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예비유아교사의 성격유형과 스트레스 및 대처방식, 대학생활적응력의 관계

        하종(Ha Jong-Duk),송경애(Song Kyung-Ae)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학회 2007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Vol.11 No.4

          본 연구는 미래 유아교육을 담당할 예비교사들의 성격적 특성과 스트레스 요인 및 대처방식을 파악하고, 성격과 스트레스 및 대학생활적응력의 관계를 규명하기 위해 전문대학의 유아교육학과와 보육관련 학과 재학생 282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연구를 위해 사용된 측정도구는 MBTI검사, 대학생 문제 진단검사 및 대학생활적응력검사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10.0프로그램에 의해 분석되었고, 차이검증의 유의도 수준은 .05였다.<BR>  연구결과는 첫째, 예비 유아교사들의 MBTI 성격유형을 보면 외향형이 내향형보다, 감각형이 직관형보다, 감정형이 사고형보다, 인식형이 판단형보다 각각 더 많게 나타났다. 둘째, 예비 유아교사들의 스트레스 정도 및 대처방식은 건강요인과 학업생활요인 그리고 교양 및 여가, 진로 및 취업요인에서 다소 높은 스트레스를 받고 있을 뿐 그 외의 요인 즉, 경제요인, 가정 및 부모요인, 대인관계요인, 성격요인, 가치관 및 종교요인 등에서는 거의 스트레스를 받고 있지 않았다. 셋째, 예비 유아교사들은 적극적 대처방식이 가장 높았고, 다른 전공자 보다는 의존적 대처방식이 정서적 대처방식보다 높게 나타났다. 넷째, 성격유형별 스트레스의 정도 및 스트레스 대처방식은 일부 요인을 제외하고는 거의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성격유형별 대학생활적응력에 있어서는 외향형이 내향형보다, 감정형이 사고형보다 더 높은 적응력을 나타냈다.   This study was designed to examine the personality types, stress-caused factors and coping strategy of preparatory teachers for young children, and the correlation among their personalities, stress and adjustment to college lives. The subjects were 282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early child education and edu-care. They completed MBTI, and questionnaires concerning stress, coping strategy and adjustment. The data was analyzed by SPSS WIN 10.0, significance level was .05.<BR>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preparatory teachers" MBTI personality types reveal that extraversion type was preferred to introversion type, sensing to intuition one, feeling to thinking one, and perceiving to judging one. Second, as for the preparatory teachers" stress and coping strategies, the main causes of stress were highly related to health, college life, general knowledge, leisure, carrier decision, and employment. On the other hand, they scarcely have stress from other factors such as economy, family, parents, interpersonal relation, personality, cultural values, and religion. Third, As for the coping strategies of the preparatory teachers, positive coping strategy was the most dominant, and dependent coping strategy showed more dominance than emotional coping strategy as compared with students in other majors. Fourth, the stress levels and coping strategies by personality types showed almost no difference except few factors. Fifth, as for the adjustment to college life, extraversion type showed better adjustment than introversion one, emotional one than thinking one.

      • KCI등재

        창의력 경연대회에 대한 분석연구

        하종,김도윤 韓國英才學會 2009 영재교육연구 Vol.19 No.1

        창의적 사고의 중요성과 더불어 시작된 한국영재학회 주관 창의력 경연대회는 1997 년 대전광역시내 학생과 일반인을 대상으로 시작되었고 2003년에는 전국대회로 확대 되었으며 2005년부터는 세계대회로 개최되고 있다. 본 연구는 지난 12년 동안 개최 된 창의력 경연대회를 참가자, 대회운영방식, 출제문제, 문제해결 산출물 부분으로 나누어 분석함으로써 이 대회의 전반적인 흐름과 변화를 파악하고 향후 열릴 창의력 경연대회의 방향과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나온 결과를 살펴 보면 첫째, 창의력 경연대회 참가자 수는 초등부, 중등부, 고등부, 대학/일반부의 순 으로 많은 경향을 보였다. 둘째, 대회운영방식 경우 변화가 많았다. 셋째, 문제는 학 생들의 창의적인 문제해결력을 볼 수 있으면서도 그 해에 이슈가 되었거나 학생들에 게 교육적인 시사를 줄 수 있는 소재, 주위에서 흔하게 접할 수 있고 시대를 반영한 문제가 주로 출제되었다. 넷째, 참가자의 산출물에 대한 분석결과 전반적으로 중 ․ 고 등학생보다는 초등학생이, 국내학생보다는 외국학생이 보다 더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많이 냈고 질에 있어서도 뛰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엠씨스퀘어 이완 시스템이 긴장이완 및 학습능력에 미치는 효과

        河鍾德,高永喜 한국영재학회 1992 영재교육연구 Vol.1 No.1

        The purposes of this study was to confirm the improvement of memory and learning abilities and the reduction of anxieties of students who used MC² relaxation system. The subjects were 71 high school students. The studen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one was 29 subjects who used MC2 relaxation system and the other was 42 subjects who did not use. The assessment instruments used for this study heading materials, word list, and test, and state anxiety inventory. Several conclusions were drawn from this study : 1. MC² relaxation system can be inporved learning, memory and learning abilities. 2. MC² relaxation system do not be decreased the state and test anxiety for high school students. 3. It should be executed further research for the effect of MC² relaxation system.

      • KCI등재

        뇌의 인지기능 특성을 통한 과학 영재성 판별

        하종,송경애 한국영재학회 2005 영재교육연구 Vol.15 No.2

        본 연구는 과학영재교육의 중요성이 증대되고 있는 현 시점에서 그 동안 실시 되어온 과학영재성 판별방법과는 다른 접근을 시도하고자 수행되었다. 즉 그 동 안의 판별은 주로 인지수행의 결과적인 측면을 다루었다고 본다면, 본 연구는 인 지수행의 과정적인 측면을 다루었다고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우선 영재성 판별 및 뇌기능 연구방법과 뇌의 정보처리과정에 대한 이론적인 문헌고찰을 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초등학교 4-6학년 아동 중 과학영 재아 11명, 일반아 10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여 PC용 뇌파측정기를 통해 과 학영재아와 일반아들의 뇌파특성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과학영재아들은 과학적이고 창의적인 문제해결과제를 수행 중에 좌 뇌 보다는 우뇌의 활성도가 높았고, 평소와는 달리 과학적이고 창의적인 문제해 결과제를 수행 중에는 좌·우뇌의 뇌파 특성이 모두 일반아들에 비해 세타파와 알파파의 활성도가 높았다. 또한 과학영재아들은 평소 특정한 과제를 수행하고 있지 않은 상태에서 보다 과학적이고 창의적인 문제해결력과 같은 특정 과제를 수행하는 중에서 세타파의 활성도가 높고, 그 차이는 좌뇌에서 보다는 우뇌에서 더 큰 차이를 나타내고 있었다. 따라서 특정과제 수행 하에서의 뇌파특성은 과학영재 판별의 한 방법으로 활 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attempted a new approach to the methods of identifying the scientifically giftedness in relation to the recent emphasis on the education for the scientifically gifted. This study focused on the processes of the cognition achievements, while only the results have been studied until now. Theoretical backgrounds about the ways of identifying the gifted, the research procedures about brain functions, and the information procedures about brain data were reviewed. Eleven scientifically gifted and 10 normal children from the 4th to the 6th grades were selected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their brain waves with brain wave measuring instrument for PC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scientifically gifted, while studying scientific and creative problems, used their right brain more than their left. When solving these problems, they utilized more of their theta and alpha brain waves than those normal children. In addition, theta brain waves of the scientifically gifted were rather active during these activities and this phenomenon was more distinctive in their right brain rather than their left. Thereby, this study implies that the characteristics of brain waves during the moments of solving certain problems can be used as a method to identify the scientifically gifted.

      • 우뇌기능 훈련이 뇌의 인지특성 및 수학적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효과

        하종 圓光大學校 敎育問題硏究所 1992 敎育硏究 Vol.- No.10-11

        This study has purported to identify whether the training to vitalize the right-hemisphere brain functions contributes to the enhancement to cognitive laterality of the right-hemisphere brain functions and the mathematical problem solving ability. The subjects of this experiment are arbitrarily sampled 242 second year high school girl students. Through the CLB test the subjects are divided into the left-hemisphere brain dominance group (95 persons) and the right-hemisphere brain dominance group (90 persons) and 60 persons from each group have been assigned to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The finding derived from this experiment are as follows ; 1) The Effect on the Right Brain performance Ability by the Right Brain Training. As a result of searching into the influence of the right brain function training on the right brain performance ability, it is revealed that the experimental group of the better performing left brain types indicated 3.6 points(T score) higher than the control group after the conduct off the examinations, showing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s [t(58)=2.03, p=.047], while the better performing right brain types, even thought the experimental group scored 1.6 points(T score) higher than the control group, reflected not of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t(58)=1.05, p=.183]. Consequently, the effects of the right brain training on the right brain performance was reflected only in the better left brain performance type. 2) The Effect of the Right Brain Training on the Right Brain Preference. As a result of searching into the effect of the right brain training on the right brain preference, the experimental group of the better performing right brain type scored 1.3 points higher than the control group after the test but of no statistical significance [t(58) =.03, p=.280]. There was also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of the better performing left brain type [t(58)=.03, p=.743]. Consequently, there was no effect apparent by the right brain function training on the right brain preference. 3) The Effect of the Right Brain Function Training on the Mathematical Problem Solving Ability. Investigation into the effect of the right brain function training on the mathematical problem solving ability revealed that the experimental group of the better performing left brain types scoring 1.27 points higher than the control group indicating the statistically menaingful differences after the execution of the test [t(58)=2.87, p=.006] while the better performing right brain types indicated no difference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t(58)=1.46, p=.149]. Consequently, the effect of the right brain training on the mathematical problem solving ability was apparent only in the better performing left brain types. Conclusions derived from the foregoing findings are that functions of both the left and right brains are necessary in the creative problem solving. For the development of such ability, therefore, the whole brain education is very important in enabling the balanced development of the left and right brain functions.

      • KCI등재후보

        영재아 부모의 성격유형과 양육태도에 대한 연구

        하종 韓國英才學會 2008 영재교육연구 Vol.18 No.2

        본 연구는 자녀의 영재성 개발에 영향을 미치는 부모의 성격유형과 양육태도에 있어 영재아와 일반아 부모들의 그것에 있어 어떤 특성과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를 파악하기 위해 초등학교 4~6학년 영재학생 어머니 85명과 일반학생 어머니 101명 등 총 186명을 대상으로 MBTI검사와 양육태도검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영재아 어머니들은 일반아 어머니들에 비해서 내향적인 성격을 띠고 있는 반면, 일반아의 어머니들은 영재아의 어머니들에 비해서 외향적인 성격을 지니고 있었다. 또한, 영재아 어머니들은 일반아 어머니들보다 직관적, 판단형적인 성격을 지니고 있는 반면, 일반아의 어머니들은보다 인식형적인 성격을 지니고 있었다. 둘째, 영재아 어머니들은 일반아 어머니들에 비해서 보다 더 수용적이고 자율적인 태도를 보이고 있는 반면, 일반아 어머니들은 보다 더 거부적이고 통제적인 양육태도를 보이고 있었다. This study was designed to examine how parents' personality type and rearing attitude are different between parents of normal children and those of gifted children. For the study, MBTI test and Personality type test were carried out towards 186 elementary schoolers' mothers.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by SPSS WIN 10.0 with the significance level 0.5.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mothers of gifted children had introvert personality more than those of normal children. The mothers of normal children, on the other hand, showed more extrovert personality than those of gifted children. In addition, comparing to the mothers of normal children, the mothers of gifted children showed intuition type and judging type. However, the mothers of normal children had more perceiving one. Second, the mothers of gifted children showed more acceptive and self-regulating attitude than those of normal children. On the contrary, the mothers of normal children showed more rejecting and controlling attitude.

      • KCI등재후보

        소외계층 영재의 영재교육 서비스 만족도 및 자아효능감

        하종(Jongduk Ha),문정화(Jeonghwa Moon) 한국창의력교육학회 2011 창의력교육연구 Vol.11 No.2

        본 연구는 소외계층 영재에게 제공된 영재교육 서비스가 어떤 만족한 결과를 가져오는지 그리고 이같은 만족도와 자아효능감에 어떤 관계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한 것으로써 대학 영재교육원에 다니는 소외계층의 유아 및 초등 저학년 173명을 대상으로 실시되었다. 연구 결과 영재교육 프로그램이 소외영재에게 서비스 만족도를 크게 향상 시켰으며(16.7% 향상), 유아(19.6%)가 초등생(4.3%) 보다 더 크게 향상되었다. 또한 서비스 만족도와 자아효능감간에는 높은 정적 상관관계(r=.480)를 나타내고 있으며, 유아(r=.540)가 초등생(r=.358)보다 더 높은 관계를 나타냈다. 이같은 결과는 영재교육 서비스가 소외계층 영재의 자아효능감도 높일 수 있다는 의미를 나타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in what ways gifted education programs were beneficial to economically disadvantaged gifted students, and analyz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se student’s satisfaction in gifted programs and their sense of self-efficacy.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73 economically disadvantaged gifted preschoolers and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lower grades, enrolled in gifted education center attached in a university. The results indicated that student satisfaction increased in the disadvantaged gifted students who had access to gifted programs (16.7%). In this case, the preschoolers showed a steeper increase in their satisfaction (19.6%) than that of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4.3%). Also,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student satisfaction and self-efficacy (r=.480), which was manifested more clearly in the preschoolers (r=.540) than in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r=.358). These results suggest that gifted programs are expected to promote self-efficacy within economically disadvantaged gifted students.

      • KCI등재

        과학영재의 스트레스, 완벽성, 낙관성과 학업성취도의 관계에 대한 연구

        하종(Jong-Deok Ha),송경애(Kyoung-Ae Song) 한국영재학회 2004 영재교육연구 Vol.14 No.1

        본 연구는 중학교 과학영재 학생과 일반 중학생의 스트레스, 완벽성, 낙관성과 학업성취도에 어떤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의 방법 은 질문지 조사를 통해 154명의 과학영재 중학생과 145명의 일반 중학생의 스 트레스, 완벽성, 낙관성을 비교하고 학업성취와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스 트레스는 과학영재 집단이 일반 학생에 비해 낮게 나타나 스트레스를 덜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과학영재 학생은 완벽주의 성향이 더 높은 것으로 나 타났으며 낙관성 역시 과학영재 학생들이 일반 학생보다 높게 나타났다. 스트레스, 완벽성, 낙관성과 학업성취의 상관관계는 의미 있는 차이가 없는 것으 로 나타났다. 즉 학업성취에 있어서는 과학영재와 일반 학생 모두 스트레 스, 완벽성, 학업성취는 상호 독립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differences in stress, perfectionism, optimism and academic achievement between the scientifically gifted middle school students and general students and the relationships between stress, perfectionism, optimism and academic achievement in these two groups. 154 scientifically gifted middle school students and 145 general students from C middle school in Inchon were participated in this study as subjects. The result of this study were as fellow; In case of the gifted group, perfectionism were higher than the comparative group. However, the stress of the comparative group was higher than the gifted group. The gifted groups felt less stresses than the comparative group. In case of the gifted group, optimism were higher than the comparative group. However, It is independent in the co-relationships stress, perfectionism, optimism and academic achievement of the scientifically gifted and general stud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