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Diversity in Organizations : Meaning, Implications, Value?

        Kwangseon Hwang 대한지방자치학회 2016 한국지방자치연구 Vol.18 No.2

        공공부문에서의 다양성 관리에 대한 관점은 여러 이론적 틀 안에서 발달되어 왔다. 일부 학계에서는 다양성 관리 접근법을 넘어서는 “비판적 다양성 접근법”을 제시하기도 하고, 어떤 학자들은 포괄적 관점으로서의 “다문화 환경 다양성”을 제시하기도 한 바 있다. 본 논문은 이러한 다양성 관리 부문에서의 다양한 관점을 조직관점에서 보다 나은 이해를시도하고자 한다. 의미, 취지, 다양성의 이슈 등의 관점에서 학문적으로 발달되어 온 다양성 관리에 논의를 살펴보고 논의의 차이 및 특징을 분석한다. 선행연구 및 최신 다양성 관리 문헌 분석에 따르면, EQUAL OPPORTUNITIES (동등 기회) 관점과 다양성 관리 관점의 경계는 모호하고 다양성 이해의 변화를 위한 학문적 시도는 제한적인 것으로 평가된다. 실증연구들도 이러한 제한성을 뒷받침하고 있다. 이러한 간극은 ‘평등’과 ‘효율성’의 가치연결의 복잡성에서 기인하는 것으로 보인다. While the diversity management perspective as well as the traditional view of representative bureaucracy have their role and characteristics in understanding of diversity (Groeneveld & Van de Walle, 2010), some urge to overcome a diversity management approach and suggest a critical diversity approach (Kersten, 2000; Lorbiecki & Jack, 2000; Zanoni, Janssens, Benschop, & Nkomo, 2010), and others suggest a comprehensive view of diversity such as a multicultural environment of diversity (Pitts, 2006; Selden & Selden, 2001). This article examines these different perspectives on diversity in organizations and draws implications for diversity studies. I discuss the meaning, origins, and issues of diversity. The differences between EO and diversity perspectives are not clear-cut and the shift of understanding diversity is only partial. Moreover, empirical support for each argument is limited and mixed. These divergences originated from the complexity of link of diversity to the value of equity (or equality) and efficiency. Some see different “motivation” caused different approaches to the diversity. Recently, others found an empirical evidence that both equity and efficiency are accomplished simultaneously.

      • KCI등재

        Responsible Government

        Kwangseon Hwang(황광선) 한국공공관리학회 2016 한국공공관리학보 Vol.30 No.2

        This study examines public opinion toward responsible government in terms of accountability dilemma between financial and performance accountability. Using survey data from the International Social Survey Program (ISSP) “The role of Government 2006,” a question ‘what do the public consider more between finance accountability and performance accountability as to the responsible government?’ was analyzed in the national level such as US, Sweden, and Korea as well as an international level. According to the OLS regression results, in sum, spending (financial accountability) impacts positively responsible government while performance (performance accountability) affects negatively to responsible government in general. Financial accountability is much valuable than performance accountability when expecting a responsible government. The result showed the reversed perception gap between finance accountability and performance accountability. The slogan “works better and cost less” does not fit at least to the public view. Instead the citizens seem to argue that “spending matters.”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are discussed.

      • KCI등재

        융합 R&D 부문의 표준정책 이해 및 정책 방향성 고찰

        황광선(Kwangseon Hwang) 한국기술혁신학회 2016 기술혁신학회지 Vol.19 No.3

        본 연구는 일반적인 현상으로서의 표준정책을 과학기술 연구를 수행하는 과학자들의 입장에서 이해하고, 과학자들의 인식 및 행태 속에 투영 된 표준정책을 질적으로 탐구한다. (1) 융합 R&D 부문에서 표준정책의 방향성과 (2) 그러한 표준화 방향성을 위해 정부의 역할과 융합 R&D 연구자들의 역할을 탐색하였다. 15명의 융합 R&D 과학자들과의 인터뷰 분석 결과, 융합 R&D에서의 표준화는 분명 일반 R&D에서의 그것과는 차이가 있었고, 융합 R&D현장에서의 표준화 고민이 복합적이고 다양하다는 점을 엿볼 수 있었다. 융합 R&D와 표준의 관계에서 융합기술결과에 대한 낮은 예측가능성으로 인해, 기술의 경쟁력 및 객관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R&D를 일정기간 수행한 다음, 기술의 표준화 업무가 진행되는 것이 일반적인 융합 R&D와 표준의 관계로 해석해 볼 수 있었다. 우리나라의 국가표준정책이 취해야 할 정책 방향성은 “민간(시장) 주도의 표준 리드”로 압축된다. 정부는 공공부문에 대한 것은 정부주도의 표준화를 진행하고 민간 부문에 대한 것은 최대한 민간 자율에 맡겨 자연스럽게 글로벌 표준을 선도하도록 환경을 조성해 주는 것이 필요하다. 이렇듯, 국가표준정책에서 정부의 역할은 “조력자”의 역할로 요약된다. This study examines how scientists understand standardization and standardization policy in the Korean national R&D context and analyze future policy direction of standardization policy. Interview with 15 scientists at universities and government-funded research institutes who have participated national R&D (particularly in the field of technology convergence) were conducted. The results show that considerations of standardization at the process of technology convergence is somewhat different from them at the process of general R&D. Also, considerations of standardization at the process of technology convergence is needed at the later time within the R&D time schedule because of low visibility and forecasting on the technology convergence outcome. It finds that “standardization by private sector” is the future policy direction in Korea. The government needs to be remained as “helper” for private sector to lead standardization in a globalized market.

      • KCI등재

        융합기술 표준화 전략 방향에 대한 질적 탐구

        황광선(Kwangseon Hwang) 표준인증안전학회 2017 표준인증안전학회지 Vol.7 No.2

        본 연구는 융합부문에서 표준화는 어떻게 발전되어야 할지를 고찰한다. 대학 및 출연연구소의 과학자들을 대상으로한 인터뷰를 토대로 질적 분석을 시도하였다. 기존 연구는 매우 표준화 일면 일면의 개선에 대한 연구가 대부분이다. 또한 방법론 역시 정량적인 요소가 크다. 본 연구는 정성적인 질적 연구로서 융합 부문에서 연구하는 20명의 과학자들과의 FGI를 통해 향후 융합 부문에서 나타나는 “표준화”전략 및 정책이 지향해야할 방향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표준, 국가, 시장과 관련하여 본 연구 FGI 참여 과학자들은 국가와 시장의 표준에서의 중복적 역할을 인지하고 있었다. 하지만, 향후 융합 R&D에서의 표준은 민간주도로 이루어져야 함을 역설하고 있다. 향후 표준화가 중요한 융합기술로는 3D printing 제조기술에 대한 표준화, wearable 기술의 평가 표준화, 드론 및 관련 부품에 대한 표준화 등을 주요 표준화 과제로 제시하였다. 또한 표준 경쟁을 불러올 기술로는 3D printing 기술과 융합기술분야, 새로운 통신 서비스/의료기기 관련 기술/고령화 시대 제품에 대한 표준화, 차세대 디스플레이 기술/전기 자동차/수처리 기술이 경쟁할 것으로 예측되었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토대로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examines how scientists understand standardization and standardization policy in the Korean national R&D convergence context and analyze future policy direction of standardization policy. Interview with 20 scientists at universities and government-funded research institutes who have participated national R&D (particularly in the field of technology convergence) were conducted. The results show that market-driven standardization might be better way for national standardization policy. Critical convergence technologies for the future standardization are presented: 3D printing, wearable technology evaluation, drone and related component and so on. Also, technologies that are expected to ignite standardization competition were discussed with medical and ICT technologies, display and electronic cars and so on. Discussions and implications are followed.

      • KCI등재

        비용편익분석에서의 ‘참작 대상 및 범위(standing)’ 이슈: Whittington-MacRae, Trumbull, Zerbe 논쟁 평가와 지속가능 정책분석

        황광선 ( Kwangseon Hwang ),김국진 ( Gook Jin Kim ) 동의대학교 지방자치연구소 2021 공공정책연구 Vol.38 No.2

        본 연구의 목적은 Whittington·MacRae, Trumbull, 그리고 Zerbe의 정책분석 영역에 있어서의 ‘참작 대상 및 범위(standing)’에 관한 논의 및 논쟁을 재고찰 해보는데에 있다. 그리고 상호 간의 차이점을 문헌분석 및 실증주의·후기 실증주의 관점을 통해 한계점 및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먼저, Whittington·MacRae과 Trumbull의 ‘standing’에 관한 논쟁은 비용편익분석(CBA)에 대한 서로 다른 관점으로부터 발생하였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Whittington·MacRae는 비용편익분석을 광의의 정책분석 관점으로 바라본 반면, Trumbull은 협의 관점으로 바라본 것이다. 하지만 이러한 차이점에 대한 논쟁은 상호 보완관계를 형성하며 정책분석 영역의 발전으로 이어져야 함을 본 연구는 강조한다. 이는 통합과 종합을 강조한 John Dewey의 철학이 주는 메시지를 떠올리게 한다. The aim of this essay is to analyze the debate by Whittington- MacRae, Trumbull, and Zerbe on the issue of standing. A concise form of assessment in the Whittington-MacRae, Trumbull, and Zerbe debate is specified and the literature analysis is conducted. The gaps between Whittington-MacRae and Trumbull are attributed to the different scope of views on CBA. Whittington- MacRae consider CBA as a broad public policy analysis, while Trumbull takes a narrower view. Their nuanced angles but complementing each other in other way should be leads to policy knowledge as a guidance. This essay observes that the debate by WM and T inspires efforts to integrate the positivist and post-positivist perspectives then affects the attitude of policy analysts in the field of public management, which reminds us John Dewey’s holistic philosophy. Policy analysts or practitioners need to remap the goal and the instrument as policy knowledge for a goal and policy analysis approaches for a tool.

      • KCI등재

        국가연구개발 성과관리 정책 특징 분석

        황광선(Kwangseon Hwang),김흥주(Heungju Kim),조일형(Ilhyung Cho) 한국정책과학학회 2016 한국정책과학학회보 Vol.20 No.2

        본 연구는 국가연구개발 사업의 결과인 연구성과물과 관련하여 범정부적으로 제시되거나 실행되고 있는 성과관리 정책을 분석하여 그 특징을 알아보기 위해 시도되었다. 국가연구개발 성과관리 정책의 특징을 도출하기 위해 대표 정책인 「연구성과 관리・활용 기본계획」을 먼저 살펴보고, 연구성과관리 정책을 담고 있는 여타 정부 중장기 계획 및 방안 27개 자료를 가지고 주제 분석(thematic analysis)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연구성과의 관리・활용에 관한 기본계획에서 강조되는 내용들이 이와 관련된 유관정책에서도 초점을 두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즉 현재 연구성과관리의 특징은 연구성과의 활용, 공유, 확산에 대한 부분과 기술이전・ 사업화에 큰 관심을 두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으며, 이를 뒷받침해 줄 수 있도록 조직 및 제도적 차원에서의 토대 마련 및 산・학・연 간의 협업 활성화 방안이 강조되고 있었다. 이러한 분석결과에 기초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explores national R&D policy in terms of performance management. We analyze the main themes of Korean R&D performance management using a thematic analysis with 27 governmental plans and policies which are related to R&D performance management. The results show that the main themes of Korean R&D performance management are utilities, sharing, and diffusion of R&D outcomes as well as technology transfer·commercialization. In order for these, organizational and institutional support and cooperation among industry·university·research institute are emphasized. Implications are discussed.

      • KCI등재

        융합연구정책의 효율적 논의를 위한 과학기술분야 융합연구과정에 대한 질적 탐구

        황광선 ( Kwangseon Hwang ) 한국정책학회 2015 韓國政策學會報 Vol.24 No.4

        정부의 투자가 증대되는 시점에서 효율적인 융합연구정책 논의를 형성하고 과학기술분야 연구자들의 생산적인 융합을 촉진하는 정부 역할에 대한 논의가 절실한 시점에서 본 연구는 정부의 융합연구정책의 기본은 “융합연구 현장 깊숙이” 있다는 인식 하에, 융합연구의 과정을 질적으로 탐구해 보았다. 연구자들이 노력해야 할 부문과 국가에서 제도적으로 뒷받침 해주어 할 부문에 대한 분석을 하였다. 44명의 과학기술분야 융합연구자 인터뷰 분석에 따르면, 대부분 연구의 시작, 중간, 마무리의 단계에서 융합연구자들이 보이는 행태는 연구자들의 개인적인 역량, 관계, 노력의 문제로 나타난다. 연구의 시작단계에서는 개발될 결과물의 실효성에 대해 미래의 실수요자에 대한 충분한 검토, 과제 목표 및 역할 분담, 리더십, 참여연구자의 역량, 소통 등이 중요하고, 연구 중간 단계에서는 참여 연구원간 신뢰, 비정기적 미팅, 연구자 간의 배려 및 마음 소통, 인력교류, 담당역할에 대한 기술적 이해 및 타 분야의 기술방향 이해가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제도적 측면에서는 융합연구의 방향성, 성과평가에 대한 부문, 융합연구에 대한 후속지원 강화에 대한 부문이 정부가 집중해서 논의하고 지원해야 할 융합연구정책으로 나타났다. With the increase of R&D investment on technology convergence, we need to examine the role of governmen in accelerating technology convergence. This study looks into scientists who research in the field of technology convergence in a qualitative way. The goal of the study is to figure out the way how government should support the researchers thereby revitalizing technology convergence. According to the analysis based on the data obtained from 44 interviewees, it seems that most responsibilities within the process of technology convergence lies on the researchers themselves. For example, at the beginning stage of the convergence project, researchers’ anticipation on the utility of the research results, setting the goal and dividing roles, leadership, participants’ capacity, communications are important. After the research is initiated, trust among the researchers, non-regular meetings, understanding one another, interaction between researchers are crucial for the successive convergence research. For the discussion of R&D policy of technology convergence, the government should redouble efforts in the arena of direction of convergence research policy, performance evaluation, and follow-up support.

      • KCI등재

        중소기업의 기술이전・사업화 경험 차이에 따른 정부 정책수단별 중요도 차이 분석

        황광선(Kwangseon Hwang),김흥주(Heungju KIm) 한국정책과학학회 2016 한국정책과학학회보 Vol.20 No.3

        국가 R&D의 주요 목적 중의 하나는 공공연구기관(대학 및 정부출연연구소)의 R&D 결과로 발생한 기술이 기업으로 이전되어 우리 산업 활성화에 기여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 연구들이 “기술이전 및 사업화(하나의 종속변수)”에 영향을 주는 요인 탐구에 치중했다는 점을 문제의식으로 삼고, “기술이전”까지만 경험한 기업과 다음 단계인 “사업화”까지 경험한 기업들이 느끼는 정부정책의 중요성에 차이가 있지 않을까라는 질문을 풀고자 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중소기업이 기술이전을 받고 난 이후 사업화까지 이르는데 있어서, 기업 입장에서 느끼는 정부 지원책의 중요성 변화를 실증 분석하였다.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한 설문을 가지고 T-검정 및 회귀분석을 한 결과, 기술이전까지 경험한 중소기업의 정책에 대한 인식과 기술이전을 넘어 사업화까지 경험한 기업의 정책에 대한 인식은 차이가 있고, 사업화 단계까지 고려한 정부정책에서 중요하게 여겨지는 것은 ‘중소기업밀착지원정책’임을 발견하였다. 공공기술의 기술이전을 넘어 사업화를 위해서는 출연(연)・대학과 중소기업의 기술매칭에 대한 정책적 노력과 공공연구기관의 연구장비가 수요 중소기업에게 적시에 활용될 수 있는 제도 개선 등에 정부의 역량이 보다 집중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One of the important aims of national R&D is to encourage technology transfer and commercialization from university and governmental research institutes to industry. Previous studies have found lengthy sources affecting to the success of technology transfer and commercialization. This study, however, distinguishes commercialization from technology transfer and examine SMEs’ policy cognition upon their different experiences between technology transfer and commercialization. Based on data which surveyed SMEs in 2015, notable findings are unclosed. There was a difference in SMEs’ policy cognition according to their different experiences between technology transfer and commercialization. The difference was strongly revealed in “friendly assistant policy for SMEs.” The government need to put more efforts on technology matching between university/governmental research institutes and SMEs. Also, technology facilities located in public sector need to be utilized for SMEs.

      • 이동식 크레인 경량화를 위한 붐의 최적설계

        유광선(Kwangseon Yoo),박정완(Jeongwan Park),히다카 신이치(Hidaka Sinichi),한석영(Seogyoung Han) 한국생산제조학회 2010 한국공작기계학회 추계학술대회논문집 Vol.2010 No.-

        Optimum design of movable hydraulic crane's booms for weight reduction was performed in this study. Since the boom weight of the presently used booms is very heavy, it is needed to make them lighter structure as possible as we can. Optimum design was performed for the booms by changing from the hexagonal cross section to triangular truss structure under the conditions, which are the allowable stress for the present cross section must be maintained, and the optimized weight must be minimized. As a results, The optimized weight of the booms is reduced to about 19.88% comparing to the original weight.

      • 비선형 위상 최적화를 위한 개미군집 알고리즘의 개발

        유광선(Kwangseon Yoo),김동연(Dongyeon Kim),엄영섭(Youngsop Eom),박재용(Jaeyong Park),한석영(Seogyoung Han) 한국생산제조학회 2010 한국공작기계학회 추계학술대회논문집 Vol.2010 No.-

        In this study, Ant Colony Optimization(ACO) algorithm is applied to topology optimization of geometrically nonlinear problem. It is performed Nonlinear Finite Element Method analysis using Ansys. Convergence criterion was used for P.I.(performance index) and error size is assumed to be 0.01% . As result, The ACO algorithm is a robust and stable algorithm in topology optimization for geometrically nonlinear proble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