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1부 특집: 헤겔과 종교 : 프로이센 왕정복고와 헤겔의 정치 신학적 입장 -슈바르트와의 논쟁 및 슈탈의 비판을 중심으로-

        기호 ( Ki Ho Nahm ) 한국헤겔학회 2013 헤겔연구 Vol.0 No.34

        왕정복고 시기 출판된 헤겔의 『법철학 개요』는 정치적 편향에 따라 근대화 세력들에 의해 노예적 순응으로 낙인찍히거나 복고세력들에 의해 혁명적 선동으로 고발되기도 했다. 특히 후자의 측면에서 헤겔을 비판한 대표적인 인물로는 카알 에른스트 슈바르트(K. E. Schubarth)와 프리드리히 율리우스 슈탈(F. J. Stahl)이 있다. 슈바르트는 현실만 주목하는 헤겔의 사변 철학이 초월적 신을 세계의 차안성에 가둠으로써 영혼 불멸성을 도외시한다고 비판한다. 이로 인해 비인격적인 국가가 실천적 측면에서 모든 것의 사변적 완성 형태로 설정된다는 것이다. 그가 보기에 헤겔의 국가 이론은 프로이센 군주 가문의 인격적 역할을 허용하지 않는 반란의 호소를 감추고 있다. 기독교 법론을 전개한 슈탈 또한 헤겔의 프로이센 국가에 대한 불충을 유사하게 고발한다. 이성주의의 정점에서 헤겔 철학은 비인격적 사유규정들만 다루며 군주의 인격성에 아무런 실질적 역할도 부여하지 않는다. 다시 말해 헤겔의 국가에서는 신의 전권을 부여받은 군주의 인격적 지배가 불가능하다. 따라서 그의 국가는 또한 인격적 신으로부터 출발하는 기독교 국가일 수도 없다. 헤겔은 『개요』에서 본성상 자유로운 의지와 이 의지의 실현 간의 연관을 법의 이성적 현실로 전개한다. 이때 법의 주체는 실존의 유한한 개별성과 자유의 무한한 보편성의 통일로서의 인격이다. 이 인격은 무한한 개별성을 지닌 신과 같을 수 없다. 따라서 보편의 현실화 계기로서 항상 개별성이 필요하지만, 이 유한한 개별성에는 자의적이지 않기 위해 인륜적 보편으로부터의 제어가 요구된다. 헤겔은 이것을 군주의 역할 속에 정교하게 결합시켰다. 이를 통해 통치되는 헤겔의 국가는 종교와 정치적으로 분리되지만 인륜적 성품에 있어서는 종교와 통합된다. Hegel`s Grundlinien der Philosophie des Rechts, which was published in the Restoration of Prussia, was reproached by progressive groups as servile accommodation or by restorative group as revolutional instigation according from each politically biased point of view. Especially representative for the latter criticism were Karl Ernst Schubarth and Friedrich Julius Stahl. Schubarth gives Hegel harsch criticism that his speculative philosophy with attention only to actuality (Wirklichkeit) disregards the immortality of soul by caging transmundane God in mundaneness of this world. Due to this the impersonal state is practically set up as the speculative completion of all. Therefore, Hegel`s theory of the state, which doesn`t admit of the personal role of Prussian monarchical family, conceals appeal to rebellion. Stahl, who developed a Christian theory of right, expresses a similar criticism as well. At the zenith of rationalism, Hegel`s Philosophy deals only with impersonal determinations of thought and thus, assigns no material role to maonarch. In other words, the personal domination of monarch with full authority of God is impossible in Hegel`s state, which, as a result, cannot be a Christian. In his Grundlinien Hegel develops relations between the naturally free will and the realization of this will as the rational actuality of right. Here, the subject of right is person as the unity of finite individuality of existence and infinite universality of freedom. This person can`t be equal to God`s with infinite individuality. Surely, individuality is always necessary as moment of realization of universality. But for finite individuality not to be arbitrary, the control from the ethical (sittliche) universality is in need. Hegel combines these in the role of monarch elaborately. His state reigned in this way is politically separated from religion, but, as regards ethical sentiment (sittliche Gesinnung), also integrated with it.

      • KCI등재

        논문 : 야코비의 칸트 비판과 인간의 자유

        기호 ( Ki Ho Nahm ) 한국철학사상연구회 2015 시대와 철학 Vol.26 No.1

        이 글은 야코비의 칸트 비판과 실재론적 인식론을 고찰하고자 한다. 칸트는 야코비의 『스피노자 이론에 대하여』에 관한 논평문 「사유함에서 방향잡기란 무엇인가?」를 통해 객관적 인식일 수는 없지만 경험적 사용에 유용한 한에서 초감성적인 것의 사유를 허용하는 이성 고유의 욕구 감정을 제시한 바 있다. 그러나 그 후 칸트는 한 번의 서신 교환을 제외하곤 야코비와 직접적인 논쟁에 이르지 않는다. 반면에 야코비는 『데이비드 흄』, 『칸트 철학에 대한 서간』, 『이성을 오성으로 가져가려는 그리고 철학 일반에 새로운 의도를 제공하려는 비판주의의 기도』, 「서문, 동시에 저자의 전체 철학적 저술들의 서론」등 일련의 저술들을 통해 칸트 철학 전반에 대한 비판을 시도하며 동시에 신앙과 접목된 자신 고유의 인식론을 발전시킨다. 야코비의 비판은 칸트에 있어 공간, 시간, 순수오성 개념들의 외부 현실적 사물들과의 비연관성을 지적하며, 무엇보다 선험적 대상과 선험적 통각이 인식 활동을 통해 알려지는 것이 아니라 인식을 위해 전제되는 미지의 X라는 사실을 겨냥한다. 이 때문에 외부 사물들과 신적인 것들로부터 절연된 칸트의 이성은 자기일치와 보편화에 따른 단독 지배에 귀착한다. 이에 반해 야코비는 최종적으로 인식 능력을 감성적 직관과 오성 그리고 이성적 직관으로 세분하고 외부 현실 대상의 직접적 인식에 있어 감성과 이성의 역할을 강조한 반면, 오성에는 개념적 재현 기능만을 부여했다. 즉 감성이 외부 대상의 직접적 파악 능력이라면, 이성은 동시에 이 대상너머 초감성적인 것의 계시를 직접적으로 파악하는 능력이다. 그러나 야코비는 직접적 확실성에 경도되어 인식능력들의 매개적 관계를 포착하지 못했으며, 결국 인간의 자유를 비약을 통해 도달하는 비개념적 신앙 대상에 양도하고 말았다. This article will take Jacobi’s critique on Kant and realistic epistemology into consideration. Kant in the remark about Jacobi’s Ueber die Lehre des Spinoza, namely, Was heisst: sich im Denken orientieren?, brought forward a feeling of reason-intrinsic desire, which allows to think the supersensual, insofar as it is, though no objective recognition, useful for the empirical application. However, Kant did not come to any immediate dispute with Jacobi, exclusive of one-time exchange of letters. On the conrary, Jacobi with a series of writings, David Hume, Epistel ueber die Kantische Philosophie, Ueber das Unternehmen des Kriticismus, die Vernunft zu Verstande bringen, und der Philosophie ueberhaupt eine neue Absicht zu geben, Vorrede, zugleich Einleitung in des Verfassers saemtliche philosophische Schriften, etc. tried to criticize the whole philosophy of Kant and to envelop his own epistemology engrafted on faith. His criticism takes aim at the non-relationship of space, time, and concepts of pure understanding with real things outside ourselves, and, above all, the explanation that the transcendental object and apperception are never knowable through activity of recognition, but only to be assumed as the unknown=X for the condition of recognition. Owing to this, Kant’s reason, which is isolated from external and divine things, lead to autocracy through its self-accordance and universalization. By contrast, Jacobi divides finally the capacity of human recognition into the sensual intuition, understanding, and reasonal intuition, and places, on the one hand, emphasis on the role of sensation and reason in the immediate knowledge of external objects, assigns, on the other hand, the function of conceptional representation to understanding. In other words, sensation is the ability to apprehend immediately external objects, whereas reason is the ability to grasp immediately the revelation of the supersensual over external objects at the same time. However, Jacobi, biased in favor of the immediate certainty, did not seize on the intermediate relation of recognitive abilities, and yielded up ultimately the freedom of human being to the non-conceptional object of faith, which can be only per jumping arrived at.

      • KCI등재

        법철학적 관점에서 본 소크라테스의 죽음 - 헤겔의 『철학사 강의』를 중심으로 -

        기호 한국철학사상연구회 2019 시대와 철학 Vol.30 No.3

        This article sheds new light on Hegel’s interpretation of Socrates’ Death in his Vorlesungen über die Geschichte der Philosophie from law-philosophical viewpoint. For Hegel, Socrates’ Death is not a mere individual tragedy, but a world-historical event in which the contradiction of the ancient ethic of life(Sittlichkeit) is expressed in the form of the tragic fate of a philosopher. Here collide the self-conscious principle of subjective freedom to reach universal individuality inwardly and the simple principle of ethical life(Sittlichkeit) to live on the external command of God unentangledly. In other words, the critical thinking of natural law and the daily ethical practice of positive law collide in Socrates’ philosophy and life as a whole, and it is this conflict which has been sharpened in the course of his lawsuit and execution. This conflict and strife was already unconsciously situated whithin the life of the Athenian people itself. Thus, through the execution of Socrates, the Athenian people have removed their own new principle that demands ethical universality. And that is, for Hegel, why the Athenian people had to lose their world-historical status and to enter the path of decline. 이 글은 『철학사 강의』에서 헤겔이 제시한 소크라테스의 죽음에 대한해석을 법철학적 관점에서 재조명한다. 헤겔에게 소크라테스의 죽음은 단순한 개인적 비극이 아니라 고대 인륜성의 모순이 한 철학자의 비극적 운명 형태로 표출된 세계사적 사건이다. 여기서는 내적으로 보편적 개체성에 도달하려는 주관적 자유의 자기 의식적 원리와 얽매임 없이 신의 외적인 명령에 의존해 살아가려는 인륜성의순박한 원리가 충돌하고 있다. 다시 말해 자연법적인 비판적 사유와 실정법적인 일상의 인륜이 소크라테스의 철학과 삶 전반에서 충돌하고 있으며, 바로 이 충돌이 그에 대한 소송과 사형집행 과정에서 첨예화되었된 것이다. 이러한 충돌과 갈등은 이미 아테네 민족의 삶 자체 내에도 무의식적으로자리잡고 있었다. 따라서 소크라테스의 사형을 통해 아테네 민족은 인륜적보편성을 요구하는 바로 자기 자신의 새로운 원리를 제거한 셈이다. 그리고 바로 그 때문에 아테네 민족은 헤겔이 보기에 세계사적 지위를 상실하고 몰락의 길에 접어들 수 밖에 없었다.

      • KCI등재

        2009 대유행 인플루엔자 A/H1N1과 포도알균의 동시 감염에 합병된 위막성 기관기관지염 1예

        기호,홍종삼,홍만용,임재민,김미혜,정복현,송은희,류대식 대한감염학회 2011 Infection and Chemotherapy Vol.43 No.5

        An influenza pandemic due to a novel influenza A/H1N1 virus occurred after April 2009. This virus has some characteristics that differentiate it from the seasonal influenza virus. The 2009 pandemic influenza A/H1N1 virus can frequently infect the lower respiratory tract, and it might cause acute tracheobronchitis as well as pneumonia. Viral-bacterial interaction is well known as an important mechanism of the pathogenesis of respiratory complications of influenza. Herein, we report on a case that presented with pseudomembranous tracheobronchitis complicated by coinfection with 2009 pandemic influenza A/H1N1 and Staphylococcus aureus. We also review the relevent literature.

      • KCI등재

        α-Galactosidase를 생산하는 고온성 Bacillus coagulans KM-1 균주의 생화학적 특성

        기호 ( Ki Ho Nam ),장미순 ( Mi Soon Jang ),박희연 ( Hee Yeon Park ),이레나코네바 ( Elena Koneva ) 한국수산과학회 2014 한국수산과학회지 Vol.47 No.5

        A bacterium producing α-galactosidase (α-d-galactoside galactohydrolase, EC 3.2.1.22) was isolated. The isolate, KM-1 was identified as Bacillus coagulans based on its 16S rRNA sequence, morphology, and biochemical proper-ties. α-Galactosidase activity was detected the culture supernatant of B. coagulans KM-1. The bacterium showed the maximum activity for hydrolyzing para-nitrophenyl-α-d-galactopyranoside (pNP-αGal) at pH 6.0 and 50℃. It hydro-lyzed oligomeric substrates such as melibiose, raffinose, and stachyose liberating a galactose residue, indicating that the B. coagulans KM-1 α-galactosidase hydrolyzed α-1,6 linkage. The results suggest that the decreased stachyose and raffinose contents in fermented soybean meal are due to the α-galactosidase activity.

      • KCI등재

        프로이센 왕정복고와 헤겔의 정치 법학적 입장 Ⅱ

        기호(Ki Ho Nahm) 철학연구회 2013 哲學硏究 Vol.0 No.100

        Hegel`s Grundlinien der Philosophie des Rechts, which was published in the Restoration of Prussia, has been misunderstood as his work of conformism. But in this work Hegel expresses detailed criticism on Carl L. Haller, who was strong ideologue of Restoration. This article tries to cast light upon Hegel` criticism through the difference of concept of right between them. In the Restauration der Staats-Wissenschaft Haller regards all artificial civil nations as chimera, with which he sets the state of nature in opposition. According to him, in the state of nature the holy law of domination of the stronger is applied on the ground of difference of natural excellence given by God. Then, all laws in nation become private laws of self-conservation, which originate from the state of nature. Therefore, the codification has no more meaning than the grace of monarch from his private need. On the other hand Hegel asserts that the natural law should be considered as the philosophical law of reason. This law(Recht) appears in the ethical institutions of life of people in pace with the development of spirit of people(Volksgeist). The law is the rational principle of ethical life-forms, of which the people is subject. The philosophical law defined as the existence of free will must always realized as public law and institution. Therefore, the codification is not merely a graceful deed of monarch, but above all a necessary moment for the realization of law as the self-consciousness of people. On this account Hegel criticizes Haller as a enemy of law books.

      • KCI등재

        헤겔 철학에서의 이성의 교지(巧智) 개념

        기호 ( Ki Ho Nahm ) 한국철학사상연구회 2009 시대와 철학 Vol.20 No.4

        이성의 교지는 헤겔의 역사철학에서 여전히 많은 논란을 불러일으키고 있는 개념이다. 그러나 헤겔은 이 개념을 역사철학에서보다는 실천철학이나 논리학에서 주로 논의했으며 역사철학 텍스트에서는 오히려 최종적으로 그 사용을 포기한 것으로 추정된다. 이것을 밝히기 위해 이 글은 먼저 교지의 개념적 기원과 의미상의 초기 사용을 추적해 보고 "교지" 개념이 최초로 등장하는 셋째 『예나 체계기획들』에서의 그 실천철학적 의미를 분석한다. 교지의 실천철학적 의미는 "이성의 교지"란 표현이 처음 나타나는 『대논리학』에서 목적론적 활동성의 논리적 관계로서 규명되고 있다. 이에 따르면 이성의 교지는 이성이 타자를 도구로 취해 이것의 즉자대자적 활동을 통하여 자신의 목적을 실현하는 목적론적 활동성 능력이다. 이러한 능력으로서의 이성의 교지는 헤겔 역사철학에 있어 실제로 일어난 일들의 역사적 주체를 의미한다기보다는 일어난 일들을 철학적 반성을 통해 이야기하는 역사철학적 개념이라 할 수 있다. The concept of cunning of reason(List der Vernunft) in Hegel`s philosophy of history raises many debates as before. But Hegel argued about it chiefly in his practical philosophy or logic, and it is inferred that he abandoned finally its use in his philosophy of history. To make this point clear, my paper will first of all trace the conceptual source of cunning and the early use of its meaning and then analyse its practical-philosophical meaning in the third Jenaer Systementwurfen, where the word `cunning` appears at the outset. Its practical-philosophical meaning is explained just as logical relation of teleological activity in his Wissenschaft der Logik, where the term `cunning of reason` as a whole appears at the first time. According to this, cunning of reason can be defined as the ability of teleological activity with which reason adopts the other as instrument and realizes its own aims through action of the instrument in and for itself. The Cunning of reason as this ability, with regard to Hegel`s philosophy of history, means not the historical subject of things really happened(actor rerum gestarum), but is the philosophical concept that talks those things through the philosophical reflection on histo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