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1920년대 경북 청도인의 민족운동

        조규태 한국민족운동사학회 2007 한국민족운동사연구 Vol.0 No.53

        ■국문요약 1920년대 경북 청도인의 민족운동 1. 조규태 경북지역 청도인들은 3ㆍ1운동 후 문화운동의 추세에 맞추어 청년단체를 만들고 청년운동을 전개하였다. 청도인들은 1920년 화양면 청도청년회를 만들고, 1924년 풍각면 송서동에 풍각수양단을 만들었다가 풍각청년회로 발전시켰다. 그리고 1927년 대성면에서는 대성청년회를 설립하였다. 이 청년회에서는 주로 강연에 의한 계몽운동을 전개하였다. 그런데 사회주의의 확산과 아울러 청도지역의 청년단체들은 점차 그 구성원과 운영체제와 활동내용이 변화되었다. 먼저 청도지역의 청년들은 1925년 경 운영체제를 회장ㆍ간사제에서 위원회제로 바뀌었다. 그리고 회원의 가입연령을 낮추었다. 이에 따라서 청도지역의 청년단체들은 지역 유지들의 의견에 의하여 운영되던 데에서 청년회원의 주장에 따라 운영되게 되었다. 그리고 청도지역의 청년단체들은 민족협동전선운동이 전개되던 흐름에 맞추어 1928년 청도청년동맹을 조직하였다. 청도청년동맹은 청년에 대한 계몽활동에 머무르지 않고 경북청년연맹과 연계하여 청년대중의 정치ㆍ경제ㆍ민족적 권리를 획득하는 활동을 전개하려고 하였다. 그러나 경북청년연맹의 간부들이 ML당사건으로 검거된 후, 청도청년동맹에 대한 일제당국의 제제가 강화되자 청도청년동맹은 활동을 전개하기가 여의치 않았다. 그 후 청도청년동맹의 청년들은 신간회 청도지회에 참여하여 민족협동전선운동을 전개하였다. 또한 청도인들은 1924년 사상단체인 의우단을 만들고 사회사상을 학습하였다. 그리고 청도인들은 이 의우단을 통하여 사회주의사상을 수용하고, 소외되고 차별받은 이웃을 위한 형평운동, 소년운동, 농민조합운동 등을 전개하였다. 그리고 이 의우단은 1927년 이후 신간회운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였다. 청도인들은 1927년 전국적으로 신간회 지회가 만들어지자 준비에 착수하여 그 다음해 신간회 청도지회를 조직하였다. 신간회 청도지회는 계몽운동과 아울러 민족문제의 해결, 민족단일당의 촉성을 위한 활동을 전개하였다. 청도인들은 청도지역 내에서 문화운동, 사회운동, 신간회운동 등 합법적인 민족운동을 전개하는 것에 국한되지 않고, 국내와 국외에서 독립운동을 전개하였다. 매전면 온막동에 거주하던 李庭禧는 서로군정서 국내파견원 金元植과 연계를 맺고 대구와 청송 등지에서 군자금을 모집하다가 체포되어 옥고를 치렀다. 이서면 서원동 출신인 강수영은 서간도에서 대한독립단과 통의부의 독립군으로 활동하였고, 이 활동으로 일경에 체포되어 옥고를 치렀다. 그리고 각남면 예리봉 출신의 이월봉은 1920년대 중후반 대구에서 사회주의계 비밀결사인 혁우동맹 등에 간여하여 활동하다가 체포되어 옥고를 치렀다. 이외에 최태욱은 대한민국임시정부에 군자금을 보내는 활동을 전개하였다고 한다. 1930ㆍ40년대에 일부의 청도인들은 동진회 등의 비밀결사를 조직하고, 철로를 파괴하는 등 일본의 전쟁수행을 방해하였다. 또한 1940년대 대구에 유학한 학생 가운데에는 대구지역의 학생비밀결사에 참여하여 민족의식을 고취하는 활동을 전개하였다. 그리고 몇몇의 청도인들은 1940년대 중국의 관내에서 광복군에 참여하여 독립운동을 전개하였으며, 일제의 전시동원체제에 저항하다가 체포되어 옥고를 치르기도 하였다. ■Abstract The National Activities of Cheongdo Peoples of Kyungsangbukdo in 1920s. Cho, Kyu Tae Cheongdo young men, who were teachers, officers, wealthy persons, and etc, established Cheongdo Young Men Association, Poonggak Young Men Association, Daesung Young Men Association, and Yoochun Young Men Association in 1920s. They did enlightenment movement by educations, lectures, speeches, and sports. At first, the members of them were composed of the wealthy and the powerful, but they were changed gradually to journalists and men of progressive thought younger than the early days. Hence they converted the method of administration from manager system to committee system. And they did peasant movements, equilibrium movement, and nation cooperation movement by the solidarity of mass of people. For the unification of activities, they organized Cheongdo Young Men Union in 1928. By the way, men of progressive organized Euiwoodan(義友團). The members of it studied socialism and did a lot of activities for the poor and the weak. And they organized the Cheongdo Branch of Singanhoe(新幹會). The Constituents of Cheongdo Branch did enlighten movements, activities for supporting Cheongdo peoples and Korean. And they worked like a horse to organize the national party of Korea. Some of Cheongdo peoples did independent movements. They gathered money from the wealthy men and gave it to the patriot groups that were Seorogoonjungseo(西路軍政署) and a provisional government by example. In 1930s and 1940s, a few of Cheongdo peoples made a secret group or a secret organization like Dongjinhoe. They made activities of destroying rail of train, disturbing of supplying goods. Key Words : Cheongdo Young Men Association, Poonggak Young Men Association, Daesung Young Men Association, Yoochun Young Men Association, Cheongdo Young Men Union, Euiwoodan(義友團), the Cheongdo Branch of Singanhoe.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후보
      • KCI등재

        The Sterolic Properties of Heterotrophic Tetraselmis suecica

        조규태,최은정,박두원 한국수산과학회 2004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Vol.7 No.1

        The heterotrophic production method for Tetraselmis suecica, a suggested alternative to photoautotrophic one in the economic sense, was studied in terms of cell growth and sterolic property. The alga in the 10mM organic carbon (glucose) manifested cell growth. However, the alga produced by the heterotrophic method showed a unique property of sterol determined with an aid of GC and GC-MS. The photoautotrophic control T. suecica contained 6 detectable sterol species: cholesta-5,22-dien-3β-ol, ergost-5-en-3β-ol, cholest-5-en-3β-ol, 24-methyl- cholesta-5,22-dien-3β-ol, 24-methylcholesta-5,24-dien-3β-ol, 24-ethylchlolesta-5,24-dien-3β- ol, 24-methylcholesta-5-en-3β-ol, and 24-ethylchlolesta-5en-3β-ol. We discuss the sterolic properties of the alga along the heterotrophic progress, particularly focusing on the availability of the method in the aquaculture of bivalves which normally need sterols as a dietary source.

      • KCI등재

        일제강점기 경기도 광주 출신 石惠煥의 민족운동과 사회운동

        조규태 서울역사편찬원 2012 서울과 역사 Vol.- No.80

        이 글은 일제강점기 경기도 광주군에 거주하였던 석혜환의 민족운동과 사회운동에 관한 글이다. 광주공산당협의회 사건 당시 그의 신문조서, 가출옥관련 문서와 부속 판결문, 족보와 인터뷰 등의 자료를 활용하여 그가 민족운동과 사회운동에 참여한 배경, 그리고 그의 민족운동과 노농운동과 공산주의운동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1889년 경기도 광주군 중부면 산성리에서 부유한 향리의 아들로 출생한 석혜환은 일본의 한국 침략과 지배에 불만을 느껴 민족의식을 형성하고, 청년기 부자가 가난한 사람을 착취하는 것을 보고 사회의식을 형성하였다. 그리고 3·1운동의 경험과 거듭된 사업의 실패 속에서, 민족의식과 사회의식이 더욱 확고해졌다. 3·1운동 후 그는 자신의 정신적 위안과 억눌린 조선인과 핍박받는 민중의 구원을 불교에서 찾고자 하였다. 그는 서울 간동의 석왕사 포교당과 소공동의 조선불교포교당, 경북 김천의 직지사, 경기도 광주의 장경사 등을 돌아다니면서 참선과 수련을 하였다. 그러나 결국 그는 불교가 해결책이 아님을 깨달았다. 1920년대 초 개조사상이 유행하고 전국적으로 청년단체와 노농단체가 만들어져 민족문제와 사회문제를 해결하려고 모색하자, 그는 1924년 2월 17일 광주지역의 유지들과 농민과 노동자의 권익 향상을 위한 광주노농산업장려회를 조직하였다. 그리고 1925년 봄 광주노농산업장려회를 농민과 노동자 중심의 남한노동공조회로 발전시켰다. 남한노동공조회의 집행위원장에 선임된 석혜환은 공동경작과 양잠 등으로 회원의 권익을 옹호하는 한편 야학을 운영하여 이들의 계급의식을 고취하였다. 한편 1927년 민족협동전선단체로 신간회가 조직되자, 그는 1927년 8월 한순회 등과 함께 신간회 광주지회의 설립을 주도하였다. 신간회 광주지회의 부회장과 회장으로 그는 회원의 증대와 회관의 설립, 강연 활동, 만주 동포의 옹호, 원산노동쟁의 격려 등의 활동을 하였다. 그는 1920년대 후반에서 1931년까지, 공산주의자 정헌태로부터 감화를 받고, 공산주의 관련 서적을 읽고, 공산주의사상을 형성하였다. 그는 1931년 신간회 광주지회가 해소되자, 광주협동조합을 설립하고, 농민과 노동자의 계급의식을 고취하고 이들을 결속하는 활동을 전개하였다. 그는 1932년부터 1934년까지 이재유그룹의 일원인 김동식과 허장복을 만나 이들로부터 교육과 지도를 받고, 혁명적 공산주의사상을 갖게 되었다. 그는 1935년 2월 광주노동공조회와 광주협동조합의 구성원 10여명과 광주공산당협의회를 조직하였다. 그리고 회원의 포섭과 기관지의 발행 등을 통하여 조직을 확장하는 활동을 전개하였다. 그렇지만 불행하게도, 그는 활동 후 근 1년 만에 체포되어 3년간의 옥고를 치렀다. This is a paper about the national and social movement of Seok, Hye-hwan, who lived in Gwang-ju, Gyeonggido. I wrote this paper by using the interrogatories and decision of him, and the reports of him made by policies. Seok, Hye-hwan was born as a son of a rich local public employee in Gwang-ju, Gyeonggido in 1889. By his experience from Japanese rule, he had the national consciousness. And after his experience in which he saw the exploitation of the rich to the poor, he had the social consciousness. After 3·1 Movement, he went the temples, such Seok-wang-sa, Jikji-sa, and Jang-gyeong-sa. In that places, he tried to find the methods of his spiritual consolation and assistances to the poor. But he could not find. On the 17th of February, 1924, he found the Laboral and Agricultural Industry Promotion Association of Gwang-ju. In the next spring, he developed that association to the Namhan Laboral Cooperation Association. He supported the members by using the benefits, which was made by open field and sericulture. And he awoke their class-consciousness. August, 1927, he found the Gwang-ju Branch of Sin-gan-hoe with Han Soon-hoe and etc. As the director and the semi-director, he did many activities, which were increment of members, foundation of building, speaking up for the Koreans living in Manchuria, and encouragement in Wonsan Strike. He met a communist, Jeong Heon-tae in 1927. And he met Kim Dong-sik and Huh Jang-bok, who were the members of Lee Jae-yoo Group in the early 1930s. By their teaching and leading, he became a communist. In 1931 he established the Gwang-ju Cooperative Association. After four years, he found the Council of Gwang-ju Communist Party. He made efforts to increase the members of the council. Unfortunately he was arrested as a criminal, and received three years sentences.

      • KCI등재

        김천지역 동학농민군의 활동 - 김산·개령·지례를 중심으로

        조규태 동학학회 2016 동학학보 Vol.0 No.4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monstrate the propagation of Donghak and Donghak Peasant Movement at Gimsan, Gaeryung, Jirye in Northern Kyeongsang-do, and the characteristics of Donghak in these areas. Until now, in the case of Donghak peasasnt troops of Gimcheon, Donghak organization and its leader(Jeopju), its uprising(Gipo) and their activities in Gimsangun, the center of Gimcheon, were discovered through other studies by, for example, Shin Youngwu and Lee Yiwha. However, it was barely covered about the activities of Donghak peasant troops around Gaeryung-hyun and Jirye-hyun at that time, which is now in the area of Gimcheon. Also there was barely any interest in how Donghak was received and Donghak organization around Gimsan-gun, Gaeryung-hyun and Jirye-hyun before Donghak Peasant Movement, or how the members of Donghak from this area acted after Donghak Peasant Movement. Therefore, this study will look at overall issues related to this. The followings are the contents of this study. First, this study investigated the period when Donghak was propagated around this area and what was its background, and the leader of Donghak of this area. Second, this study examined the background of the uprising of Donghak peasant troops and their activities during the Donghak Peasant Movement. Third, this study figured out how people from this area sacrificed themselves during Donghak Peasant Movement, how Donghak members from this area acted after Donghak Peasant Movement, and also their characteristics. The followings are the results of this study. First, it was early 1860s when Donghak was propagated around this area, the time when Choe Je-u was active, and it was early and mid 1880s when the number of Donghak enterers increased, when Donggyeongdaejeon and Yongdamyusa by Choe Si-hyeong was published and also when a disease spread and when the harvest was poor, which suggests its background - in order to avoid disease and sustain one’s life. Second, the uprising(Gipo) was occurred by the command of Lim Gyuho, the leader(Jeopju) of Chunggyeong-district(po) who argued for lowering taxes and rent and getting out of positional subordination, and Lee Gwanyoung, the leader of Sanggong-po, and it was mid September, 1894 when Donghak Peasant Movement hit its stride around this area with Choe Si-hyung’s command of uprising. Third, however, Donghak Peasant troops of this area was heavily defeated by governmental and Japanese troops on October 1st of the lunar calendar, and they were also hugely damaged from the search and arrest done by Namyoung Troops of Daegu. Fourth, after the Donghak Peasant Movement, there were some Donghak members in this area who had participated in unofficial troops resisting against Japan, but around 1900, most of them enter Sokri mountain, one of 10 scenic sites according to Jeonggamrok, following Seo Jeongman from Daegu. They stood for conservatism, which can be supported by the fact that none of them didn’t participate in Gabjin Enlightenment Movement or that there wasn’t any Cheondoism diocese established in Gimcheon during Japanese colonial era. 이 논문의 목적은 경상북도 김산·개령·지례의 동학 포교와 동학농민운동과 이 지역 동학의 특성을 규명하는 데 있다. 지금까지 김천지역 동학농민군의 활동에 대해서는 신영우와 이이화 등의 연구에 의하여 김천시의 중심지인 김산군의 동학조직과 접주, 동학농민군의 기포와 활동 등이 밝혀졌다. 그렇지만 현재의 김천에 속하는 당시의 개령현과 지례현 등지의 동학농민군의 활동은 거의 다루어지지 않았다. 아울러 동학농민운동 이전 김산군, 개령현, 지례현의 동학 수용과 동학 조직, 동학농민운동 이후 이 지역 출신동학인의 동향에 대해서도 거의 관심을 갖지 못하였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이 문제를 전체적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 연구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이 지역에 동학이 전파된 시기와 배경과 이 지역의 동학 지도자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둘째 동학농민운동기 이 지역의 동학농민군의 기포 배경과 동학농민군의 활동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셋째 동학농민운동기 이 지역 출신 인물의 희생과 동학농민운동 이후 이 지역 출신 동학인의 동향에 대해서 살펴보고 이 지역 동학인의 특성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이 지역에 동학이 전파된 것은 최제우가 활동하던 1860년대 초였으며, 최시형의『 동경대전』과『 용담유사』의 발간이 이루어지고 질병이 만연하고 흉년이 들었던 1880년대 초중반부터 입교자가 늘었으며, 그 배경으로는 피병이나 목숨 부지를 들 수 있다. 둘째, 1894년 8월 지대와 세금을 낮추고, 신분적 예속에서 벗어날 수 있도록 주장한 충경포 대접주인 임규호, 상공포 대접주인 이관영 등의 명령에 의해 기포되었으며, 1894년 9월 중순 최시형의 기포령으로 이 지역의 동학농민운동이 본격화되었다. 셋째, 그렇지만 이 지역 동학농민군은 음력 10월 1일 관군 및 일본군의 공격으로 크게 패배하였으며, 또한 대구 남영병(南營兵)의 수포(搜捕) 활동으로 큰 피해를 입었다. 넷째, 동학농민운동 후 이 지역 동학인들은 의병활동을 하기도 했으나 1900년 경 대구의 서정만을 따라『 정감록』 상 십승지지 하나인 속리산에 대거 입산하였다. 이들의 성향은 보수적인 경향을 띠었는데, 그 근거로 이들이 갑진개화운동에 전혀 참가하지 않은 점, 일제강점기 김천지역에 천도교구가 설립되지 않은 것을 들 수 있다.

      • KCI등재

        일제강점기 전북 고창인의 민족운동

        조규태 동학학회 2012 동학학보 Vol.0 No.26

        This treatise is a paper reviewing activities of Gochang peoples in Japanese colonial periods. Succeeding to the spiritual heritages of Donghak-nongmin-undong(Donghak and Peasants Movement), Gochang peoples did independence movement and social movement. Gochang peoples demonstrated for Korean independence in 1919. Mujang-myeon peoples demonstrated for Korean independence in 15th March, and Gochang-eup peoples did in 21th March. Heungdeok-myeon peoples demonstrated for Korean independence in 28th March. Also Gochang peoples conducted campaign for Korean independence in the March 1920. After Provisional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having established, they attended it, and were active for collecting money. Some persons took an active role as members of the Independence Army in 1940s. Also they became members of independence movement organization of Manchu, and supported it. From Manchurian Incident, young men of Gochang did anti-imperialism and anti-war activities. On the other hand, Gochang peoples started the young movement from the last of 1919. They organized Gochang Young Men Association and Mujang Young Men Association, etc. And they established Gochang Laborers Association and Mujang Laborers and Pheasants Association. They were passionate for the enlightenment of farmers and for the rights and interests of them. But as reformative movements, they could not realize their dream. Some young men of Gochang accepted socialism. They organized or attended secrete societies, and revolutionary farmers association. They tried to change capitalist system into communist system. Nevertheless, their activities were not remarkable, because of shortage of connection with the center organization. 이 논문은 동학농민운동의 대표적 현장인 전북 고창지역 사람들의 일제강점기의 민족운동을 살펴본 글이다. 즉, 이 글에서는 전북 고창 출신의 사람들이 동학농민운동의 반외세정신과 사회개혁정신을 계승하여 벌인 독립운동과 사회운동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일제강점기 전북 고창인들은 3ㆍ1운동을 전개하고, 대한민국 임시정부와 만주의 독립운동단체에 참여하여 활동하거나 이를 지원하는 활동을 전개하였다. 특히 1931년 이후 일제가 전시체제를 강화하자 고창지역의 청년들은 비밀결사를 조직하고 전시체제를 비판하고, 독립의식을 고취하며 반제ㆍ반전 활동을 전개하였다. 한편 일제강점기 전북 고창지역은 전북에서 영세농민이 가장 많은 지역이었다. 이러한 사회경제적 처지에 있는 궁민을 구제하고, 고창지역의 발전을 이루기 위해서 고창지역의 청년들은 청년운동, 노농운동을 전개하였다. 1920년대 이후 고창지역의 사회운동을 주도한 주역은 청년이었다. 고창고등보통학교 등에서 근대적 교육을 받은 고창지역의 청년들은 고창청년회, 무장청년회 등을 조직하고 개량적 문화운동을 전개하면서 고창지역의 청년들을 결속하였다. 그 후 이들은 고창노동회, 무장노동회 등의 노농단체를 조직한 후 농민계몽운동을 통해 농민을 각성시키는 한편, 소작농을 비롯한 가난한 농민의 삶을 원호하는 활동을 전개하였다. 개량적인 청년운동과 노농운동이 한계에 부딪히자, 고창지역의 청년 중에는 사회주의사상을 수용하여 사회체제를 변혁하는 것이 고창지역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길이라 믿는 사람들이 나타났다. 이들은 사회주의사상을 수용하여 비밀결사를 조직하고, 혁명적 농민조합을 설립하려고 하였다. 그렇지만, 고창지역의 사회주의운동은 중앙과의 연계성이 약하여 공산주의 야체이카 조직이 제대로 형성되지 못하였고, 혁명적 농민조합 활동도 활발하지 못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