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Clozapine과 Haloperidol이 흰쥐의 미상피각과 측좌핵에서 Proenkephalin, Protachykinin 및 Proneurotensin의 유전자 표현에 미치는 영향

        이종범,조희중,임효덕 대한생물치료정신의학회 1995 생물치료정신의학 Vol.1 No.1

        Clozapine의 약리장용기전을 보다 구체적으로 밝혀보기 위하여, in situ hybridization의 방법을 이용하여 clozapine과 전형적 항정신병약물인 haloperidol의 장기 투여(28일간)가 흰쥐 미상피각 및 측좌핵에서 pENK, pTAK, pNT의 유전자 표현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pENK 유전자 표현에 미치는 영향 대조군의 경우 미상피각 및 측좌핵에 많은 pENK-mRNA 함유신경세포가 관찰되었다. Haloperidol 투여군의 경우 대조군에 비하여 미상피각에서 pENK-mRNA 함유신경세포들이 유의한 숫적증가를 보였으며(P<0.05). 측좌핵에서는 pENK-mRNA 함유신경세포의 유의한 숫적증가는 관찰되지 않았으나 pENK-mRNA 함유신경세포상의 은입자수의 유의한 증가가 관찰되었다(P<0.05). Clozapine 투여군의 경우 대조군에 비하여 미상피각 및 측좌핵에서 pENK-mRNA 함유신경세포의 수 혹은 pENK-mRNA 함유신경세포상의 은입자수의 변화는 관찰되지 않았다. 2. pTAK 유전자 표현에 미치는 영향 대조군의 경우 많은 pTAK-mRNA 함유신경세포가 미상피각 및 측좌핵에서 관찰되었으며 미상피각에서는 외측부에서 내측부보다 더 많은 pTAK-mRNA 함유신경세포를 함유하고 있었다. Haloperidol 투여군의 경우 대조군에 비하여 미상피각에서는 pTAK-mRNA 함유신경세포의 유의한 숫적감소(P<0.05) 및 pTAK-mRNA 함유신경세포상의 은입자수의 유의한 숫적감소가 관찰되었다 (P<0.05). 측좌핵에서도 대조군에 비하여pTAK-mRNA 함유신경세포의 유의한 숫적감소(P<0.05) 및 pTAK-mRNA 함유신경세포상의 은입자수의 유의한 숫적감소가 관찰되었다(P<0.05). Clozapine 투여군의 경우 대조군에 비하여 미상피각 및 측좌핵에서 pTAK-mRNA 함유신경세포의 수 혹은 pTAK-mRNA 함유신경세포상의 은입자수의 변화는 관찰되지 않았다. 3. pNT 유전자 표현에 미치는 영향 대조군의 경우 pNT-mRNA 함유신경세포는 미상피각에서는 매우 드물게 관찰되었으며 측좌핵의 경우 대조군에 비하여 미상피각 및 측좌핵에서 pNT-mRNA 함유신경세포 및 이들 세포상의 은입자수의 변화는 관찰되지 않았고, clozapine 투여군의 경우도 대조군에 비하여 아무런 변화가 관찰되지 않았다. 이상과 같은 연구결과는 clozapine을 장기투여할 경우, ENK, TAK 및 NT의 합성에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않음으로써, clozapine은 dopamine계나 dopamine계와 관련이 많은 GABA계, acethylcholine계와는 무관한 기전으로 작용하며 따라서 extra-dopaminergic system과의 관련성이 보다 중요한 기전임을 시사하고 있다고 하겠다. The goal of this study was to clarify pharmacological action mechanisms of clozapine(atypical antipsychotics) compared with haloperidol(typical antipsychotics). The author observed the level of proenkephalin(pENK) mRNA, protachykinin(pTAK) mRNA and proneurotensin(pNT) mRNA in the caudate putamen(CP) and nucleus accumbens(NA) of the rat with in situ hybridization histochemistry after chronic treatment for 28 days with haloperido(1mg/kg) and clozapine(20mg/kg).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Haloperidol induced the elevated level of pENK-mRNA in CP and NA, but clozapine made no significant changes in the level of pENK-mRNA in both areas. 2) Haloperidol decreased the level of pTAK-mRNA in CP and NA, but clozapine made no significant changes in the level of pTAK-mRNA in both areas 3) The level of mRNA was not changed in CP and NA after chronic administration of haloperidol or clozapine. The results suggest that the longterm phamacological action mechanisms of clozapine were not related with the dopaminergic system and might also be unrelated with GABA system and Ach system, which have close connections with the dopaminergic system. So, clozapine is suspected to have a more important effect on the extradopaminergic system.

      • KCI등재
      • KCI등재

        기관지천식 환자의 정신신체의학적 특성 : Focused on Alexithymia 감정표현불능증을 중심으로

        이종명,김상헌,임효덕 大韓神經精神醫學會 1996 신경정신의학 Vol.35 No.1

        본 연구는 감정표현불능증적 성격 경향이 정신신체질환을 가진 환자들의 고유한 성격적 특성인지를 알아보기위해, 단일 신체 질환인 기관지천식 환자군에서 지금까지 알려진 여러 가지 도구들을 사용하여 감정표현 불능증을 중심으로 한 정신신체의학적 특성들을 확인해보고자 하였다. 정상군(30명), 기관지천식 환자(30명), 정신분열증 환자(30명) 그리고 신경증 환자(33명)를 대상으로 하여 각 장애를 가진 환자들의 감정표현불능증적 경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정신의학적 면담과 BIQ, MMPI-A, TAS, 주제통각검사를 실시하였고, 각 군의 특징적인 성격 경향 그리고 내재하는 정신병리를 확인하기 위하여 MMPI와 SCL-90-R을 시행하였다. MMPI와 SCL-90-R에서 각 군은 정상 범위안에 있었는데, 신경증 환자군의 정신병리의 수준이 가장 높았고 정상군이 가장 낮았다. 기관지천식 환자군과 정신분열증 환자군은 양 극단 사이의 중간 수준을 보여주었다. BIQ 평균점수에서 기관지천식 환자군이 정상군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으며(p<0.05), 다른 군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MMPI-A 평균점수 및 TAS 전체 합산 점수 모두에서 각 군은 정상군과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주제통각검사에서 신경증 환자군은 가장 많은 정동 어휘를 기록하였지만 정상군과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는데 비해, 기관지천식 환자군과 정신분열증군 환자군보다 유의하게 많은 정동 어휘 수를 기록하였다(p<0.0001). 즉 기관지천식 환자군은 감정표현불능증적 경향이 주제통각검사에서는 신경증 환자군에 비해서 유의하게 많고(p<0.001), BIQ에서는 정상군에 비해서 유의하게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나(p<0.05), TAS, MMPI-A 검사 상에서는 정상군을 포함한 다른 대조군들과 유의하게 구분되지 않았다. 이러한 소견에 따라 본 연구는 감정표현불능증이 기관지천식 환자군만의 특징적 성격 특성이라는 추정에 대한 확실한 답을 얻지는 못하였지만, BIQ는 정상군과 정신신체질환군을 변별하는 데, 그리고 주제통각검사는 신경증군과 정신신체질환군간의 관계를 변별하는 데에는 유용함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대상의 수가 적고 보다 다양한 정신신체질환을 대상으로 하지 못하였다는 제한점을 가지고 있지만, 다음과 같은 4가지 연구 방향을 결론 내릴 수 있을 것이다. 첫째 향후 정신신체의학 연구에 있어서 다양한 집단 속에 존재하는 감정표현불능증을 감별해내는 데 있어서 각 도구들이 가진 특정한 변별 특이성을 고려하여 단일 도구가 아닌 각 도구들의 집합체를 종합적으로 이용해야 할 필요성, 둘째 향후의 연구로서 대규모 임상연구에 의한 정신신체질환과 정신병적 상태와의 관련성에 관한 연구, 셋째 외국 검사 도구들의 국내 임상에의 적용 과정에서 보다 철저한 신뢰도 및 타당도 검증과 한국화에 대한 연구 그리고 국내 독창적인 도구의 개발, 넷째 감정표현불능증적 경향이 실재로 정신신체질환에만 특정적으로 존재하는 성격적 소인이 아닐 가능성과 이런 방향으로의 국내 정신신체의학 연구 등이 그것이다. 앞으로 다양한 정신신체질환에서 감정표현불능증과 다른 정신과적 질환과의 관계에 대한 다각도의 연구와 함께 한국적인 상황에서 감정표현불능증을 평가하는 보다 신뢰성 있고 타당성 있는 도구의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This study is designed to evaluate psychosomatic characteristics, especially alexithymic tendency, of the patients with bronchial asthma and to determine whether alexithymia is a unique personality characteristic of the patient with classical psychosomatic disorder, using various methods developed for measurement of alexithymia. Thirty normal healthy persons, thirty patients with extrinsic bronchial asthma, thirty schizophrenic patients, and thirty-three neurotic patients were studied to assess differences in alexithymic tendency using the methods of thirty minute psychiatric interview, BIQ, MMPI-A, TAS and TAT. They were also assessed by MMPI and SCL-90-R to evaluate general personality traits and underlying psychopathology. All the groups were in the normal range of the scores of MMPI and SCL-90-R. The neurotic patients showed the highest level of psychopathology, and the normal group the lowest in both inventories. Bronchial asthma and schizophrenic patients, were between the highest and the lowest extremes of the scores. The mean score of BIQ in the bronchial asthma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in the normal group(p<0.05) and no difference was found among the other groups. The mean scores of MMPI_A and the total scores of TAS showed no difference among all the groups. In TAT the neurotic patients scored the highest in affect word counts and showed significantly higher counts than ther bronchial asthma patients and schizophrenic patients(p<0.0001), while they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with normal persons. That is, in TAT the group of bronchial asthma had more alexithymic tendency than that of the neurotic patients(p<0.0001), and in BIQ it had more alexithymic tendency than that of normal(p<0.05). Bronchial asthma patients were found to express less emotional words than normal persons and neurotic patients, but were not differentiated any more from groups of the schizophrenic, neurotic, and normal by TAS and MMPI-A. The authors with the inconsistent results of this study, could not confirm the assumption that alexithymia is the personality characteristic of patients with classical psychosomatic disease. But we found that BIQ was useful in discriminating between the groups of normal and psychosomatic disease, and TAT was useful in discriminating between the groups of neurosis and psychosomatic disease with alexithymia construct. This study has some limitations in the number of subjects and the diversity of psychosomatic diseases, but in spite of those limitations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 some considerations are needed for further investigation. They are as follows: First of all, a study on the need of the combination of multiple tools in consideration of the specific discriminating ability of each tool ; secondly, a clinical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ychosomatic diseases and the psychotic state in a large population ; thirdly, a study on the applications of foreign tools in the Korean culture and on the problem of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such tools ; and a study is needed on the possibilities that alexithymic tendecy is not a specific predisposing factor of personalities with psychosomatic disorder. It is thought that more variegated studies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diverse psychosomatic diseases and alexithymia, and on the development of reliable tools with validity in the measurement of alexithymia in the context of the Korean culture should be taken in further investigations.

      • KCI등재

        남자 알코올 의존 환자에서 감정자각의 결함

        이정재,조현진,권도훈,이승재,임효덕 大韓神經精神醫學會 2008 신경정신의학 Vol.47 No.1

        Objectives : The individual's ability to recognize and describe emotion in self and others is an important concept of many psychiatric disorder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emotional awareness deficits in patients with alcohol dependence. Methods : 55 male inpatients with alcohol dependence and 28 male normal controls were evaluated by the Korean version of the Levels of Emotional Awareness Scale (LEAS-K), the Korean version of the 20-item Toronto Alexithymia Scale (TAS-20K), the Openness Experience Inventory (OEI) and the Beck Depression Inventory (BDI). The LEAS-K. is an objective measure to assess the ability to be aware of one's own or another's emotions and the TAS-20 is the most widely used subjective measure of alexithymia. Scores of these scales were compared between two groups using ANCOVA controlling age and BDI scores. Results : The LEAS-K scores were significantly lower in alcohol-dependent patients than normal controls. The TAS-20K total scores, factor 1 (Difficulty to IdentiIying Feeling, DIF) and factor 3 (Extemally Oriented Thinking, EOT)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alcohol-dependent patients than normal controls. In contrast to the LEAS-K, the TAS-20K scores correlated significantly with the BDI scores. Conclusion : Emotional awareness is impaired in alcohol-dependent patients and it may not be related with depressive mood. Additional studies are needed to explore the significance of alexithymia, especially impaired emotional awareness, and its relationship to depressive mood in patients with alcohol dependence.

      • 메스암페타민 사용 환자의 정신과적 증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이춘우,권성민,조성남,권도훈,임효덕,이성국 대한생물치료정신의학회 2004 생물치료정신의학 Vol.10 No.1

        목 적 : 본 연구는 메스암페타민 남용 또는 의존 환자의 사회인구학적 특성과 이에 따른 동반된 정신장애를 알아보고, 메스암페타민 사용이 정신과적 증상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함이다. 방 법 : 2002년 7월부터 2003년 7월까지 국립부곡병원 약물중독진료소에 입원한 환자 중 DSM-Ⅳ 진단 기준에 의하여 메스암페타민 남용 또는 의존으로 진단된 44명의 남자 환자를 대상으로 사회인구학적 변인과 물질 의존의 병력, SCL-90-R, BPRS, HRSD, YMRS, Impulsive scale 등을 측정하였다. 결 과 : 메스암페타민 사용 환자들의 93.2%가 우울하였으며, 59.1%는 치료가 필요한 정도의 우울증을 가지고 있었다. 20대 연령층에서는 대인예민성, 적대감 및 공포증에서 유의하게 높았고, 중졸 이하의 교육 수준에서는 대인예민성, 충동성에서 유의하게 높았으며, 무직인 경우는 강박증, 불만, 적대감 및 조중 척도에서 유의하게 높았다. 처음 사용한 연령은 사용 횟수, 유병 기간과 유의한 상관 관계를 보였으나, 수감 횟수와는 낮은 상관 관계를 보였다. 사용 횟수와 적대감, 공포증, 편집증은 서로 유의한 정상관을 보였다. 우울증 척도와 정신병 척도 및 충동성 척도는 서로 유의한 정상관을 보였다. 100회 미만보다 500회 이상 사용했을 경우에 불안, 적대감, 공포증 및 편집증에서 유의하게 높았다. 결 론 : 메스암페타민 남용 또는 의존 환자에서 우울증 유병률이 매우 높게 나타났고, 20대 연령층과 중졸 이하의 교육 수준 그리고 무직인 경우 정신과적 증상이 많이 동반되었으며, 사용 횟수에 따라 불안, 적대감, 공포증, 편집증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그러므로 모든 메스암페타민 사용자에 대해 적절한 정신과적 평가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한다.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the comorbid psychiatric disorders and the effect of methamphetamine use on psychiatric symptoms in methamphetamine abuse or dependent patients. Methods : The study subjects were 44 hospitalized male patients who met the DSM-Ⅳ criteria for methamphetamine abuse or dependence. The study included items assessing the sociodemographic profiles, history of substance use, and psychiatric symptomatology. Psychiatric assessments were based on SCL-90-R, BPRS, HRSD, YMRS and Impulsive scale. Results : In methamphetamine use patients, 93.2% were depressed and 59% had moderate to severe depression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interpersonal- sensitivity, hostility and phobia in the 3rd decade age group, interpersonal-sensitivity and impulsive scale in .under the middle school education group, and obsession-compulsion, anxiety, hostility and. YMRS in no-job group, respectively compared to the other groups. Age of the first use was correlated with the frequency of use, and also with the duration of illness, but not with the number of incarceration. There were positive correlations among HRSD, BPRS and impulsive scale. In the above 500 times used group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anxiety, hostility, phobia and paranoia compared to the below 100 times used group. Conclusion : In methamphetamine abuse or dependent patients, the incidence rate of comorbid depression was 93.2%. In the 3rd decade age group, under the middle school education group and no-job group showed higher diverse psychiatric symptoms compared to the other groups. Frequency of use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symptoms such as anxiety, hostility, phobia and paranoia. We suggest that relevant psychiatric evaluations are needed for all methamphetamine users.

      • KCI등재

        한국판 20항목 Toronto 감정표현불능증 척도(TAS-20K)의 개발과 타당도

        이양현,임효덕,이종영 大韓神經精神醫學會 1996 신경정신의학 Vol.35 No.4

        최근 감정표현불능증은 정서조절의 장애(disorder of emotion regulation) 또는 정신생물학적 조절이상(psychobiological dysregulation)으로 재개00념화되고 있으며, 다양한 측정 방법들이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까지 이러한 장애를 검사할 타당도와 신뢰도를 인정받은 도구가 없는 실정이었다. 그래서 TAS가 개발되고 뒤이어 TAS-R이 개발되었으며, 새로이 TAS-20이 개발되어 여러 나라에서 신뢰도 및 타당도를 인정받았다. 그리하여 저자는 TAS-20을 문화와 언어가 다른 한국의 실정에 맞게 번역을 하여 한국에서의 타당도를 검정하고자 본 연구를 시도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한국판 20항목 감정표현불능증 척도(TAS-20K)의 특징적인 세가지 요인에 따른 감정표현 불능증의 전반적 차원을 확정적 요인 분석으로 검사하였다. 대상은 경북대학교 의과대학에 재학중인 의학과와 간호학과 학생 388명(남자 216명, 여자 172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이 연구의 확정적 요인 분석에서 TAS-20K의 타당도가 독일, 미국, 캐나다에서의 연구 결과보다 더욱 높게 나왔다. 다만 #5 항목은 우리 나라의 문화적 특성을 고려할 때 “나는 어떤 문제를 단순히 논리적으로 설명하는 것보다는 그 문제의 이유를 이해할려고 노력하는 편이다.”라는 내용으로 변경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생각된다. 그리고 이러한 검사가 더욱 다양한 연령군이나 사회경제적 배경 및 다양한 종류의 질환군을 표본으로 시행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이러한 한국형 척도의 개발을 위해서는 동서양의 문화적 차이 또는 우리 나라의 문화적 특성을 고려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는 점이 본 연구를 통하여 강조되었다. Alexithymia has been reconceptualized as a disorder of emotion regulation or psychobiological dysregulation in humans, and various measures have been developed. However, these measures have been found to lack adequate reliability and /or validity. So, Taylor and others initially developed the TAS, and later developed an improved version of the TAS(the TAS-R). More recent studies led to further refinement of the TAS-R,and to the introduction of a 20-item version(the TAS-20), which has demonstrated its reliability and validity in several countries. The aim of the this study was to translate the English questionnaire of the TAS-20 into Korean, so that it will be applicable to Korean society. Next, the study attempted to examine the validity of the TAS-20K. This study tested a general dimension of alexithymia with a three factor-model in the TAS-20K, using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The subject were 388 Korean undergraduate students: 216 males and 172 females in the medical and nursing schools of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In this study, we found the Korean version of the TAS-20 to be replicable and valid. By us-ing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the study revealed more valid results than the ones obtained in Germany, Canada, and the United States. Finally, this research should also assess samples of various age groups or various kind of patients The author stress that it is very important to consider cultural difference between the East and West and characteristic of Korean culture in developing a korean version of foreign scales.

      • KCI등재

        부정적 정서자극에 대한 타액 알파-아밀라제의 반응 특성

        우정민,이상호,임효덕,김상헌,송경은,박정란,이승재 大韓神經精神醫學會 2008 신경정신의학 Vol.47 No.5

        Objectives : The aim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salivary a-amylase reactivity (sAA), as a biological maker of stress, by viewing negative affective pictures. Methods : Forty six normal healthy subjec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Prior to the experiment, the participants completed baseline psychological assessment including trait-dependent anxiety scales. On experiment, saliva samples were collected one time before and three times after exposure to 5-min stressor consisting 20 negative affective pictures. The state-related scales were measured before and just after exposure to stressor to assess the subjects' state anxiety. Results : Overall, sAA was significantly decreased over time with the increase of negative affect score and state-anxiety. The Anxiety Scale Inventory scores were negatively correlated with the baseline as well as the other following sAA levels (all ps<.05) while the scores of the state-related scales were related not with the baselin but with the other followings. The baseline level of sAA was significantly lower in the higher susceptible group (change of Negative Affect score ?2, N=19) then in the lower counterpart (<2, N=27) in comparison between them (mean : 46.6 vs. 76.5 U/mL, P=.024). After the exposure, the means of sAA levels significantly decreased over time in the lower susceptible group, whereas did not in the higher one (mean : - 1.7 vs. -23.0U/mL, p=.031). Conclusion :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e baseline level of sAA and its reactivity depend on individual trait of anxiety as well as state of reactivity to affective stress.

      • SCOPUSKCI등재

        구순열 및 구개열 환자에 대한 Toxoplasma항체의 혈청학적 연구

        심영기,이세일,홍인표,정평림,장효죽 大韓成形外科學會 1993 Archives of Plastic Surgery Vol.20 No.1

        The etiology of the cleft lip and palate can be explained with a multifarious theory. According to articles, there are some relationships between congenital toxoplasmosis and the cleft lip&palate, but the direct relationships is not obvious. Therefore, this research aims to find the difference of the serum toxoplasma antibody titer between 172 cleft patients who have been treated at National Medical Center and their mother group of 81 cases, healthy control group of 150 cases. The antibody titer was identified by the indirect fluorescent antibody test(>16)and the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0.3). The results are as follow : 1. By ELISA, the positive rate of the cleft patients(8.1%, 14cases)and that of the mother group(9.9%, 8cases)is higher than the healthy control group(2.7%, 4cases)(p<0.05). 2. By IFAT, the positive rate of the cleft patients(10.5%, 18cases)is higher than the healthy control group(5.3%, 8cases), but the difference is not significant(p>0.05). And the positive rate of the mother group(13.6%, 11cases)is higher than the healthy control group(5.3%, 8cases)(p<0.05). 3. By ELISA and IFAT, the positive rate of the mother group is higher than the cleft patient but the difference is not significant. 4. By ELISA and IFAT, the positive rate of the cleft patients according to the clincal group is not significant. 5. By ELISA and IFAT, the positive rate of the chronic disease group(17.3% & 27.7%)is higher than the healthy control group(2.7% & 5.3%)(p<0.05).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