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북학파(北學派) 문인(文人)의 작품(作品)에 나타난 해학(諧謔)과 농담(弄談)의 분석

        안대회 ( Ahn Dae-hoe ) 한국한문학회 2017 韓國漢文學硏究 Vol.0 No.67

        이 논문은 北學派 文人들의 교유와 창작에서 해학과 농담이 담긴 자료들을 분석하고 그 의미를 살펴보고자 했다. 부국강병을 추구한 이 학파의 사상에 주목하여 이 주제로 그들의 일상과 문학을 분석한 시도는 거의 없었다. 먼저 박지원, 이덕무, 유득공, 박제가 등 구성원들이 평소 생활에서 짓궂게 농담하며 유쾌하게 지내려 한 실상을 포착했다. 특히, 유득공과 박제가가 서로 惡緣이라 할 만큼 만나기만 하면 상대방을 조롱하고 농담한 사이임을 밝혀서 이 학파 문인들의 일상에 스며든 해학의 습관을 조명하였다. 다음에는 생활에서 즐긴 해학과 농담이 골계와 재치, 풍자가 번득이는 戱作으로 나타난 현상을 실제 작품을 통해 입증하였다. 서로의 교유가 가장 활발했던 18세기 중반작품에서 다수의 작품이 찾아지고 산문과 시를 가리지 않고 나타난 것을 확인하였다. 다음으로는 생활과 작품에서 이처럼 해학과 농담이 자주 등장한 요인과 의의를 분석하였다. 이는 인생과 예술을 보는 그들의 시선과 밀접한 관련이 있었다. 인생을 즐겁고 경쾌하게 살고 싶은 욕망을 표현하고, 유희를 긍정하며, 문학을 출세라는 목표를 성취하기 위한 도구가 아닌 그 자체로서 즐기는 대상으로 삼은 인식과 관련이 있었다. 이 논문을 통해서 북학파 문인의 의식과 창작을 이해하는 새로운 시각을 얻을 수 있었다. This paper analyzes and evaluates the significance of humor and jokes in the lives and works of Bukhak Schoolers, or those who advocated “northern learning,” or bukhak(北學). While the Bukhak School is well known for having championed national prosperity and military power, there is hardly any study that has analyzed the significance of the humor and jokes in their lives and works. The leading members of the school were BAK Ji-won, YI Deok-mu, YU Deuk-gong, and BAK Je-ga. The paper first examines the social interactions within the group, showing that they enjoyed exchanging hard-core jokes and that they generally liked being bons vivants. The paper highlights in particular the relationship between YU Deuk-gong and BAK Je-ga, who called each other a nemesis; whenever they encountered each other, they would throw raw jokes at each other`s expense. Their relationship shows that humor was very much part of their everyday exchanges. The paper then examines the farce, wit, and satire in the works of these “northern learners”; it shows that humor appears in all their work, whether prose or poetry. Next, the paper analyzes why they frequently employed humor in their works and what it signifies in the cultural context of the era. Their frequent use of humor reflects their attitudes toward life and art. They pursued happiness and merriment in life without reservation; they affirmed play activities; and they did not consider literature as a means to achieving success in life, but as an end in itself, in enjoying literature for what it is. Thus, this paper opens a new door for understanding the attitude and creativity of the literati of the Bukhak School.

      • KCI등재

        한시사(漢詩史) 서술의 제문제

        안대회 ( Ahn Dae-hoe ) 한국한문학회 2016 韓國漢文學硏究 Vol.0 No.64

        이 논문은 한국 한시사를 새롭게 쓰려고 할 때 고려해야 할 사항을 검토하였다. 먼저 그 동안 출간된 한문학사와 한시사에서 발견되는 문제점을 분석하여 한시사를 새롭게 써야 함을 주장하였다. 그에 따라 요구되는 조건을 제시하여 한시사 전개의 큰 구도를 세워 서술하는 의의를 중점적으로 논하였다. 이때 한시사를 쇠퇴의 과정으로 본 시각의 문제점을 비판하고 조선후기의 비중을 높여 서술할 것을 제안하였다. 또한 각 시대의 시대정신과 조류를 포착할 것과 한시사를 보는 문학사가의 독자적 史觀이 중요함을 주문하였다. 구체적으로 요구한 사항에는 斷代史 저술이 필요함과 대가를 중심으로 서술하는 한계를 극복하여 논의 대상을 다양한 작가군으로 확장하는 것, 단조로운 작가론의 지양, 다양한 문학 현상을 부각시킴으로써 역사적 맥락을 잡아내는 것이 있다. 자료를 편집하는 기왕의 전통적 방식에서 벗어나 21세기 독자가 기대하는 다양한 각도의 한시사를 지향할 것을 주장하였다. This paper examines the issues to consider when attempting to write, from a fresh perspective, the history of hansi, or Korean poetry written in Classical Chinese. It analyses existing publications on the subject, including the history of hanmunhak, or Korean literature written in Classical Chinese, and argues that the history of hansi must be rewritten from a fresh perspective. In suggesting the conditions for fulfilling the requirements of a new writing, it concentrates its discussion on the importance of establishing a “big picture” of the historical development of hansi. In doing so the paper criticizes those works that treat the subject from the perspective of a declining history hansi and suggests that more weight be given to the poetry of the Late Joseon period. The paper also calls for future works that capture the zeitgeist and the dominant currents of various historical periods in narrating the history of hansi and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having an independent view of history by literary historians who write the history of hansi. In terms of the content of the writing, the paper calls for more historical accounts by period; works that go beyond dealing only with great poets and expanding the scope of the discussion to include a variety of writer groups; and works that go beyond simply discussing poets and their works but highlighting various aspects of literary development and thereby providing a historical context. It argues for works of hansi history that break out of the traditional practice of simply editing existing sources and for works that broaden the scope of historical writings on hansi that are in step with the expectations of the 21st-century readership.

      • KCI등재

        18세기 한강(漢江)의 누정(樓亭) 조사 연구 - 엄경수(嚴慶遂)의 「연강정사기(沿江亭?記)」를 중심으로 -

        안대회 ( Ahn Dae-hoe ),박진욱 ( Park Jin-wook ),김세호 ( Kim Se-ho ) 한국전통조경학회(구 한국정원학회) 2017 한국전통조경학회지 Vol.35 No.3

        이 논문은 조선 후기 한강변 누정(樓亭)의 현황을 개괄하고 향후의 복원 방향을 고찰한 것이다. 1716년 저술된 엄경수(嚴慶遂, 1672∼1718)의 「연강정사기(沿江亭?記)」를 연구대상으로 삼았다. 조선이 한양을 도읍으로 정한 이래, 한강은 최고의 유상지로 각광받았다. 조선의 사대부들은 한강 변에 누정을 건립하고 뱃놀이를 행하며 한강의 풍류를 만끽했다. 엄경수는 「연강정사기」에서 강안의 누정 29개를 순서대로 기록했는데 직접 배를 타고 실사한 정보에 기왕의 정보를 취합하여 한강의 누정을 종합적이고 체계적으로 정리했다. 「연강정사기」를 살펴보는 작업은 한강의 문화와 역사에 주목하는 시대적 분위기와 맞물려 한강변 누정에 대한 종합적인 연구를 가능하게 할 것으로 생각된다. 본고에서는 엄경수의 「연강정사기」에 나타난 누정을 분석했다. 「연강정사기」의 해설을 바탕으로 29개의 누정에 대한 위치를 비정하고 저마다 명명된 당호의 유래와 의미를 풀이했다. 아울러 「연강정사기」가 1716년에 기록된 점에 착안하여, 이를 중심으로 누정의 연혁을 개괄했다. 저마다의 누정이 건립된 시기를 조명하고 주인의 변천사를 확인하며 폐망해 사라진 정황을 밝혔다. 마지막으로 경관기록에 주목하여 누정에서 읊은 시문을 통해 풍광의 요소를 정리하고 당시 행해진 풍류 양상을 조명했다. 일부 누정은 그림으로 남아 모습이 전하니 당대의 제도와 면모를 자세히 알 수 있을 것이다. 이 논문에서는 「연강정사기」를 분석하여 기존에 알려지지 않았던 한강변 누정의 존재와 위치를 밝혀냈다. 아울러 몇몇 누정에 대해서는 기존에 알려지지 않은 연혁을 확인해 한강의 공간에 대한 재해석과 스토리텔링이 가능한 발판을 마련했다. 현재 한강은 많은 개발로 인해 기존의 면모가 대부분 사라진 상황이다. 그러나 개중에는 원형이 그대로 남아 복원이 가능한 곳도 있고 일부는 그림을 통해 위치를 옮겨 되살릴 수 있는 가능성도 충분하다. 특히 「연강정사기」는 배를 타고 한강을 유람한 결과물로 현재 한강의 유람선 등에 결부시킬 사항이 많으므로 현대적 재현과 활성화의 가능성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is thesis recapitulates the current status of Nujeongs(樓亭) by the Han River(漢江) from the late Joseon dynasty, and to contemplate the possible options regarding their restoration. The book Yeon-gang-jeong-sa-gi(沿江亭?記) written by Eom Gyeong-su(嚴慶遂) in 1716 was selected as an object of study. After Hanyang was selected to be the capital of Joseon, Han River was considered to be the greatest venue to visit to take some time off and enjoy the view. The nobleman of the Joseon dynasty built Nujeongs around the riverside and enjoyed boating inthe current status of Nujeongs(樓亭) Han River. Eom Gyeong-su, after traveling on a boat to personally collect information, combined such information with preexisting information to create a well-organized and thorough list of the 29 Nujeongs built by the riverbank, which can be found in his book Yeon-gang-jeong-sa-gi. It is probable that a closer look into Yeon-gang-jeong-sa-gi will reveal more information regarding the general atmosphere of the era, which focused on the history and culture of Han River, and will also enable a more thorough research involving the Han River Nujeongs. The Nujeongs listed in Yeon-gang-jeong-sa-gi were analyzed in this paper. Based on the explanations found in Yeon-gang-jeong-sa-gi, the locations of the 29 Nujeongs were checked and reconfirmed, and the origins and the meanings behind their names were analyzed. In addition, the history of the Nujeongs were recapitulated with information gained from the basis of the fact that Yeon-gang-jeong-sa-gi was written in 1716, The origin of each Nujeongs were revisited, and the history of their change and demise were analyzed. Lastly, the sceneries around each Nujeongs were analyzed based on the poetries that were written and read in the respective Nujeongs, and the general taste for the arts in the era was analyzed. Some Nujeongs remain in the form of paintings, enabling us to take a closer look at the institutions and other aspects of the era. The analysis of Yeon-gang-jeong-sa-gi by this paper has revealed the location of some Han River Nujeongs that were unknown previously. Also, the revelation of some history regarding certain Nujeongs that were unknown previously has created an opportunity for the reinterpretation of the spaces surrounding Han River, and also the opportunity for a new story. Han River has lost most of its old self due to repeated exploitation. However, there are some areas where traces of the original form remains and that may be restored, and some areas may be relocated and restored based on existing paintings. Yeon-gang-jeong-sa-gi in particular may provide us with numerous possible options to reinvigorate and restructure the riverside with a more modern interpretation, especially in relation to the Han River cruise ship, as it is a book written after traveling Han River on a boat.

      • KCI등재

        18세기의 노비 시인 정초부

        안대회(Ahn Dae Hoe) 역사비평사 2011 역사비평 Vol.- No.94

        Based on H?nj?kchip(軒適集), a collection of Y? Ch’uny?ng’s works, and Ch’obuyogo(樵夫遺稿), a book of Ch?ng Ch’obu’s poetry, this article analyzes the life and literature of Ch?ng Ch’obu (鄭樵夫, 1714~1789), a slave poet in eighteenth-century Chos?n Korea. While the Chinese-style poetry was monopolized by the ruling Yangban elites in Chos?n society, there are only several recorded cases of slave poets because of slaves’ illiteracy; slaves were unable to taste poetry in classical Chinese, let alone write it. The 1700s nonetheless witnessed two slave poets, Ch?ng Ch’obu and Yi Tanj?n. Ch?ng was one of the slaves possessed by Y? Ch’uny?ng (呂春永, 1734~1812), who came from a distinguished yangban family in the capital province. Appreciating Ch?ng’s talent for poetry, the poetry-loving master not only emancipated him from slavery but also circulated Ch?ng’s works widely among yangban elites. Making a living from gathering and selling firewood, Ch?ng earned a reputation as a poet. His lyrical poetry well portrayed the inner sorrow of slaves with plain lexes. His poetry had popular appeal: his well-known poem, beginning with “The East Lake ripples in the spring,” was even the subject of a painting by Kim Hongdo (1745~?), one of the most famed painter of the time. He was so renowned that he was invited to a secret circle organized by men of power. He indeed became one of the best-known poets in eighteenth-century Chos?n Korea. The story of Ch?ng Ch’obu can be interpreted as a manifestation of commoners’ efforts to possess and enjoy high culture and knowledge. Although Ch?ng’s success was attributable to his individual talent and exertion, it can also be understood as a new cultural phenomenon of the 1700s in Chos?n Korea.

      • KCI등재

        한국 고전학의 방향 ― 정전화와 정본화

        안대회 ( Ahn Dae-hoe )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2018 大東文化硏究 Vol.101 No.-

        20세기 이후 한국의 고전 문헌은 근대적 한국학의 주요한 연구대상이 되었다. 문헌 연구는 國學이나 漢文學의 관점에서 많이 다루어졌다. 20여 년 전부터는 고전이 생산되고 널리 향유되던 시기의 국제적 관계와 문화적 맥락을 고려하여 동아시아의 시각에서 다루려는 시도가 크게 부각하였다. 해방 이후 고전 연구가 본격화된 지 60년 정도 흐른 현재, 한국 고전의 가치를 더 잘 드러내기 위해서 고전학의 개념과 관점을 모색하고 도입할 필요가 있다. 이 논문은 그 필요성을 제기하고 한국 고전의 가치를 드러내는 구체적 방안으로 정전 목록의 제시와 정본화 사업의 체계적 시행을 제시하였다. 연구자나 독자가 손쉽게 고전에 접근하는 주요 텍스트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정전의 목록이 편리하게 사용될 수 있으나, 한국 고전의 경우에는 그와 같은 정전의 목록, 특히 인문 정전의 목록을 제대로 만들지 못했다. 고전학자들의 폭넓은 의견을 모은 정전의 목록을 고전의 독서와 연구를 촉진하는 방안의 하나로 제시한다. 고전의 연구와 확산의 토대는 정확한 정본을 확정하는 작업에서부터 시작한다. 최근 들어 일부 주요한 고전을 정본화하는 작업이 성과를 내고 있기는 하나, 정본 연구에 대한 인식을 더욱 높이고 지원을 확대해야 한다. Korean works of classical literature produced during or after the 20th century have become the primary research subject in modern Korean studies. Most literature review has been conducted within the framework of national studies or Korean literature in classical Chinese. Many researchers adopted an East Asian perspective in consideration of the international relations and cultural context from 20 years ago―a time when classics were widely published and read. More than 60 years have passed since classics research began following the liberation of Korea. At this point in time, the concept of classics should be re-examined to demonstrate the value of Korean classical literature. In recognition of this need, this study proposes the establishment of a list of original works and systematic canonization to enhance the value of Korean classics. Lists of original works are useful for researchers or readers interested in accessing classical texts, but such a list is not available in the case of Korean classics, especially in the humanities field. The opinions of classical scholars should be collected to establish a list of classical works, thereby increasing readership and promoting research. The expansion of classics research begins with a confirmation of the original copies. Despite some recent efforts in confirming the original versions of major classics, there is still a need to raise awareness and expand support in this area.

      • KCI등재

        한국 한시의 소리미학에 대한 연구

        안대회 ( Dae Hoe Ahn ) 한국한시학회 2014 韓國漢詩硏究 Vol.22 No.-

        이 논문은 한시에서 소리가 음성적 기호에 그치지 않고 의미에 간여하고 느낌을 증폭시키는 중요한 요소라는 점을 주목하여 한국 한시의 주요한 유파와 작가와 작품의 소리미학을 분석하였다. 첫 장에서는 음성적 효과가 시의 보편적 문제임을 입증하고 이를 한시 분야에 적용할 수 있는지 검토하였다. 2장에서는 특정한 작가의 시를 이해하거나 詩史의 변화를 추적할 때 소리에 대한 고려가 중요한 척도가 된다는 사실을 海東江西詩派와 三唐派의 시인을 사례로 입증하였다. 3장에서는 시어를 적절히 조직하여 소리의 효과를 부각시킨 작품의 사례를 예시하고 그 작품에 나타난 기교를 분석하였다. 이상의 분석을 통해 소리의 효과를 잘 살려 의미를 강화한 시들이 예술성 측면에서 고도의 수준을 성취했음을 밝혔다. 이 논문에서 분석한 소리와 음악성의 관점과 사례가 한국 한시를 비롯해 일반 시의 분석에도 확대되기를 기대한다. This paper analyzes the aesthetics of sound in hansi - works of poetry written in Classical Chinese by Korean poets - by examining its major schools, noteworthy poets, and selected individual works. In doing so, it argues that the sound in hansi, when it is read aloud, is not merely a phonetic translation of the letters, but that it significantly contributes to the semantic delivery of the poem and amplifies the sensory experience of the work. Section one discusses the universality of the topic of sound in poetry and establishes the framework for applying this topic to hansi. Section two discusses the aesthetics of sound in poetry as a major criterion for evaluating a poet`s work or for historically tracing changing styles. Specifically, it examines individual works from two schools of hansi, the Haedong Gangseo Sipa (Korean Jiangxi Poetry Faction) and Samdangpa (Three Tang Faction). Section three presents exemplary works of both prose and poetry where the effects of sound are particularly well crafted; this section concludes by analyzing the techniques used in the selected works in detail. Through these analyses the paper explains the heights of literary achievement reached by those works that employ effective phonetic arrangements for greater semantic impact. It is hoped that the perspective and the examples provided in this paper, in analyzing sound and its aesthetics in poetry, would spread further not only in studying hansi, but poetry in general.

      • KCI등재후보

        조선 후기 이중 언어 텍스트와 그에 관한 논의들

        安大會(Ahn Dae-hoe) 대동한문학회 2006 大東漢文學 Vol.24 No.-

        이 논문은 조선 후기 이중 언어 텍스트의 유통 양상을 조사하였다. 조사한 내용을 바탕으로 하여 조선 후기 학자들이 그에 관해 논의한 내용을 검토하였다. 조선 후기에는 한문과 국문의 이중 언어 텍스트가 양적으로 팽창하여 문자생활에서 한문 공용어의 지배적 위상이 흔들리고, 구어에 밀착한 언문의 세력이 확장되었다. 조선 후기에 풍성하게 출현한 이중 언어 텍스트를 종합하여 파악할 때, 대체적으로 한문에서 한글로의 번역, 한글에서 한문으로의 번역, 그리고 한문과 한글 텍스트의 동시 보급이라는 세 방향으로 텍스트가 유통되었다. 당시에는 이렇게 이중 언어 텍스트가 동시에 보급되어 대중의 언어능력과 신분, 성별에 따라 선택적으로 수용되었다. 이러한 현황에 직면하여 지식인들은 각각의 견해를 제기하였다. 먼저 서로 다른 문자 체계를 사용하는 문제점을 비판하였는데, 그들의 비판은 언문일치가 되지 않는 현실을 지적하는 데 초점을 맞추었다. 다음으로는 대중들과 호흡하기 위해 언문 텍스트를 마련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한 글이 다수 등장하였고, 한문 텍스트에 익숙한 식자층을 위해 한문 텍스트를 마련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한 글 역시 다수 등장하였다. 그들이 제기한 논의를 통해 이중 언어 텍스트가 다수 등장하게 된 근거를 제시하였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서 조선 후기에는 다수의 저작이 한문과 한글 텍스트로 유통되었고, 이러한 현상은 한문을 지배적 공용어로 고착시켜 온 조선왕조의 어문 정책이 점차적으로 균열을 겪고 있음을 드러내는 것으로 파악하였다. This paper investigated the circulation of twofold texts in diaglosia in the late Chosun and the related arguments the scholars discussed. In the late Chosun, the production of the texts in Chinese and Korean were expanded and the power of Korean as vernacular language was more strengthened, while the dominancy of Chinese language was being shaken. It seems that there were the translation of Chinese writing into Korean version, the translation of Korean writing into Chinese version, and concurrent supply of the texts in Chinese and Korean in the late Chosun. These different texts were selectively accepted according to the status, gender and language competency. The literati presented their own viewpoints in this situation. First, they criticized the different language system, focusing the disagreement of the written and spoken language. They also emphasized the production of Korean texts to keep step with the common people as well as the production of Chinese texts for the literate stratum. These arguments were the reason why two different texts in diaglosia system were produced in great numbers. Through this analysis, I can show that the language policy of the Chosun dynasty that had fixed the Chinese language as the official language gradually began to be impaired in the late Chosun.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