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破戒』から『春』へ : 文末表現の変化が意味するもの

        강정균(kang jeong gyun,姜政均) 한국외국어대학교 일본연구소 2015 日本硏究 Vol.0 No.66

        Research on "The Broken Commandment (破戒)" (1906) has mainly focused on its context up until now. However, recent research is starting to focus more on expressions than on the context itself. However, there is not much prior research on word-ending expressions of this literary texts. This research mainly focuses on the word-ending expression "nodearu", a unique expression found in Toson's "The Broken Commandment."The key content will be about the relationship with the period then, the analysis between the expressions in "The Broken Commandment" and "Spring," and what the differences actually mean. As a result, word-ending expression "nodearu" in "The Broken Commandment" follows the expression used during the period after "Tajyoutakon" and has been made clear that "nodearu" is a strong expression of the narrator whether it is for explaining or reasoning based on analyzing linguistics research papers. "Spring" is based on Toson and his colleagues, suggestively expressing other characters' emotional expressions apart from Kishimoto whom was modeled after Toson, and Aoki modeled after Kitamura Toukoku. The problem here is on the model's emotional expressions in "The Broken Commandment" and "Spring," due to the emotional expression (e.g., sad, happy) that can normally be only used in a first person perspective, but can also turn into a third person perspective usage if "nodearu" is used as the word-ending expression. Many expressions ending with "nodearu" in "The Broken Commandment" is in third person perspective to express feelings, but in "Spring," those expressions are not as viable-leading to the decreased usage of "nodearu." This decrease in the usage of "nodearu" led to the reduction of strong expressions from the narrator. Toson's literature really began to face naturalism after "Spring." His tried to write the novel so that the narrator does not show oneself in the context, the exact opposite of the usage of "nodearu" expressions. What this research is arguing is that it the change from "The Broken Commandment" to "Spring." is not only about Toson himself. If the past tense expression "ta" is interpreted as the final destination of modern novels, it means that there is a possibility for future advancement of this usage. 『파계(破戒)』(1906)는 지금까지 주로 소설 내용이 주된 연구대상이 되어왔다. 소설내용의 연구가 대부분이었던 이 텍스트에도 그 표현에 주목하는 연구도 최근에는 적지 않다. 체언맺음( 言止め)이나 「이고(ので、からで)」로 문장이 끝나는 종지표현 등의 토송(藤村)문학 전체와의 관련, 『봄(春)』 등과의 비교, 교정과정에서 보이는 차별용어의 연구, 혹은의 시점에서 풀어나가는 연구 등이 그것이다. 그러나 이 텍스트의 문말 표현에 주목하는 선행논문은 거의 없다. 본론은 토송문학 전체에서 『破戒』의 특징적인 문말 표현이라 할 수 있는 「인 것이다(のである)」를 실마리로 해서 토송의 문말 표현의 변화과정을 고찰하고자 한다. 고찰의 내용은 동시대와의 관계, 『破戒』와 『春』의 표현 차이의 분석, 그리고 그 차이가 의미하는 것이 무엇인가를 묻는 것이다. 고찰 결과 『破戒』의 문말 표현 「のである」는 『多情多恨』 이후의 동시대 문말 표현의 흐름을 따르고 있고 「のである」는 화자가 어떤 형태(설명, 이유 등)로든 강하게 나타나는 표현이라는 것을 어학논문의 분석을 참고해 알 수 있었다. 『春』은 토송과 그의 동료들을 모델로 하고 있는데 토송을 모델로 한 기시모토(岸本)와 당시 이미 사망한 北村透谷를 모델로 하는 아오키( 木) 이외의 다른 인물의 감정표현을 자제하거나 매우 암시적으로 표현하고 있다. 여기에는 『破戒』와 『春』 사이에 불거진 모델문제에서 모델의 감정표현이 문제가 된 것이 크게 작용했다고 볼 수 있다. 여기에는 1인칭이 주어로 오는 경우에만 성립하는 감정표현(예를 들어 슬프다, 기쁘다)이 「のである」를 문말로 쓰면 3인칭도 주어로 올 수 있는 「のである」의 용법과도 깊은 관련이 있다. 『破戒』에서 「のである」를 문말 표현으로 해서 3인칭 주어의 감정표현을 많이 하고 있는데 『春』에서는 그 감정표현이 줄어들고 있으므로 당연히 「のである」 표현도 줄어들게 된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のである」의 격감현상은 화자가 문말에 현재화하는 현상을 많이 줄어들게 하는 효과를 초래했는데 이는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토송 소설은 『春』 이후에 진정한 자연주의 소설 작법으로 발전해 가는데 그 작법 중의 하나가 화자가 소설 내에서 자기의 모습을 드러내지 않는 방향으로 노력했다는 것인데 화자가 현재화하는 「のである」 표현은 그 방향과는 반대에 있었다고 할 수 있다. 『破戒』에서 『春』으로의 변화는 藤村 한 사람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이 현 단계에서의 필자의 가정이다. 「었다(た)」체를 근대소설의 도달점으로 볼 수 있다면 더 넓게 적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함유하고 있다고 하겠다.

      • KCI등재

        스마트시대의 디지털 리터러시 측정을 위한 진단도구의 개발과 적용

        강정묵(姜正?),송효진(宋孝眞),김현성(金鉉城) 한국지역정보화학회 2014 한국지역정보화학회지 Vol.17 No.3

        스마트사회와 정부 3.0의 등장은 인터넷, SNS, 트위터 등 커뮤니케이션 환경의 다양화와 깊은 관련이 있다. 이렇게 소통과 참여가 더욱 활성화되면서 정보를 올바르게 생산하고 활용할 수 있는 디지털 리터러시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게 되었다. 본 연구는 스마트사회의 디지털 리터러시가 담고 있어야 할 요소들을 제시하고 이들을 토대로 진단도구를 개발 제시해보고자 하였다. 그리고 이 도구를 통해 현 대학생들의 디지털 리터러시 수준이 어떠한지 살펴보았다. 신뢰도 및 타당성 검증을 통해 제시된 디지털 리터러시 진단도구는 기술(22), 활용(11), 마인드(9)영역의 총 42개 지표로 구성되었다. 현 대학생들의 디지털 리터러시 수준은 전반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나, 교제나 소통과 관련한 마인드나 기술적 이용능력에서 다소 낮은 리터러시를 보이고 있었다. 진단도구의 개발과 이를 통해 이용자의 리터러시 수준을 측정한 본 연구는 향후 정보격차를 위한 정보화교육이나 정책지원 사업의 기초적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며, 스마트사회에 적합한 진단도구를 제시하고 이의 개발과정에서 객관적 검증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Emergence of the smart society and the government 3.0 is closely related to the rapid change of the telecommunication environments such as Internet, SNS and Twitter. In accordance with the change, the significance of digital literacy has increased. This research attempted to find out the core elements which should be contained in the digital literacy in the smart society and to develop a self-diagnostic tool. Through this tool, this study measured the current level of the college students’ digital literacy. The diagnostic tool of digital literacy is composed of Technology(22), Application(11) and Mind(9) areas with a total of 42 indices. The research result shows that the level of the current college students’ digital literacy is generally high, but they show comparatively low literacy level in Mind area, specifically the indicators which are associated with the relationship and communication capability. The developed and revised diagnostic tool is expected to be utilized as the basic data for information technology education or policy study for mitigating digital divide in the future. This research concludes that the diagnostic tool should be suitable for the smart society and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developed indicators should continue to be verified scientifically.

      • KCI등재

        8·15와 한국사회: 한국 민족주의의 신성화와 그 퇴조

        강정인(KANG Jung In)(姜正仁) 신아시아연구소(구 신아세아질서연구회) 2016 신아세아 Vol.23 No.3

        이 글은 광복 후 70여 년이 지난 오늘날 한국사회에서 8·15가 지니는 의미를 ‘민족주의의 신성화 및 그 퇴조’라는 관점에서 논한다. 8·15와 함께 남한은 미국의 압도적인 영향력하에 들어가면서 서구문명의 보편성과 우월성을 상정하는 서구중심주의를 급속하게 내면화해 왔고, 그 결과 서구중심적 근대화의 과제를 열광적으로 받아들이고 돌진적으로 추진해 왔다. 그 과정에서 신성화된 민족주의가 서구중심적 근대화를 추진하는 이념적 기제로 일관되게 동원되었다. 하지만 경제발전과 민주화로 상징되는 서구적 근대화를 성취한 1990년대 이후 한국사회는 당혹스러운 현상에 직면하고 있다. 다시 말해 경제발전과 민주화에 뒤이어 민족주의의 최종과제인 통일을 목전에 둔 상황에서 한국사회는 신성화된 민족주의의 퇴조 또는 그것에 대한 반발을 두 가지 차원, 곧 현실과 이론의 차원에서 목격하고 있다. 통일에 대한 민족주의적 열기가 점차 약화되는 것은 물론 통일의 당위성이나 바람직함을 부정하는 다양한 탈민족주의 담론이 부상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문제의식을 염두에 두고 이 글은 먼저 남한의 근대화를 서구중심적 근대화와 민족주의의 신성화라는 관점에서 재조명한다. 이어서 민족주의 신성화의 퇴조를 “다양한 탈민족주의 담론의 부상”이라는 주제를 통해 검토한다. This paper investigates the meaning of August 15 (the day of national liberation/division) in Korea in light of the sanctification of nationalism and its subsequent decline. Under the overwhelming influence of the U.S., South Korea rapidly internalized Western-centrism, positing the universality and superiority of Western civilization since liberation by the Allied Powers at the end of World War II. South Korea enthusiastically embraced and pursued Western-centered modernization. In that process, nationalism was mobilized and strengthened as an ideological mechanism to accomplish Western-centered modernity. However, since the 1990s and just when it was about to undertake the last and most cherished task of nationalism, national reunification, Korean society witnessed the decline of and reaction to sanctified nationalism both in theory and in reality. The national longing for reunification has been weakened and discourses of postnationalism that deny the Sollen (the necessity) and desirability of reunification have emerged during that time. These phenomena pose a serious challenge to sanctified nationalism. This paper highlights the sanctified nationalism accompanying the Western-centered modernization of South Korea, and then it examines the subsequent erosion of such nationalism by analyzing various postnationalist discourses.

      • KCI등재

        민주화를 중심으로 본 한국 현대정치사상의 흐름과 변화

        강정인(姜正仁),공진성(孔眞聖),안외순(安外順),정승현(鄭承鉉) 신아시아연구소(구 신아세아질서연구회) 2008 신아세아 Vol.15 No.2

          이 글의 목적은 정부수립 60주년을 맞이하여 해방 이후 현재까지 한국 현대정치사상의 주된 gm름을 구성하는 자유주의ㆍ급진주의ㆍ보수주의ㆍ민족주의의 전개과정을 민주화를 중심으로 개관하는 것이다. 목적론적인 해석이라는 비난을 무릅쓰고 민주주의를 중심으로 말한다면, 해방 이후 한국정치는 근대화(통일국가, 민주국가, 산업국가의 건설)의 과제를 놓고 4대 이념이 각축하면서  이후 형성될 정치적 민주주의의 모습을 조형했다고 할 수 있다. 다시 말해 한국정치는 권위주의정권과 민주화 세력의 대립, 민족주의에 대한 상이한 입장간의 대치, 변혁 이념과의 갈등, 대결 및 수용을 겪으면서 민주화되었던 것이다. 한국(남한) 현대 정치사상의 흐름에 있어서 1945년 해방정국과 1987년 민주화 정국은 결정적인 중요성을 갖는다. 그 이유는 무엇보다도 남북한 분단정권의 수립으로 귀결되는 해방정국은 분단된 남한정권의 기원을 구성한다는 점에서 이후 전개될 한국 현대정치사상의 흐름을 결정적으로 조건지었고, 1987년을 기점으로 한 민주화는 정치적 민주주의의 정착으로 완성되면서 이후 다양한 정치사상이 적응해야 하는 기본 틀을 조형했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글은 지난 60년 동안 진행된 한국 현대정치사상의 흐름을 해방정국(1945-1948). 장기 권위주의 시기 (1948-1979). 민주주의로의 이행이 진행되는 대전환의 시기(1980-1992), 그리고 민주화 이후의 시기(1993-현재)로 나누어 고찰할 것이다.   To celebrate the 60th anniversary of the foundation of (South) Korean government, the purpose of this essay is to survey the unfolding of liberalism, radicalism, conservatism and nationalism in light of democratic transition in 1987, the four ideologies which have constituted the major trends of contemporary Korean political thought since the Liberation in 1945. Focusing on democratization at the risk of teleological interpretation, Korean politics since the liberation would lead to democracy whose shape was to be determined by the four contending ideologies competing for fulfilling the task of modernization, the building of reunified, democratic and industrialized nation. In other words, Korean politics would be democratized, going through the confrontation of authoritarian regimes and democratic forces, violent oppositions between different visions of nationalism, and various conflicts over and accommodation with revolutionary ideologies. The liberation and democratizing phases have critical significance in this tumultuous process, for the former constituted the origin of the divided South Korean state which would condition the unfolding of contemporary Korean political thought decisively and the latter in 1987 resulted in the consolidation of democracy and provided the basic framework to which diverse ideologies would have to adapt themselves thereafter. Thus this essay examines the evolution of Korean political thought since the liberation, by dividing the period into four: the liberation phase(1945-1948), the long authoritarian period(1948-1979), the great transformation period(198D-1992) in which democratic transition had taken place, and the post-transitional period(from 1993 on) in which democratic consolidation and deepening have been going on.

      • SCOPUSKCI등재

        새로운 병기 제안에 따른 전이성 폐암의 분석

        강정,백효채,이진구,정경영 대한흉부심장혈관외과학회 2001 Journal of Chest Surgery (J Chest Surg) Vol.34 No.8

        1998년 Ginsberg등은 전이성 폐암의 새로운 병기를 제시하였다. 이 병기 제안은 폐 전이 병소의 완전절제 여부, 무병생존기간, 폐 전이 병소의 개수를 예후 인자로 제시하여 이들을 기초로 병기를 나누었다. 우리는 세브란스 병원의 전이성 폐암 환자들을 분석하여 새로운 병기와 장기 생존율의 상관관계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0년부터 200년까지 전이성 폐암으로 수술적 치료를 받은 111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이둘 중 103명(92.8%)에서 완전절제가 가능하였다. 원발성 종양에 따라 분류하였을 때, 암종이 60명, 육종이 46명, 그 외의 질환이 5명이었다. 무병생존기간은 0에서 35개월까지가 79명, 36개월 이상이 32명이었다. 하나의 폐 전이 병소를 가진 환자가 53명, 여러 개의 폐 전이 병소를 가진 환자가 58명이었다. 평균 추적기간은 49개월이었다. 결과: 전이성 폐암이 완전절제 후 3년 생존율은 48.2%, 5년 생존율은 32.6%인 반면, 불완전절제한 경우에서 3년 생존율은 21.9%였다. 완전절제한 한자들 중에서 무병생존기간이 0에서 35개월까지의 환자군에서 3년 생존율은 40.5%, 5년 생존율은 30.4%였고 36개월 이상인 환자군에서 3년 생존율은 75.9%, 5년 생존율은 39.0%였다. 하나의 폐 전이 병소를 가진 환자군의 3년 생존율 45.8%, 5년 생존율 30.5%이었고 여러 개의 병소를 가진 환자군의 3년 생존율 50.0%, 5년 생존율 34.4%였다. 병기 1기인 환자군의 3년 생존율 58.5%, 5년 생존율 43.8%, 2기 54.0%, 37.4%, 3기 38.4%, 3기 38.2%, 27.9%, 그리고 4기의 3년 생존율은 21.9%였다. 결론: 새로운 전이성 폐암의 병기 모델에 따른 세브란스 병원 환자들의 분석 결과, 병기가 진행됨에 비례하여 생존율도 감소하였으나,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아니었다. 전이성 폐암의 예후 인자를 규명하기 위해서는 보다 많은 경험과 오랜 기간 동안의 추적 조사가 필요하리라 생각된다. The new stage of metastatic lung cancer based upon resectability, disease-free interval, and the number of pulmonary metastases was proposed in 1998 by Ginsberg, et al. We evaluated the validity of the new staging proposal for pulmonary metastases through the analysis of experiences at Severance Hospital. Material and Method: The cases of 111 patients who underwent resection of metastatic lung cancer during the eleven-year period (1990-2000) were reviewed. Of these patients, 103(92.8%) underwent compete surgical resection. The primary tumor was carcinoma in 60 cases, sarcoma in 46, and others in 5. The disease-free interval(DFI) was 0 to 35 months in 79 cases adn more than 36 months in 32 cases. Single metastasis accounted for 53 cases and multiple lesions for 58 cases. Mean follow-up was 49 months. Result: The actuarial survival after complete metastasectomy was 48.2% at 3 years and 32.6% at 5 years; the corresponding values for incomplete resection were 21.9% at 3 years. The 3-year survival rate(3-YSR) for complete resction was 40.5% and 5-year survival rate(5-YSR) was 30.4% for patients with a DFI less than 36 months, the 3-YSR, 75.8% and 5-YSR, 39.0% for those with a DFI equal or more than 36 moths; 45.8% and 30.5% for single lesions, 50.0% and 34.4% for multiple lesions. The 3-YSR and 5-YSR were 58.5% and 43.8% for stage I patients, 54.0% and 37.4% for stage II, 38.2% and 27.9% for stage III and 21.9% for stage IV. Conclusion: The result of the analysis of new stage of pulmonary metastases showed that the survival rate was different according to stage and there was no statistical significance. We need more experiences and long-term follow up to determine the prognostic factor of metastatic lung cancer surge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