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조상경에 나타난 밀교 태장계법 연구

        강향임 불교의례문화 연구소 2020 무형문화연구 Vol.0 No.2

        It is the Bulbokjang to posit a relics of the dharma body on the newly created Buddha statue, the commentary that details this process is Josanggyeong. Therefore, it cannot be a according to the dharma without going through the procedures of the Josanggyeong. This Bulbokjang ritual is a esoteric ritual in which monks and the laities participate, It contains many rituals such as visuali- zation protocol for maṇḍala, meditative insight for wheel of words, and homa. Therefore, in this paper, there was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harma -dhatu-garbha and the Bulbokjang ritual among the three divisions of the great pantheon. The dharma-dhatu-garbha is a transmission of the teaching from master to disciple developed from Tiantai Esoteric Buddhism in China to Taimitsu in Japan, the beginning of which, based on the Mahāvairocana-sūtra, is a esoteric ritual related to garbha-dhātu maṇḍala. In the Josanggyeong of the edition of Yujeomsa Temple, explanations of garbha-dhātu maṇḍala, five tathāgatas, and their respective colors, as well as the emeditative insight for eight petalsl of lotus flower appearing. First of all, this book begins with the contemplation of garbha-dhātu maṇḍala from 「the maṇḍala ritual to hide things in the stomach of buddhas and bodhisattvas statue」. In addition, the wisdom and virtue of the central Mahāvairocana appear as Samantabhadra-bodhisattva, Mañjuśrī Bodhi- sattva, Avalokitêśvara Bodhisattva, and Maitreya Bodhisattva, which are the four Buddhas on all sides. In addition, it is said that the great luminosity mantra of Commentary forgreat luminosity and contemplation is widely placed on each of the eight-leaf lotus paintings to form a maṇḍala, there are three groups of Mahā- vairocana-sūtra and its homa such as such as śāntika(Buddha-groups)ㆍpauṣ- ṭika(lotus flower groups)ㆍabhicāraka(vajra groups), along with the all the work was completed species and hooking and catching species, they show the possi- bility of type 4 or type 5 Homa. 불복장은 새롭게 조성되는 불상에 법신사리를 안립하는 것이며, 이 과정을 밝혀 놓은 의궤가 조상경이다. 따라서 조상경의 절차를 통하지 않고서는 여법한 불복장이 될 수 없다. 이러한 불복장의식은 승속 모두가 참여하는 밀교의식으로서, 그 안에는만다라 관상법, 자륜관, 호마법 등이 포함되어 있다. 이에 본고에서는 밀교 삼부대법중에서 태장계법과 불복장의식의 연관성을 살펴보았다. 태장계법은 시초인 중국 천태밀교로부터 일본 천태밀교[태밀]에서 발전시킨 밀교 사자상승 부법으로서, 대일경을 소의로 하는 태장만다라 관련 밀교수법이다. 유점사본 조상경에서는 태장만다라와 오여래 및 그 각각의 색상 등에 대한 설명과 더불어 팔엽홍련화 관상법 등이 나타나고 있다. 먼저 조상경「제불보살복장단의식」에서부터 태장만다라 관상으로 시작되고 있다. 그리고 중앙 대일여래의 지혜와 덕성이 사방 사불인 보현보살, 문수보살, 관자재보살, 미륵보살로 나타나고 있다. 또한 대명관상의궤의 대명주를 팔엽의 연화 각각에 포치 관상함으로써 만다라를 이룬다고 하였고, 대일경의 삼부 및 그 호마법인 식재(불부)⋅증익(연화부)⋅항복(금강부)의 삼종법이 나타나고 있으면서 이와더불어 성판제사와 섭치는 4종 또는 5종 호마법의 가능성을 나타내고 있다.

      • KCI등재

        예비교사교육에서 수학적 연결성을 강조한 과제 개발 사례연구

        강향임 한국수학교육학회 2019 수학교육논문집 Vol.33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tasks developed through task development activities with emphasis on mathematical connectivity, and to provide implications for teacher education to enhance teacher's competence. For this purpose, I analyzed the task developed by 52 pre-teachers through the activities. As a result, they combined mathematics with 'other subjects', 'mathematics', 'phenomenon', 'technology' and 'real life'. And they also made various internal connections of 'Different representation', 'Part-whole relationship', 'Implication', 'Procedure', and 'Instruction-oriented connection'. From the point of view of teacher knowledge, the study revealed that CCK and SCK were positive in terms of 'logical' and 'expression', and KCT as 'strategic' was meaningful but disappointing in diversity; however in terms of 'level', the KCS was limited due to tasks that did not meet the level of students. As such, this analysis reveals that teachers continue to struggle with understanding students' level, but exhibit little difficulty with 'logic', 'expression' and 'strategy. This being the case, teacher education needs to place additional emphasis in understanding students' levels and planning corresponding activities. 본 연구의 목적은 수학적 연결성이 강조된 과제개발 활동을 통해 개발된 과제를 분석하여 교사의 역량 강화를 위한교사교육에 시사점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예비교사 52명을 대상으로 연결성이 강조된 과제 개발 활동을 적용하고 이를 통해 개발된 과제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예비교사들이 개발한 과제는 타 교과, 수학사, 현상, 공학, 실생활과의 외적 연결이 있었다. 또한 다른 표현, 부분-전체의 관련성, 암시, 절차, 설명-지향적 연결의 다양한 내적 연결 사례가 있었다. ‘논리’와 ‘표현’의 관점에서 예비교사들의 CCK와 SCK는 긍정적이었으며, ‘전략’으로서 KCT는 다양성에서 아쉬웠지만 의미가 있었다. 다만 ‘수준’의 측면에서 KCS는 학생의 수준에 부합하지 못한 과제가 있었다는점에서 제한적임을 알 수 있었다. ‘논리’, ‘표현’, ‘전략’의 유연함과 다르게 ‘수준’에서 어려움을 나타냈다는 점을 고려해 볼 때, 교사교육에서 ‘학생에 대한 이해’가 더욱 강조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비와 비율에 관한 학생의 오류와 어려움 해결을 위해 필요한 교사지식

        강향임,최은아 대한수학교육학회 2015 학교수학 Vol.17 No.4

        In this study, we hope to reveal teacher knowledge necessary to address student errors and difficulties about ratio and rate. The instruments and interview were administered to 3 in-service primary teachers with various education background and teaching experime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Specialized content knowledge(SCK) consists of profound knowledge about ratio and rate beyond multiplicative comparison of two quantities and professional knowledge about the definitions of textbook. Knowledge of content and students(KCS) is the ability to recognize students' understanding the concept and the representation about ratio and rate. Knowledge of content and teaching(KCT) is made up of knowledge about various context and visual models for understanding ratio and rate. 본 연구의 목적은 비와 비율에 관한 학생들의 오류와 어려움에 대한 교사들의 반응(TRED)을 조사하여, 이를 해결하기 위해 필요한 교사지식인 특수내용지식(SCK)과 내용교수지식(PCK)을 밝히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비와 비율의 개념과 오개념, 오류와 어려움을 살펴본 후 학생용 질문지를 개발·적용하였으며, 그 결과를 반영한 문항에 대하여 교사들이 어떻게 이해하고 대처하는가를 조사하였다. 3명의 현직교사의 질문지 반응과 인터뷰 자료를 분석한 결과, 두 양의 곱셈적 비교를 넘어서는 좀 더 깊이 있는 비와 비율 개념에 대한 SCK와 교과서의 개념 정의와 기술 방식에 대한 전문적인 SCK를 필요로 하였다. 또한 비와 비율의 수학적 표현과 개념을 구분하여 학생들의 이해 정도를 판단하는 KCS와 학생들의 본질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 다양한 맥락을 활용하여 비를 도입할 수 있는 KCT, 학생들의 직관적이고 시각적인 이해를 돕기 위한 시각적 모델을 도출할 수 있는 KCT가 필요함을 주장하였다.

      • KCI등재

        생반삼분(生飯三分)의 사상적 의미 고찰

        강향임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023 동아시아불교문화 Vol.- No.55

        There are two kinds of Saengbansambun. These are Saengbansambun of the place concept and of the contemplative concept. The former is a Saengbansambun related to the place where the Bulbokjang is being held, and the latter is a Saengbansambun related to the articles for Bokjang placed on the Buddha statue. This concept appeared for the first time in Wonderful, Universal, Secret and Highest Method for Meditation, Great Teaching King of Sūtras, and then it is the order of ritual of admiring the performer, surrounding mountains, and articles for Bokjang that must be performed in the Buddhist Ritual Literature related to the Josanggyeong . In this paper, an ideological review was attempted on the Saengbansambun. Saengbansambun is a ritual theme that unfolds on ideological grounds such as five-part dharma body, four stages in the activation of enlightenment, six perfections, faith, understanding, practice, and realization, three kinds of siddhi etc. In addition, it wishes for assistance of Maitreya’s reborn into a superior state of existence, descent of Maitreya, and quiescent nirvāṇa. And the foundation is maṇḍala. The ritual of Bulbokjang is unfolded based on the spatial world view of the alter for Bokjang, that is, in the maṇḍala, where the saint and the secular world coexist. The place concept of Saengbansambun is ritual offerings for sentient beings in the six destinies, earth, and disciples of the Buddha. Saengbansambun, the concept of contemplation, is a ritual for offering the articles for Bokjang to be settled on a Buddha statue newly created by a disciple who has been purified and approved through a zone, sprinkling water, and consecration. Therefore, Saengbansambun gives assistance through mantra, mudrā, and maṇḍala, and all articles for Bokjang are divided into Buddha by attainment of three mysteries. In this way, Saengbansambun can be said to be a Korean Buddhist ritual with exoteric teaching and Esoteric Buddhism. 생반삼분은 장소적 개념의 생반삼분과 관상적 개념의 생반삼분으로 나눌 수 있다. 전자는 불복장의식이 이루어지고 있는 장소와 관련된 생반삼분이고, 후자는 불상에 안립되는 복장물에 대한 생반삼분이다. 이 개념은 대교왕경 에서 처음으로 등장한 후 한국 조상경류의 복장단의식에서 반드시 행해야 하는 수행자 및 주변 산하, 복장물 등을 장엄하는 의식의 차제이다. 본고에서는 생반삼분에 대한 사상적 고찰을 시도하였다. 생반삼분은 오분법신ㆍ시각사위ㆍ신해행증ㆍ육바라밀ㆍ삼종실지 등의 사상적 근거에서 시전되는 차제이다. 또한 생반삼분은 미륵상생ㆍ미륵하생ㆍ적정열반의 가지를 염원한다. 그리고 그 토대는 만다라이다. 불복장은 복장단, 즉 만다라라는 성속이 함께 하는 공간적 세계관에 근거하여 펼쳐진다. 장소적 개념의 생반삼분에서는 육도중생ㆍ토지ㆍ불제자 등에 대한 공양의식이지만, 관상적 개념의 생반삼분은 복장물을 결계ㆍ쇄수ㆍ관정을 통하여 정화ㆍ인가된 불제자에 의하여 새롭게 조성되는 불상에 안립하는 공양의식이다. 따라서 생반삼분은 진언ㆍ수인ㆍ관상을 통한 삼밀가지로서 모든 복장물을 불(佛)로 가지하는 것이다. 이처럼 생반삼분은 현교와 밀교가 함께하고 있는 한국 불교의식이라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수학적 모델링 과정에서 접선 개념의 재구성을 통한 미분계수의 재발명과 수학적 개념 변화

        강향임 대한수학교육학회 2012 학교수학 Vol.14 No.4

        This paper reports the process two 11th grade students went through in reinventing derivatives on their own via a context problem involving the concept of velocity. In the reinvention process, one of the students conceived a tangent line as the limit of a secant line, and then the other student explained to a peer that the slope of a tangent line was the geometric mean of derivative. The students also used technology to concentrate on essential thinking to search for mathematical concepts and help visually understand them.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meaningful implications to school practices by describing students’ process of reinvention of derivatives. This study revealed certain characteristics of the students’ reinvention process of derivatives and changes in the students’ thinking process. 본 연구의 목적은 학생들이 수학적 모델링 활동을 통해 미분계수를 재발명하는 과정을 분석하여 학교현장의 미분계수 지도에 의미 있는 시사점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고등학교 2학년 문과 학생 2명을 대상으로 모델링 과정과 그 과정을 통해 나타나는 수학적 개념 변화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학생들은 할선의 극한으로 접선을 재구성하고 접선의 기울기와 순간속도를 연결하기 위해 미분계수를 재발명하였다. 이 과정을 통해 학생들의 접선 개념과 시간-속도 그래프에 대한 개념이 변화되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모델링 과정에서는 학생들의 시각적인 이해를 돕고, 수학적인 개념을 탐구하는 본질적인 사고에 집중할 수 있도록 테크놀로지를 활용하였다.

      • KCI등재

        무리수 개념에 관한 학생의 오류와 어려움 해석에 필요한 교사지식

        강향임,최은아 대한수학교육학회 2017 학교수학 Vol.19 No.2

        In this study, we hope to reveal specialized content knowledge(SCK) and its features necessary to analyze student's errors and difficulties about the concept of irrational numbers. The instruments and interview were administered to 3 in-service mathematics teachers with various education background and teaching experime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specialized content knowledge(SCK) were characterized by the fixation to symbolic representation like roots when they analyzed the concentration and overlooking of the representations of irrational numbers. Secondly, we observed the centralization tendency on symbolic representation and the little attention to other representations as the standard of judgment about irrational numbers. Thirdly, In-service teachers were influenced by content of students' error when they analyzed the error and difficulties of students. Lately, we confirmed that the content knowledge about the viewpoint of procept and actual infinity of irrational numbers are most important during the analyzing process. 학생들의 오류에 대한 교사의 정확한 해석과 설명은 이후 교수학적 처치의 방향을 결정한다. 학생들의 개념적 학습의 어려움을 진단하고 해석하는 과정에서 가장 중요하게 작용하는 교사지식은 전문내용지식(SCK)이다. 이에 본 연구는 무리수 개념과 표현에 관한 학생들의 반응에 대한 교사들의 해석과 설명을 분석하여 무리수 개념에 관한 학생의 오류와 어려움 해석에 필요한 교사들의 SCK의 특징을 밝히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무리수의 개념과 표현에 대한 학생들의 오류가 반영된 교사용 질문지를 개발하여 세 명의 현직교사에게 적용하는 사례연구를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학생들이 제시한 무리수 표현의 집중과 간과 현상을 해석하는 과정에서 발현된 SCK는 근호라는 기호 표현에 고착된 특징이 있다는 것과 유ㆍ무리수 판단 기준에 대해서 교사들도 학생들과 마찬가지로 ‘분수 표현’과 ‘소수 표현’이 동시에 제시된 상황에서 소수 표현에 더 집중하는 현상을 확인하였다. 또한 오류를 해석하는 교사들의 수학적 판단이 학생들의 반응에 영향을 받고 있다는 것과 무리수의 수직선 표현으로의 번역에 대한 해석에는 무리수의 개념-과정 관점과 실무한의 관점에 대한 내용지식이 가장 중요한 내용지식임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후보

        예비교사 교육실습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분석

        강향임,신수범,설양환 한국에듀테인먼트학회 2022 에듀테인먼트연구 Vol.4 No.1

        이 연구의 목적은 교육실습에 대한 실습생들의 만족도를 분석함으로써 교사양성교육기관의 교육실습 프로그램 개선 및 설계에 실제적이고 구체적인 현장 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교육실습을 경험한 실습생 321명의 설문을 분석하여 실습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도출하고 각 요인별 영향력과 세부항목에 대한 요구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실습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온라인 의사소통(β=.386)’, ‘실습관리 기술지원(β=.228)’, ‘실습내용(β=.240)’, ‘안내 및 연수(β=.198)’의 4가지로 확인되었다. 둘째, 가장 강한 영향력을 주면서 가장 낮은 만족도를 나타낸 ‘온라인 의사소통(t=8.197)’ 요인과 관련하여 알람 기능의 필요성이 제기 되었다. 셋째, 가장 높은 만족요인인 ‘실습내용’은 세부항목 중 ‘수업지도실습’과 ‘교사의 피드백’에 의해 만족도를 높였으며 실력 향상에 도움이 되었다는 판단이 가장 많았다. 마지막으로 실습생들은 실습록 과제의 비효율적인 운영방식을 개선해 줄 것을 요구하였다.

      • KCI등재

        예비교사의 라디안에 대한 이해

        강향임,최은아,Kang, Hyangim,Choi, Eun Ah 대한수학교육학회 2015 학교수학 Vol.17 No.2

        This study is to provide didactical implications for teaching and learning of radian through a analysis of investigation result about pre-service teachers' understanding of radia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pre-service teachers understood the radian as ${\frac{180^{\circ}}{\pi}}$, rather than as the definition. Secondly, the definition style of radian affected the problem solving strategy for the measurement of the angle. Thirdly, pre-service teachers had insufficient content knowledge about properties of measurement as a pure number of radian. Lastly, They failed to describe the usefulness of circular measure. We suggested the definition of radian in textbooks should be changed from ${\frac{180^{\circ}}{\pi}}$ to mathematical definition of radian. And the general angle should be stated as the reason why the domain of trigonometric function is real numbers. 본 연구의 목적은 예비교사의 라디안에 대한 이해를 분석하여 라디안 지도에 대한 교수학적 시사점을 도출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라디안의 개념과 속성, 교육과정 및 교과서를 분석한 후 이를 바탕으로 문항을 개발하였으며, 이를 예비교사 35명에게 적용하여 그 반응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라디안을 정의보다는 ${\frac{180^{\circ}}{\pi}}$로 기억하는 학생들이 많았으며, 라디안의 정의를 어떻게 이해하고 있는지가 각의 측정문제의 해결전략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예비교사들은 라디안의 이중적 의미, 특히 실수 속성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였고, 삼각함수가 왜 실수에서 실수로의 함수로 정의되는지에 대해 적절하게 설명하지 못하였으며, 호도법의 필요성과 유용성을 매우 제한적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frac{180^{\circ}}{\pi}}$를 1라디안으로 정의하는 교과서의 기술 방식이 개선되어야 한다는 것과 일반각이 실수와 일대일 대응임을 언급함으로써 삼각함수의 정의역이 실수임을 자연스럽게 이해하도록 할 것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수학 예비교사들이 과제의 인지적 노력 수준 변형에서 겪는 오류와 어려움

        강향임,최은아 한국수학교육학회 2021 수학교육 Vol.60 No.1

        본 연구는 수학 예비교사들이 과제의 인지적 노력 수준 변형에서 겪는 오류와 어려움을 분석하여, 수학 과제 변형과 관련한 수학 예비교사 교육에 유의미한 시사점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24명의 수학 예비교사들을 대상으로 수직이등분선의 성질에 대한 추론 과제를 높은 수준과 낮은 수준으로 변형하는 활동과 이에 대한 반성 및 수정 기회를 제공하였다. 변형 과제를 중심으로 예비교사들이 과제의 수준 변형에서 겪는 오류와 어려움을 분석한 결과, 과제 수준의 판단 관점에서 PNC와 PWC 과제의 구분에 제한된 이해를 보였으며, 과제의 외형적인 요소에 의존하는 간섭 현상을 확인하였다. 과제 수준의 변형 관점에서 예비교사들은 과제의 목표와 수직적 위계를 간과하거나 변형 유형의 편향성을 보였다. 한편 예비교사들은 반성 및 수정 활동을 통해 자신들의 변형 과제의 오류를 인식하고 개선할 수 있었으며, 도구의 범주를 Geogebra를 포함한 공학적 도구로 확장하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rrors and difficulties which pre-service secondary teachers shows during the task modification in consideration of the cognitive demand and to provide significant implications to the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program related to the modification of the mathematical tasks. In the pursuit of this purpose, tasks were selected from perpendicular bisector units and 24 pre-service teachers were asked to modify the tasks to higher and lower level tasks. After the modification activities, opportunities for reflection and modification were provided. The findings from analysis are as follows. Pre-service teachers had a difficulty to distinguish between PNC tasks and PWC tasks. Also, We identified the interference phenomena that pre-service teachers depended on the apparent elements of the task. Pre-service teachers showed a tendency to overlook the learning objectives and learning hierarchy during the task modification, and to focus on some types of task modification. However, pre-service teachers were able to have meaningful learning opportunities and extend the category of tools to technology including Geogebra through self-reflection and correction activities on task modification. The above results were summed up and we presented the implications to the task modification program in the pre-service secondary teacher education.

      • KCI등재후보

        불교의 음식공양, 그 식법(食法)에 대한 고찰

        강향임 불교의례문화 연구소 2023 무형문화연구 Vol.0 No.11

        Among Buddhist offerings, the provide food and drink in particular must have been an important part since the time of Shakyamuni. It is the most necessary for maintaining the practitioner's body for correct enlightenment. The concept of Āhāra-dharma related to provide food and drink is a concept that still feels somewhat unfamiliar to this day. However, in Buddhist scriptures, Āhāra-dharma is a concept that is dealt with frequently. Begging for food of early Buddhist practitioners, the four seeds of holiness on which this begging for food is based, Buddhist disciples who do not follow the four uncleanness foods because they consider practicing purity to be a precept, the five restrains related to food in the twelve kinds of practices of intensified discipline, practitioners of the four worldly kinds of food and the five supramundane kinds of food, etc. It can be said to be the Āhāra-dharma of early Buddhism, including the precepts and rules related to food offerings, as well as the practitioner's attitude toward food. If these early Buddhist Āhāra-dharma focused on the precepts and mindset regarding food, the Āhāra-dharma in Mahayana Buddhism were developed into dharmic diet and developed into the practice of contemplating phenomena for the Dharma on food. For practitioners of esoteric Buddhism who focus on carry out or perform, the restrained Āhāra-dharma was further strengthened and applied, in particular, the offering of food to the three divisions, that is, Buddha-groups, a part of lotus flower, and vajra group, based on esoteric Buddhist scriptures, was different from the existing Āhāra-dharma. In the early Mahayana Buddhist scriptures, offerings of flowers, six dharma offerings, etc. are rituals of offering food to the three divisions through mandala rules of behavior, and began to appear for the first time in early esoteric scriptures such as Susiddhi-tantra and its offering method, and in middle period esoteric scriptures, from Mahāvairocanasūtra, o fferings began to be made to the three to five divisio ns. This kind o f Āhāra-dharma for Buddhism seems to require additional research in the future under the proposition of ‘The Systematic of Buddhist Āhāra-dharma’. 불교의 공양 중 특히 음식공양은 석가모니 재세시로부터 중요한 부분임에 틀림없다. 정각을 위한 수행자의 신체유지에 가장 필요한 것이기 때문이다. 음식공양과관련되는 식법이라는 개념은 현재까지도 다소 생소하게 느껴지는 개념이다. 하지만불교 경전에서 식법은 사소하게 다뤄지지 않는 개념이다. 초기불교 수행자들의 걸식, 이 걸식의 근거가 되는 사의법, 청정행을 계율로 여겨 사부정식을 따르지 않는불제자들, 십이두타행에서의 음식과 관련되는 다섯 가지의 율의, 세간사식 및 출세간오식 등 수행자들의 음식공양과 관련되는 계와 율, 그리고 음식을 대하는 수행자의 마음가짐 등을 통틀어서 초기불교의 식법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초기불교의식법이 음식에 대한 계율 및 그 마음가짐에 초점이 있었다면, 대승불교에서의 식법은 법식(法食)으로 전개되어 음식 관법수행 등으로 발전하였고, 수행을 위주로 하는밀교행자들에게는 율의적 식법이 더욱 강화되어 적용되었으며, 특히 밀교경궤에 의거하여 삼부, 즉 불부ㆍ연화부ㆍ금강부 등에 음식을 공양한 것은 기존의 식법과는다른 것이었다. 초기 대승불교 경전에서의 화공양, 육법공양 등은 만다라 작법을 통하여 삼부에 음식을 공양하는 의식으로, 소실지갈라경 및 그 공양법 등 초기 밀교경전에서 처음으로 나타나기 시작하였고, 중기 밀교경전인 대일경에서부터는 삼부 내지 오부(五部)에 공양하기 시작하였다. 이와 같은 불교의 식법은 향후 ‘불교 식법의 체계’라는 명제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해 보인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