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詩經』에 나타난 ‘새’ 이미지의 상징성 : 애정시를 중심으로

        박재희(Park, Jaehee) 순천향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20 순천향 인문과학논총 Vol.39 No.3

        본고는『詩經』 중에 반복적으로 노출되며 비가시적 관념을 지향하고 있는 새의 묘사를 ‘상징’으로 규정하고, 반복되는 새 이미지를 보조관념으로 취하여 『詩經』 중에 나타나 있는 새 이미지의 상징성을 구명해 보고자 하였다. 본고에서는 ‘새의 울기’, ‘새의 날기’, ‘새의 머물기’ 이미지를 상징의 보조관념으로 취하였고, 작품 간의 비교·분석의 용이함을 위해 고찰범위를 애정시로 한정지어 논지를 전개하였다. 그 결과 ‘새의 울기’ 이미지는 ‘짝 찾기’, ‘새의 날기’ 이미지는 ‘짝과의 결합을 위한 거처로의 회귀’를 상징함을 알 수 있었으며 ‘새의 머물기’ 이미지는 새가 머물러 있는 장소가 제자리일 경우 ‘남녀의 결합’, 새가 머물러 있는 장소가 제자리가 아닐 경우에는 ‘남녀의 분리’를 상징함을 알 수 있었다. This study defines the depiction of birds that are repeatedly exposed in the 『Book of Odes』 and aims at invisible notions as a symbol and attempts to identify the symbolism of the bird image in the 『Book of Odes』 by taking the repeated bird image as an auxiliary idea. In this paper, the images of bird s singing , bird s flying , and bird s staying were taken as subsidiary ideas of the symbol, and the scope of consideration was limited to love poetry to facilitate the comparative analysis between works. As a result, it can be seen that the image of bird s singing symbolizes mating and the image of bird s flying symbolizes returning home for union . The image of bird s staying symbolizes sexual union when the place where the bird stays is in place or separation of man and woman when the bird does not stay in place.

      • 노조도구성 인식이 노조참여에 미치는 영향과 고용불안의 조절효과

        박재희(Park Jaehee),이영면(Lee, Young-Myon) 한국경영학회 2018 한국경영학회 통합학술발표논문집 Vol.2018 No.8

        본 연구는 4년제 사립대학에 종사 중인 직원들을 대상으로, 노조도구성 인식이 노조참여에 미치는 영향과 고용불안의 조절효과를 분석한 것이다. 290개의 표본을 분석한 결과 노조도구성 인식은 노조참여에 정(+)의 영향을 미침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노조도구성 인식과 노조참여와의 관계에서 고용불안의 조절효과는 확인되지 않았다. ‘내가 속한 대학의 미래가 불확실해 질 가능성’에 대한 설문 항목만으로 측정한 고용불안을 조절변수로 하여 추가분석을 시행하였을 때에는 노조도구성 인식과 노조참여와의 정(+)의 관계를 고용불안이 강화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주로 서구에서 확인되었던 노조도구성 인식과 노조참여의 관계를 국내 상황에서도 확인하였다는 의의가 있다. 비록 당초에 측정한 고용불안의 조절효과는 확인하지 못했으나 향후 고용불안을 유발할 수 있는 설문항목으로 측정한 고용불안의 조절효과를 확인하였다는 성과가 있었다. 차후 대학의 고용불안이 본격화 될 2020년대 중반 이후에 재분석을 하여야 할 필요가 있으며, 실무적으로는 대학의 노동조합이 사용자에 대한 교섭을 넘어 산별노조가입이나 기타의 연대활동을 통해 입법부나 정부에 영향력을 강화하여야 할 필요성과 대학의 위기 극복을 위한 노사파트너십 형성이 중요함을 보여주었다는 의미가 있다. This study is about union participation in Korea, where job security of university workers recently has been decreased. The study aim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union instrumentality and union participation, and the moderating effects of job insecurity to the relationship. Based on the surveys for over 300 workers at four-year private universities in Korea, perceived union instrumentality had a positive effect on union participation. This result confirms the previous empirical analyses from overseas in Korea. Job insecurity, however, did not show a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union instrumentality and union participation. To reconfirm the empirical analysis on the moderating effect, a simple measure for job insecurity was used: single item for job insecurity, "the possibility of uncertainty about the future of my university". With this single item measure, job insecurity shows a moderating effect of strengthe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union instrumentality and union participation. This study may add additional knowledge to the job insecurity of the private university staff in Korea, which is not yet actively studied. In practice, it has shown that labor unions can play a role as mechanism for solving job insecurity of private university workers and emphasizing the need for labor-management trust and cooperative relations. Future studies should consider the expansion of research scope to two- or three-year college workers and to the universities that do not have trade unions. In addition, the university location should be further segmented and analyzed. A more diverse and sophisticated study of key research variables will yield more meaningful results. This study has a limit on the fact that the time period of the analysis is when the job insecurity was not fully perceived by university members even the time is coming to them. It may be better to redo the study after 2020, when the job insecurity is fully perceived by the university workers.

      • KCI등재

        부산형 자치경찰제 모형에 관한 연구

        박재희(Park, Jaehee) 한국지방정부학회 2020 지방정부연구 Vol.23 No.4

        이 연구에서는 자치경찰제 도입을 위한 경찰법 개정(안)에서 규정하고 있는 것 이외에 자치경찰제 실시에 대비하여 부산광역시가 결정하고 대비해야 하는 것들이 무엇인지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연구 목적은 자치경찰제 도입 방향에 부합하는 부산형 자치경찰 모델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경찰법 개정(안)을 포함한 법령과 정부 문서 등 을 분석하였고, 공무원 및 전문가 의견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산광역시가 자치경찰제 도입을 통해서 달성하고자 하는 비전은 시민이 안전한 일등 치안 도시 구현이며, 정책 목표는 항구도시로서의 치안 확립, 주민 및 관광객의 안전 확보, 주민참여를 통한 지역사회 문제 해결이다. 둘째, 부산광역시의 특수한 치안 여건을 고려하여 자치경찰본부에 해경과의 업무 연계 및 대외 협력기능, 안전취약계층에 대한 보호 업무 기능, 안전취약지역 분석 및 관리기능 등을 강화해야한다. 셋째, 자치경찰제 준비 일환으로 자치경찰과 특사경, 자치경찰과 일반행정, 자치경찰과 주민참여 연계성을 강화하여 생활밀착형 치안서비스의 완결성을 제고하여야 한다. 지역특성을 반영한 조직 구성, 수요 맞춤형 안전 서비스 제공, 그리고 지방행정 사무와의 연계를 통한 스마트 치안행정 운영이 취약계층에 대한 빈틈없는 사회 안전망 구축과 함께 이루어질 때 주민 안전체감도의 증가와 삶의 질 향상을 가져올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discussed what Busan Metropolitan City should decide and prepare for the implementation of the local police system.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Busan-type local police model that corresponds to the direction of local police system. In order to achieve this purpose, we analyzed legislation and government documents including the revision of the Police Act, and conducted public servant and expert opinion survey. Restructuring organization, providing citizen safety service, and linking with local administrative affairs with building a social safety net for vulnerable groups can increase residents’ safety and quality of life.

      • KCI등재

        수수가루 첨가에 따른 만두피의 항산화 활성 및 품질 특성

        박재희(Jaehee Park),성은정(Eunjeong Seong),허희진(Huijin Heo),김현주(Hyun-Joo Kim),정헌상(Heon Sang Jeong),이준수(Junsoo Lee)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21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50 No.10

        본 연구는 생리활성 기능을 가진 수수를 이용하여 수수가루 첨가에 따른 만두피의 품질 특성 및 항산화 활성에 대해 알아보았다. 수수가루를 10, 15, 20%로 함량을 달리하여 만두피를 제조한 결과 조리 특성의 경우 수수가루를 첨가한 만두피는 대조군에 비해 조리 후 중량, 수분 흡수율, 부피가 모두 낮게 나타났으며 조리 후 탁도는 대조군에 비해 수수가루 첨가군에서 증가하였다. 수수가루 첨가 만두피의 품질 특성을 조사한 결과, 색도는 수수가루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명도(L 값)와 황색도(b 값)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적색도(a 값)는 증가하였다. 만두피의 조직감은 수수가루 첨가군에서 씹힘성, 검성, 응집성, 탄력성이 높아졌으며 경도와 부착성은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수수 첨가 만두피의 항산화 활성을 조사한 결과 총 폴리페놀 함량과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모두 수수 첨가 비율 20%에서 각각 14.68 mg GAE/25 g FW, 5.91 mg CE/25 g FW로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ABTS 및 DPPH 라디칼 소거능, 환원력 역시 마찬가지로 수수 첨가 비율 20%에서 각각 4.38 mg TE/25 g FW, 7.33 mg TE/25 g FW, 4.09 mg TE/25 g FW로 가장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결론적으로 만두피의 제조에 있어 수수가루 첨가는 만두피의 품질 특성 및 항산화 활성을 향상시켜 우수한 만두피를 제조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dumpling shells prepared by adding 10, 15, and 20% (w/w) sorghum powder (SP). The water-binding capacity, weight and volume of the dumpling shells decreased, and turbidity increased after cooking as the quantum of SP increased. The L and b values decreased with increasing amounts of SP, whereas a value increased. Texture analysis revealed that chewiness, gumminess, cohesiveness, and springiness increased as amount of SP increased, whereas hardness and adhesiveness decreased. A measurement of the antioxidant compounds in the dumpling shells showed that the polyphenol and flavonoid contents at 20% SP were 14.68 mg gallic acid equivalents/25 g fresh weight (FW) and 5.91 catechin equivalent/25 g FW, respectively. The DPPH and ABTS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reducing power were the highest in the dumpling shells at 20% SP. The findings of this study indicate the feasibility of SP added dumpling shells as a health food with physiological benefits and provide evidence for introducing various health foods enhanced with the addition of SP.

      • 그래프 합성곱 신경망을 이용한 알츠하이머 치매환자 분류

        박재희(Jaehee Park),김대겸(Daegyeom Kim),정현강(Hyun-Ghang Jeong),한철(Cheol E. Han) 대한전자공학회 2021 대한전자공학회 학술대회 Vol.2021 No.6

        Alzheimer’s disease is a neuro-degenerative disease with severe memory deficits and cognitive declines. These symptoms are generally along with various structural changes including the weakened connectivity between brain regions, that may lead lowered information processing and thus consequent cognitive declines. In this paper, we developed a deep learning model to classify Alzheimer’s disease. We extracted brain networks from diffusion-weighted MR image (DWI) of each individual, and used a recently developed deep learning algorithm, graph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GCN). Our model achieved 90.7% accuracy on average. We also investigate which brain regions were used to make decisions. We extracted the brain regions with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groups through Grad-CAM on the results of GCN. This showed that GCN also considers the brain regions similar to those found in the traditional statistical analyses.

      • KCI등재

        자치경찰 사무의 상대적 비중 및 중요도 분석

        박재희 ( Park Jaehee ),전대욱 ( Jeon Dae Uk ),최인수 ( Choi In Su ) 한국지방행정연구원 2021 地方行政硏究 Vol.35 No.4

        자치경찰제의 시행으로 지방자치단체가 국가와 함께 치안 사무의 공동 책무자로서 주민들의 요구나 선호를 반영한 지역 맞춤형 치안 서비스와 지방행정과 치안행정의 연계를 통한 종합적 치안 서비스의 제공이 가능해질 것으로 기대가 된다. 그동안 학계에서는 자치경찰제 도입에 앞서 법령의 정비 등 제도적 기반 조성, 조직ㆍ인사ㆍ예산과 관련한 많은 논의들이 있어왔으나, 자치경찰 사무에 대한 체계적이고 경험적인 연구 분석은 거의 없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자치경찰제 시행의 초기 경험을 반영하여 자치경찰 사무의 비중 및 중요도를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시ㆍ도자치경찰위원회의 자치경찰 사무담당 공무원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고 계층화 분석기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자치경찰 법정 사무의 비중은 수사 활동, 생활안전 활동, 교통 활동, 경비 활동 순이었으며, 자치경찰 법정 사무의 중요도는 생활안전 활동과 교통 활동이 수사 활동이나 경비 활동보다 상대적으로 더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앞으로 자치경찰제가 정착되면서 지역별로 보다 세부적인 자치경찰 업무의 상대적 비중 및 중요도가 분석되어야 한다. 이를 기반으로 차별화된 자치 경찰 시책을 발굴하고 지역에 맞는 치안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자치경찰제 본래의 제도적 취지를 살려 나가는 길이다. With the implementation of the local police system, it is expected that local governments will be able to provide comprehensive public safety services through the linkage between local administration and police, as well as customized public safety services that reflect the needs and preferences of residents as a joint responsibility for public safety affairs with the state. Prior to the introduction of the local police system, there have been many discussions in academia regarding the establishment of an institutional foundation, such as the revision of laws and regulations, organization, personnel, and budget, but there has been little systematic and empirical research analysis on local police works. In this study, reflecting the initial experience of the implementation of the local police system, we conducted a survey targeting the public officials in charge of the local police system, and analyzed the weight and importance of the works of the local police using a AHP technique.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proportion of local police legal works was in the order of investigation activity, life safety activity, traffic activity, and event-related activity. As of the importance of local police legal works, life safety activities and traffic activities were found to be relatively more important than investigation activities or event-related activities. As the local police system is established, it is necessary to discover the differentiated local police services according to the relative weight and importance of local police works and to keep the original institutional purpose of providing safety services suitable for each reg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