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독일 정치교육의 보이텔스바흐 합의 원칙 적용 연구 -통일교육 원칙 개발을 위한 시사점 고찰

        강구섭 한국통일교육학회 2023 통일교육연구 Vol.20 No.2

        이 연구는 독일 정치교육에서 보이텔스바흐 합의 원칙의 적용 실제에 대한 고찰을 통해 통일교육의 원칙 개발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는데 목적이 있다. 독일 정치교육에서 보이텔스바흐 합의 원칙은 개방적이고 논쟁적 관점에서 정치적 사안과 개인의 이해관계를 연계해 정치 사회적 사안을 다루는 가운데 학습자 개인의 입장을 정립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이텔스바흐 합의 원칙의 강압금지 원칙은 교사가 개방적 관점에서 학생의 입장 형성을 지원하는 측면에서 적절성을 가지고 있지만, 목표의 개방성으로 인해 통일인식 함양이라는 확정적 목표를 가지고 있는 통일교육의 원칙으로 제한점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논쟁성 원칙은 통일교육에서 북한 관련 주제를 상이한 관점에서 다룰 수 있게 하는데 기여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치적 사안과 개인 이해 연계 원칙은 통일교육에서 개인의 이해 측면에서 통일의 필요성을 다루는 방식의 한계를 보완하고 사회 및 개인의 측면에서 균형적으로 다루는데 기여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는 통일교육 원칙의 방향으로 1) 통일교육의 목표 측면에서, 학습자의 특성, 관심에 기반해 통일 문제에 대한 관심 제고를 추구하는 학습 목표의 개방성, 2) 내용 측면에서 북한에 대한 부정적 측면과 긍정적 측면을 조화있게 다루는 내용의 균형성, 3) 형식 측면에서 개인 및 사회 측면의 조화를 추구하는, 개인과 사회 측면의 연계성을 제안하였다 This research aims to derive insights for the development of our principles for unification education by conducting an in-depth analysis of the application of the Beutelsbach Consensus principles in German political education. To accomplish this goal, we examined the key principle of the Beutelsbach Consensus principles in German political education and analyzed how this principle is applied in practice. Based on this, we analyzed the appropriateness and limitations of applying the Beutelsbach Consensus principles to unification education and derived insights for the development of principles for unification education. Through this research, we propose the following directions for the unification education principles: First, Openness of learning objectives beyond fostering reunification awareness to elevate interest in unification issues that consider learners' characteristics and interests. Second, Balance in addressing both negative and positive aspects of North Korea within the context of understanding North Korea. Third, Integration of individual and societal dimensions in addressing unification issues from both personal and societal perspectives.

      • KCI등재

        탈북교사의 남한교육에 대한 이해 연구

        강구섭,한만길,이은구 한국교육개발원 2014 한국교육 Vol.41 No.1

        The aims of this research are to 1) analyse North Korean defector teachers’ understanding of the educational system of South Korea, 2) anticipate potential difficulties that North Korean teachers may face as they play a new role in a new educational system after the unification of South Korea and North Korea, and 3) draw policy implications for North Korean teachers in the process of the unification of the two educational systems. The findings show that North Korean defector teachers identified three major characteristics of South Korean education: 1) the emphasis on process as well as results in educational methodology, 2) the low level of responsibility of teachers towards their students, and 3) the horizontal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Therefore, training programs focusing on new teaching skills that can foster student creativity are needed for North Korean teachers to help them play their new roles successfully in the new unified educational system. 본 연구는 남한에 거주하고 있는 탈북교사가 인식하고 있는 남한교육에 대한 이해를 분석하여, 통일 전후 새로운 교육체제에서 교사로서 새로운 역할을 수행해야 하는 북한교사가 겪게 될 어려움을 전망하고, 향후 교육통합 과정에서 북한교사 관련 정책을 수립하는데 필요한 시사점을 도출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 결과, 탈북교사는 학습의 결과 뿐 아니라 과정을 중시하는 교육 방법, 교사의 학생에 대한 책임감 부족, 교사-학생 간의 수평적 관계 등을 남한교육의 특성으로 인식하였다. 이에 따라 북한교사가 남북한 교육통합과 함께 직면할 새로운 교육체제에서 요구되는 교사로서의 역할을 성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새로운 교육체제에 대한 이해 증진, 학생의 창의성 개발을 지향하는 교수 방법 습득 등을 위한 재교육 및 연수 프로그램의 실시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독일통일 전 서독의 독일문제 수업지침 연구

        강구섭,이봉기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2019 도덕윤리과교육 Vol.- No.62

        본 논문은 독일통일 전 서독의 독일 문제(분단 문제) 수업 지침에 대한 비판적 고찰을 통해 우리나라의 통일교육 실행 방향 설정에서 참고할 수 있는 시사점을 도출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독일 문제 수업 지침의 내용을 전체 구성, 수업 지침의 세부 내용, 수업의 실행 방향 측면에서 비판적으로 고찰하였다. 분석 결과, 서독의 독일 문제 수업 지침은 학교 교육에서 독일 문제(분단 문제)에 대한 이해를 기반으로 수업을 하는데 필요한 기본 방향을 효과적으로 제시하였다. 그러나 독일 문제 수업을 실행하는 과정에서 필요한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방안을 제시하지는 못한 한계를 보였다. 서독의 독일 문제 수업 지침은 우리의 통일교육 방향 설정에서 학교 교육을 넘어서는 다양한 환경에 대한 고려, 균형 있는 내용 접근 방향 제시, 전체 교육과정과 연계된 통일교육 실행 방안 제시가 필요하다는 시사점을 제시한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Guidelines for Classes on German Queries before German Unification in West Germany. More specially, the study focuses on drawing some policy suggestions and implications for Unification Education in South Korea. For this purpose, this study analyzed the Guidelines for Classes on German Queries before German Unification in West Germany in terms of its whole structure, detailed contents, and principles to implement of Unification Education. The result of the study indicates that the Guidelines for Classes provided the basic principles for the Classes at schools based on the Understanding of German Queries. However, it shows that the Guidelines for Classes failed to provide the concrete Principles to the Classes about German Queries. The Case of the Guidelines for Classes points out that Unification Education in South Korea has to provide: first, the consideration of its entire circumstance beyond the process of receiving or giving systematic instruction in schools; second, the appropriate principles in dealing with subject; third, a concrete plan for it to be related with the whole school curriculum.

      • KCI우수등재

        탈북교사의 북한교육에 대한 인식 고찰 - 남북한 교육통합을 위한 시사점

        강구섭 한국교육학회 2015 敎育學硏究 Vol.53 No.2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and identify the way how the North Korean(NK) teachers perceived and evaluated the educational system of North Korea. The analysis presented in this paper also suggests some policy implications for the educational integration of North and South into a unified Korea. The results of the study indicate that North Korean teachers specifically recognize a long-term class teaching system in a positive way, because it allows them to handle their classes in a more responsible and effective way through a long-term perspective and plans. Based on the positive characteristics of the North Korean educational system, further, the teachers’ stable responsibilities and students and parents’ relatively high level of respect for teachers are particularly pointed out. On the other hand, some negative perceptions are expressed regarding the systematic educational indoctrination, uniform teaching methods, and standardized curriculum system for all the students as well as the standardized set of viewpoints that students learn from school. Considering the integration of North and South Korean educational system, it appears essential that some changes are needed to be made with respect to the systematic indoctrination, uniform teaching methods and pedagogical methods as sources to develop students’ behavior and principles. However, the positively recognized dimensions of the system, like the long-term class teaching process, can be maintained and capitalized in a unified Korea. 본 연구는 탈북교사의 북한교육에 대한 인식 고찰을 통해 북한교육의 주요한 특성을 살펴보고 이를 토대로 통일 후 남북한 교육통합 정책 수립에 필요한 시사점을 도출하는데 목적이 있다. 탈북교사들은 북한교육에서 활용되고 있는 주입식 교육 방법, 획일적인 내용 및 관점에 대해 부정적인 인식을 나타냈다. 또한 학급 및 수업 운영 방식에서 교사의 책임있는 지도를 가능하게 하는 장기 담임제에 대해 긍정적인 인식을 가지고 있었고, 교사의 강한 책임의식, 학생, 부모의 교사 권위 존중을 긍정적 특성으로 인식하였다. 연구 결과, 통일 후 남북한 교육통합과 관련하여 북한교육의 획일적 주입식 교육 방법 개선, 장기 담임제의 발전적 유지, 집단주의 경쟁 방식의 개선 등을 위한 방안 마련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동서독 통합 개념을 통해 살펴본 평생교육의 과제

        강구섭 통일연구원 2010 統一 政策 硏究 Vol.19 No.1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main arguments concerning the notion of integration that were taking place in the reunification process and to present some future tasks of life-long education based on the concept of integration. That is to say, by analysing the notion of integration and its implications for life-long education in the German reunification process I try to propose in what direction the discussions with respect to integration in Korea should move and what kind of role the life-long education in South Korea is supposed to play in the reunification process of North and South Korea. In general, the concept of integration in the German reunification process is defined as a notion not only including system integration but also social integration. It deals with the aspect of inner integration like receptivity to new system and organization, sense of unity, lifestyle, value system. However, at the same time, there was also a growing need to cover in depth the aspect of relationship between East and West German. Based on the notion of integration, there was a necessity to introduce life-long education for East German, East and West German and West German respectively. Namely as a basic condition for substantial inner integration between East and West German, there was a need to introduce life-long education especially for East German who need to get used to new system from various perspectives such as political, economical, psychological, cultural, historical and international. Accordingly, some programs as main contents of life-long education were suggested to facilitate mutual understanding between East and West German dealing with themes like mutual exchange, communication, historical topics and to improve understanding about new social circumstances. The results of this study demonstrate that discussions regarding the notion of North and South Korean integration in South Korea should not only deal with political dimension but also sociocultural and psychological dimensions more widely. Besides, I argue that life-long education for South Korean should be conducted with carrying out active preliminary research to play a role effectively after reunification of Korea. 본 연구는 동서독 통일 과정에서 통합 개념과 관련하여 진행된 주요 논의를 살펴보고 통합 개념에 입각하여 평생교육의 과제에 대해 고찰하는데 목적이 있다. 독일통일 과정에서의 통합 개념 논의와 그에 따른 평생교육의 과제를 살펴봄으로써, 우리의 통일에서 통합 논의는 어떤 방향을 지향해야하며 남북한 통합 과정에서 남한의 평생교육이 어떠한 역할을 수행해야 하는가에 관한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하는 것이다. 독일 통일 과정에서 통합 개념은 체제 통합 뿐아니라 사회 문화적 통합을 매개로 한 내적 통합의측면을 포함하는 포괄적 개념으로 정의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통합 개념은 동독인의 새로운 체제에대한 수용도, 정치적 지향 등 주로 동독인의 체제적응의 관점에서 다뤄져 있어, 동서독 주민 양측간의 관계·상생 등의 측면이 함께 다뤄져야 할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통합 개념에 대한 논의에 입각하여 동독인, 동서독인, 서독인을 대상으로 한 평생교육의 필요성이제기되었다. 동서독 주민간의 실질적 내적 통합을 위한 기본적 조건으로서 새로운 체제에 적응하는것이 필요한 동독 주민의 측면에서 정치 경제 체제 측면, 심리적 측면, 문화적 측면, 역사적 측면, 국제적 측면에서 평생교육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동서독 주민, 서독 주민의 측면에서는 각각 양측의화해를 위한 교류, 대화, 역사적 주제를 다룬 프로그램과 새로운 사회적 상황에 대한 이해와 인식을신장하는 프로그램이 주요한 평생교육의 내용으로 제시되었다. 연구 결과를 통해, 우리의 남북한 통합 개념 논의가 체제 통합 뿐 아니라 사회문화·심리적 차원에서 보다 폭넓게 다뤄져야 하며 통일 이후 평생교육이 그 역할을 충실히 수행하기 위해 충분한 사전연구와 남한 주민을 대상으로 평생교육이 적극적으로 실시되어야 한다는 점이 다뤄졌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