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통한 정서,행동장애 개념 정립』에 대한 토의

        강삼성 한국정서·행동장애아교육학회(구 한국정서학습장애아교육학회) 2013 정서 학습장애아교육 학술발표회 Vol.2013 No.2

        최근 우리나라의 경우 교육 현장에서 정서적, 행동적 문제를 가진 학생의 수가 크게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는 반면 특수교육 대상으로서의 정서행동장애 학생 수는 감소하고 있고 전체 특수교육 대상학생 중의 비율 또한 낮아지고 있다(이상훈, 2013b). 실제로 특수교육통계(교육부, 2013)에 의하면 현재 우리나라에서 특수교육 서비스를 받고 있는 학생은 86,633명이며 이들 중 정서·행동장애를 가진 학생은 전체의 3.2%인 2,754명으로 지난 2010년 3,588명, 2011년 2,817명이었던 것에 비해 크게 감소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지난 2007년부터 교육부에서 정서적 어려움 및 학교폭력 징후 등의 조기발견과 예방을 위해 실시하고 있는 ‘학생정서·행동특성검사’결과에서는 관심군은 2010년 12.8%에서 2011년 10.6%, 2012년 16.3%로 증가하고 있으며, 주의군 또한 2010년 2.6%에서 2011년 3.7%, 2012년 4.5%로 크게 증가하고 있다(교육과학기술부, 2013.2.8.보도자료). 이런 현상에 대해 이상훈(2013b)은 법적 정의를 사용하는 데 대한 문제점으로 첫째, 정서·행동장애의 출현율이 낮게 산출되는 결과를 가져올 수 있고, 둘째 최근의 아동 및 청소년들의 정서·행동문제가 다소 심각한 것에 대한 학생들의 문제행동 과 관련한 예방 및 조기중재에 두는 경향과 괴리감이 있다고 지적하였다. 2007년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이하 장특법) 제정으로 기존 정서장애(자폐성 포함)가 정서·행동장애와 자폐성 장애로 분리된 이후, 특수교육계의 많은 연구자들이 정서·행동장애에 대한 법적 정의에 대해 다양한 고민과 제언을 해왔다. 오늘 발표한『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통한 정서·행동장애 개념 정립』은 2013년 한국 정서·행동장애교육학회 춘계 학술 발표대회에서 발표된 ‘정서·행동장애의 개념적 정립’이라는 주제에서 논의된 세 개의 연구(정대영, 2013; 이상훈, 2013b; 이효신, 신윤희, 2013)의 연속된 연구로 포커스 그룹 방식을 통하여 정서·행동장애의 진단기준(법적 정의), 진단 및 분류, 명칭, 교육적 정의에 관하여 구체적이며 다양한 시각과 관점을 파악하는 동시에 집단적 논의와 자유로운 의견 수렴을 거쳐 정서·행동장애의 개념을 재정립하는 것을 연구의 목적으로 밝히고 있다. 이는 특수교육 대상자로서 정서·행동장애의 정의를 우리의 교육여건과 현실, 문화에 맞게 보다 구체적이거나 조작적으로 도출하기 위해서는 많은 사람들이 동의하고 있거나 학술단체를 통해 공식화된 기존 정의들의 내용 분석을 통하여 핵심 요인들을 도출하고 학계와 학교, 관련 기관들의 의견을 수렴하는 과정이 필요하다고 한 이상훈(2013b)의 주장에 비추어 보아도 꼭 필요하고 매우 가치 있는 연구라고 할 수 있다. 본 토론자는 교육현장에서 직접 학생을 대하고 있는 교사 입장으로서 정서·행동상의 지원이 필요한 학생들이 좁은 범위의 법적 정의로 인해 생겨난 문제들로 학교 현장에서 발생하는 갈등과 혼란을 실감할 수 있었고, 이 연구를 통해 향후 정서·행동장애에 대한 새로운 정의를 요구함에 있어 학교현장에서 절실하게 요구되는 것이 무엇일까를 생각해볼 수 있는 기회를 가지게 되었다. 따라서 토론자는 본 논문에서 전문가들에 의해 합의 도출된 모든 항목에 대한 의견에 대해 수정·보완하기 보다는 전문가들의 합의된 의견을 숙독하고 공감하면서 현장에 있는 한 사람으로서 크게 정서·행동장애의 선정기준(법적 정의) 상의 학습상의 어려움과 교육적 수행, 용어, 기준 및 정도의 모호성, 공존장애의 포함여부와 정서·행동장애의 진단절차에 관해 궁금했던 점과 교사로서의 의견을 중심으로 토의하고자 한다.

      • KCI등재

        자기점검 학습전략을 활용한 읽기 훈련이 읽기 능력이 부족한 ADHD 학생의 독해력과 읽기 태도에 미치는 효과

        강삼성,박정민,신순자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11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50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self-monitoring learning strategy training on the reading comprehension and reading attitude of students with ADHD and poor reading abilities. The studying problems suggested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does the self-monitoring learning strategy training improve reading comprehension of students with ADHD and poor reading abilities? Second, does the self-monitoring learning strategy training effect on reading attitude of students with ADHD and poor reading abilities? The subject of this study were 3 of fifth-grade student with ADHD who have 1.5-year delay in reading ability base on the result of the KEDI-Individual Basic Learning skills test(Reading Ⅱ) and this study was designed as multiple baseline across subjects design which was divided into baseline, intervention, maintenanc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self-monitoring learning strategy training was effective in improving the reading comprehension of students with ADHD and poor reading abilities. Second, the self-monitoring learning strategy training was effective in improving the reading attitude of students with ADHD and poor reading abilities. Therefore, it could be concluded that the self-monitoring learning strategy training is a effective method of improving the reading comprehension and reading attitude for students with ADHD and poor reading abilities. 본 연구는 ADHD학생에 대한 효과적인 읽기 지도 방법을 알아보기 위해 자기점검 학습전략을 통한 읽기 훈련이 ADHD학생의 독해력 및 읽기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본 연구의 대상은 초등학교 5학년 ADHD학생으로 기초학습기능 검사(읽기Ⅱ) 결과 학년규준이 1.5년 이상 지체를 나타내는 학생 3명으로 하였으며, 연구 방법은 기초선, 중재, 중재를 마친 후 2주일 뒤 유지 단계로 나누어 대상자간 중다기초선설계(multiple baseline across subjects)를 사용하여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첫째, 자기점검 학습전략을 통한 읽기훈련이 읽기능력이 부족한 ADHD학생의 독해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둘째, 자기점점 학습전략을 통한 읽기 훈련이 읽기능력이 부족한 ADHD학생의 읽기 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따라서 자기점검 학습전략을 통한 읽기 훈련이 ADHD학생의 읽기 이해를 향상시킬 수 있는 교수방법이 될 수 있으며, 읽기 태도에 있어서의 긍정적인 변화도 모색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학급수준의 긍정적 행동지원이 통합학급 초등학생의 문제행동과 학교생활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강삼성 ( Sam Sung Kang ),이효신 ( Hyo Shin Lee ) 한국정서·행동장애아교육학회(구 한국정서학습장애아교육학회) 2012 정서ㆍ행동장애연구 Vol.28 No.3

        본 연구는 학급수준의 긍정적 행동지원이 장애학생을 포함한 통합학급 초등학생의 문제행동과 학교생활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통합학급 전체 21명의 학생(일반학생 20명과 장애학생 1명)을 대상으로, 학급 내 문제 상황-교실(수업시간), 복도(이동시간), 식당(점심시간)-에서 각각 실행되었다. 자료 수집 및 분석방법으로, 학급 전체 학생의 문제행동에 대한 자료는 사건 기록법으로 수집하였고, 월별로-사전검사(4월), 중재 중 검사 Ⅰ(5월), 중재 중 검사 Ⅱ(6월), 사후검사(7월)-문제행동 발생빈도의 변화를 비교·분석하였다. 중재로 인한 장애학생의 문제행동의 변화를 파악하기 위한 자료는 기초선, 중재 Ⅰ, 중재 Ⅱ, 유지 기간 동안 10초 부분 간격 기록법으로 수집하였다. 또한 학급 전체 학생의 학교생활 만족도 검사의 사전과 사후에 차이가 있는지 비교·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학급수준의 긍정적 행동지원으로 학급 내 문제 상황에서 장애학생을 포함한 전체 학생들의 문제행동이 감소되었으며, 학교생활 만족도는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the Class-Wide Positive Behavior Support (CWPBS) on behaviors and the level of satisfaction with school life in the integrated class of an elementary school. The study was conducted among twenty one children(including twenty normal children and one student with a disability) of an integrated class, about problematic conditions in an integrated class(classroom; class time, corridor; transition time, school cafeteria; lunch time). As for the methodology of collection and analysis of data, the event recording method was used. The frequency of problem behaviors before(April), during(May, June), and after(July) the administering of the CWPBS were analyzed and compared. The data of problem behaviors of the student with disabilities were collected by the partial interval recording method(every 10 seconds during baseline, intervention Ⅰ, intervention Ⅱ, maintenance) and analyzed in terms of change of frequency of problem behaviors. To investigate the change of the level of satisfaction in school life of the students in response to the CWPBS, the test scores of the level of satisfaction in school life before and after the CWPBS were analyzed and compared. As a results of the study, it was found that the children`s problem behavior of problematic conditions in the class reduced due to the CWPBS, and the level of satisfaction with school life on children of the class improved.

      • KCI등재

        장애이해교육과 장애체험활동이 초등학생의 장애 인식 및 장애 수용태도에 미치는 효과 차이 분석

        신순자,박정민,강삼성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10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49 No.3

        본 연구는 초등학생의 장애학생에 대한 태도를 개선하기 위한 장애이해교육과 장애체험활동이 초등학생의 장애 인식 및 장애 수용태도에 미치는 효과 차이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의 대상은 포항시 소재 E초등학교 3학년 2개 반을 선정하여 장애이해교육 집단 40명 장애체험활동 집단 40명 총 80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장애이해교육 및 장애체험활동을 실시한 전후에 장애 인식과 수용태도를 측정하여 사전, 사후 검사 점수 차이를 분석하여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장애이해 교육과 장애체험 활동은 초등학생의 장애인식을 개선하는데 효과적이었으나 초등학생의 장애수용태도를 개선하는 데는 효과의 차이가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s of teaching for understanding of disabilities and experiential learning about disabilities on the perception and accepting attitude toward students with disabilities of students with nondisabilities in elementary school. To accomplish this purpose, the questions were established as follows; First, is there an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perception and attitude toward the students with disabilities between understanding learning group and experiential learning group about disabilities? Second, is there an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accepting attitude toward students with disabilities between understanding learning group and experiential group about disabilities? To answer these questions, among the 3rd year students in E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Pohang city in Gyeongsangbuk-do province, 80 nondisabilities were selected as the experimental and the control group. The treatments such as an understanding and an experiential program about disabilities were performed to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 each. And the ANCOVA was applied for analyzing the difference of perception and accepting attitude test scores between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programs for understanding learning and experiential learning were more effective than the program for the control group students in terms of perceiving more positively students with disabilities. Especially, the experiential learning group about disabilities was more effective than the understanding group. Second, the programs for understanding learning and experiential learning about disabilities were more effective than the control group in terms of changing the accepting attitude toward students with disabilities.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 Therefore, the programs for understanding leaning and experiential learning about disabilities need to be generally employed. Besides, more researches will be required to develop more effective program for changing perception and accepting attitude toward student with disabilit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