복된다. 필자는 이처럼 부득이한 운명 앞에서 비관 혹은 도피나 노예적 순응이 아닌 적극적 대면과 긍정적 포용의 태도를 취하는 장자의 안지약명을 '장자의 운명애'라고 부를 수 있다고 본다.이러한 점에도 불구하고 필자는 '기 통하는 인간'의 실제적 가능성과 역할 등에 관해서는 면밀히 논하지 못했다. 이것은 장자의 기론과 수양론을 연관시켜 분석할 때 밝혀질 수 있는 문제들이다. 이러한 점에 대해서는 차후의 지면을 통해 좀 더 구체적인 논의를 진행할 수 있기를 바란다. Li Zehou(李澤厚) regards Chuang-tzu's fatalism as a kind of pessimism and slavish conformism. The main issue of this paper is to opposes Li Zehou(李澤厚)'s view, and reveal that Chuang-tzu's fatalism is not the negative and slavish conformism but the true positivism of the fate. These Chuang-tzu's fatalism can be conceptualized as a 安之若命. When the human was faced with unavoidable fate, Chuang-tzu's 安之若命 is not pessimistically surrender itself to the fate such as a slave, but pleasantly accepts and affirms the fate. Now, the next three process proves that Chuang-tzu's 安之若命 affirms the fate.The attitude of 安之若命, First, takes the unavoidable(不得已) fate as it is. Second, it resolves a humane 'sadness and joy(哀樂)' through 'the forgetting(忘).' Third, it understands the life and death, the change of world, the human body as the stream of energy(氣). Fourth, in conclusion, it affirms the fate by these processes. These point of view can conceptualize as Chuang-tzu's Amor Fati. That is to say, Chuang-tzu' 安之若命 is not a pessimistic but a positive view of the fate.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장자의 깨달음

        곽소현 ( Gwak So-hyun ) 서강대학교 철학연구소 2019 철학논집 Vol.56 No.-

        이 글의 목적은 장자가 말하는 ‘진정한 깨달음’이 한 개인의 차원에서 어떻게 가능한지 밝히는 것이다. 이를 위한 글의 전개는 다음과 같다. 먼저 장자 도에 대한 정신적 깨달음의 경지인 명(明)을 검토한다. 여기서 명의 체득은 견독(見獨) 과정을 수반한다. 둘째, 도에 관한 실천적 깨달음을 양행(兩行)을 중심으로 검토한다. 양행의 체득은 적후지공(積厚之功)을 통해 가능하다. 셋째, 장자의 깨달음은 인간이 ‘덕우(德友)’를 얻고 어떤 장애 속에서도 삶에 대한 긍정적 태도를 잃지 않게 한다. 본 논의가 드러내는 가치는 다음 세 가지다. 첫째, 장자의 깨달음은 정신적 차원과 실천적 행위 중 어느 한 쪽만을 강조하지 않고, 두 차원의 동시적 진행을 통해서 완성되는 통합적 깨달음이다. 둘째, 정신적 깨달음의 경지인 명(明)은 개인의 고유한 주관적 체험 경지다. 이 때문에 도를 깨치는 수련은 고독하다. 그러나 먼저 도를 깨달은 자가 과정을 함께 하고, 깨달은 후에는 덕을 나누는 벗이 일상을 함께 한다. 이 때문에 깨달은 자는 궁극적으로 고독하지 않다. 셋째, 장자의 깨달음은 정신적 환상으로의 도피나 미래적 이상 추구가 아닌 일상을 긍정하는 태도로 실현된다. 장자의 깨달음은 개인이 다양한 삶의 한계에 직면했을 때 좌절하거나 도피하지 않고 사태를 직시하고 적절히 대처하는 삶의 기술로 발휘된다. 이러한 체득적 깨달음은 시공의 제약 속에 사는 인간이 다양한 삶의 한계를 자신의 힘으로 기꺼이 긍정해내는 실천적 지혜를 발휘하게 한다는 점에서 ‘삶 긍정의 기술’이라고 할 수 있다. This study aims to reveal how the ‘true knowledge’ of Zhuangzi is possible on a personal level. For that, the personal obtainment of ‘true knowledge’ of Zhuangzi’s Dao is examined in two dimensions of mind and practice, and the concrete method of true knowledge is analyzed. Lastly, the actual effect of true knowledge is revealed in the attitude of being a ‘virtuous friend’ and having the ‘daily affirmation’. The development of the study for discussion is as follows: First, the realm of Ming, a place of mental true knowledge of Zhuangzi’s Dao, is examined. Here, the learning of Ming involves a process leading to a stage of ‘envisioning universal uniqueness.’ Second, the practical true knowledge of Zhuangzi’s Dao is investigated centering on ‘going both ways.’ The learning of ‘going both ways’ is possible through accumulated meritorious deeds. Third, the true knowledge of Zhuangzi lets people acquire ‘virtuous friends’ and maintain positive attitude towards life itself no matter what hindrance comes along. This is the practical effect of Zhuangzi’s true knowledge. There are three new values revealed through this study. First, the true knowledge of Zhuangzi does not emphasize any one dimension over the other between mind and practice of a human being. It is an integrated enlightenment that is completed through simultaneous progression of these two dimensions. Second, Ming, the realm of mental obtainment of true knowledge, is a state of a person’s subjective experience. Because of this, the training process that leads to Dao is lonesome. However, the person who reaches the true knowledge of Dao first accompanies the training process of others, and after the enlightenment, one’s daily life is accompanied by the friends of virtue. Thus, the person with true knowledge is not lonely. Third, the true knowledge of Zhuangzi is realized by an attitude of positivity in daily life rather than an escape to a mental fantasy or a pursuit of idealism for the future. The true knowledge of Zhuangzi is exercised as a life technique in which an individual is able to handle the situation by facing it squarely without being depressed with frustration or running away when placed in various marginal circumstances such as death, disease, and poverty. This kind of true knowledge of experiential learning can be said to be a ‘technique of life affirmation’ in that humans living within the constraints of time and space can demonstrate practical wisdom that positively affirms the various limits of life with their own strength.

      • KCI등재후보

        작업치료사들의 감정노동과 성격요인, 직무만족 간의 상관관계 및 영향

        이홍득,곽소현,유연경,김희 한국정신보건작업치료학회 2017 한국정신보건작업치료학회지 Vol.7 No.1

        목적 : 본 연구는 작업치료사의 감정노동과 성격요인, 직무만족 간의 상관관계 및 영향을 알아 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2017년 5월 10일부터 5월 26일까지 온라인 설문지를 이용하여, 편의 표본추출, 눈덩이 표집, SNS 홍보로 모집된 작업치료사 167명을 대상으로 감정노동, 성격 5요인, 직무만족에 대한 설문을 실시하였다. 수거된 자료는 SPSS Version 18.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직무특성을 빈도와 백분율로 분석하였다. 일반적 특성과 직무특성에 따른 감정노동, 성격요인, 직무만족의 차이를 ANOVA로 분석하였으며, 각각의 변수간의 상관관계에 대해서는 Pearson Correlation 으로 분석하였다. 감정노동과 성격요인 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다중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 감정노동 중 표면행위는 직무만족과 유의한 상관성이 나타나지 않았고, 역 채점된 내면행위와 직무만족 간 유의미한 부적 상관관계(r=-.313)가 나타났다. 성격요인과 직무만족은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r=1452)가 있었다. 작업치료사의 성격요인은 직무만족과 정의 방향으로 영향이 있었다(F=21.076, Adjusted R2=.204). 결론 : 성격요인은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므로 예비 작업치료사인 학부 학생과 임상가를 대상으로 한 성격 교육 및 훈련의 필요성이 있다. 또한 감정노동의 내면 행위는 직무만족과 상관성이 있으므로 내면 행위를 잘 조절 할 수 있는 방법이 고안되어야 한다. Objective : This study investigates the correlations and effects between emotional labor, personality factors and job satisfaction of occupational therapists. Methods : The survey was conducted on 167 occupational therapists, recruited by convenient and snowball sampling, and SNS promotion about emotional labor, personality factors, and job satisfaction from May 10th to 26th, 2017.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by general characteristics and job characteristics of the participants. ANOVA was used to analyze the differences between emotional labor, personality factors, and job satisfaction based on general characteristics. Pearson Correlation was used to analyze the correlation between variable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to examine the effects of emotional labor and personality factors on job satisfaction. Results : Surface acting of emotional labor did not significantly correlate to job satisfaction. Inverted score of the deep acting was significantly negatively correlated to job satisfaction, and personality factors were significantly positively correlated to job satisfaction. Personality factors influenced job satisfaction. Conclusions : Personality factors affect job satisfaction, so there is a need for personality education and training for undergraduate students and clinicians. Since deep acting of emotional labor is correlated to job satisfaction, a way to control deep acting should be considered.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