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일반적으로 공개된 정보의 개인정보보호법 상의 규율 및 해외 입법례

        박경신 전남대학교 법학연구소 2018 법학논총 Vol.38 No.2

        광의의 프라이버시 즉 공개의 정도에 관계없이 모든 개인정보를 보호대상으로 삼는개인정보보호법과 개인정보자기결정권의 실제 발전연혁을 살펴보면 협의의 프라이버시 즉 ‘정보감시로부터의 자유’를 더욱 적극적으로 보호하기 위해 고안된 ‘정보소유권론’의 자연스러운 전개라고 할 수 있다. 즉 사물(정보)과 사람의 관계를 정보의 내용이나 유통연혁에 관계없이 일괄적으로 설정함으로서 힘없는 개인이 기업이나 정보에 정보제공을 하면서 겪을 수 있는 정보감시를 막기 위한 것이었다. 이렇게 개인정보보호법/자기결정권을 개념화할 경우 협의의 프라이버시 법익이 존재한다고 볼 수 없는 일반적 공개가 이루어진 정보들에 대해서는 일괄적으로 개인정보보호법/자기결정권이 적용되지 않는 것이 옳다. 이미 일반적으로 공개된 개인정보의 경우 추가적으로 발생할정보감시에 의한 위축효과가 존재하지 않기 때문이다. 호주, 캐나다, 독일(2017년 7월이전), 싱가포르, 대만은 강력한 개인정보보호법을 가지고 있으면서도 일반적으로 공개된 정보에 대해서는 예외를 두고 있다. 우리나라도 2016년 8월 대법원 판결에서 ‘일반적으로 공개된 정보’에 대해서는 예외를 인정한 바 있다. 일반적으로 공개된 정보를 사안별로 ‘원칙적 보호 예외적 허용’ 프로세스를 거치도록하는 것도 표현의 자유와 알 권리에 불필요한 입증책임을 부가하는 것이다. 단어의 의미가 다른 단어와의 관계 속에서만 성립될 수 있듯이 한 사람의 정체성 역시 다른 사람들과의 관계 속에서만 성립된다. 학생들 모르게 교수가 있을 수 없고 의뢰인 모르게 변호사가 있을 수 없다. 그런 관계 속에서는 그 관계를 형성하는 정보의 공유는 예외가아니라 원칙이 되어야 한다. 그렇다면 사회 전체의 구성원들의 상호관계를 가능케 하는정보공유도 필요한데 바로 이것이 ‘일반적으로 공개된 정보’의 예외이다. There are two conflicting trends in privacy. The broader sense of privacy, captured in the German concept of personality right, protects all information about a person in principle and allows others to use or share the information about others only when certain legitimate need or public interest in doing so is recognized. Such privacy is gaining traction around the world as people are depending on more and more third parties in communicating with one another, exposing themselves to greater risk of surveillance. The narrower sense of privacy is represented by an American norm against intrusion into or public disclosure of private spaces or private facts. We have thought that data protection law and the right to informational self-determination are solely based on the broader concept of privacy. However, the concepts’ genealogy shows that they were developed as tools to protect the narrower concept of privacy. It was a natural development of ‘data ownership right’ which established people-to-information relationship en gross regardless of the contents and other aspects of the data concerned, so as to protect powerless individuals engaged in data transactions with powerful companies and governments. Understood this way, the information that has been legally made available to the public should not be protected by data protection laws. Indeed, Australia, Canada, pre-GDPR Germany, Singapore, Taiwan, etc., have strong data protection law and yet provide for exceptions to publicly available data. The Korean Supreme Court in 2016 also recognized such exception. Notwithstanding such genealogy, one may argue for the broader sense of privacy as an default rule which allows use of publicly available data only on proof of public interest but such rule unnecessarily suppresses the pluralistic ideal that freedom of speech pursues. The meanings of words are found only in relation to other words. One’s identity is built only in relation to other persons. There cannot be a professor without students. There cannot be an attorney without clients. Within those relationships, personal data necessary for sustenance of those relationship are by default free to be shared and used without any additional proof. There must be information necessary for sustenance of relationship among all people in the community, and that is publicly available information.

      • 80C196KC를 이용한 직류서보전동기의 속도제어시스템 구현

        정태원,박경신 忠南大學校 産業技術硏究所 1999 산업기술연구논문집 Vol.14 No.1

        In this paper, PWM(Pulse Width Modulation) method was used to control the armature voltage of DC Servo Motor which is widely used in the pecision control. The motor velocity can be controlled desired speed with high efficency and quick dynamic respose. The real motor speed wa calulated by incremental encoder. Noise problem can be solved by using digital control algorithm. And the system is simplified by using one-chip micro-controller. In this esperiment, proportional-integral method was used to control motor velocity with 16-bit one-chip micro-controller device. Therefore,good speed response can be optained at any speed.

      • KCI등재

        정보공개청구법의 “타 법령 지정”에 따른 비공개에 대한 헌법적 검토

        박경신 한국법제연구원 2015 법제연구 Vol.- No.49

        Korea’s Freedom of Information Act Article 9 Paragraph 1 Item 1 exempts from disclosure obligations the information ‘designated as confidential by other statute or regulation authorized by such statute’. According to this provision, courts reviewing non-disclosure cases have engaged in only formal review of whether such statute or regulation exists but not in any substantive review of whether such designation is constitutionally proper. Furthermore, there remains a controversy on whether only those laws and regulations specifically referring to the confidential information qualify under the provision or also those laws and regulations abstractly defining the types of the confidential information qualify, which grant discretion to the interpreting authorities. Finally, some courts do not even review de novo whether the discretionary non-disclosure decision by the interpreting authority is proper within the meaning of the relevant ‘other law and regulation’. FOIA is supposed to guarantee the constitutional ‘right to know’ which predates the statute and should not be arbitrarily excised by the legislature, the regulator, or the interpreting authority, and the courts should play a role in making sure such result, and if it is difficult, we need to make legislative changes, based on comparative-legal analysis, to restore the constitutional status of the right to know. First of all, courts must substantively review whether each ‘confidentiality’ designation by statute and regulation constitutes a proper limitation on the right to know to make sure that the legislative or the executive do not excessively restrict that right. Also, the ‘confidentiality’ designation should be done specifically on the subject data not by abstractly defining it using criteria that grant too wide discretion to the interpreting authority. Courts must recognize only the specific laws and regulations as ‘other laws and regulations’ qualified under Article 9(1)[1] of FOIA, or FOIA must be amended to ensure such result. Finally, courts at least must substantively check whether confidentiality designation has been properly made even within the meanings of the relevant ‘other laws and regulations’. 우리나라 정보공개청구법 제9조제1조제1항은 타 법률 및 타 법률에서 위임한 명령에 의해 비공개로 지정된 정보는 정보공개의무를 면제해주고 있다. 이 조항에 따라, 사법부는 정보공개청구법의 해석에 있어서 그와 같이 비공개를 지정한 법률 또는 명령이 있는가를 형식적으로 따질 뿐 실제로 그와 같은 비공개지정이 헌법적으로 타당한가에 대한 실체적 검토를 하지 못하고 있다. 심지어는 법률이나 명령이 특정 정보를 지정하지 않고 하위행정기관이 그러한 지정을 재량을 가지고 하도록 위임한 경우에도 비공개지정이 적법하게 이루어진 것으로 볼 것인지에 대해서도 논란이 남아 있다. 또 하위행정기관의 재량적인 비공개지정이 해당 ‘타 법령’ 하에서도 적절한 것이었는지에 대한 실체적 평가를 하지 못하는 경우도 있다. 정보공개청구법은 그 법이 만들어지기 전부터 존재했던 헌법적 권리인 알 권리를 보장하기 위해 만들어진 법으로서 이와 같이 입법자, 명령제정자, 또는 하위행정기관의 비공개지정에 의해 자의적으로 재단되어서는 아니되며 그렇게 되지 않도록 사법부가 정보공개청구법 해석 및 적용에 있어서 일정한 역할을 할 필요가 있고 그것이 어렵다면 외국의 입법례들을 참조하여 입법적인 개선을 통하여 알권리의 헌법적 위상을 제고할 필요가 있다. 우선 사법부는 ‘타 법령’의 비공개지정 자체가 헌법적으로 적정한 법률유보인지 심사하여 입법자나 명령제정자가 자의적으로 국민의 알 권리를 제한하지 않도록 감시해야 할 것이다. 또 법령에 의한 비공개지정은 비공개대상을 특정하여 이루어져야지 비공개대상의 추상적인 기준 만을 정하는 것은 해당 법령을 해석하는 하위행정기관에 너무 폭넓은 재량을 부여한다. 사법부는 비공개대상이 특정된 법령 만을 제9조제1조제1항 상의 유효한 ‘타 법령’으로 인정해야 할 것이며 그것이 어렵다면 법률을 개정할 필요가 있다. 또 사법부는 하위행정기관에 의한 비공개지정 자체도 해당 ‘타 법령’에 따라 적법하게 이루어졌는지 살펴볼 필요가 있다.

      • KCI등재

        <鳳城文餘>에 실린 巫歌관계 자료의 의의

        朴敬伸 한국구비문학회 1995 口碑文學硏究 Vol.2 No.-

        무속과 무가에 대한 자료는 문헌에 기록된 것이 흔하지 않다. 그나마 무속에 대해서는, 비록 그것이 儒者的 입장에서 무속을 卑下하고 배척하기 위한 記述이 거의 전부이기는 하지만, &#985172;조선왕조실록&#985173;을 비롯한 여러 문헌에서 단편적인 사실들이나마 散見되지만 정작 무가 사설에 대한 자료는 全無한 실정이다. 따라서 무속이나 무가를 논하고자 할 때 문헌 자료의 절대적 빈곤이 논의의 진전을 가로막는 커다란 장벽이 되는 것이 사실이며, 그렇기 때문에 과연 前代의 무가 사설은 어떠했는가? 오늘날과는 얼마만큼 같고 얼마만큼 달랐는가?에 대한 궁금증은 증폭될 수밖에 없는 것이다.

      • KCI등재

        인터넷과 표현의 자유 규제 : 익명성 규제와 전파성 규제를 중심으로

        박경신 한국사회과학연구회 2014 동향과 전망 Vol.- No.90

        A discourse on this country’s internet regulation has focused on the need to respond directly to anonymity and rapid diffusion, two fundamental characteristics of the Internet communications. A response to anonymity resulted in a series of mandatory identity verification regulations, and a response to extreme diffusibility resulted in administrative censorship conducted by the Korean Communication Standards Commission designed to block or delete material ‘without waiting for a court’s judgment’, Also, a concern with anonymity and diffusibility resulted in regulatory schemes operating not on the speakers themselves but on the intermediaries, such as the “provisional take-down” system incentivizing the intermediaries to block content without determining the legality of the contents or the “corrective requests” issued by KCSC to the intermediaries. This article conducts constitutional evaluation of the identity verification laws and the KCSC “corrective requests” system, respectively on free speech and due process. Identity verification rules, it finds, are the products of fear against anonymity and reliance on a real-name system, which must be re-conceived itself, and the “corrective system” also is a misguided response to the Internet’s diffusibility, which can be better responded by taking advantage of such efficient communication functions to provide notice to those who posted the material. The article will be the first of a two-article piece, the second of which will deal with how reciprocity, the third main characteristic of the Internet communication, affect and shape the relevant regulatory terrain. 우리나라 인터넷규제 담론은 인터넷 소통의 기본적 특성이라고 할 수 있는 익명성, 전파성에 직접적으로 대응하는 것을 기조로 하고 있으되 인터넷 소통의 또 하나의 특성이 상호성을 간과하여 왔다. 익명성에 대한 직접적 대응은 일련의 본인확인제들의 제정으로 귀결되었고 전파성에 대한 직접적인 대응은 방송통신심의위원회와 같이 ‘법원판결을 기다리지 않고 게시물들을 차단 및 삭제하는 시스템’의 확립으로 이어졌으며, 익명성과 전파성에 대한 중첩적인 고려는 인터넷 소통에 대한 규제는 소통 당사자에게 직접 작용하는 것이 아니라 소통의 매개자들 즉 포털이나 통신사들에게 작용하는 방식 즉 임시조치제도나 방송통신심의위원회 시정요구제도로 나타났다. 이 글에서는 이들 제도 중에서 본인확인제들과 방송통신심의위원회 시정요구제도를 예로 살펴보며 헌법적인 평가를 해 본 결과, 본인확인제도는 익명성에 대한 추상적인 두려움과 실명성에 대한 맹목적인 기대에 근거한 것으로써 익명성ㆍ실명성에 대한 올바른 이해는 본인확인제도의 타당성 및 필요성에 대한 재검토를 요구한다고 하겠다. 방송통신심의위원회의 시정요구제도 역시 국가가 국민의 권리를 제한하거나 국민에게 의무를 부과할 때는 해당 국민에게 의견을 사전에 들어보아야 한다는 기본원리가 전파성, 익명성에 대한 과도한 두려움에 의해 잠식된 결과물임이 확인되었다. 전파성 및 익명성을 제대로 이해한다면 도리어 이를 통해 신속하게 의견진술기회를 게시자들에게 제공할 수 있기 때문이다. 마지막으로 인터넷의 주요 특성이라고 할 수 있는 상호성은 새로운 규제담론의 출현을 요구하는데 이에 대해서는 이 논문의 속편으로 미루기로 한다.

      • KCI등재

        사생활의 비밀의 절차적 보호규범으로서의 개인정보보호법리 ― 개인정보보호법 및 위치정보보호법의 해석 및 적용의 헌법적 한계 ―

        박경신 한국공법학회 2011 公法硏究 Vol.40 No.1

        The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Act (PIPA) defines all information concerning a living person 'personal information' and restricts the personal information thereby restricting people's right to talk about others. A closer examination of the EU Directive and the OECD Guideline that has deeply influenced Korea's adoption of PIPA reveals that the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norm expanding world-wide places the privacy right as the central legal interest to be protected, and that the norm works as a prophylactic and affirmative rule intentionally overly protecting the mass accumulation and circulation of personal information made possible by information technology. In this article, the author reviews the articles of Warren-Brandeis and Prosser, and how the fair information practice principles came into being, to find that all the literature commonly interpret the privacy right as one's right to regulate private information about oneself. Then, the PIPA should be interpreted to apply only 'private information' or 'information that has the risk of violating privacy' and thereby we can reduce the conflict with the freedom of speech. In the same light, the Korean Location Information Protection Act (LIPA), which requires tracking of location information of all things to be consented to by their owners even if the tracking method does not identify the owners, should be revised or interpreted narrowly as they may not implicate privacy interest 개인정보보호법은 모든 개인에 관한 정보를 ‘개인정보’로 정하고 개인정보의 유통을 규제함으로써 타인에 대해 말할 권리를 제약하는 방식으로 해석될 우려가 있다. 우리나라 개인정보보호법의 제정에 심대한 영향을 준 EU디렉티브와 OECD가이드라인을 자세히 검토해보면 세계적으로 그 적용범위가 확대되고 있는 개인정보보호규범은 프라이버시권을 그 핵심적인 보호법익으로 두고 있고 정보통신기술의 발달로 개인정보의 대규모집적 및 유통을 통해 프라이버시권 침해 가능성이 높아지는 상황에서 개인정보보호규범은 프라이버시권을 ‘과잉’보호하기 위한 절차적 규범 (prophylactic) 또는 적극적 규범으로 이해된다. 그리고 프라이버시권의 연혁을 워렌-브렌다이스 논문부터 프롯서 그리고 개인정보보호법제의 연혁을 검토해보면 나라마다 ‘사적인 정보’의 범위는 다르지만 공통적으로 프라이버시권은 ‘자신에 대한 사적인 정보의 공개 및 취득’의 통제를 핵심내용으로 삼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렇다면 개인정보보호법의 적용범위도 ‘사적인 정보’ 또는 ‘프라이버시권 침해의 가능성있는 정보’들로 한정함으로써 표현의 자유와의 충돌 가능성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개인정보보호법의 특별법인 위치정보보호법은 물건의 소유자를 식별해내지 않는 방법으로 그 물건의 위치정보를 수집하는 행위까지 규제하는 것에 대해서는 개정 또는 축소해석의 필요가 있다.

      • SCOPUSKCI등재

        원발성 폐암의 외과적 치료

        박경신,임승평,이영,Park, Kyung-Sin,Lim, Seung-Pyung,Lee, Young 대한흉부심장혈관외과학회 1995 Journal of Chest Surgery (J Chest Surg) Vol.28 No.6

        Recently, primary lung cancer has increased markedly in incidence and prevalence in Korea. From January 1986 to June 1993, 86 patients were operated and evaluated at the Department of Thoracic and Cardiovascular Surgery,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There were 79 males and 7 females with the peak incidence of 5th and 6th decades of life[75.6% . The age ranged from 13 to 76[mean 56.6$\pm$10.3 years. 2. Symptoms were cough[47.7% , sputum[25.6% , chest pain or dyspnea[18.6% , and hemoptysis or blood tinged sputum[20.9% in order. Symptoms were frequently encountered before hospitalization, but asymtomatic patients were 12.8% in this study. 3. Methods of diagnostic confirmatiom were bronchoscopic biopsy[55.8% , percutaneous needle aspiration[29.1% , suspicious sputum cytology[1.2% , and open biopsy[14.0% . 4. Histopathologically, squamous cell carcinoma[51.2% was the most frequent cell type and adenocarcinoma[26.7% , large cell carcinoma[8.1% , adenosquamous cell carcinoma[3.5% , and the others in order. And TNM stages were Stage I 40.5%, Stage II 15.5%, Stage IIIa 27.4%, and Stage IIIb 3.6%. 5. Methods of operation were pneumonectomy[25.6% , bilobectomy[5.8% , lobectomy[53.4% , segmentectomy[1.2% , and exploration[14.0% . The overall resectability was 86.0% 6. The operative mortality was 2.3% and postoperative complications developed in 7 cases[8.1% . 7. The postoperative follow-up reveals that the overall cumulative survival rates at 1 year, 2 year, 3 year, 4 year, 5 year were 76%, 62%, 43%, 36%, and 27%, respective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