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후음 /ㅎ/의 변이와 음운현상 고찰

        강지수 충남대학교 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aim of this study is a setting up phonological features of the laryngeal /h/, and a discussion on the analysis of allophonic variation and phonological phenomena with respect to the phonetic property and the position of /h/ in a syllable. This study does not conform the latest interpretation that /h/ is an independent phoneme of the glide. This study defines the phonological feature of /h/ as [-consonantal] [-vocalic]. It is clarified that /h/ can be existed in a phonological system as a consonant because of having the feature of a consonant. Because /h/ can form a minimal pair such as '[kak'] : [hak'], [k□□i] : [k□□i]' and it has semantic distinctiveness when it places in syllable initial position. In addition, the properties that /h/ can obey the phonological rule like the other consonants as well as it has the allophone, are the grounds supporting that /h/ is a phoneme which can exist in a consonantal system. The variation and the phonological phenomena of /h/ can be classified roughly as initial, middle and final positions of syllable by positions. /h/ in the initial position of syllables appears as various allophones. /h/ in the middle position of syllables becomes either voiced sound or aspirated sound, and /h/ following sonorant consonant produces resyllabication. /h/ in the final position of syllables causes either the tensification or the nasalization when /h/ is neutralized as it becomes aspirated sounds or is deleted. When /h/ is placed at the initial of syllable, it becomes the coarticulation with the vowel following, and is realized as the allophone, [□] [□^(w)] [□] [□] [XI. When it placed at the middle of syllable, /h/ becomes a voiced sound /□/ or weakening deleting phenomenon occurs of essential or facultative. Especially, resyllabication occurs when /h/ follows the sonorant consonant /ㄹ/. That is, when /f/ realized as flap and placing at the final position of syllable, moves into the position of /h/ on the onset of syllable, /h/ moves into the glide position of syllable nucleus. It is that the phonological features of /h/, so-called [-consonantal], acts as a deterministic key figure on explanation on the resyllabication, and it also is the phenomenon to know the phonetic feature of /h/. Besides, in the middle position of syllable, when the plosives /ㄱ, ㄷ, ㅂ/ and the affricate /ㅈ/ are connected with /h/ in the previous syllable of /h/, they become coarticulation, and make /ㅋ, ㅌ, ㅍ, ㅊ/. Such aspiration in the final position occurs as well. In case that the aspiration of /h/ does not occur in the final position of syllable, the tensification and the nasalization occur after the neutralization of /h/, Namely, in the case of /h/ followed by /A, ㄴ/, /h/ is neutralized as /ㄷ/ and subsequently, the tensification or the nasalization occurs.

      • 조력자의 변모 양상과 그 의미 : 영웅소설을 중심으로

        강지수 인제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고는 영웅소설에 등장하는 조력자의 변모 양상과 그 의미를 고찰해 보려는 의도를 지닌다. 조력자는 인간이 집단성을 가지고 있음을 나타내는 것이다. 날카로운 발톱이나 이빨이 없는 인간은 집단을 이루어 스스로를 보호해야만 했다. 따라서 인간은 원시시대부터 집단을 이루어 살던 사회적 존재이다. 이러한 집단성은 'my country; my home; my school; my father'처럼 '나'를 위시하여 개인을 중시하는 서양보다 '우리나라; 우리 집; 우리 학교; 우리 아버지'처럼 집단을 위시한 가문의식이 발달한 조선조 사회의 구조 및 생활에 있어 지대한 영향을 주었을 것이다. 문학작품의 특성상 조선시대의 문학작품 역시 이러한 집단성을 반영할 수밖에 없다. 특히 영웅소설이 가문회복을 주 내용으로 하고 있다는 것만으로도 집단성이 반영되어 있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영웅소설의 등장이 가문의식의 강화와 때를 같이하여 문학사의 전면에 부각되는 점에 있어 집단성은 강화될 수밖에 없고, 이러한 집단성은 영웅소설에 등장하는 주인공을 영웅일 수 있도록 만들어 주는 조력자를 통해 드러낸다. 문학에서 조력자의 등장은 설화에서부터 시작된다. 그러나 신화의 주인공은 조력자 없이도 시련을 극복할 수 있어 조력자는 주인공의 영웅성을 부각시키기 위한 장치일 뿐이다. 그리고 전설의 주인공은 선천적인 능력을 타고났음에도 조력자의 부재로 인해 세계와의 대결에서 좌절을 겪는 운명을 맞이하게 된다. 이러한 신화와 전설과의 관련성이 강한 민중적 영웅소설의 주인공은 선천적으로 타고난 비범한 능력으로 세계와의 대결에서 승리하는 듯 보이지만 세계 질서의 완강함에 궁극적인 실패를 맞이하게 된다. 역사적 사실을 근간으로 하기 때문에 주인공의 좌절을 왜곡하지 못한 이유가 크다 하겠다. 그리고 조력자는 신화나 전설의 경우처럼 주인공의 영웅성을 부각시키기 위한 장치이거나 등장하지 않음으로 인해 좌절을 맞이하게 되는 것이다. 반면 민담의 경우 조력자가 등장을 하나 주인공은 영웅성이 결여된 인물로 시련을 스스로의 힘에 의해서라기보다 타력에 의해 극복하게 된다. 이러한 민담의 조력자는 귀족적 영웅소설의 주인공들이 고귀한 혈통에서 태어나며 기이한 태몽을 갖지만 그것이 영웅적 능력을 부여하지는 않는 점과 관련된다. 따라서 귀족적 영웅소설의 주인공은 시련을 극복하기 위해 조력자와 만나야 하고, 조력자를 통해 가문을 회복시키게 되는 것이다. 「장풍운전」 의 조력자는 세속적 조력자의 역할이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1차 조력자는 우연히 주인공을 만나 주인공에 생활의 안정을 찾아 주고 결연 주도한다. 그러나 특권층에서 소외되어 있다는 점, 주인공의 가문회복 후 결연을 완성시킨다는 점 등 가문의 상승을 피하는 주인공의 가문과 비슷한 처지에 있다. 따라서 1차 조력자는 매관매직으로 신분상승을 할 수 있으나 형식적이었던 만큼 몰락 양반과의 결연을 통하여 신분을 상승시키려던 신흥 부유층이거나 중앙권력에서 소외된 몰락 양반층으로 볼 수 있다. 그러나 1차 조력자는 주인공의 최종 지향가치 획득을 도와주지 못한다. 따라서 최종 지향가치 획득을 위해 주인공은 2차 조력자를 만나게 된다. 주인공은 2차 조력자와의 만남 이후 기회를 얻어 과거급제를 하고 특권층과 결연을 통해 회복한 가문을 유지한다. 그러나 조선조 사회가 가문을 배경으로 하지 않고서는 과거급제가 어렵고, 주인공이 2차 조력자의 집에 기거를 하다 기회를 얻어 과거급제를 한다는 점에 비추어 2차 조력자는 식객을 두었던 특권층으로 볼 수 있다. 과거를 통해 입신양명을 추구한다는 점에서 주인공의 가문이 몰락 양반층임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세속적 조력자는 특권층간의 대결양상을 보이는 「유충렬전」 으로 변모해 가면서 통합되거나 사라지는 경향이 나타나고 신이한 조력자의 역할이 강화되어 나타난다. 주인공은 현재 특권을 누리나 정적의 모해로 1차 조력자인 결연자의 집안으로 도피를 한다. 1차 조력자의 집안은 특권층인 주인공의 집안과 결연 관계를 맺고 있고, 주인공 부친의 원찬을 상소하다 공동의 적대자에 의해 유배된다는 점에 있어 같은 당파에 속한 존재임을 알 수 있다. 1차 조력자 가문의 몰락으로 주인공은 자신을 끝까지 쫓아 멸문시키려는 적대자를 물리쳐야 한다. 게다가 이미 적대자가 절대 우위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과거를 통해서는 승리를 할 수 없다. 적대자와의 대결을 위해 동등한 위치에 서기 위해서는 군담을 통하여 입공해야 한다. 그렇다고 가문을 몰락시킨 적대자에게 우위를 점할 수 없기 때문에 적대자가 반란을 일으키게 됨으로써 개인, 가문의 적대자가 국가의 적대자와 일치되게 된다. 따라서 역적을 물리친다는 데 가문회복의 정당성 역시 획득하게 된다. 그러나 영웅성이 결여된 주인공은 스스로의 힘으로는 군담에서 승리할 수 없기 때문에 2차 조력자를 만나야 한다. 2차 조력자는 신이한 능력을 가진 자로 주인공이 군담에서 승리할 수 있는 능력을 부여해 주는 역할을 한다. 그러나 직접적으로 군담에는 참여하지 않는데 이는 조선조 사림들이 백운의 삶을 지향하는 것과 같은 성향이라고 볼 수 있다. 사림은 과거를 기피하고, 정계를 떠나 있으면서도 정치에 무관심하지는 않았다. 그리고 이러한 사림은 후학을 양성하여 나라의 기둥이 되게 하였다. 또한 유종을 신이하게 형상화한 소설들이 있는 점에 비추어 신이한 조력자는 서경덕이나 조식 선생과 같은 분들을 형상화한 것이라 볼 수 있다. 신이한 조력자가 군담에 직접적으로 참여하는 경우는 적대자의 조력자로 등장하는 경우로 주인공에게 패배를 함으로써 백운의 길을 지향하던 이를 더욱 추앙하는 의미를 나타낸다고 볼 수 있다. 기실 신이한 조력자의 등장은 군담을 강화하는 역할도 있지만, 주인공의 적대자가 역적이 되는, 따라서 간신이 조정에 판을 치고 충신은 쫓겨나는 세태를 풍자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이처럼 영웅소설에서 조력자에 의해 영웅이 만들어지고 가문의 안정이 찾아오는 것처럼, 이를 통해 왕권이란 절대적인 것이 아니고 충성된 신하의 보필이 있어야만 유지될 수 있다는, 집단성을 강조하는 사고를 보여주는 것이다. 조력자 중 여성이 등장을 하기도 한다. 여성이 조력자로 등장하는 것은 여성이 남성의 예속물에서 벗어나, 경제활동, 생산활동 등의 사회적 활동에 있어서 남성과 대등하거나, 더 나아가 오히려 남성을 선도하는 위치로까지 올라가는 시대적 흐름이 반영된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러한 여성 조력자의 등장은 초기 영웅소설에 삽입되어 애정소설의 '춘향'보다도 더 철저하고 주체적으로 자기를 실현하면서 여성의 능력을 해방시켜 보여주고 있다 하겠다. 그러나 초기 영웅소설의 여성들은 궁극적으로 남편을 구하기 위해 출전할 뿐, 나라를 구하기 위한 의도나 입신양명의 목적은 나타나지 않는다. 따라서 영웅소설의 여성이 비록 대가적 · 상품적 존재나 수동적 자세에서 벗어나 적극적인 조력자의 형태로 등장하지만 남성에 예속된 삶을 추구한다는 점에서 중세적 한계성을 완전히 탈피하지 못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남성우위 영웅소설이 남녀동등 · 여성우위 영웅소설로 변모해 감에 따라 여성은 남성과 동등한 능력을 지닌 주인공으로, 더 나아가 남성보다 우월한 능력을 발휘하는 여성 주인공으로 변모되어 여성 조력자는 사라지게 된다. This paper aims at showing the changing aspects and meaning of the Helper in the heroic novel. The Helper means that a man has the character of a group. Men who don't have sharp talons and tooth must make a group, and then protect themselves. Therefore, a man is a social existence who makes a group from the primitive times. The character of a group will have influence on social structures and a life of Chosen Dynasty which is developed the ritual of one's family like 'our country: our home; our school, our father' than Western countries which value an individual like 'my country; my home: my school : my father'. Literature reflects the character of a group. Literature of Chosen dynasty does too. Especially we can know that it is important to the recovery of a family in the heroic novel. Therefore we can confirm that the character of a group reflects in the heroic novel. And when the ritual of a family is strengthen. the character of a group is strengthen. And the character of a group appears by helper who makes a main actor to hero. The helper appeared from narrative literature in hi story of a literature. But a main actor of myth can conquer a trial without the Helper. Therefore the Helper is an equipment to show a hero. Though a main actor of a legend is born of having a natural gift, he is fated to undergo frustration at a confrontation of the world by absence of the Helper. The democratic hero related to a myth and a legend seems to win, but he finally fails because of obstinacy at a system of the world. And the Helper is the equipment to show hero or get discoursed by no appearance. In case of a tale, while the Helper appears, a main actor who has shortage of heroic capability overcomes the power of another rather than his ability. The Helper of a tale is of noble birth and has a strange dream, but that doesn't give a heroic capability to him. Therefore, the hero of aristocratic novel must meet the Helper to overcome a trial, recover a family by the Helper. The Helper of a 「JANGPOOMGWOONJEON」appears as the worldly helper. The first Helper accidently meets a main actor, and plays a leading part. But the Helper is left out of a privilege, and relation finishes after a family recovery. So the Helper is in the same circumstances with a family of a main actor who wants to be a rising of the social position. Therefore we can know that the first Helper is the new wealthy class or a ruined aristocratic class. But the first Helper doesn't help to obtain the last value of a main actor. So a main actor meets the second Helper to gain the last value. The main actor passes 'Kwago', and maintains a recovering family through relation with the privileged class. But in Chosen Dynasty society, it is difficult to pass 'Kwago' with a family. So the main actor passes 'Kwago' to have opportunity in staying house of the Helper. Therefore, the second Helper is aristocratic class kept a hanger-on. And we can infer that a family of the main actor is a ruined aristocratic class because he pursues rising position and gaining fame through 'Kwago'. Such the worldly Helper appears aspect of combining or disappearing as「RUCHUNGRYOULJEON」 which appears confrontation between aristocratic classes, and the part of a strange Helper is strengthen. The main actor enjoys privileges, but escapes a house of the first Helper by doing harm of a political rival. A family of the first Helper is related to a family of the main actor and go into banishment by a common enemy. So we can know they belong to a common party. The main actor must drive away the enemy who tries to murder the main actor in the end. In addition, the main actor cannot win the enemy through 'Kwago' because the enemy already occupies a high position. The main actor must win a battle for standing on an equal position. By the way the enemy rises a revolt, so the main actor and a nation have the same enemy. Therefore the main actor gets justice of a family' recovery to get under a revolt. But the main actor who has no heroic capability must meet the second Helper because he cannot win a battle by himself. The second Helper who has the strange capability gives the main actor to power which can win in a battle. But the second Helper doesn't take part in a battle. This is the same propensity as Chosen's people head towards life of a white cloud. 'Sarim' avoids passing 'Kwago' and the political world, but they have an interest in policy. And they educate men of talent for supporting a nation. A strange Helper is shaped 'Seokyongduk' or 'Chosik' Entrance of a strange Helper in heroic novel can be strengthen battle tale. And enemies of the main actor become traitors. Hence, it satirizes social conditions that the administration is full of traitors and a faithful retainer is fired from his post. As the Helper makes a main actor to a hero and he helps a recovery of a family in the heroic novel, royal rights isn't absolute being and it can maintain by means of a faithful retainer. And it appears to be thought that emphasize the character of a group. There is also a woman Helper of Helpers in the heroic novel. Appearance of a woman Helper means that a woman escapes from man's subordination, women are equal to men or women are superior than men in social acts. We can see that this reflects the changes of the times. The woman Helper enters in the early heroic novel, and acts more thoroughly, independently than 'CHUNHYANG' of love novel. Only a woman goes to war for saving a husband in the early heroic novel. But a woman doesn't intend to save her country or she has not a purpose in view for a rising in the world and gaining fame. Therefore women of heroic novel enter as active Helpers, but they don't escape from limitation of the Middle Ages. Because they don't escape from a subordinated life to man. However, as the heroic novel of men-focus becomes man-woman same level or woman superiority, women are a main actor having same ability with men or they change more talented than men. So the woman Helper fades away.

      • 조선시대 민화의 상징성 응용

        강지수 경기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예로부터 인간은 자신의 생각을 언어로 표현하기 보다는 어떤 특정한 요소에 의미를 부여하여 표현하였다. 이러한 성격으로 볼 때 민화는 우리 민족의 감정과 자주적인 성격이 잘 나타나있는 그림이며 선조들의 삶의 지혜가 엿보이는 그림이다. 거짓된 꾸밈을 싫어하고 가공된 것 보다는 자연스러운 것에서 아름다움을 느끼는 우리 민족의 성격을 매우 잘 보여준다. 조선시대에는 주로 중국의 영향을 받아 화원, 사대부, 일부 승려들에 의해 정통화가 주로 제작되었다. 특히 후기에는 중국의 남종화와 유교, 사대사상의 영향으로 민화가 관심 받지 못하였다. 이런 환경 속에서도 민화는 민족의 정서와 생활모습이 자유롭게 표현되었으며 궁중의 장식화부터 무속화에 걸쳐 조선시대의 생활 전체에 널리 보급되어있다. 근대에 들어서는 단순한 수집품에서 벗어나 많은 학자들에 의해 재평가되고 작가들의 작품에 응용되기 시작하였다. 민화가 가진 예술성을 살피며 새로운 가치를 부여하고 조형적인 특징을 통해 민화에 대한 현대적 고찰을 시작하였다. 그러면서 자연스럽게 현대회화에 접목하여 한국화의 새로운 방향을 제시하고 있다. 본 연구는 조선시대의 민화의 개념과 형성과정을 연구하고 소재별로 분류하였다. 그 중 동・식물을 중심으로 상징성을 연구하였다. 제Ⅲ장에서는 민화를 소재별로 분류하여 각각의 소재별 특징과 종류를 알아보았다. 첫 번째로 자연과 인간이 같이 그려져 있는 그림들을 소개하였고, 두 번째로는 사람들의 생활모습을 다룬 그림들을 알아보았다. 세 번째로는 종교적인 색채를 띠고 있는 작품을 소개하였고, 마지막으로는 동・식물이 주된 소재로 나타나는 그림을 소개하였다. 제Ⅳ장에서는 제Ⅲ장에서 분류한 내용 중 동・식물을 중심으로 분류하여 소재별로 상징성을 알아보았다. 첫 번째로 식물을 꽃과 나무로 나누어 각각의 소재가 민화에서 의미하는 상징에 대해 알아보였다. 두 번째로 동물을 소재별로 나누어 상징성을 알아보았다. 마지막으로는 민화에 등장하는 소재이나 실존하지 않고 사람들에 의해 전해지는 상상의 동물이 가지는 상징성에 대해 알아보았다. 끝으로 민화에서 구도, 색채, 소재와 그 소재가 갖는 상징성을 자신의 작품에 응용한 작가들의 작품을 알아보았다. 이러한 연구 내용들을 종합하면 민화의 다양한 표현방법과 독특한 발상이 현대회화에 부합되어, 오늘날 현대회화에 민화의 구도, 선, 색채의 표현과 소재의 응용이 활발히 시도되어 민화의 현대회화의 한 부분의 가능성이 전개된다. From old times, humans have given meaning to certain factors rather than to express their thoughts in language. In view of these characteristics, folk paintings show the feelings of the Korean people and the independent nature, and they show the wisdom of our ancestors' lives. It shows very well the character of our nation, who hates false pretenses and feels beauty in natural rather than processed ones. During the Joseon Dynasty, the traditional painting was mainly produced by Chinese artists, including painters, the nobility and some monks. Especially, in the latter phase, the folk paintings was not particularly interested due to the influence of China's Namjong painting, Confucianism, and history. Despite these circumstances, folk paintings are freely expressed in the spirit of the people and the lifestyle of the people. In modern times, it has been reevaluated by many scholars and applied to the works of writers. It started to examine the artistic qualities of folk paintings, assign new values, and modernize folk paintings through their figurative characteristics. It is naturally grafting into modern painting to present a new direction of Korean painting. This study focused on the symbolism of folk paintings during the Joseon Dynasty. In Chapter III, folk paintings were grouped by material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each material. First, I introduced pictures of nature and human beings together, and secondly, I looked at paintings about people's lifestyles. Thirdly, it introduced religiously colored paintings, and lastly, it introduced pictures of animals and plants appearing as the main material. In Chapter IV, we examined the symbolic properties of each material by classifying each of the contents classified in Chapter II, centered on animals and plants. First, we divided the plants into flowers and trees and recognized the symbolism of each material in folk paintings. Second, I recognized the symbolism of each material by dividing the animals. Finally, we learned about the symbolic nature of imaginary animals that are passed on by people without real or material being present in folk paintings. Finally, he recognized the works of artists who applied the composition, the color, the material and the symbolic meaning of the material to his work. Combining these studies, various expressions and unique ideas of folk paintings are consistent with modern painting, and the application of folk painting to modern painting is a possibility of modern painting as it is actively attempted.

      • 중·고등학교 무용수업 참여 여학생의 신체이미지와 외모관리 행동이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강지수 조선대학교 교육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body image and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s on self-esteem in middle and high school girls participating in the dance class of a dance academy or a sports club and present basic data for girls’ improvement of self-esteem.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rawn. 1. This study compared body images according to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In the education background, the response of middle school girls was high in appearance evaluation and dissatisfaction with weight, while that of high school girls was high in dissatisfaction with appearance. In the average monthly income of the household, the group ranging from two million to less than three million won had a high response in all sub-factors. In the participation experience, the response of the less than six months group was high in dissatisfaction with weight and appearance, but that of the more than two years group was high in appearance evaluation. In the monthly participation frequency, the response of the less than twice group was high in dissatisfaction with weight, that of the four times group was high in dissatisfaction with appearance, and that of the five times group was high in appearance evaluation. In the monthly participation time, the less than one hour group had a high response in all sub-factors. 2. This study compared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s according to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In the education background, the response of middle school girls was high in clothing style seeking and weight management and that of high school girls was high in makeup and skin care, hair care, and cosmetic surgery and body shaping. In the average monthly income of the household, the response of the group ranging from two million won to less than three million won was high in clothing style seeking and hair care, that of the group ranging from three million won to less than four million won was high in cosmetic surgery and body shaping and weight management, and that of the group ranging more than four million won was high in makeup and skin care. In the participation experience, the more than two years group had a high response in all sub-factors. In the monthly participation frequency, the response of the three times group was high in hair care and that of the five times group was high in clothing style seeking, makeup and skin care, cosmetic surgery and body shaping, and weight management. In the monthly participation time, the response of the less than one hour group was high in clothing style seeking, makeup and skin care, cosmetic surgery and body shaping, and weight management and that of the more than two hours group was high in hair care. 3. This study compared self-esteem according to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In the education background, the response of high school girls was high in all sub-factors. In the average monthly income of the household, the group ranging from three million to less than four million won showed a high response in all sub-factors. The more than two years group of the participation experience, the more than five times group of the monthly participation frequency, and the less than one hour group of the monthly participation time also showed a high response in all sub-factors. 4. In the analysis of the correlation among body image factors,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s factors, and self-esteem factors, all sub-factors of body image had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all sub-factors of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s and self-esteem. Moreover, all sub-factors of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s had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all sub-factors of self-esteem. 5. The appearance evaluation and dissatisfaction with appearance factors of body image had a positive effect on social self-esteem, whereas the dissatisfaction with weight had a negative effect. The appearance evaluation and dissatisfaction with weight had a positive effect on individual self-esteem, whereas the dissatisfaction with appearance had a negative effect. Moreover, the hair care, cosmetic surgery and body shaping, and weight management factors of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s had a positive effect on social self-esteem, but makeup and skin care had a negative effect. Hair care and cosmetic surgery and body shaping had a positive effect, but makeup and skin care and weight management had a negative effect.

      • 발목강화운동과 무지테이핑 걷기훈련이 하체운동기능에 미치는 영향

        강지수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발목강화운동과 무지테이핑 걷기훈련을 통하여 얻어지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4주간 발목강화운동과 무지테이핑 걷기훈련이 하체운동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20대 여성 30명을 무선 선정하여 비교·분석하였다. 결과적으로 4주간 발목강화운동과 무지테이핑 걷기훈련은 20대여성의 하체기초체력(근력, 순발력, 평형성)과 보행(활보장, 족저압, COP)에는 통계적으로 일부 유의미한 효과가 나타났다.

      • 발달지연 자녀를 둔 어머니의 미술치료 단일 사례연구

        강지수 차의과학대학교 미술치료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가족 내 돌봄 제공자의 심리적 지원에 대한 관심으로 시작되었으며, 발달지연 자녀를 둔 어머니가 미술치료를 통해 어떤 경험을 하며 미술치료 경험을 통해 어떠한 심리적인 변화를 보이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2022년 9월부터 12월까지 진행되었다. 연구참여자는 자녀에게 과도한 분노와 노골적인 불만을 표현하는 부적응적 행동으로 인해 죄책감과 괴로움을 호소하였다. 연구자는 주 1회 90분씩 15회기 미술치료 프로그램을 진행하여 수집된 자료를 이용해 분석하였으며 도출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참여자의 미술치료 경험의 내용은 대주제 5개와 소주제 9개, 30개의 주요 내용으로 도출되었다. 대주제는 ‘자녀 상황에 대한 충격’, ‘가족을 향한 혼란스러운 감정을 쏟아냄’, ‘나를 이해함’, ‘변화의 의지를 다잡음’, ‘달라진 나를 알아차림’ 이며 소주제는 ‘좌절’, ‘조급함’, ‘미움과 원망’, ‘죄책감과 다짐’, ‘자신의 틀을 발견함’, ‘부족한 나의 모습을 받아들임’, ‘자녀가 아닌 자신의 변화에 집중하기 시작함’, ‘너그러운 엄마의 모습을 찾기 시작함’, ‘엄마가 아닌 한 여성으로 자신감 있게 서고 싶은 마음을 발견함’으로 구성되었다. 둘째, 연구참여자는 미술치료를 통해 심리ㆍ정서적 변화와 행동적 변화를 보였다. 심리ㆍ정서적 측면에서는 다양한 감정의 표출이 늘고 우울감에 대한 반응이 줄어들었다. 또한 삶에 대한 인식이 변화하였으며 상황에 대한 수용과 의지의 표현이 나타났다. 행동적 측면에서는 미술에 대한 흥미와 참여도가 증가하였으며 부적응적 행동이 감소하였다. 또한 일상적인 활동에 참여하며 삶의 질 향상을 위해 노력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통해 첫째, 자녀의 장애 유무와는 무관하게 가족 내 돌봄 제공자에 대한 적극적인 심리적 지원이 필요하며, 둘째, 발달지연 자녀를 둔 어머니들만의 다양하고 복합적인 특성을 면밀히 파악하기 위한 다양한 후속 연구와 셋째, 가족의 지지자원으로서의 중요한 역할을 하는 발달지연 자녀의 아버지에 대한 후속 연구의 필요성을 제언하였다. 기존의 발달지연 자녀를 둔 어머니들을 대상으로 한 미술치료 연구는 모두 집단미술치료로 이루어졌으나 본 연구는 단일 사례연구로서 발달지연 자녀를 둔 어머니가 자녀의 발달장애를 의심하는 과정에서 미술치료를 통해 어떤 경험과 변화를 겪는지 구체적으로 탐색하였다는 것에 차별성과 의의가 있다. This study began with an interest in the psychological support of caregivers in the family, and sought to find out what kind of experiences mothers with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s experience through art therapy and what kind of psychological changes they show through art therapy experience. Art therapy was conducted from September to December 2022. The participant complained of guilt and distress due to maladaptive behavior expressing excessive anger and outright dissatisfaction with her child. The researcher conducted an art therapy program for 15 sessions, 90 minutes once a week, and analyzed the collected data.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contents of the participant's art therapy experiences were derived as 30 main pieces, 5 major topics and 9 subtopics. The major topics are ‘Shock at the child's situation', ‘Pouring out confused emotions toward the family', ‘Understanding myself', ‘Finding the will to change', ‘Recognizing the changed self', and the sub-themes are ‘Frustration', ‘Impatience', ‘Hate and resentment', ‘Guilt and commitment', ‘Finding my own frame', ‘Accepting my shortcomings', ‘Starting to focus on my own change, not the child', ‘Beginning to look for a generous mother in herself' and ‘Discovering the desire to stand confidently as a woman instead of a mother'. Second, the participant showed psychological, emotional and behavioral changes through art therapy. In psychological and emotional aspects, the expression of various emotions increased and the response to depression decreased. In addition, the perception of life changed, and acceptance of the situation and expression of will appeared. In terms of behavior, interest and participation in art increased and maladaptive behavior decreased. She also participated in daily activities and tried to improve her quality of life. Through these results, first, active psychological support is needed for caregivers in the family, regardless of whether or not the child has a disability, and second, various follow-up studies are needed to closely identify the diverse and complex characteristics of mothers with child with developmental delays. Third, the need for follow-up research on fathers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s, who play an important role as a family support resource, was suggested. Existing art therapy studies on mothers with child with developmental delays have all been done through group art therapy, but this study is a single case study. Therefore it is differentiated and meaningful in that it specifically explored the experiences and changes she undergoes.

      • 색채에 따른 실내 공간의 높이감에 대한 연구 : 바닥, 벽, 천장의 색채 변화를 중심으로

        강지수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began with two implications: recognizing the importance of the height of space and the vertical limitations of the Korean architectural environment. Color is closely related to spatial sensibility. This study aims to analyze whether the application of different colors to the structural components of the interior space of the floor, wall, and ceiling can affect the evaluation of height. The theoretical foundation was formed by examining the definition and components of indoor space, perception of space and sense of space, height and space sensibility according to ceiling height, indoor space sensibility, color, and spatial effect of color. Under the premise that brightness is the most significant color factor in the evaluation of height, a total of three-color sensitivity evaluation experiments were conducted. The first experiment produced 185 stimuli with different colors applied to the indoor space components of the floor, wall, and ceiling using achromatic colors to evaluate the subject's height and analyze the overall trend toward the result. The second experiment was conducted to re-evaluate the sense of height by adding color elements of achromatic colors and red and green, and the third experiment was to test the effect of complementary characteristics of red and green stimuli with the same brightness on the comparative evaluation of height.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by synthesizing the results of three experiments are as follows. First, the higher the overall spatial average brightness, the higher the height. The lower the overall spatial average brightness, the lower the height, and the same result even if the color changes. There was an average correlation of 80% in the first and second experiments. Second, among the components of the indoor space, the higher the brightness of the color of the ceiling surface, the higher the sense of height, and the lower the brightness of the color of the ceiling surface, the lower the sense of height. It is analyzed that the sense of height is more influenced by the ceiling, a spatial component located vertically higher than the floor or wall. In the first and second experiments, there was an average correlation of 79%. Third, it is difficult to use the color of the floor and wall as a major factor in evaluating height. Although the color of the floor and wall affects the overall spatial average brightness, no analysis results have been derived that it affects the height as an independent factor. Fourth, brightness is the most important color factor in the evaluation of height sensitivity, and the color would be followed as the second factor. The same spatial brightness in achromatic, oil-colored, red, and green was proportional with height evaluation value, but the height of the chromatic stimulus was higher than that of the achromatic stimulus in all stimuli. Through deep experimentation, it was confirmed that color is an important design factor that can adjust the height of a space. This means that colors can change the sense of space in terms of width, height, and depth by misleading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of an indoor space. This study is meaningful in presenting a quantitative basis for directing the height of space in applying colors to indoor design, and it is thought that it can serve as a basis for color selection for interior design that matches the function of the space. It is considered necessary to follow-up studies using advanced devices, such as providing images that accommodate moving and space, sequences, and utilizing virtual reality techniques and response measurement using electroencephalogram devices. 현대 인류는 사용 목적에 적합하고 스스로의 미적 기준에 부합되는 쾌적한 실내 환경을 누리고자 한다. 실내 공간의 천장 높이가 인간의 심리 반응에 깊은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 여러 차례 증명되었으며 대한민국 주거 공간의 법정 권장 천장고 2.1m 는 상향 조정 필요하다는 연구도 보고되었다. 실내 공간의 높이감이 가지는 중요성에 대한 인식과 대한민국 건축 환경의 수직적 한계라는 두가지 주안점이 본 연구의 배경이 되었다. 공간의 지각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은 시지각이며, 시지각에 가장 중요한 영향을 주는 요소는 색채이다. 또, 색채는 공간 감성과 밀접한 관계에 있다. 바닥, 벽, 천장, 즉 실내 공간의 구조적 구성 요소의 색채 변화에 따라 높이감은 어떻게 달라지는가를 분석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실내 공간의 정의 및 구성 요소, 공간의 지각과 공간감, 천장고에 따른 높이감과 실내 공간 감성, 실내 공간 감성과 색채, 색채의 공간 효과에 대한 고찰로 이론적 토대를 형성하였다. 명도가 높이감 평가의 가장 큰 색채적 요인이라는 전제 하에 총 3차례의 색채 감성 평가 실험을 진행하였다. 첫번째 실험은 무채색을 이용하여 바닥, 벽, 천장의 실내 공간 구성 요소에 명도가 다른 컬러가 적용된 185개의 자극물을 제작, 피험자에게 높이감을 평가하게 하여, 공간 구성 요소의 색채와 높이감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1차 실험을 통해 추려진 평가 자극물에 무채색과, 레드, 그린의 색상 요소를 더하여 2차 실험을 진행하였고, 100명 이상의 다수 의견을 수집, 높이감에 있어 색채가 미치는 영향에 대한 객관적이고 면밀한 결과를 도출하였다. 3차 실험은 동일 명도의 공간 구성 요소를 가졌으나 레드, 그린의 다른 색상으로 이루어진 자극물을 이용하여 높이감 비교 평가를 실험하였다. 3차례 실험의 결과를 종합한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공간 전체의 명도, 즉 공간을 이루는 구성면 전부를 통해 지각되는 명도가 높을수록 높이감은 높고, 공간 전체의 명도가 낮을수록 높이감은 낮으며 색상이 달라져도 결과는 같다. 실내 공간을 구성하는 모든 면, 바닥, 벽, 천장 면의 색채 명도를 종합한 공간 전체의 밝고 어두움이 높이감을 평가하는 가장 중요한 요인이었다. 둘째, 실내 공간 구성 요소 중 천장면 색채의 명도가 높을수록 높이감은 높고, 천장면 색채의 명도가 낮을수록 높이감은 낮으며 색상이 달라져도 동일한 결과를 갖는다. 높이감은 높낮이에 대한 느낌으로 바닥이나 벽에 비해 수직적으로 높은 장소에 위치하고 있는 공간 구성 요소인 천장의 영향을 받는다고 분석된다. 셋째, 바닥면과 벽면의 색채는 높이감 평가의 주요 요인으로 삼기 어렵다. 각각의 독립적인 요인으로 높이감에 영향을 준다는 분석 결과는 도출되지 않았으나 바닥면과 벽면의 색채가 공간 전체의 명도에는 영향을 미치므로 그 영향을 완전히 배재할 수는 없다. 넷째, 높이감에 있어 명도가 가장 중요한 색채 요인이나 색상도 차 순위 영향을 가진다. 동일한 공간 전체 명도를 가진 무채색과 유채색인 레드. 그린의 높이감 평가는 비례하였으나, 무채색 자극물에 비해 유채색 자극물의 높이감이 높았다. 또한 동일한 명도의 그린과 레드 자극물도 색상에 따라 다른 높이감이 평가되었다. 다만 본 연구는 아래의 한계점도 도출되었다. 본 실험은 고정되어 있는 장면(Scene)만을 이용하여 평가를 진행하였는데, 시퀀스(Sequence)를 제공하고 VR(가상 현실, Virtual Reality)과 EEG(뇌전도, Electroencephalogram) 뇌파 측정 기법을 이용한 객관적인 실험 결과 도출에 대한 필요성을 느꼈다. 단순한 색채 적용, 마감재에 대한 배제 및 채도를 반영하지 못한 점 등에 대한 한계도 있다. 또한 색채의 공간적 기능이 포함된 추가 연구를 진행하고 영향 유무를 살펴볼 필요성이 있다고 판단된다. 본 연구는 실내 공간 구성 요소에 색채를 적용함에 있어 공간의 높이감을 연출하기 위한 정량적 근거를 제시함에 그 의미가 있으며, 공간의 기능에 부합되는 실내 디자인을 하기 위한 색채 선정의 근거가 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높아 보이고 창의력을 고취시키는 실내 공간 계획이 목적이면 색채를 계획함에 있어 전반적으로 고명도로, 특히 천장면을 고명도로 선정하고, 무채색 보다 유채색 계열 색채를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또, 낮아 보이며 집중을 요하는 실내 공간을 연출하기 위해서는 공간 전체를 저명도로, 특히 천장면을 저명도로 선정하고 무채색 계열의 색채로 계획하는 것이 효과적일 것이다.

      • 멸종위기생물 대체서식지 평가 및 개선방안 : 한국도로공사 전주수목원을 대상지로

        강지수 전북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focuses on the role and importance of compensatory habitats, one of the methods for the conservation and restoration of endangered wildlif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evaluate, and improve considerations for the creation of compensatory habitats for endangered species by researching and analyzing the status of compensatory habitats in Ex-Situ Conservation Institution. For the study, domestic and foreign cases of endangered plants and compensatory habitats and theoretical reviews for related laws and guidelines were explored. Especially, considerations for the creating compensatory habitats for endangered species and current environmental status of compensatory habitats for endangered plants in Ex-Situ Conservation Institution were investigated. Based on this, characteristics were derived and an evaluation checklist was prepared for compensatory habitats for endangered plants. The evaluation checklist for the creation of compensatory habitats for endangered plants was classified into planning, design, and construction management. The plan and design was classified into the native environmental status survey, target species selection, and site selection plan and design. The construction management was classified into ecological environment, maintenance, and monitoring. Five evaluation criteria were drawn for each evaluation item, classified into a total of 35 evaluation items. One point was charged for each item to calculate the final score out of a total of 40 points (35 item points and extra 5 points) The following problems appeared in the creation of alternative habitats for endangered plants through literature reviews and field surveys to arboretums (botanical gardens) designated as Ex-Situ Conservation Institution for endangered species. ∙ Concentrated planting of endangered plants in one place for emphasis on the exhibition management rather than habitat functions. ∙ Planting a single species of endangered plants rather than a colony. ∙ Insufficient consideration of the endangered plant biotic characteristics (surrounding plant species). The derived checklist for the creation of compensatory habitats for endangered plants was evaluated for endangered botanical gardens (21 points/40 points) and ecological wetlands (30 points/40 points) created at Jeonju Arboretum of Korea Expressway Corporation located in Jeonju. The following are ways to improve the compensatory habitat of the Korea Expressway Corporation Jeonju Arboretum. First, rather than intensive planting in one place, compensatory habitats should be created through distributed planting as well as considering the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of thematic gardens at the existing arboretum (botanical garden). Second, endangered plants should be planted in a colony rather than a single species to create a native environment. Third,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neighboring species as target species in addition to the endangered plants and therefore, compensatory habitats can create an environment for both neighboring plants and endangered plants. This study can be used as a guideline for evaluating the characteristics of alternative habitats for endangered plants by presenting a checklist for evaluating alternative habitats for endangered plants. In addition, it is meaningful that it can be used for continuous management from planning and design to construction and management (monitoring) of compensatory habitats for endangered species.

      • 스크래치를 활용한 음악 창작 프로그램 개발

        강지수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우리나라의 교육현장에서는 교육목표로 창의성 신장을 강조한다. 이것은 개인의 창의적인 아이디어나 기존의 지식을 융합하여 새로운 아이디어를 창출해 내는 것에 중점을 둔 교육을 말한다. 이를 위해서 음악교육에서는 창작활동을 통하여 음악을 표현함으로써 창의성을 신장시킬 수 있을 것이다. 음악교육에서 창작활동을 활성화 시킬 수 있는 방안으로 테크놀로지가 많은 도움을 주고 있다. 그 예로는 인터넷을 발달로 인하여 다양한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사보, 연주, 디지털 녹음 및 편집 등 다양한 활동을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테크놀로지의 활용은 학생들의 음악활동에 흥미를 갖게 하며 능동적으로 참여하여 음악을 창작하는 과정과 결과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스크래치 프로그램을 활용한 음악 창작 프로그램을 개발을 목적으로 하였다. 프로그램의 학습내용은 ‘리듬창작’, ‘가락창작’, ‘즉흥표현’의 영역에서 스크래치로 구현 가능한 학습활동을 선정하였으며, 개발된 프로그램을 활용한 교수·학습 활동에 대해 제시하였다. 이를 통해 스크래치를 활용한 음악 창작 수업이 학습자의 창작 활동의 흥미와 참여도를 높일 수 있기를 기대한다. 또한 개발된 스크래치프로그램은 스크래치 웹사이트에 게시하여 공유될 수 있는 장점이 있기에 교사와 학습자에게 유용한 학습 도구로서 사용되어지길 바라며, 전통적인 창작교육법을 대신 해 새로운 형태의 음악 창작 교육 방법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The objective of education emphasizes the improvement of creativity in the education filed of Korea. It is the education which focuses on combining individual’s creative idea and his or her existing knowledge in order to create the new idea. To achieve this, students can improve their creativity as they can express music through creative activity. Technology can help in many ways to vitalize creative activities in music education. For example, student can experience variety of activities like playing instrument, digital recording, editing or music notation program using by software due to the development of internet. Therefore, this use of technology helps students to have an interest in music activities. They can also actively participate in the music program and it can influence their progress and the result after all. Therefore, the main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develop music creation program using by scratch program. The learning contents of this program shows in the areas of ‘rhythm creation’, ‘melody creation’ and ‘extemporization’ and those are possible to be realized with scratch program. It also suggests the teaching and learning activities with our developed program. We expect to increase student’s interest and participation with this music creation class developed by scratch program. Moreover, this developed scratch program is available in scratch website to be shared with others and it can be used in a useful way for users. We also expect that the new method of music creativity education can replace a traditional metho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