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R을 이용한 모형 기반 잠재프로파일 분석을 활용한 대학생 학습참여 유형과 학습성과 분석

        김희란(金喜蘭)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2021 아시아교육연구 Vol.22 No.2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을 대상으로 R을 이용하여 모형 기반 잠재프로파일 분석방법(model-based latent profile analysis)을 적용하여 대학생들의 학습참여(student engagement)를 유형화함으로써 대학생 학습활동을 이해하는 것이다. 전국 4년제 일반대학에 재학 중인 학생을 대상으로 K-NSSE(Korea-National Survey of Student Engagement) 측정도구를 이용하여 온라인 설문조사를 통해 수집된 1,178명의 표본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3개의 학습참여 유형이 추출되었으며, 잠재집단들은 표본 수에서는 차이가 나지만 유사한 축을 가지는 타원형 분포를 띄는 모형(VEE, Ellipsoidal, Variable volume, Equal shape, and Equal orientation)이 가장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학습참여 유형은 특징에 따라 ‘적극형’, ‘보통형’, ‘소극형’으로 명명되었다. ‘교수와 상호작용’ 변인이 유형 분류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음이 밝혀졌다. 뿐만 아니라, ‘적극형’ , ‘보통형’, ‘소극형’ 순으로 대학생활을 통한 역량 함양 정도, 교육만족도, 대학몰입도를 높게 보고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대학생들이 학습참여에 적극적일수록 학습성과가 높다는 선행연구결과를 지지하였으며 인지적 학습성과뿐만 아니라 정의적 학습성과 또한 학습참여의 적극성 정도와 관련되어 있음을 입증하였다. 대학생의 학습지원과 관련하여 본 연구결과의 시사점이 논의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learning activities of undergraduate students by applying the model-based latent profile analysis and classifying the typology of student engagement in learning. 1,178 data were collected from 4-year undergraduate students who had responded to the K-NSSE assessment via online survey. Results showed that three types of learning engagement were developed. The fittest model of latent groups was the ellipsoidal model with variable volume, equal shape and orientation among groups. The learning engagement was classified into active, ordinary, and passive types. The participants of active type showed higher scores on GPA, perceived competencies, educational satisfaction, and immersed level in college activities than other types. The results supported previous study outcomes that the more undergraduate students are active in their learning engagement, the higher their achievements are, and that the level of active engagement is associated with emotional learning outcomes as well as cognitive outcomes. Implications of study results were discussed regarding supports for learning of undergraduate students.

      • 朝鮮 前期 政治文化에 나타난 公論의 의미 고찰

        김희 간재학회 2012 간재학논총 Vol.13 No.-

        본 논문은 조선 전기에 특징적으로 나타나고 있는 公論政治의 확립과정을 王權과 臣權의 정치권력 관계 속에서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조선의 탄생과 더불어 정치이념으로 수용된 주자학적 성리학은 새로운 왕조의 정통성을 확보하고 사회의 질서를 안정화하는 것에 순기능으로 작용한다. 더욱이 유가의 현실정치 속에서 士를 중심으로 발현되는 공론정치는 조선왕조의 정치구조를 변화시키는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며 이러한 변화의 요인은 공론정치에 담겨져 있는 君臣 간의 정치적 이해관계에서 비롯된다. 다시 말해서 조선의 탄생과 더불어 시급하게 해결해야할 왕실의 전통성 확립은 주자학적 성리학의 토대 위에서 확립되었다. 하지만 도덕적이고 합리적인 주체의 형성을 강조하는 성리학의 정치이념은 유학자(士林)들의 정치참여를 독려하는 계기가 된다. 더욱이 주자학적 성리학의 정치이념에 토대를 두고 있는 공론정치는 새로운 정치세력으로서 사림의 중앙정계진출을 독려하는 공론의 장으로 기능한다. 이런 측면에서 본고는 조선의 탄생과 더불어 왕실의 정통성과 사회질서의 확립을 위해 수용된 성리학의 정치이념을 왕권의 강화라는 측면에서 고찰하고 주자학적 성리학의 정치이념 속에서 발현되는 조선 성리학의 특징을 공론의 형성과정 속에서 살펴본다. 이 과정은 조선의 정치사회에 새롭게 등장한 사림의 정치적 의미를 되짚어 보는 계기가 될 것이다.

      • KCI등재

        디지털 융합 시대의 문화적 소외 양상 연구

        김희 대동철학회 2016 大同哲學 Vol.77 No.-

        본 논문은 고도화된 형태의 과학기술에 기초한 기술정보의 융합을 통해 높은 생산성과 효용성을 갖춘 디지털 융합매체의 개발을 독려하고 있는 현대 디지털 융합 매체사회의 문제점을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것은 수학적 사고를 근간으로 하는 기계론적 세계관과 과학주의의 확대 과정 속에서 발생하고 있는 인간의 문화적 소외 양상을 디지털 융합매체의 새로운 미디어 환경 속에서 비판적으로 고찰하는 것인 동시에 사회의 여러 영역들과 긴밀한 이해관계를 형성하고 있는 디지털 매체의 존재의 양상에 대한 비판적 접근이기도 하다. 또한 이것은 낙관론적인 과학주의 사고 과정에 배태되어 있는 기계론적 세계관의 위험성(자기증식적, 자기강화적)을 고찰하는 과정이 된다. 이 점에서 현대 사회에 빈도 높게 나타나고 있는 반인륜적이고, 반사회적인 사태들은 기술정보의 융합을 통해 높은 생산성을 창출하는 낙관론적인 과학주의의 모순을 보여주는 상징적인 사례에 해당한다. 디지털 매체의 발달과 더불어 정보기술을 활용하는 인간 능력의 향상은 다양한 영역들 간에 정보를 교류할 수 있는 새로운 소통문화의 토대를 형성한다. 하지만 자본을 중심으로 하는 현대 사회의 문화생산구조 속에서 소통을 위한 매체는 구조화된다. 자본에 의해 구조화된 매체는 사회의 새로운 이념에 맞추어 새로운 형식의 매체를 창출하는 반복의 과정을 거친다. 그리고 변화된 사회의 이념에 따라 새롭게 구조화된 매체의 확대 과정 속에는 기계론적인 사고에 기초한 과학지상주의가 전제되어 있다. 더욱이 이러한 기술정보의 융합을 시도하는 디지털 융합매체 속에서 인간은 더 이상 조작 주체로서의 고유한 지위를 갖지 못한다. 또한 이것은 디지털 가상 세계 속에서 나타나는 주체함몰(상실)을 상징하는 것이기도 하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디지털 융합시대를 지탱하는 기술정보의 융합 논리 속에 내재되어 있는 기계론적 세계관에 기초하는 과학주의에 대한 비판적 고찰을 시도한다. 그리고 이것을 위해 본 논문에서는 디지털 융합시대를 대표하는 빅데이터의 세계관과 더불어 기술정보의 융합 논리에 대한 철학적 분석을 시도한다. 또한 이것은 자본을 중심으로 구조화 되고 있는 현대 사회의 융합매체가 가지는 소외의 양상을 고찰하는 과정이기도 하다. This research has a purposive approach to a critical study on convergent processes of technology information centered around digital convergence media. The study is an critical consideration of value neutral aspects of technology information as well as of reaction of scientism(self-replicating, self-reinforcing). Connecting with this view, a series of antisocial conjunctures represents a symbolic case as a contradiction of optimistic scientism creating high productivity vis technology information convergence. Together with development of digital media, improvement of human capabilities of utilizing information technology builds a basis for new communicative culture able to exchange information among different forms of fields. However, media for communication became structuralized in structure of cultural production in a contemporary capitalistic society. The media structured by capital has a repetitive process of producing new types of media in accordance with new ideology of the society. In this process of technology information convergence a human being is not no longer able to retain an indigenous status as a controlling subject. Further, this means loss of identity in the digital virtual-world. Thus, this research tries to contemplate a critical approach regarding scientism based on a mechanistic worldview inherent in a logic of technology information convergence holding an era of digital convergence. For this, it attempts to analyze a world view representing as big data as well as the logic of technology information convergence in terms of a philosophical dimension. This also accompanies a process of studying a marginalized aspect of convergent media in the modern society structuralized by capital.

      • KCI등재

        중국불교의 형성과 도가 養生의 상관성 연구

        김희 한국동서철학회 2019 동서철학연구 Vol.0 No.94

        This paper attempts to examine, in conjunction with a social cause inside the Chinese society, formation and development of Chinese Buddhism regularized in the Wei, Jin, Southern and Northern Dynasties of China. A formative process of Chinese Buddhism involves with several factors inside the Chinese society, which are beyond a Buddhism-centered perspective focusing on transmission and propagation of Indian Buddhism. In this respect, it is known that the role of Taoism as a buffer in the acceptance process of other spiritual/moral cultures based on India should be considered in the formative process of Chinese Buddhism. Nevertheless, discussion on social meaning of the formative process of Chinese Buddhism remains unheated as an educational analysis of original righteousness and understanding of Indian Buddhism becomes bolstered. In a developmental process of the Chinese society from Earlier and Later Han to the Wei, Jin, Southern and Northern Dynasties, the denotative growth of political power is attributed to the external growth of state power through establishment of a centralized bureaucracy. And it correlates to exchange with the Central Asia and Western regions connecting to the Huns as well as Middle East, namely commercial development. However, several uprisings of the peasants started from the Yellow Turban Rebellion throughout the denotative growth of political power in the Wei, Jin, Southern and Northern Dynasties correspond to the symbolic example representative of internal contradiction of the Chinese society. These uprisings of the peasants carry an aspect of social movements on the basis of Taepyeongdo (the first Taoist platform) relevant to Lao-tzu’s primary ideas. Furthermore, salvation of gumin (saving people) permeated in popular consciousness with formation of the intensified Taoist-order in a process of negotiation with Buddhism facilitates change of yangsaeng (caring for life) of Taoism. From this perspective, change of yangsaeng represents not only the fact that Buddhist salvation becomes expanded in the Chinese society of the time, but also a formative process of Chinese Buddhism expanded by yangsaeng. Therefore, this study on the correlation of Taoist yangsaeng and formation of Chinese Buddhism is considered as a process of understanding a role of Taoism in the formative process of Chinese Buddhism in the Wei, Jin, Southern and Northern Dynasties. 본 논문은 魏晉南北朝시대에 본격화된 중국불교의 형성과 발달을 중국사회 내부의 사회적 원인과 연계하여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중국불교의 형성과정은 인도불교의 전래와 포교를 중심으로 하는 불교 중심주의 시각만으로 이해할 수 없는 중국사회 내부의 여러 요인들과 연관성을 갖는다. 이 점에서 중국불교의 형성과정에는 인도에서 전래된 다른 정신문화, 즉 불교의 중국 수용과정에 완충 역할을 한 도가사상의 기능 또한 고려되어야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인도불교의 원의를 해석하고 이해하는 교학적 측면의 불교가 강조됨에 따라 중국불교의 형성과정에 관계하는 다양한 의미에 대한 논의가 사회적으로 활발하게 전개되지 못한 한계가 있다. 다시 말해, 兩漢시기를 거쳐 魏晉南北朝시대에 이르는 중국사회의 발전과정에는 중앙관료체제의 확립을 통한 국가권력의 확장이라는 정치권력의 외연확대가 있다. 그리고 이것은 중앙아시아를 비롯해 흉노와 중동지역을 잇는 서역과의 교류, 즉 상업의 발달과도 밀접한 연관성을 가진다. 하지만 황건의 봉기를 기점으로 하는 魏晉南北朝시대 정치권력의 확대 과정 속에 나타나는 농민 봉기는 중국사회 내부의 부조리한 현실을 대변하는 상징적인 사례에 해당한다. 그리고 이와 같은 농민의 봉기는 도가(『老子』, 『莊子』)의 세계관을 공유하는 太平道(『太平經』)에 이념을 둔 사회운동의 한 가지 양상에 해당한다. 더욱이 불교와의 교섭과정 속에서 나타나는 도교 교단의 형성과 民(민중)의 삶에 관한 救民의 구원의식은 도교 교단의 확대와 더불어 도교의 養生 관념에 변화를 가져오는 기능을 한다. 이 점에서 도교의 養生 관념에 변화는 중국사회에 확대되는 불교에 대한 이해를 말하는 것인 동시에 도교와 교섭하는 관계성을 갖는 중국불교의 형성과정을 대변하는 것이기도 하다. 그러므로 중국불교의 형성과 도가 養生의 상관성 연구는 魏晉南北朝시대를 중국불교의 형성과정에 기능하는 도교의 역할을 도교 養生論과 불교의 구원의식의 관계성을 통해 이해하는 과정이 된다.

      • KCI등재후보

        담뱃갑 경고그림이 흡연에 미치는 영향: 중국 소비자를 대상으로

        김희,고한준 국민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8 社會科學硏究 Vol.30 No.2

        Currently, cigarette package health warnings are getting more attentions from around the world. In addition, previous studies have shown that picture warnings made a stronger impact on smoking behavior than text warnings. In China, only text warnings are currently adopted to cigarette packages, and a smoking rate is still increasing year by year. For this reason, this study tried to examine consumers' reactions toward picture warnings by conducting an experiment. As a result, respondents, who were exposed to a higher level of fear in picture warnings, showed more negative attitude toward the cigarette package, lower purchase intentions, and higher intentions to quit smoking than those of the lower level group. Moreover, these i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 between smoking group and nonsmoking group in terms of the level of fear in picture warnings and the attitude toward the cigarette package. This study suggests that China should consider adopting picture warnings to cigarette packages. This will help people quit smoking in China. 담뱃갑에 표시되는 경고메시지는 현재 많은 나라에서 사용되고 있다. 선행 연구를 바탕으로 경고그림이 경고문구 보다 흡연 욕구를 줄이거나 금연에 상대적으로 더 높은 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중국 시장은 경고문구만을 도입한 상황이고 흡연율 또한 나날이 높아지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아직 경고그림이 도입되지 않은 중국의 소비자를 대상으로 실험을 진행하여 경고그림의 공포 수준에 따른 중국 소비자의 반응을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경고그림의 공포수준이 높아짐에 따라 중국 소비자들은 경고그림으로 포장된 담뱃갑에 대해서 부정적인 태도를 나타냈고, 구매의도가 떨어졌으며 금연의도 또한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더불어 흡연자와 비흡연자는 경고그림의 공포수준에 따라 담뱃갑에 대한 태도에서 상호작용 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 중국 시장에서 흡연율을 낮추거나 금연의도를 높이기 위해서 담뱃갑에 경고그림을 도입하는 정책은 매우 효과가 있을 것이라 예상되었다.

      • KCI등재

        디지털 문화사회의 시민성과 도가철학의 자유에 관한 연구

        김희 대동철학회 2022 大同哲學 Vol.99 No.-

        This paper focuses on a study of the meaning of democratic communication of digital and cultural society developed along with advancement of internet technology through discussions of freedom and equality of Taoist philosophy. Discussions of freedom and equality able to facilitate civil society has been still in progress. This means that both freedom and equality that have political significance is changing in accordance to value and ideology that the society pursues. In this perspective, communication of digital online network system based on open information sharing and equal participation is also perceived as a more democratic form of communicative action. Contrary to such an expectation, communicative action in the digital and cultural society intensifies a certain type of human thinking, which depends on conveniences, and furthermore causes human alienation where human becomes isolated, strayed, and excluded in the digital network. Therefore, this paper gives us a chance to consider a true value of freedom and equality being able to be functioned as competencies of democratic citizen in the very era of the digital and cultural society through discussions of freedom and equality in a perspective of Taoistic philosophy. Also, it leads to a process of searching solutions to solve different matters involved with human alienation in terms of the Taoistic philosophy. 본 논문은 빠른 속도의 인터넷 기술과 함께 발전한 디지털 문화사회의 민주적인 의사소 통행위를 도가철학의 자유와 평등에 대한 논의를 통해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근대의 시민사회를 가능하게 만든 자유와 평등 개념에 대한 논의는 현재까지도 진행된 다. 이것은 일상의 삶에 기능하는 자유와 평등 개념이 그 사회의 정치적 상황과 문화 및 경제의 조건에 따라 끊임없이 변모한다는 것을 말하는 것이기도 하다. 이 점에서 개방적인 형태의 정보교류와 수평의 평등적인 참여성을 주요한 동력으로 삼는 디지털 네트워크 세 계의 소통성은 우리의 의사소통행위를 더욱 민주적인 형태로 고양시켜 나아갈 것으로 인 식된다. 하지만 우리의 기대와 달리, 디지털 문화사회의 의사소통행위는 이기(利機)의 편리성에 종속되는 형태로 인간의 사고를 형식화 하는 한편 디지털 네트워크 세계 속에서 소통 주 체가 방황하고, 고립되며 배제되는 문화역전 현상, 즉 디지털 문화사회의 인간 소외 현상 을 야기하기도 하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오늘날 우리의 디지털 문화사회 속에서 요구되는 민주시민의 자질 을 도가철학의 자유와 평등에 관한 논의를 통해 고찰하고, 그 의미를 분석한다. 그리고 이 것은 디지털 문화사회에서 빈도 높게 나타나는 여러 층위의 인간 소외 현상이 갖는 문제 의 해결을 위한 방안을 도가철학의 자유와 평등에 대한 논의를 통해 모색하는 일련의 과 정이 된다.

      • KCI등재

        맹자 養民論의 도가철학적 해석

        김희 대동철학회 2019 大同哲學 Vol.87 No.-

        본 논문은 맹자의 철학사상에 나타나는 貴民과 保民의 養民論을 노자사상에서 강조되 는 온전한 삶을 위한 생의 보존의식에 관한 生民論과 연계하여 살펴보고, 그 사상적 연원 의 관계성 속에 나타나는 民意의 生民論에 대한 노자와 맹자의 사상적 同異性을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일반적으로 춘추말기, 전국시대를 배경으로 하는 맹자는 양주와 묵적에 대한 비판의식을 토대로 도가사상에 대립하는 사상을 피력한 사상가로 인식 된다. 이 점에서 맹자의 철학사상 에서 강조되는 貴民과 保民의 養民論은 도가사상에서 강조되는 온전한 삶을 지향하는 貴己의 全生과 생명에 대한 보존의 의식이 표명되는 重生과 무관한 별개의 것으로 이해하는 학문 경 향이 있다. 하지만 백가쟁명의 시대로 대변되는 전국시대 묵적과 양주에 대한 맹자의 비판은 노자와 장자로 대변되는 도가사상에 대한 비판과 직접적인 연관성을 갖지 않는다. 더욱이 맹 자의 사상체계에서 강조되는 仁政과 王道政治의 실현은 물질주의가 가지는 사회의 폐단에 대 한 비판인 동시에 대국의 형성을 위한 폭력적 권력에 대한 견제의 내용을 가진다. 이 점에서 맹자는 인간 본원의 진실된 마음이 발현된 德治를 仁政과 王道의 실현을 위 한 君의 중요한 덕목으로 삼고, 인간 본연의 진실된 마음이 상호교류 하는 공동체의 삶을 역설한다. 그리고 이것은 온전한 삶(全生)과 생명의 의식(重生)을 토대로 하는 노자의 小 國寡民의 정신과 내용적으로 상통하는 의미를 갖는다. 그러므로 본 논문은 노자와 맹자사상에게 강조되는 養民의 의미에 대한 비교분석을 통 해 맹자의 養民論에 대한 도가적 해석의 개연성을 확보한다. 그리고 이것은 맹자의 사상체 계에 기능하고 있는 도가적 사유방식의 기제를 모색하는 과정이기도 하다. This study tries to examine Mencius Guimine(貴民) and Yangmin theory(養 民論) of Bomin(保民) in connection with a Saengmin(生民) theory emphasized in Lao Tzu s Sogukgwamin(小國寡民) for both whole life and consciousness of preservation of life, and research Lao Tzu s and Mencius s ideological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concerning the saengmin theory shown in relationships of the ideological origin. Based on critical consciousness of Yangzi(楊子) and Mozi(墨子), Mencius thought in the late Spring&Autumn and Warring States implies a conflictory perspective against Taoism. From this point, the guimine and good people theory of bomin accentuated in Mencius philosophical idea have tendencies to be understood as a heterogenous thought distinct from Jeonsaeng(全生) of Guigi(貴己) for the whole life, and a Jungsaeng(重生) perspective expressed by consciousness of preservation of life. It is, however, axiomatic that Mencius criticism of Yangzi and Mozi in the Spring&Autumn period representative of the Baekgajaengmyeong(百家爭鳴) is not equal to criticism of Taoism exemplary of Lap Tzu as well as Chuangtzu. Furthermore, realization of Injeong(仁政) and Wangdo(王道) underlined in a system of Mencius thought is not only criticism of an indictment of materialistic society, but also a check on abusive power in order to construct great power. In respect to this, Mencius accentuates community life where a truthful heart of human interacts with one another in consideration of Rule-by- Virtue(德治), which is developed from the truthful heart of human, as a truly significant virtue of a sage for realization of injeong and wangdo. And it is substantially parallel to Lao Tzu s sogukgwamin on the basis of the whole life and awareness of life(重生). Therefore, this paper attempts to manifest plausibility of a Taoist understanding through comparative analysis of Yangmin(養民) highlighted in Lao Tzu s and Mencius thought. This attempt also leads to a process of exploring a Taoistic way of thinking functioned in Mencius reasoning.

      • KCI등재

        조선 유학자의 계몽의식과 양민(養民)의 문화적 발전 양상

        김희 한국동서철학회 2020 동서철학연구 Vol.0 No.96

        This paper builds on an argument about social reform by progressive Confucianists of the Joseon Dynasty in order to create the life-world of Anmin (to restore order and confidence for the people). And it is also associated with the Joseon’s Confucianists’ sense of enlightenment, that was, contributed to sublimating in literature intellectuals’ perception of the real problems during those times. Seeing from this aspect, irrational problematiques in actual life become not only criticized through literature functioned as a sort of the public sphere, but also dealt with workaround solutions in the literature activities based on their views to literature. Thus, such their literature activities mean more than criticism of reality. Furthermore, those activities reflect both existential uneasiness and contemporary attempts of the leading Confucianists to overcome social instability in the midst of the rapidly changing foreign situation, and preposterous ordering of the feudal social-status-system. Accordingly, this paper tries to examine a meaning of process of creating a new ideal society in literary works written by Heo gyun, Hong daeyong, and Park jiwon, concerned with their views to literature─such as attitudes towards scholarship as well as ways of studying. In this regard, the clerisy’s establishment of new values and ways of scholarship in order to solve real problems the Joseon society faces with becomes emphasized through expansion of very roles of the four classes─aristocrats, farmers, artisans, and merchants─with practical functionality of scholarship and restoration of academic purpose. To the extent that it refers to new perception of unconventional Confucianists towards the form and content of absurd life, and concurrently possibility of being transformed into new politics so as to resolve the problems, the zeitgeist of the progressive Confucianists, which is contributed to attempt reorganizing Anmin’s life-world anew, represents a sense of enlightenment of the Joseon’s Confucianists and at the same time cultural development of Yangmin (middle class). 본 논문은 안민(安民)의 생활세계를 창출하기 위한 선진적 조선유학자의 사회개혁에 대한 논의를 기반으로 한다. 그리고 이것은 조선 사회가 직면하고 있는 현실의 문제들을 문학의 세계로 전위시킨 조선 유학자의 계몽의식과도 연관성을 갖는다. 다시 말해, 새로운 공론의 장으로 기능하는 문학 작품을 통해 부조리한 사회의 모순들을 풍자하고, 비판하며 고발하는 동시에 그 문제의 해결을 위한 대안을 자신들이 지향하는 학문관에 기초하여 문학적으로 승화시킨 조선시대 선진적 유학자들의 현실 이해는 주목해 볼 필요가 있다. 더욱이 급변하는 대외 정세의 영향관계 속에서 발생하는 조선사회 내부의 정치적 혼란과 사회질서의 붕괴는 당시대를 살아가는 선진적 유학자들에게 있어 실존의 문제가 된다. 그러므로 본 논문은 허균과 홍대용, 박지원(박제가)을 중심으로 그들의 문학 작품 속에 기능하는 새로운 이상사회의 창출과정이 가지는 의미를 그들이 견지하는 실천의 학문관과 연관하여 살펴보고, 그 의미를 규명하는 작업을 수행한다. 이와 같은 측면에서 본다면 조선사회가 직면하고 있는 현실의 문제 해결을 위해 실학자들에 의해 강조된 지식인 계층에 대한 의식의 개혁과 학문의 본질 회복은 이용후생의 정덕(正德)으로 표명된다. 그리고 이것은 부조리한 삶의 형식들에 대한 선진적 유학자들의 실천적인 문제의 인식인 동시에 문제의 해결을 위한 대안의 모색 과정이 된다. 또한, 이것은 새로운 사회의 창출을 위한 지식인 계층의 의식의 전환을 의미한다는 점에서 안민(安民)의 생활세계를 새롭게 기획하는 선진적 유학자의 시대정신은 조선 유학자의 계몽의식을 대변하는 것인 동시에 양민(養民)의 문화적 발전양상을 대변하는 것이 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