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간호사의 보상적합도와 직무몰입 ${\cdot}$ 조직몰입정도간의 관계 연구

        김정아,Kim, Jung-A 한국간호행정학회 1997 간호행정학회지 Vol.3 No.2

        This study surveyed nurses' value of reward and recognition level of organizational reward, and measured the fit of both. It also looked into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eward fit and attitude of nurses toward their job and organization (job involvement${\cdot}$organizational commitment). It was planned to suggest the alternative of a future reward system. The sample consisted of 625 nurses of 8 private University Hospitals. Data for this study was collected from Mar. 25 to Apr. 17 by structured questionnaire. This study examined the differences of nurses' value of reward by their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looked into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eward fit and job involvement${\cdot}$organizational commitment. Four instruments and a demographic questionnair were used to collect the data. Developed for myself and repaired by panel of judges, the value of reward scale and organizational reward scale consisted of 34 items on five points Likert-type scale. Developed by Kanungo and repaired by panel of judges, the job involvement scale measured overall job involvement on 7 items.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scale was developed by Mowday et al and repaired by panel of judges on 10 items. The data was analyzed by frequency, percentage, ranking,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Chronbach alpha coefficient, t-test, SNK test, factor analysis with SPSS/PC+ progra,.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1. The mean of nurses' value of reward is 4.2435 and job content rewards are seen as the most important(M=4.5532). The following orders are seen as follows; financial rewards(M=4.4181), human realtion rewards(M=4.4130), establishment ${\cdot}$ facilities rewards(M=4.1632), professional rewards(M=4.1117), social status or prestige rewards(M=3.9228), career rewards(M=3.8816). Of 34 indivisual reward factors, the retainment allowance is seen to be thought of as the most important thing. 2. The mean of nurses' actual reward is 2.6035. The actual reward responded to the most extremely offered is job content rewards. The following orders are seen as follows ; human relation rewards(M=2.9420), financial rewards(M=2.7682), professional rewards(M=2.4601), social status or prestige rewards(M=2.3696), career rewards(M=2.3466), establishment ${\cdot}$ facilities rewards(M=1.9364). Of 34 indivisual reward factors, medical insurance benefits are felt to be most extremely offered. 3. The mean of fit of reward is -1.6874 and that means actual reward doesn't egual the value of the reward. What is offered mostly to nurses' value of reward is human relation rewards. The following orders are seen as follows; job content rewards(M=-1.5938), career rewards(M=-1.6381), social status of prestige rewards(M=-1.6382), financial rewards(M=-1.6836), professional rewards(M=-1.6854), establishment${\cdot}$facilities rewards(M=-2.3130). Of 34 indivisual factors, the item of fered most closely to nurses' value of reward is seen as the participation in educational programs at the nursing department of the hospital. 4. The mean of nurses' job involvement is 3.1987 and SD is 0.5667. 5. The mean of murses' organizational commitment is 2.9348 and SD is 0.6124, that is seen as a little lower than job involvement. 6. Significant value of reward differences were found among nurses by their demographic characteristics such as married status, tenure, academic career. 7. The fit of reward was significant related to job involvement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When generalizing the result of this study, the value of reward, which nurses consider important and appropriate offers a reward that corresponds to the nurses' value of reward. This increases nurses' job and organization devotion further, as well as hospital effectiveness. It appears that nurses have recognized that the present reward offered in hospitals doesn't come up to their expectations so I think it is urgent to plan and perform the new reward

      • 재사용 시스템 개발을 위한 객체지향 검식 프레임워크

        김정아,문충렬,김승태,Kim, Jung-A,Moon, Chung-Ryeal,Kim, Seung-Tae 한국정보처리학회 1995 정보처리논문지 Vol.2 No.5

        본 논문에서는 라이브러리의 하부 표현 구조에 관계 없이 재사용 라이브러리로 부 터 소프트웨어 부품을 일관성 있게 저장하고 검색할 수 있도록 지원해주는 검책 프레 임워크를 객체지향 기법을 도입하게 제안하였다. 제안한 검색 프레임워크는 일관된 사 용자 인터페이스를 가능하도록 하기 위하여 시각적 영역에서 미리 정의한 간단한 시각 적 오퍼레이션을 통해 라이브러리에 저장한 부품에 대한 정보 객체를 검색할 수 있도 록 하였다. 이는 제안한 4I모델에 의해 가능하다. 또한 새로운 검색 메카니즘이나 분 류기법을 쉽게 추가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객체지향 프레임워크 개발을 위한 4I 모델을 제안하고 이를 구성하는 각각의 구성 요소를 객체로 모델링하고 구현하였다. This paper describes in object-oriented retrieval framework that is generally designed to store and retrieve the reusable components from the library regardless of the underlying representation of the library. We propose a retrieval framework on visual space so that reuser can identify their location at the library without any previous information of library structure. They can decide the directions of retrieval with the results displayed on the visual space and interact with the library using the defined simple retrieval operation that can assess the library information object. For doing this, 4I model was proposed. Librarian as well as reuser can easily construct the new library on the visual environment. It is the process to give the semantic of the information object. This paper discusses the basic concepts of our 4I model and explains each constituent of our model and shows a simple example of the system.

      • KCI등재후보

        미적요소에 기초한 미술 감상 활동이 유아의 미술 활동 능력에 미치는 영향

        김정아  (Jung A Kim),송광철(Kwang Chul Song)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011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Vol.8 No.-

        본 연구는 미적요소에 기초한 미술 감상 활동이 유아의 미술 활동 능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고자 했다. 연구 결과 첫째, 미적요소에 기초한 미술 감상 활동은 유아의 미술표현과정을 향상시켰다. 유아들이 자신의 경험을 즐거운 마음으로 표현하게하고 완성된 작품을 소중하게 다루는데 효과가 있었다. 둘째, 미적요소에 기초한 미술 감상 활동은 유아의 미술표현능력을 향상시켰다. 유아가 주제를 창의적으로 표현하고 다양한 재료와 색을 활용하여 생동감 있게 표현하는데 효과가 있었다. 셋째, 미적요소에 기초한 미술 감상 활동은 유아의 미술 감상 능력을 향상시켰다. 유아가 미술작품에 대한 자신의 느낌과 생각을 설명하는 감상태도에 효과가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test the effect of art appreciation based on the improvement of young children’s art activitie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Art appreciation based on aesthetic elements improved the children’s artistic process. The children enjoyed to participate in their art activities and retained ownership of their artworks when they chose their own subject matter. 2. Art appreciation based on aesthetic elements improved the children’s artistic expression abilities. The children expressed with individual ideas and feelings through the use of various art media. 3. Art appreciation based on aesthetic elements improved the children’s artistic appreciation. When children appreciated artsorks, they could express their thinking of artworks in their own way.

      • KCI등재

        百濟 溫祚王 14년의 遷都와 그 의미

        金貞兒(Kim Jung-A) 한국고대사탐구학회 2010 한국고대사탐구 Vol.5 No.-

        都邑(王京)은 왕이 살고 있는 王城과 왕성 주변에 형성된 정치·신분적 중심구역인 王都를 포함한 광역의 지역을 의미한다. 지금까지 溫祚王 14년의 遷都에 대한 연구는 도읍 전체의 이동이라는 측면에서 遷都地에 대한 위치비정 문제에 천착한 경우가 많았다. 이는 물론 천도 연구에 있어서 가장 기본적인 문제로, 천도의 배경과 의미를 고찰하는데 근간이 되었다. 그러나 이 천도는 일반적인 천도와는 달리 근거리에서 이루어져 도읍 자체가 이동한 것으로 보기는 어렵다. 다만 도읍의 중추를 이루는 지역이 왕성과 왕도이므로, 천도가 이들 중심지에 커다란 변화를 초래했을 것임은 분명하다. 특히 근거리 천도는 원거리 천도에 비해 新·舊 중심지간의 연속성이 더욱 두드러질 것이라는 점에 주목하였다. 현재 풍납토성 내부의 동남편에 위치하는 현대아파트 부지에서는 3중의 환호가 확인되었다. 이것은 풍납토성에 선행하는 것으로, 토성 축조 이전의 중심지였던 것으로 보인다. 온조왕 14년의 천도는 이곳 3중 환호에 중심을 두고 있던 백제가 주변에 풍납토성을 축조하고 왕성을 확대한 것이었다고 생각된다. 당시 온조왕은 먼저 천도지를 결정하고 사전 정지 조치를 취했으며, 외교적 마찰을 피하기 위해 마한에 미리 천도 사실을 알리는 등 계획적이고 구체적으로 천도를 진행시켜 나갔다. ??三國史記??에 의하면, 천도 목적은 말갈과 낙랑 등의 외침으로부터 왕성을 보호하는 것이었다. 그렇기 때문에 높고 견고한 성벽을 쌓았으며 주변에는 垓子를 설치하는 등 방어력의 극대화에 힘을 기울였다. 이러한 천도는 백제의 정치적 성장과 왕권 강화가 있었기에 가능했다. 3중 환호로는 강화된 왕의 위상을 표현하기 어려웠으므로, 왕의 권위에 어울리는 왕성의 건설이 필요했던 것이다. 이를 위해 천도는 철저한 계획과 통제 하에 진행되었다. 왕성의 축조는 물론이고, 왕성 내부와 주변의 왕도에도 공간구획과 같은 계획적 조영이 시작되었다. 이렇게 온조왕 14년의 천도는 이를 계기로 왕성의 규모가 확대되었고, 동시에 왕성과 왕도에 대한 계획적인 건설과 경영이 시작되었다는 점에서 의미를 찾을 수 있다. A capital refers to as a broad area including king's castle(王城) and the royal capital(王都) formed therearound for political purpose and class structure. So far, studies on the transfer of capital in the 14th year of King-Onjo(溫祚王), have confined to the marking of location in terms of the transfer itself, which in some aspects, as the most basic issue, has served as a basis for identifying the meaning and backdrop of the transfer. However, this transfer cannot be regarded as an entire transfer of capital in that it was a short-distance transfer. Meanwhile, it is obvious that the transfer gave rise to a dramatic change in the central area, as king's castle(王城) and the royal capital(王都) are the core of capital. In particular, the people of Baekje(百濟) paid attention to the fact that a short-distance transfer of capital would maintain the continuity of ancient and new capitals intact. A triple moat was found southeast of Pungnabtoseong(風納土城), which was built before the construction of the castle(王城). The moat seemed to be the downtown before the construction. Therefore, the transfer in the 14th year of King-Onjo(溫祚王) might be the construction of Pungnabtoseong(風納土城) and the expansion of the capital by Baekje(百濟) whose main base was the triple moat. King-Onjo(溫祚王) decided where to move in advance, and laid the foundations for the transfer. In order to prevent diplomatic frictions with Mahan(馬韓), he noticed it of the transfer, and came up with concrete and systemic measures to advance the issue. According to ??Samguk-sagi(三國史記)??, the purpose of the transfer was to protect the capital from the invasion by neighboring nations including Malgal(靺鞨) and Lolang(樂浪). Baekje(百濟) made sincere efforts to maximize its defence capability, and to this end it built a high and solid wall and digged a moat therearound. The transfer of capital was possible owing to Baekje(百濟)’s political development and reinforcement of the royal authority. As a triple moat was insufficient to boast strengthened royal authority, there is a need for the construction of a new king's castle(王城) commensurate with the royal authority. To that end, the transfer of capital occurred under a thorough plan and control. Not only the construction of king's castle(王城) but also a systematic alignment inside the castle(王城) and the royal capital(王都) therearound was taken place. The transfer in the 14th year of King-Onjo(溫祚王) expanded the scale of the king's castle(王城) and put spurs to the construction and management of the king's castle(王城) and the royal capital(王都).

      • KCI등재

        공간연출 디자인 요소에 적용된 미술적 모티브 이미지에 관한 연구 -“-graph”와 “iconology”의 개념을 중심으로-

        김정아 ( Jung A Kim ),이진민 ( Jin MIn Rhie ),장영순 ( Young Soon Jang ) 한국화예디자인학회 2010 한국화예디자인학 연구 Vol.22 No.-

        본 논문은 공간연출 디자인 요소 전반에 걸쳐 모티브(motif)로서 적용되는 미술 작품의 이미지에 대한 이해를 기본에 두고, 실제로 공간 연출의 디자인 요소에 적용된 미술적 모티브 이미지의 사례들을 고찰하고자 하였다. 특히 최근에는 탈 양식적 디자인에 대한 움직임이 부각되고, 디자인 전반에 첨단 장비 및 신소재 같은 기술적 요소가 더해지고 있는 상황에서, 공간연출 분야에서도 다양한 형태의 모티브 적용이 활성화되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미술작품은 인류 역사 속에서 지속적으로 발전되고 검증되어 정립된 소재라는 점에서 디자인 모티브의 중요한 키워드가 아닐 수 없다. 따라서 작품을 통한 소통 및 교감, 커뮤니케이션이라는 측면에서 기호학적 분석의 하위 개념으로 볼 수 있는 ‘-graph’와 ‘iconology’의 관점으로 여러 사례들을 분석, 정리하였다. 디자인 요소에 적용된 미술적 모티브가 다양한 ‘-graph’ 요소를 기반으로 작가와 개념, 시대상 등을 표출하는 ‘iconology’적 사례들의 연구 과정을 통해 공간 연출에서의 다양한 모티브의 적용에 관한 방법을 체계화하고, 공간 디자인의 다원화를 위한 큰 흐름의 하나로서 미술적 모티브의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seek cases of Art-Images which was applied to Elements of Display Design & Space Design as a visual motif after defining of Art-Image as a visual Motif and Elements of Display Design. Recently, in the field of design, there is a growing trend which is based on rejection a fixed style such as, classic, modern, post-modern, etc. and supports of high-tech industries, many designers try therefore to apply art images to their design as a visual motif. The art image can be an important keyword of a design motif because the art had existed since a human history began, and verified as beautiful and valuable works. It is no wonder that people feel familiar and closer looking at popular art works, for examples, Gogh`s Sunflower`, Mondrian`s `Composition` or Salvador Dali`s `The persistence of memory`. Based on the reason, the art-image has the Function of communication and deriving sympathy from a design as a design motif or visual motif. So this study has analyzed cases of art-images which is applied to elements of display design from the view point of `-graph` and `iconology` which relate to the semiotics.

      • KCI등재

        한국어 교육 항목으로서 ‘아니다’ 정형표현의 의미와 기능

        김정아 ( Kim Jung-a ) 한말연구학회 2021 한말연구 Vol.- No.59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discuss the meanings and functions of the formulaic expression ‘아니다[anida]’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Referring to expressions frequently used by combining two or more words, formulaic expressions are necessary for Korean language learners to learn in order to naturally use the Korean language as they lack intuition for the Korean language. In particular, as ‘아니다’ is part of the basic vocabulary frequently used by Korean language speakers, Korean language learners must learn it as ‘이/가 아니다’ at the beginner’s level. For instance, ‘이/가 아니면’ comes to have the meaning ‘제외한’, and -뿐만 아니라’ comes to have a meaning that emphazies the facts of both the antecedent and the following clause. In such a way, ‘아니다’ is used as various expressions and meanings, but Korean language textbooks, dictionaries, and study materials have failed to sufficiently reflect such uses. Therefore, having recognized the necessity to teach and learn the formulaic expression ‘아니다’, the present study selected formulaic expressions, including ‘아니다’, necessary for Korean language learners by analyzing n-grams from the Sejong Corpus of written and spoken Korean. Toward this end, the study selected meaningful expressions by extracting sequences of 3, 4, and 5 words including ‘아니다’ from the Sejong corpus of written and spoken Korean, and analyzed meanings used in sentences and conversations by analyzing examples of their use. As a result, the study extracted 21 formulaic expressions from a list of 237 candidates, morphologically categorized grammatical items and idiomatic expressions, and analyzed 7 meanings and functions(negation, focus, emphasis, fact-checking, situational transition, exclusion, and idiomatic meaning). The present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strengthens the necessity for reexamining and diversifyng the learning of basic vocabulary.

      • KCI등재

        경남지역 일부 초등학교 비만아동의 식습관 분석 및 영양교육을 위한 교수학습과정안 개발

        조민아 ( Min A Jo ),이경혜 ( Kyung Hea Lee ),허은실 ( Eun Sil Her ),김정아 ( Jung A Kim ) 대한영양사협회 2009 대한영양사협회 학술지 Vol.15 No.2

        본 연구는 경남 일부 초등학교 비만아동을 대상으로 식습관, 영양교육에 대한 인식, 영양지식을 조사하여 분석한 자료를 바탕으로 비만아동의 영양교육을 위한 수업지도안을 개발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아동의 신체적 특징으로 신장은 남학생과 여학생 간에 유의적인 차이는 없으며 체중은 남학생(55.0±9.0 kg)이 여학생(52.0±9.4 kg)보다 유의적으로 높았다(p<0.05). 2. 전체 아동의 83.5%가 영양교육을 받아본 경험이 없다고 답하였으며 80.3%가 영양교육의 필요하다고 답하여 영양교육에 대한 관심도가 크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3. 희망하는 영양교육 내용에는 `체중 감소를 위한 식사조절법(64.7%)`, `올바른 간식(12.2%)`으로 조사되었다. 희망하는 영양교육 방법으로 남학생은 `게임(35.4%)`, `강의(18.8%)`, `조리실습(16.7)`, `개인상담(16.7%)` 순으로, 여학생은 `조리실습(25.6%)`, `개인상담(25.6%)`, `강의(11.6%)`, `그림그리기(11.6%)`로 나타나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p<0.01). 4. 아동의 식사속도는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식사속도가 유의적으로 빠른 결과를 나타내었다(p<0.05). 5. 운동종목에서 남학생이 `가벼운 레포츠활동(27.0%)`과 `구기종목(25.4%)`을 여학생은 `가벼운 레포츠활동(47.9%)`과 `걷기(25.4%)`를 선호하여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p<0.001). 운동장소로 남학생이 여학생에 비해 운동장 등 활발한 장소를 선택하여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p<0.001). 6. 영양교육 수업지도안 개발은 비만 개선을 위한 올바른 식습관과 영양지식을 교육하기 위해 13차시 분량의 수업지도안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초등학교 고학년용 영양교육 교수 학습지도안은 비만 정의 알기, 자신의 모습 사랑하기, 식사와 관련된 감각 익히기, 식품군 알기, 아침결식개선, 편식개선, 올바른 간식선택, 외식의 8개 대주제와 13개의 소주제로 구성된 13차시였다. 본 연구의 수업지도안을 활용하여 실제로 수업하여 그 효과판정을 하지 못했으므로 그에 대한 후속연구가 이루어져야 하며 비만인구는 점점 증가하고 세계적으로 문제시되고 있지만 이에 대한 교육방법 개발과 실제 교육은 학교에서 거의 이루어지고 있지 않은 실정이다. 앞으로 비만문제를 단순히 가정에 맡기거나 의학적인 문제로 방치하기 보다는 그 예방차원이 우선시되어 아이들의 교육을 담당하고 있는 학교에서 식습관 관련 수업이 영양교사에 의해서 이루어지는 것이 필요하리라 생각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nutrition education curriculum with teacher`s guide which includes discretionary activities for obese children. A surve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recognition of body image and food behaviors according to the obesity index (mild, moderate, severe) in school children (4~6th grade, 158 boys and 60 girls) who were selected based on a physical examination in May, 2006 in the Gyeongnam province. Next, a nutrition education curriculum with teacher`s guide was developed on the basis of the findings from the survey and from preceding researches.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e existence of some nutritional problems such as overeating, prejudice, skipping meals, snacking patterns, etc, which indicate the need for nutritional management for obese children. Most overweight children (80.3%) showed the most interest in the nutrition education program, particularly with regards to dieting for weight control (64.7%). The developed nutrition education curriculum consisted of 8 main subjects and 13 subtitles. The curriculum was prepared for 13 lessons and included songs and singing, making-up lyrics, games about nutrition, discussions of the experience of eating (satiety, thirst, hunger), debates on dietary habits, writing and others to promote the interest for learning. We aimed to develop this program in an attempt to improve the dietary habits of obese school children. This is very important because once a dietary habit is formed in adults, it is difficult to change and the best adjustable stage is during childhood. Therefore, early nutrition education during elementary school can change and build-up the awareness of health in young elementary school children.

      • KCI등재

        자동차 시트의 안락도 평가를 위한 문항개발에 관한 연구

        김정아 ( Jung A Kim ),나호준 ( Ho Jun Na ),조동환 ( Dong Hwan Cho ),신윤호 ( Yun Ho Shin ),박세진 ( Se Jin Park ),김진호 ( Jin Ho Kim ) 한국감성과학회 2010 감성과학 Vol.13 No.2

        자동차 시트의 만족도 평가방법은 디자인을 평가하는 방법에서부터 출발하여 완충시스템과 재료를 평가하는 기계적 방법을 지나 인간의 주관적인 감정을 평가하는 현재까지 이르렀다. 국외에서는 지난 10여 년간 자동차 시트의 만족도 평가를 위한 수많은 연구가 진행 되었고, 2006년에 설문지에 기반을 둔 통계적으로 신뢰할 만한 평가방법이 만들어져 외국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Baba 등, 2008). 그러나 우리나라에서는 아직까지 이 방법이 활용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Smith 등 (2006)의 연구방법을 중심으로 기존 연구를 분석하여 한국인에 적합한 평가 설문지를 새로 개발하였다. 6명의 자동차회사 및 시트 전문회사의 전문가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기존연구에서 감성평가 항목이 중복되어 있거나 우리나라에는 적합하지 않는 항목은 제외시키고 유사한 항목들은 통합 하여 36개의 평가항목을 새로 개발하였다. 이들 항목은 유사성을 고려하여 대분류, 중분류, 소분류로 분류하였다. 36개 평가항목은 중요도가 다르기 때문에 계층화분석법(AHP)을 사용하여 평가 항목의 중요도를 결정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자동차 시트 만족도 설문지는 우리나라에서 생산되는 자동차 시트의 주관적 감성 평가에 널리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automotive seat comfort evaluation was to begin a key aspect in seat design. It depended largely on the basic mechanical aspect such as geometric parameters of seat, choice of suspension system and cushion material used. Until recently, seat comfort evaluation advanced to evaluate subjective sensitivity of human. The external literatures showed in the last decade, there have been very few attempts to establish and document automotive seat comfort evaluation. In 2006 Smith, D. proposed the statistically reliable tool in giving a numeric rating for set comfort and the tool was used in the many country. On the other hands, we, in Korea, had not the reliable tool for the automotive seat comfort evaluation. So that, we studied to develope the questionnaire for seat comfort evaluation based on Smith, D.(2006) and some studies. As a result, we developed 36 contents for the automotive seat comfort evaluation with the help of professional in Korean automotive industry. Here, 36 contents were identified as the dimensions that represent the human sensitivity and psychological feeling on comfortable seat. Also, we derived the priorities for the 36 contents by using analytic hierarchy process (AHP), based on the judgments of 30 experts and drivers. This study will help the designers and developers clarify the conceptual and abstract aspect of the design evaluation by proposing a more systematic and process-oriented method.

      • KCI등재

        PDM 프레임워크 재 정의 도구 구축

        김정아(Jung-A Kim) 한국정보과학회 2001 정보과학회 컴퓨팅의 실제 논문지 Vol.7 No.1

        PDM(Product Data Management)분야는 일반적인 제조업체에서 제품개발에 필요로 하는 제반정보를 제품기획단계부터 폐기단계까지 제품 생명주기(Lifecyle) 전반에 걸쳐 일원적으로 통합 관리하도록 하는 제품정보 통합관리 솔루션(solution)을 말한다. PDM 어플리케이션은 매우 크고 복잡한 영역이다. 프레임워크의 재사용은 단순한 소스코드나 어플리케이션 일부의 재사용이 아닌 소프트웨어 아키텍처의 재사용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생산성 향상을 가능하게 하는 방법이다. 본 연구에서 PDM분야에서 프레임워크를 개발하게된 목적이기도 하다. 즉, PDM 프레임워크는 새로운 PDM 어플리케이션 개발에 드는 시간과 노력을 줄일 수 있게한다. 그러나 프레임워크는 대규모의 클래스들의 집합과 그들간의 복잡한 상호작용을 정의하고 있기 때문에, 프레임워크 기반 재사용 역시 재사용 공정을 지원하는 재사용 환경이 제공되어야한다. 이러한 도구를 바탕으로 큰 규모의 프레임워크를 이해하고 재 정의할 Hot spot을 효과적으로 식별할 수 있게된다. 본 연구에서는 저장소(repository)를 기반으로 컴포넌트와 컴포넌트에 대한 정보를 관리함으로써 컴포넌트를 이해하고 프레임워크에 정의된 hot spot에 새로운 요구사항을 정의하여 새로운 어플리케이션의 개발 과정을 효과적으로 지원하는 도구의 개발하였다. PDM is an integrated solution for managing various kinds of document and information for a whole life-cycle of product management. PDM system spans a huge and complex area and requires so many efforts and budgets for development. A framework has been considered a promising way to improve productivity by reusing the software architecture, not just one part of the design or just source code. This was the reason why we developed PDM (Product Data Management) framework. Framework can reduce the time and efforts to develop a new PDM application. However, it also requires supporting environment since a framework is a big set of classes where their interactions are so complex. With this supporting environment, it is easy to understand the framework at a glance and easy to identify what hot spots to be refined to meet new requirements. In this paper, a new framework-supporting reuse environment based on the meta-repository was constructed for easy and convenient reuse.

      • KCI등재

        동물명 관용표현의 의미 교육 연구 : 태국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김정아(Kim Jung-a),티띠왓 앙쿨(Titiwat Angkula) 한국문화융합학회 2020 문화와 융합 Vol.42 No.11

        This study analyzes the meanings of idiomatic expressions involving animal names in the Korean and Thai languages for application in Korean language teaching. Idiomatic expressions are expressions useful in both language and cultural teaching, as they simultaneously feature a social, historical, and cultural background. In general, native speakers learn how to use the figurative meaning and expressions that include such meaning naturally when learning how to speak. However, it language learners to learn figurative words and expressions and memorize every meaning. Therefore, to produce systematic lessons for idiomatic expressions, teachers must present expressions starting from the beginner level to the advanced level organically by analyzing the learners’ level of Korean. Therefore, to propose a teaching method for Thai learners, this study analyzes the semantic characteristics of idiomatic of Korean and Thai expressions, specifically with regard to the 5 animals (tiger, cow, chicken, pig, and bear) that demonstrate the greatest disparities, from among the 10 animals (dog, cat, tiger, cow, chicken, pig, mouse, ant, frog, and bear) used with the highest frequency in Korean. Korea and Thailand share a common cultural background of Buddhism, farming, and raising livestock. Therefore, both cultures are familiar with such animals related to agriculture as cows, dogs, chickens, and pigs, and both have many idiomatic expressions related to them; however, there are also significant differences. 소 used for a violent person who enjoys fighting, and 도둑고양 이 “stray cat” signifies “burglary” rather than the cautious movements of a cat. Furthermore, in Korean, 호랑이 “tiger” has connotations of dignity and authority, a meaning shared in the Thai, in Thai, the word also carries the negative meaning of “womanizer.” Next, to systematically learn idiomatic expressions, it was considered necessary to teach the figurative meanings of animal names starting at the beginner level. At the beginner level, animal names with figurative meanings are presented separately from the grammar lessons, while idiomatic expressions in phrases and sentences that can be understood through knowledge of the social and cultural background are presented at the intermediate level. Advanced learners are presented with idiomatic expressions involving the cultural and historical background.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과 태국어 동물명 관용표현의 의미를 분석하여 한국어 교육에 적용하는 것이다. 관용표현은 사회·역사·문화적인 배경을 동시에 갖고 있다는 점에서 그 자체로 언어 교육을 위한 표현이자 문화 교육을 위한 표현이 되기도 한다. 일반적으로 모국어 화자들은 말을 배우는 시기부터 자연스럽게 비유적인 의미와 비유적인 의미를 포함하고 있는 표현들을 습득하고 표현할 수 있게 된다. 하지만 한국어 학습자들에게 비유적인 의미를 가진 단어와 표현들은 상당히 학습하기 힘든 내용이다. 모든 의미를 배우고 암기해야 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체계적인 관용표현 수업을 위해서는 학습자들의 언어와 단계를 분석하고 한국어와 대조하여 초급부터 고급 단계에 이르기까지 유기적으로 제시해야 한다. 따라서 이 연구는 한국어에서 고빈도로 사용되는 10가지 동물(개, 고양이, 호랑이, 소, 닭, 돼지, 쥐, 개미, 개구리, 곰)의 의미를 대조하여 가장 큰 차이를 보이는 다섯 가지 동물(호랑이, 소, 닭, 돼지, 곰)에 대해 한국어와 태국어의 관용표현에서 나타나는 의미 특성을 분석하고 태국인 학습자들에게 제시할 교수 방법을 제안했다. 한국과 태국은 농사를 지으면서 가축을 기르는 문화를 형성하면서 불교에 영향을 받았다는 점에서 공통적인 문화적 배경을 갖고 있다. 따라서 농사와 관련된 소나 집에서 기르는 개, 닭, 돼지 등의 동물을 친숙하게 느끼고 관련된 관용표현을 많이 사용한다는 공통점이 있었다. 하지만 차이점도 있었다. 가령, 태국어에서는 ‘소’가 싸움을 즐기는 난폭한 사람으로 개념화되거나, ‘돼지’가 다루기 쉬운 일로 개념화되었다. 또 한국어에서는 위엄, 권위의 의미로 사용되는 ‘호랑이’도 태국어에서 같은 의미로 쓰이기도 하지만 ‘바람둥이’라는 부정적인 의미로 사용되는 것은 두 언어의 차이라고 할 수 있다. 다음으로 이 연구에서는 체계적인 관용표현 학습하기 위해서는 초급 단계에서부터 동물명의 비유적인 의미를 학습할 것을 제안했다. 초급에서는 비유적 의미로 쓰이는 동물명을 문법 학습과 독립적으로 제시하고, 중급 단계에서는 사회·문화적인 배경을 통해 이해할 수 있는 구와 문장 단위의 관용표현을 제시하였다. 고급 학습자들은 문화·역사적인 배경이 있는 관용표현을 제시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