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한국 불교의례에 관한 자료연구

        황갑수 불교의례문화 연구소 2020 무형문화연구 Vol.0 No.1

        This study aims to introduce research materials related to Korean Buddhist rituals by classifying them by specific themes. Through this, research achievements and research tendencies related to Buddhist rituals can be identified, which will be helpful in the research and research methods of Buddhist rituals. Additionally, it can serve as a basis for literature search or further research. This survey focuses on articles published in academic journals. The selection criteria for major researchers is based on the number of studies related to Buddhist rituals, citations, influence considering excellent writings, and the latest data. The data is first classified into four major subjects and several sub-themes under them. The four major themes are ① types of rituals. ② Rituals and Buddhist Thoughts. ③ Components and functions of the ritual. ④ the rituals, traditions, and history of other countries. Based on this survey, more data on Suryukjae, Yeongsanjae, and Jesusjae than on daily offering ceremony or sending off rituals for the dead. In addition, there are more materials on the elements of rituals such as beomeumbeompae and composition style (music, dance), Buddhist art (The paintings of Buddha and Bodhisattva), cultural assets, and ritual performances; and development and utilization of Buddhist ritual contents. Meanwhile, not much research on funda- mental and doctrinal aspects of ritual such as analysis of ritual texts or ritual structure, Buddhist thought reflected on a ritual, scriptural basis of a ritual, and the relationship with other Buddhist practices. In addition, to accurately grasp the meaning of the ritual, it is necessary to supplement research on its transmission and origination from India and China. more interest in Buddhist institutions and more active participation of scholars and ritual experts can help blossom Buddhist rituals in Korea. 본 연구는 국내 불교 의례와 관련한 연구 자료를 특정 주제별로 분류하여 소개하는 것이 목표다. 이를 통해 불교의례 관련한 연구 성과와 연구 성향을 파악할 수 있어불교의례의 연구나 연구 방법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추가적으로는 문헌조사나 심화 연구를 위한 기반이 될 수 있다. 본 연구는 학술지에 수록된 논문 기사에 중점을 두었다. 주요 연구자의 선정 기준은 불교의례 관련 연구의 편수, 인용도, 우수 저술을 고려한 영향력, 최신 자료 등을기준으로 하였다. 자료 분류의 주제는 먼저 네 개의 큰 주제하에 다수의 소 주제로 나누어 소개하였다. 네 가지 큰 주제는 ① 의례의 종류. ② 의례문과 불교사상. ③ 의례의 구성 요소와기능. ④ 타국 의례 및 전승과 역사가 그것이다. 분류된 연구 성과물에 구성 비율을 살펴보면 일상 예공이나 재공편에 대한 연구보다 수륙재, 영산재, 예수재 등에 관한 자료가 많다. 또한, 범음범패와 작법(음악, 무용), 불교미술(불화 및 장엄) 등의 의례의 구성 요소, 문화재 및 의례 공연, 콘텐츠 개발 및 활용에 관한 자료가 상대적으로 많다. 반대로 의례문이나 의례의 구조분석, 불교사상, 경전적 근거, 수행론과 관계 연구등 근본적이고 교리적 측면의 연구가 상대적으로 빈약하다. 또한, 의례의 의미를 정확히 파악하기 위해 인도 연원적 연구나 중국 등의 전승 과정에 대한 연구도 보충될필요가 있다고 판단된다. 불교의례 발전을 위해 승단의 불교의례에 대한 보다 많은관심과 기존 교학자및 설행자, 의례 전문가 등의 활발한 연구 참여가 요구된다.

      • KCI등재후보

        불교무형문화유산 아카이브 구축을 위한 과제

        이재수 불교의례문화 연구소 2022 무형문화연구 Vol.0 No.6

        This discussion proposes the Buddhist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archives for the complex use of Buddhist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and discusses tasks related to the construction of it. The Buddhist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has the religious characteristics of Buddhism and the public goods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culture, and Buddhist culture is a process of social integration. The process of establishing the Buddhist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DB should also be constructed in the direction of spreading its value as a product of industry. The success or failure of a project that systematically classifies and organizes data that has undergone research on Buddhist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and serves many people depends on the systematic management of big data produced as a result of the project. Plans and systems for systematic management of data should be designed at the project planning stage. n order to establish the Buddhist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DB, the value contained in the Buddhist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must first be realized in three dimensions. The digital DB of Buddhist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will be data for preservation and utilization in preparation for various situations. Through this discussion, I would like to consider standardized DB construction plans and strategies for each step. Based on this, we intend to derive tasks for the establishment of the Buddhist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Archives in the future. First, the Buddhist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Archives DB should be established as a relational database. Second, the complex original information of the <the Buddhist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Archives> should be standardized and established as linked -open-data. Third, the Buddhist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Archives must provide an open API to provide open data. In this discussion, the task for the establishment of the <the Buddhist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Archive>, which contains the results of the investigation of Buddhist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was presented. It is hoped that this discussion will spread the value of Buddhist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and serve as a stepping stone for the transmission and complex use of intangible heritage. 본 논의는 불교무형문화유산의 복합적인 활용을 위해 불교무형문화유산 아카이브를 제안하고, 이를 구축하는데 관련한 과제를 논의한다. 불교무형문화유산은 불교라는 종교적 특징과 전통문화라는 공공재적 특징을 함께 가지고 있으며, 불교문화는 사회통합의 과정이다. 불교무형문화유산 DB구축의과정 또한 공업(共業)의 산물로 그 가치를 확산하는 방향으로 구축되어야 한다. 불교무형문화유산의 조사 작업을 거친 데이터를 체계적으로 분류, 정리하여 많은 사람들에게 서비스하는 사업의 성패는 사업의 결과물로 생산된 빅데이터의 체계적인 관리에 달려있다. 사업의 기획 단계에서 데이터의 체계적 관리를 위한 방안과시스템을 설계해야 한다. 불교무형문화유산 DB 구축을 위해서는 먼저 불교무형문화유산에 담긴 가치를입체적으로 구현해야 한다. 불교무형문화유산의 디지털 DB는 다양한 상황에 대비해 보존과 활용을 위한 자료가 될 것이다. 본 논의를 통해 표준화된 DB 구축 방안과각 단계별 전략을 고민해 보고자 한다. 이를 토대로 향후 불교무형문화유산아카이브 구축을 위한 과제를 도출하고자 한다. 첫째, 불교무형문화유산 아카이브 DB는 관계형 데이터베이스(Relational Database) 로 구축되어야 한다. 둘째, <불교무형문화유산 아카이브>의 복합적인 원형정보를 표준화 하여 개방형 연결데이터[Linked Open Data]로 구축되어야 한다. 셋째, 불교무형문화유산 아카이브는 개방형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해 오픈 API를제공해야 한다. 본 논의에서 불교무형문화유산 조사작업의 성과를 담은 <불교무형문화유산 아카이브> 구축을 위한 과제를 제시하였다. 본 논의가 불교무형문화유산의 가치를 확산하고 무형유산 전승과 복합적 활용에 디딤돌이 되기를 바란다.

      • KCI등재후보

        문화교섭의 관점에서 본 『화엄경』의 중국적 변용에 관한 연구

        김희 불교의례문화 연구소 2022 무형문화연구 Vol.0 No.8

        This paper investigates a formation process of the early Chinese Buddhism around 『Avatamska Sutra』, which is one of Mahayana Buddhism scriptures, and analyzes its meaning in a perspective of cultural interaction. 『Avatamska Sutra』 mainly emphasizes practicability of ‘sanggubori(上求菩提)’ and ‘hahwajoongsaeng(下化衆生)’ in terms of a view of Avatamska, that is to say ‘everything comes from one’s mind(一切唯心造)’. On this wise, the 『Avatamska Sutra』 making fundamental meaning on salvation and practicability in a mahayanist viewpoint is representative of the Chinese principal scriptures along with the Lotus Sutra』 of Tiantai Buddhism. However, examining a process of sinicized transformation of Indian Buddhism, it is considered that Avatamska view of the world based on the mahayanist doctrine has not been discussed thoroughly in terms of its formation and development in the Chinese society. This could indicate that explanatory discussion of formation and development of the Chinese Buddhism built around the Chinese translation of the Indian Buddhism opacifies characteristics of the early Chinese Buddhism in which the formation as well as transition process of the Chinese Buddhism lie.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paper tries to explore Chinese acceptance and transformation of Indian Buddhism in respect of cultural interaction, and analyze factors of cultural eclecticism in the early formation process of Chinese Buddhism. This procedure eventually involves with examining analogically mahayanist features of the Chinese Buddhism through existing discussions of a plight and existence part of 『Avatamska Sutra』 and a jeonsaenggosa part of Buddha. 본 논문은 대승불교 경전의 하나인 화엄경을 중심으로 초기 중국불교의 형성과정을 고찰하고, 그 의미를 문화교섭의 관점에서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화엄경은 ‘모든 것이 마음에서 이루어진다(一切唯心造)’는 화엄의 세계관을 중심으로 ‘상구보리(上求菩提)’와 ‘하화중생(下化衆生)’의 실천성을 강조한다. 이와 같이 대승적 차원의 구원성과 실천성을 종지로 삼는 화엄경은 천태종파의 법화경 과 함께 중국불교를 대변하는 주요 경전에 해당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인도불교의 중국적 수용과정을 살펴 볼 때 대승교의를 종지로 삼는 화엄의 세계관이 중국사회에서 형성되고 발전하는 양상을 명료하게 설명하는 논의가 미흡한 실정이다. 이것은 인도불교의 한역(漢譯)을 중심으로 중국불교의형성과 그 발전의 양상을 설명하는 논의만으로는 중국불교의 형성와 대승불교로의전환성을 갖는 초기 중국불교의 특징을 명확하게 설명할 수 없다는 것을 말하는 것이기도 하다. 그러므로 본 논문은 인도불교의 중국적 수용과 변용을 문화교섭의 관점에서 고찰하고, 초기 중국불교의 형성과정에 기능하는 문화절충주의의 요소들을 분석한다. 이것은 초기 중국불교의 형성에 영향을 미친 기존의 논의들(화엄경 역경, 화엄경 성립, 붓다 전생고사)을 통해 유추 가능한 중국불교의 대승적 특징을 문화교섭의 관점에서 분석하는 내용이 된다.

      • KCI등재후보

        불교 의례의 좌법(坐法) 고찰 - 호궤(胡跪)와 거좌(踞坐), Ukkuṭika를 중심으로 -

        정기선 불교의례문화 연구소 2022 무형문화연구 Vol.0 No.7

        This paper is a study on the jwabeop (seating method), which is considered as one of the important factors in the practice of Buddhist rituals. This jwabeop, which is a term used to describe the solemn manner of the practitioner in the ritual, is clearly contrasted in the Mahayana Buddhism region and the Theravada Buddhism region in terms of its mode. Among them, the most commonly handed down jwabeops (seating method) are Hogwe (互跪) in the Mahayana Buddhism and Ukkuṭika in the Theravada Buddhism, and the origin and usage of these Jwabeops (seating method) appear in various Buddhist texts of Mahayana and Theravada. In particular, these Jwabeops (seating method) are practiced in accordance with the provisions of Vinaya Pitaka in rituals such as the Gujokgye (Upasampadā, Higher Ordination), Posal (uposatha), and Jaja (Pavāraṇā, Rainy season retreat), which are the most basic rituals of Buddhist Sangha, and has been handed down in practice and ceremonial level. In fact, both Buddhist traditions had no choice but to undergo a process of transformation according to the culture and regional characteristics of the region in the process of being introduced and accepted, not only in doctrine but also in ritual practice. The translation of the Buddhist scriptures also went through the same process, and even in Buddhist literature containing the same Buddhist ritual, the aspect of this seating method is different in the Mahayana Buddhism and Theravada Buddhism due to cultural differences in the region. The practice of Hogwe and Ukkuṭika Jwabeop that appears in the Buddhist traditions of each country today is a product of acceptance and transformation due to geographical factors and cultural differences.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Geojwa (踞坐), a crouching seating method, it is translated into a posture similar to Hogwe in the Mahayana Buddhism region and is practiced in rituals, but in fact, this seems to be a variation of the Ukkuṭika seating method. Originally, the Jwabeop (seating method) has been used as a primary means for effective meditation practice since ancient times. However, the fact that Hogwe (互跪) and Ukkuṭika, which are somewhat painful and uncomfortable compared to cross-legged or semi-cross-legged seats, are being practiced in the most important Buddhist rituals such as Gujokgye and Posal, the practical meaning of this Jwabeop (seating method) can be used as a small indicator of wisdom and effort for the Buddhist Monk. 본 논문은 불교의례의 설행에서 중요한 요소 중의 하나로 간주되고 있는 좌법에관한 연구이다. 의례에서의 위의작법을 나타내는 용어인 이 좌법은 그 양태에 있어대승불교권과 상좌부불교권에서 확연히 대비되어 나타난다. 그중 가장 일반적으로전승되고 있는 좌법은 대승불교권의 호궤(互跪)와 상좌부불교권의 웈꾸띠까(Ukkuṭika) 로서 이들 좌법의 유래와 용례가 남전과 북전의 여러 불교문헌에서 나타난다. 특히 이 좌법들은 승가의 가장 기본적인 의례인 구족계(具足戒)나 포살, 자자 등의 의식에서 율장의 조문에 의거하여 행해지고 있으며 수행과 의례적 차원에서 전승되어 왔다. 사실 양 불교전통은 그 전래와 수용의 도정에서 교설은 물론 의례의 설행에도 해당 지역의 문화와 지역적 특성에 의해 변용의 과정을 거칠 수밖에 없었다. 불전의 번역과정 또한 마찬가지로서 남북 양 전승의 동일한 불교의례를 담고 있는불교문헌에서도 이 좌법의 양상은 다르게 나타나고 있다. 오늘날 각국의 불교 전통에서 나타나는 호궤와 Ukkuṭika 좌법의 설행양상은 지리적 요소와 문화적 차이로인한 수용과 변용의 산물인 것이다. 특히 웅크리고 앉는 좌법인 거좌(踞坐)의 경우 대승불교권에서는 호궤와 유사한 자세로 번역되어 의례에서 행해지고 있지만 이는사실 Ukkuṭika 좌법의 변용으로 보인다. 원래 좌법은 고대로부터 효과적인 명상 수행을 위한 일차적 수단으로 사용되어왔다. 그러나 가부좌나 반가부좌에 비해 다소 고통스럽고 불편한 자세인 호궤나Ukkuṭika 좌법이 가장 중요한 불교의례인 구족계나 포살 등에서 설행되고 있다는것은 이 좌법이 지닌 실천적 의미가 출가수행자에게 있어 지계와 정진의 작은 지표로 삼을 수 있는 성격을 지니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 일본불교 ‘의례’문화를 둘러싼 연구동향 - ‘장의(葬儀)’문화를 중심으로 -

        제점숙 불교의례문화 연구소 2020 무형문화연구 Vol.0 No.1

        This study analyzes the research trend around Japanese Buddhist ‘rituals.’ In particular, this study focused on the culture of ‘burial rituals’ and investigated the research status and trend of each denomination of Japanese Buddhism. Most denominations of Japanese Buddhism have investigated the religious forces based on the religious body’s own research institute over a long period of time, assessed problems appearing here and conducted continuous studies to find a solution. The recent interest is the issues related to burial rituals. In the social atmosphere in Japan, “Japanese Buddhist burial rituals are not needed” now, low-cost and simplified funerals are required. In such a situation, what would be the role of Japanese Buddhism? This study introduced the present status of research on Jodo Shinshu Hongwanji-ha and Nichiren-shu representative denominations of Japanese Buddhism to shed new light on the role of today’s Japanese Buddhism. 이 연구는 일본불교 ‘의례’를 둘러싼 일본에서의 연구 동향을 분석한 글이다. 그중에서도 ‘장의(葬儀)’문화에 중점을 두고 일본불교의 연구현황 및 동향을 살펴보았다. 대부분의 일본불교 각 종파는 교단 내 자체 연구소를 기반하여 장기간에 걸쳐 종교 세력 현황을 조사해 왔으며, 여기에 나타난 문제점을 파악하고, 해결 방안을 찾기위해 꾸준한 연구를 수행해왔다. 최근 관심사는 초고령화, 저출산, 인구감소로 인한‘장의(葬儀)’ 문제이다. 더이상 ‘일본불교의 장의가 필요 없다’는 일본 사회 분위기속에 일본인들은 생략하거나, 저비용, 간소화 장례식을 요구하고 있다. 그러한 상황속에 과연 일본불교의 역할은 무엇인가? 이 연구는 일본불교의 대표적 종파인 정토진종본원사파(淨土眞宗本願寺派), 일련종(日蓮宗)의 연구현황을 소개하여 오늘날일본불교의 과제를 전망해보았다.

      • 삼화사 의례성보박물관의 구성과 활용

        박희철 불교의례문화 연구소 2021 무형문화연구 Vol.0 No.4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necessity and operation of the Samhwasa Temple Literary Book Museum and to emphasize the necessity of education and upbringing of ceremonial museums and rituals in the present Samhwasa Temple.,In addition, the ritual sacrament museum is an urgent problem now that the ritual, which is an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is gradually disappearing, and it is necessary to build it soon because it should leave the flow of history in the future. This study aims to examine how to do the ceremonial museum, which is a museum of Sungbo, using rituals, an intangible cultural heritage.,In particular, the amphibious material designated as the national important intangible cultural asset can be said to be a Buddhist ritual and a total of practices, and it should be able to continue the brilliant Buddhist cultural heritage with a long historical tradition among traditional cultures. 본 연구는 삼화사 의례성보박물관의 필요성과 운영을 파악하고, 현재의 구 삼화사터에 의례박물관과 의례의 교육 육성이 절실히 필요함을 강조하고자 하였다. 또한 의례성보박물관은 무형문화유산인 의례는 점점 맥이 없어지고 있는 지금 무엇보다 시급한 문제이며, 역사의 흐름을 이어서 후대에 남겨 주어야 하기 때문에 빠른 시일내에 건립되어야 하는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본고에서는 무형문화유산인 의례를 활용한 성보박물관인 의례박물관을 어떻게 할 것인가를 살펴보고자 한다. 특히, 국가중요무형문화재로 지정된 수륙재는불교종합의례이자 수행의 총합이라 할 수 있으며, 전통문화 가운데 오랜 역사적전통을 지닌 찬란한 불교문화유산이 유구하게 이어갈 수 있게 해야 한다.

      • 서구 불교 의례 연구이론의 탐색

        지혜경 불교의례문화 연구소 2020 무형문화연구 Vol.0 No.1

        This article introduces the discourse of the Buddhist ritual studies in the west to contribute to the establishment of Buddhist ritual studies in Korea. Buddhist ritual studies are closely connected to the development of ritual studies in the west, so this article begins with the theories of ritual studies. The direction of the ritual studies changes from digging into the unrevealed meaning of the ritual to study ritual itself as a kind of performance. As Robert Sharf indicated, scholars now first ask what & how people do in ritual rather than its meaning. In addition, the scholars focus more on studying individual rituals than finding common characteristics of all rituals. In this context, Buddhist ritual studies also focus more on ritual action, then spontaneously it flows to look for the ritual elements in Zen Buddhism. Ronald Grimes uses his six modes – Ritualization, Decorum, Ceremony, Magic, Liturgy, Celebration- to analyze Zen practice actions such as breathing, bowing, hitting, clinging, sitting, enlightenment. Robert Sharf defines ritual in a broad way to embrace the Zen practice action into the ritual. With those efforts, Buddhist ritual studies in the west can study more subjects in ritual studies. 불교의 의례연구는 서구의 의례 연구이론의 발달과 맥을 같이 한다. 그렇기에 서구의 불교의례 연구에 대해서 논하기 위해서는 이에 대한 검토가 선행되어야 한다. 1970년대 이전에는 의례자체보다 의례와 신화, 의례와 사회의 관계에 대한 연구가주를 이루었고, 이후부터 의례에 대한 관심이 높아져서 의례가 갖는 의미보다는 의례를 구성하는 요소들, 의례를 집행하는 이, 의례 도구, 의례 구성 등에 대한 다양한연구가 진행되었다. 의례연구의 방향은 의례의 사회적 역사적 의미 연구에서, 의례 전체를 다루는 방향으로 연구범위가 확대되는 쪽으로 가고 있다. 의례 자체를 다루는 연구가 이루어지다보니, 의례에 대한 텍스트보다는 의례행위와 몸에 대한 연구가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추상적이고 이론적인 연구 보다는 구체적이고 개별 사례에 집중하는연구로 나아가고 있다. 종합적으로는 의례의 보편적 특성을 구성하는 거대담론보다는 개별 의례의 독자적 특징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연구 방향의 맥락에서 로날드 그림스는 의례 행위에 초점을 맞추어 독특한 여섯개의 범주를 제시하며 이를 활용해서 기독교적 행위와 선불교의 수행행위를 비교하거나, 선불교의 행위들을 의례로 보아 분석하고 있다. 그가 제시한 여섯 가지 범주는 다섯 가지는 의례화(Ritualization), 예법(Decorum), 예식(Ceremony), 마법(Magic), 전례(Liturgy), 축하의식(Celebration)이다. 다른 학자들이 선불교의 수행행위 속에서 의례라 불릴만한 것에 초점을 맞추어 사례를 분석하고자 했다면, 로버트 샤프는의례란 무엇인가라는 질문을 던지며, 의례의 정의를 새롭게 함으로서 불교의 의례의 범위를 확장시키고 선불교의 수행행위를 의례에 포함시킬 수 있는 이론적 근거를 제공하였다. 서구에서의 불교의례 연구는 이처럼 의례 연구의 방향성의 변화에 따라 현재는개별지역의 의례 행위에 대한 연구, 나아가 불교의 수행을 의례의 하나의 형태로 보고 연구하고 있다. 또한 의례 전체를 다루는 연구가 다각도에서 진행되다 보니, 학제적 연구의 필요성도 점점 더 공감을 얻어가고 있다.

      • 근현대 중국불교의 부흥과 유행하는 불교의례

        곽뢰 불교의례문화 연구소 2020 무형문화연구 Vol.0 No.1

        The oppression policy against Buddhism began to ease gradually after the implementation of the China Reform and Opening Policy. In 1978, the Third Plenary Session of the 11th Communist Party of China, organized by Deng Xiaoping, announced that the policy of freedom of religious belief was important. Accordingly, Chinese Buddhism, which stops for more than 10 years, was revived. Religious ideas always leave visible rituals. Buddhist rituals are also called Buddhist ceremonies and Buddhist rituals. If Buddhist doctrine is content, rituals are considered formal, and it has a religious meaning in that it is a practice that is actually practiced. In Buddhism, rituals enhance a sense of reality about religious objects and enable confirmation of groups and society. In Chinese Buddhism, Buddhist rituals are called Jingchan Foshi. This ingchan Foshi is a mixture of Confucian ideas, ghost elements, filial piety ideas, and national ideas. It has been prevalent in China since ancient times and has not declined. Currently, there are mainly six methods of confession popular in Chinese Buddhism. In other words, they are Lianghuang chan, Cibei Sanmei Shuichan, Guanyin chan, Dabei chan, Yaoshi chan, Dizang chan, Jingtu chan. 불교에 대한 억압정책은 중국개혁개방 정책 실시 이후에 서서히 완화되기 시작했다. 1978년 등소평(鄧小平)이 주관한 중국공산당 11기 3중전회(三中全會)에서 종교신앙의 자유정책이 중시되었다고 발표했다. 이에 따라 10여년 멈추는 중국불교가다시 소생되었다. 종교 사상은 반드시 가시적인 의례 남긴다. 불교의례는 불교 식전(式典), 불교 의전(儀典)이라고도 한다. 불교 교리가 내용적인 것이라면 의례는 형식적인 것으로 보며 그 형식이 실제로 행하여지는 수행법이라는 데 종교적인 의미가 있다. 불교에서의례는 종교적 대상에 대한 실재감을 높여주고 집단과 사회에 대한 확인을 가능하게 하여 준다. 중국불교에 있어서 불교의례를 경참불사(經懺佛事)라고 한다. 이 경참불사는 유교사상, 귀신요소, 효도사상, 국가관념등을 섞여 있다. 예로부터 중국에서 성행하여쇠락하지 않다. 현재 중국 불교에서 유행하는 참회법은 주로 여섯 가지이다. 즉 양황참, 자비삼매수참, 관음참, 대비참, 약사참, 지장참, 정토참등이다.

      • KCI등재후보

        티베트 대장경의 형성과 의의

        임상목 불교의례문화 연구소 2022 무형문화연구 Vol.0 No.7

        Tibetan Buddhism has a special significance in Buddhist history. In particular, the Tripitaka formed in Tibet, is one of the treasures of world culture. It is a well-known fact in Buddhist circles that the Tibetan Tripitaka has an important place in Buddhist philology. The Tibetan Tripitaka covers all aspects and main contents of ancient culture. In order to study Tibetan thought and philosophy, including Tibetan Buddhist literature, the study of the Tibetan Tripitaka is the most basic and necessary process. And also in order to understand and accurately analyze the Tibetan Tripitaka, it must be done based on the understanding of the formation process and system of the Tripitaka. Tibetans historically not only created their own Tibetan script for the translation of Buddhist scriptures, but also objectively promoted the development of Tibetan culture by placing certain norms on the Tibetan script according to the need for translation. The Tibetan Tripitaka was created based on the language and culture they formed. The Tibetan Tripitaka is largely divided into two parts: 『Gamjui甘珠爾』, a compilation of Indian Buddhist texts translated into Tibetan, and 『Danjui丹珠爾』, a compilation of Tibetan Buddhist writings. The Tibetan Tripitaka is the embodiment of Tibetan wisdom and talent. Therefore, the Tibetan Tripitaka is a philological data that is the basis for the study of thought, philosophy, and culture, including Tibetan Buddhism. 티베트의 불교는 불교사에서 특별한 의미를 갖는다. 특히 티베트에서 형성 된 대장경은 세계 문화의 보고 중 하나인 명주로이다. 티베트 대장경이 불교 문헌학에서중요한 지위를 지니고 있는 것은 불교계에 널리 알려진 사실이다. 티베트 대장경은티베트족 고대 문화의 각 방면과 주요 내용을 망라하고 있다. 티베트 대장경에 대한연구는 티베트 불교 문헌을 비롯한 티베트 사상, 철학을 연구하기 위해서 가장 기초적이고 선행되어야 하는 과정이다. 그리고 티베트 대장경을 이해하고 정확하게 분석하기 위해서는 대장경의 형성 과정과 체계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이루어져야한다. 티베트인들은 역사적으로 불경의 번역을 위해 그들만의 티베트 문자를 창조했을뿐만 아니라 번역의 필요에 따라 티베트 문자에 일정한 규범을 두어 객관적으로 티베트 문화의 발전을 촉진시켰다. 그들이 형성한 언어와 문화를 토대로 티베트 대장경이 조성되었다. 티베트 대장경은 크게 티베트어로 번역된 인도의 불교 원전을 결집한 『감주이甘珠爾』와 티베트 불교 저술을 모아 결집한 『단주이丹珠爾』의 두 부분으로 분류된다. 티베트 대장경은 티베트인들의 지혜와 재능의 결정체이다. 따라서 티베트 대장경은 티베트 불교를 포함한 사상, 철학, 문화 연구의 바탕이 되는 문헌학적 자료이다.

      • 『고려사』에 나타나는 왕실의 불교향유와 최승로의 불교비판 연구

        김희 불교의례문화 연구소 2021 무형문화연구 Vol.0 No.3

        This dissertation aims to examine the political meaning of Choi Seung-ro's Buddhist criticism in connection with the royal enjoyment of Buddhism through 『Goryeo history』. Discussions on the anti-Buddhism along with the development process of Confucianism extend from the Goryeo to the Joseon Dynasty. There- fore, the discussion on the policy of pro-Confucianism and anti-Buddhism streng- thened at the Joseon Dynasty can be found in the Goryeo society. In this regard, Choi Seung-ro's Buddhist criticism is the process of confirming the main points of pro-Confucianism and anti-Buddhism with the development of Neo-Confucianism.,And this is an opportunity to examine the limitations of the dichotomous logic, knowledge, and cultural system of value in the form of ortho- doxy and heresy. Therefore, the study of Choi Seung-ro's Buddhist criticism through Goryeo his- tory is a verification process of the fact that correctly understands and interprets the perception of Buddhist culture at the time. This is also a process of revealing the purpose of Choi Seung-ro's Buddhist criticism without prejudice. 본 논문은 『高麗史』에 나타난 최승로의 불교비판을 왕실의 불교향유 양상과 연계하여 고찰하고, 이에 대한 정치적 의미를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성리학의 발전과정과 맥락을 함께하는 지식인 유학자의 불교 배척 논의는 고려를 거쳐 조선왕조까지 확대되고, 그 효시는 불교와 연관성을 갖는 사회의 폐단들에 대한 지식인 유학자의 사회개혁의지에서 기인한다. 이 점에서 최승로의 불교비판은 성리학의 발전과 함께 하는 억불숭유의 주요 논점을 확인하는 과정이 된다. 그리고 이것은 정통과 이단이라는 이분법적인 형식의지식체계 속에서 확대된 불교에 대한 지식인 유학자의 배척 논리가 갖는 한계성을고찰하는 계기가 된다. 그러므로 『고려사』를 통한 최승로의 불교비판 연구는 고려왕실을 중심으로 전승된 불교문화의 향유과정에 대한 당대의 정치적인 이해관계를 검토하는 과정이 된다. 또한 이것은 최승로의 불교비판에 대한 이해를 보다 객관적인 관점에서 규명하는 과정이 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