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양극성 장애 환자에서 나타나는 식욕 및 섭식 행동의 특성 : 일반적 음식갈망-특질척도(G-FCQ-T)와 약물 관련 섭식행동 설문지(DR-EBQ)를 이용한 평가

        이선이,류승형,고효정,홍경수,남희정,Lee, Sunny,Ryu, Seung-Hyong,Ko, Hyo-Jung,Hong, Kyung-Sue,Nam, Hee-Jung 대한생물정신의학회 2011 생물정신의학 Vol.18 No.4

        Objectives In the current study, we quantitatively estimated changes in appetite and eating behavior of bipolar disorder patients during the pharmacotherapy. We also investigated their contribution to the weight gain and their association with specific food-craving characteristics of the patients. Methods Subjects included forty-one bipolar disorder patients and fifty-six controls. Currently sustained natures of food craving were assessed using the General-Food Craving Questionnaire-Trait (G-FCQ-T) and changes in appetite and eating behavior were measured using the Drug-Related Eating Behavior Questionnaire (DR-EBQ). Results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the patients' group showed significantly higher body mass index (t=2.028, p=0.045). The patients' group had significantly higher 'Preoccupation with food' factor score of G-FCQ-T (p=0.016)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only 'preoccupation with food' factor independently predicted psychotropic medication-induced appetite change. Conclusions Appetite change while receiving psychotropic medication seems to be related to the weight-gain and associated with craving natures of 'preoccupation with food' in bipolar disorder. Appetite and/or eating behavioral changes measured by G-FCQ-T and DR-EBQ could be regarded as an important mediating factor in future studies exploring biological mechanisms of weight gain related with pharmacotherapy for bipolar disorder.

      • KCI등재
      • KCI등재
      • 시장·군수·구청장에 의한 입원을 한 정신과 환자의 인구학적 및 임상적 특성

        신윤미(Youn Mi Shin),차보석(Boseok Cha),고효정(Hyo Jung Ko) 대한사회정신의학회 2010 사회정신의학 Vol.15 No.2

        연구목적: 본 연구는 시장·군수·구청장에 의한 입원을 하였던 환자들의 사회인구학적, 임상적 특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시장·군수·구청장에 의한 입원을 하였던 138명 환자들의 3년간 의무기록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대상군을 두 개 그룹으로 나누었다. 3개월 이내로 입원을 하였던 단기재원 환자군, 3개월 이상 입원한 장기재원 환자군. 두 군간에 인구학적, 임상적 변인을 비교하였다. 장기재원을 예측할 수 있는 임상적 변인들을 조사하였다. 그리고, 퇴원 이후 치료중단율과 재입원 형태도 조사하였다. 결 과: 99명(72%) 환자들이 단기재원 환자군에 속했으며, 39명(28%)이 장기재원 환자군에 속했다. 장기 재원을 예측할 수 있는 의미있는 변인들로는 의료보호 1종, 실직상태 및 입원기간 중 2가지 항정신병약물 사용이었다. 시장·군수·구청장에 의한 입원 환자들은 퇴원후 외래치료 중단율이 높았다. 절반 이상의 환자들(53.3%)이 퇴원 직후 바로 치료가 중단되었으며, 6개월째 누적 치료 중단율은 86.1%였다. 재입원시 가장 흔한 입원 형태는 자의입원(60%)이었다. 결 론: 이번 연구는 의료보장형태 및 질병의 심각도가 장기 재원과 관련됨을 시사한다. 시장·군수·구청장에 의한 입원을 하였던 환자들이 높은 치료중단 위험성을 갖고 있다는 것을 고려하여, 이를 줄이기 위한 전략들이 필요하겠다. Objectives: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demographic and clinical characteristics in patients hospitalized by the order of local authorities. Methods:Three years of clinical data from the medical records of 138 patients hospitalized by the order of local authorities were analyzed. Subjects were divided into 2 groups:length of stay less than 3 months(Short-term hospitalization, SH), and more than 3 months(Long-term hospitalization, LH). Demographic and clinical variables were compared between the two groups. We investigated the clinical variables that could predict LH. We also examined the dropout rate and readmission pattern after hospital discharge. Results:Ninty nine patients(72%) belonged to SH group, and 39(28%) to LH group. The significant clinical variables that could predict a longer length of stay were medicaid type I, unemployment, and use of two antipsy-chotics during admission. Dropout rates were high during outpatient follow-up. Slightly more than half of pa-tients (53.3%) did not attend first follow-up outpatient clinic immediately after discharge. At 6 month after discharge, cumulative dropout rates were 86.1%. The most common pattern of readmission was voluntary hospitalization(60%). Conclusion:This study suggests that type of medical security and severity of disorder might be associated with a longer length of stay. Given that patients hospitalized by the order of local authorities have a high risk for dropout, strategies for decreasing dropout are needed.

      • KCI등재후보

        전산화 신경인지기능검사(Seoul Computerized Neurocognitive Function Test)를 이용한 해독된 알코올 환자의 신경심리기능

        박종익,이현정,고효정 大韓神經精神醫學會 2004 신경정신의학 Vol.43 No.5

        Objectives : To demonstrate consistent and significant findings of neurocognitive functioning in detoxified alcoholics have been inconclus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cognitive functions in detoxified alcoholic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neuropsychological test scores and alcohol consumption patterns. Methods : Twenty-four alcoholics, aging between 30 and 50 years, at least 4 weeks after the beginning of detoxification and 24 normal controls equated for age and education were exmained on Seoul computerized neurocognitive function tests in order to evaluate neurocognitive functions, which include attention, memory function, executive function, motor performance. Results : Compared to controls, alcoholics were more impaired on both finger tapping test (FTT, right : p<0.05, left : p<0.01), bu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wo groups on any measures including attention, memory function, and executive function. Even though there were significantly negative associations between length of drinking history and performances on FTT with both hands (right : r=-0.55, p<0.01 ; left : r=-0.48, p<0.05) in alcohol group,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showed that age and STAI contributed significantly to the prediction of FTT, ameliorating the dignostic effect. Conclusion : There was no evidence of significant declines in attention, memory, and executive functions in alcoholics compared to normal controls, except impaired motor performance functions which may be related to concurrent anxiety.

      • Mild Cognitive Impairment 노인군의 점화효과 특성

        박재우,김도관,고선규,고효정,김성환,김재경,서민영,이인수,김지혜 大韓神經精神醫學會 2002 신경정신의학 Vol.41 No.3

        연구목적 : 이 연구에서는 K-MMSE에서 25점 이하를 받은 50대 이상 노인들을 MCI(Mild Cognitive Impairment) 군으로 보고 이들의 인지 기능 특성을 점화 효과를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먼저, 점화 효과가 MCI 노인군에서 있어서도 유지되고 있는지를 알아보고, 인지 기능의 손상 정도에 따라 점화 효과가 유의미하게 변화하는 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방 법 : 본 연구에서는 K-NAME 점수 25점 이하의 노인 96명으 대상으로 ADAS-Cog와 일종의 간접 기억 검사 도구인 지각적 파악 과제를 제작하여 점화 효과를 측정하여 인지 기능의 퇴행이 시작된 고연령군이 나타내는 암묵 기억 능력 특성을 알아보았다. 점화효과는 컴퓨터 상에 사전 노출된 자극과 그렇지 않은 자극을 순간 노출시켜 미리 노출된 자극에 대해 반응 시간이 줄어들고 정확 반응이 증가하는 정도로써 측정하였다. 이 때 지능이나 연령, 학력 수준과 같은 변인이 미치는 영향을 통제하기 위해 한국판 웩슬러 지능 검사의 <어휘>, <토막> 소검사를 실시하였고, 인구통계학적 변인에 관한 면접을 실시하였다. 통계적 분석 과정에서는 먼저, 연구에서 측정된 점화효과의 특성을 알아보기 점화 효과 측정치의 기술 통계치를 구하였으며 다른 측정 변인들과의 상관 분석을 실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측정된 점화효과가 인지 기능의 퇴행 수준에 비례하는 지의 여부를 파악하기 위해 ADAS-Cog 및 나이, 교육 연한 및 지능 수준을 독립변인으로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 과 : 먼저 기술 통계 분석 결과에 의하면 본 연구에 참여한 피보험자들의 경우 점화효과에 의해 미리 노출된 자극을 평균 3.6개 더 정확히 파악하였으며 평균 59ms 더 빠르게 반응한 것으로 나타나 이들 집단에서도 점화효과가 유지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다음으로 변인들 간의 상관 분석 결과에 따르면, 정확 파악 반응 점수에 따른 점화효과는 전반적인 인지 기능을 평가하는 K-MMSE 및 ADAS-Cog와 정적인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반응 속도로 측정한 점화효과의 경우에는 나이와는 정적인 상관이, KWIS의 <어휘> 소검사 점수와는 부적인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본 연구에서 사용된 점화 효과 측정치를 종속 변인으로 ADAS-Cog와 KWIS의 어휘 및 코막 소검사로 측정한 지능 수준, 나이와 교육 연한과 같은 인구 통계학적 변인을 독립 변인으로 회귀 분석을 실시한 결과에 따르면 정화간응 점수로 측정한 점화 효과의 경우 상관 분석 결과에서와 같이 ADAS-Cog 변인만이 유의미한 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반응 속도로 측정한 점화 효과의 경우 나이의 효과만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 론 : 이러한 결과는 경미한 인지 기능의 손상이 진행되고 있는 고연령군의 경우에는 외현 기억 능력은 손상이 시작되지만 점화효과로 측정된 암묵 기억이 전반적으로는 유지되다가 인지 기능의 퇴행이 진행됨에 따라 노출된 자극을 더 정확히 파악하는 능력이 저하되고 점화 효과에 의해 인출 속도가 빨라지는 현상이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함께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남을 말해 준다. Objectives : In this study, the cognitive characteristics, especially priming effect, of above 50 years old age group who had less than 25 points in K-MMSE were investigated. Methods : In this study, an implicit memory test measuring priming effect was made and administered ti old age people who had less than 25 points in k-MMSe in screening session. To control the effect of age, educational level and intelligence, demograohic variables were measured, and the subjects of KWIS, vocabulary and block design were administered.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of the two priming measures and correlational analysis between variables were done. To test the effect of cognitive functioning on priming effect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done. Results : Correlational analysis revealed priming score obtained from correct identification response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K-MMSE and ADAS-Cog. And priming score obtained from mean reaction time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age and negatively correlated with vocabulary substest of KWIS. The regression analysis results indicated from correct identification response, whereas age has significant effect on priming score obtained from mean reaction time. Conclusions : The results revealed that as cognitive deterioration progresses priming effect which identify primed stimulus correctly diminish, and as one grow older within age 50 to 70, priming effect which identifies primed stimulus quickly increas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