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Ten-Year Follow-Up of Transcranial Magnetic Stimulation Study in a Patient With Congenital Mirror Movements: A Case Report

        Eu-Deum Kim,김기욱,Yu Hui Won,Myoung-Hwan Ko,Jeong-Hwan Seo,Sung-Hee Park 대한재활의학회 2019 Annals of Rehabilitation Medicine Vol.43 No.4

        Most studies concerning congenital mirror movements (CMMs) have been focused on the motor organization in the distal hand muscles exclusively. To the best of our knowledge, there is no data on motor organization pattern of lower extremities, and a scarcity of data on the significance of forearm and arm muscles in CMMs. Here, we describe the case of a 19-year-old boy presenting mirror movements. In these terms, a 10-year transcranial magnetic stimulation study demonstrated that the motor organization pattern of the arm muscles was different from that of distal hand and forearm muscles even in the same upper extremity, and that the lower extremities showed the same pathways as healthy children. Moreover, in this case, an ipsilateral motor evoked potentials (MEPs) for distal hand muscles increased in amplitude with age, even though the intensity of mirror movements decreased. In the arm muscles, however, it was concluded that the contralateral MEPs increased in amplitude with age.

      • KCI등재

        장용성 연질 캡슐 오메가3 지방산의 흡수율 평가

        박으뜸,박유헌,박성선,서형주,Park, Eu Deum,Park, Yooheon,Park, Sung-Sun,Suh, Hyung-Joo 한국식품영양학회 2012 韓國食品營養學會誌 Vol.25 No.4

        본 연구에서는 혈액 내에서의 오메가-3 지방산의 함량 변화를 측정하여 연질 캡슐과 장용성 캡슐의 차이를 검토하였다. Fish oil 중의 EPA와 DHA의 총합의 함량이 62.87 g/100 g으로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연질 캡슐의 경우, 제 1시험액(위액)에서는 내부의 지방이 70% 용출된 반면, 장용성의 경우 10% 정도만이 용출되었다. 제 2액(소장액)에서도 6시간까지 50% 정도 용출되어 90분에 50%가 용출된 일반 연질 캡슐과 대조적이었다. 기존에 사용하였던 연질 캡슐의 EPA 및 DHA는 흡수 초기에 장용성 캡슐에 비하여 다소 높은 비율을 보인 반면, 8시간 이후 장용성 캡슐 섭취한 경우 EPA와 DHA의 혈액내 함량이 비율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경구 투여 48시간 후 지방산 조성은 장용성 캡슐에서는 mono-, poly-unsaturated fatty acid 혈액 내의 함량이 다소 높은 경향을 보였으며, saturated fatty acid 함량 역시 다소 높은 경향을 보였다. EPA와 DHA의 함량은 혈액 내에서 각 지방 분획에서의 함량 차이를 정확하게 측정하기 힘들었다. 이상의 결과에 의하면 장용성 캡슐은 위장관을 통과하여 장에서 용출되는 특성 때문에 지속적인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We investigate the changes of fatty acids in blood for an evaluation of the effects of soft and enteric coated capsules containing omega 3 fatty acids. Fish oil, which contained 62.87 g/100 g of sum of EPA (eicosapentaenoic acid) and DHA (docosahexaenoic acid), was used as nutracueticals for omega 3 fatty acids. Lipid releasing amount in soft capsule was 70% in stomach condition. However, there was 10% of releasing amount of lipid observed in enteric coated capsule in stomach condition. In intestinal condition, 50% of lipid releasing amount in enteric coated capsule showed until 6 hr, but soft capsule until 90 min. EPA and DHA contents in soft capsule administration showed higher level than those in enteric coated capsule until 8 hr. However, the administration of enteric coated capsule showed higher level of EPA and DHA in blood after 8 hr. After 24 hr, mono-, poly-unsaturated and saturated fatty acids contents with enteric coated capsule showed higher level than those with soft capsule. The enteric coated capsule containing omega 3 fatty acids was expected to sustain omega 3 fatty acids.

      • KCI등재

        지방대학 신입생들의 학업중단 영향요인간 구조적 관계 분석

        남민우(Nam, Min-Woo),이해듬(Lee, Hae-Deum),백은주(Baik, Eun-Joo) 순천향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6 순천향 인문과학논총 Vol.35 No.4

        이 연구는 지방대학 신입생들을 대상으로 학업중단 영향요인간 구조적 관계를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 연구를 위하여 학업중단에 영향을 미치는 내생변인으로 대학 만족도, 대학생활 적응도를 설정하였고, 가정생활ㆍ경제수준, 학 업적 자기효능감, 전공 적성 및 진로 부합도, 교수와의 상호작용성, 전공의 취업전망도를 외생변인으로 하는 연구 모델을 설정하였다. 지방소재 대학의 신입생 627명을 대상으로 설문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연구 모델에 포함된 요인들의 상관 관계 매트릭스를 LISREL에 삽입하여 구조방정식 모델 분석을 수행하였다. 이 연구의 주요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이 연구에서 제시된 구조방정식 모델의 전반적 적합도 검증 결과는 RMSEA=.058, RMR=.048, GFI=.894, AGFI=.868, CFI=.927, IFI=.927, CN=244.91 등으로 분석되어 모델의 적합도는 양호하였다. 둘째, 구조방정식 모델에서 관계성을 분석한 결과 지방대학 신입생들의 학업중단 의도에 대해 대학 만족도, 대학생활 적응도, 전공 적성 및 진로 부합도, 학업적 자기효능감, 교수와의 상호작용성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 만족도에는 전공 적성 및 진로 부합도, 교수와의 상호작용성이, 대학생활 적응도에는 대학 만족도, 학업적 자기효능감, 교수와의 상호작용성이 유의미한 직접효과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결국 모델의 변인 간 직접ㆍ간접효과와 경로 관계를 분석한 결과 대학 만족도, 대학생활 적응도, 전공 적성 및 진로부합도, 교수와의 상호작용성이 학업중단의 영향요인 간 관계에서 핵심변인으로분석되었다. The study purpose was to identify what factors affect academic dropout intention of local university freshmen. A sample of 627 university freshmen participated in the research. According to the goodness-of-fit test results (RMSEA=.058, RMR=.048, GFI=.894, AGFI=.868, CFI=.927, IFI=.927, CN=244.91), the model turned out to be good enough to conduct the research. It was identified that university satisfaction, adaptability to university life, academic self-efficacy, major fitness/career relation, and professor-student interaction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academic dropout intention. In terms of direct effect result, university satisfaction, academic self-efficacy and professor-student interaction had significant relationships with adaptability to university life. The study result also confirmed that university satisfaction was influenced by major fitness/career relation, professor-student interaction. Finally, university satisfaction, adaptability to university life, major fitness/career relation, and professor-student interaction were identified as key variable through their direct and indirect effect on academic dropout intention of local university freshmen.

      • KCI등재

        정치인 이미지 구성 요인과 유권자의 투표 행위

        김재범(Jae Bum Kim),최믿음(Mi Deum Choi) 한국광고홍보학회 2013 광고연구 Vol.0 No.98

        정치인의 이미지는 정치 커뮤니케이션 영역에서 유권자의 정당 충성도 및 후보자가 제시하는 정책 이슈와 함께 투표의사 결정 모델에서 중요한 요인으로 간주되어 왔다. 특히 정치적 이슈가 날로 복잡해지고 후보자들이 내세우는 공약의 차이마저 줄어들면서 정당의 특성이나 이슈보다도 미디어를 통해 전달되는 정치인의 이미지가 중요해지기 시작하였다. 이에 따라 다양한 연구들이 정치인 이미지를 구성하는 요소를 밝히고 나아가 정치인의 종합적인 이미지가 유권자의 정치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력을 설명해 왔다. 그러나 그간의 정치인 이미지 요인을 추출하는 방법은 비교적 제한적이었다고 판단된다. 이에 이 연구는 정치인 이미지 구성 요인에 대한 근본적 물음을 던져보는 데 목적을 두고 정치인 이미지가 어떠한 하위 차원으로 구성되는가를 보다 체계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아울러 새롭게 구성된 정치인 이미지 요인이 유권자의 정치 선거(대통령 선거, 국회의원 재보궐 선거) 투표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정치인(대통령, 국회의원)의 이미지를 구성하는 요인은 ‘부정부패/독선, 능력, 기회/지역이기주의, 인기/목소리, 배경, 리더십/카리스마, 외향/말솜씨, 정의/성실’ 등의 요인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이와 같은 이미지 요인 중에서 ‘부정부패/독선’ 요인은 대통령 선거 투표의도에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정의/성실’ 요인, ‘목소리/인기’ 요인, ‘배경’ 요인이 국회의원 선거 투표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는 시대적 상황에 부합하는 정치인 이미지 요인 구조를 밝히기 위해 이를 측정할 수 있는 정치인 이미지 측정 항목을 체계적인 절차를 통해 개발하고 분석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A statesman`s image delivered via media has begun to be more important than the party`s characteristics or issues as political issues got increasingly complicated and differences in pledges among candidates got reduced. Accordingly, various studies have clarified elements composing a statesman`s image and further accounted for the influence of a statesman`s general image on electors` political behavior. However, the current researcher believes that the methods of extracting image factors of statesmen have been limited so far. Thus, for the purpose of asking radical questions about the componential elements of statesmen`s images, this study tries to more systematically analyze what sub-dimensions statesmen`s images consist of. In addition, in examines the influence of the elements of the composed images of statesmen on the voting intention in political elections. As a result, it has turned out that the factors constituting statesmen`s(including the president and congressmen) images include corruption/self-righteousness, competence, opportunity/local egoism, popularity/voice, background, leadership/charisma, extrovertedness/speech skills, justice/sincerity. In addition, of those image factors, the corruption/self-righteousness factor has turned out to have negative influence on the voting intention in the presidential election, and the factors of justice/sincerity, voice/popularity, and background have appeared to have influence on the general election.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has developed measurement items for statesmen`s images through a systematic procedure and analyzed the structure of factors in order to explicate the structure of the factors of statesmen`s images in accordance with the contemporary situations.

      • KCI등재

        MBC 프라임 타임 대 뉴스 시청의도 및 파업 지지의도에 관한 연구: MBC 파업 기간의 20-30대 연령층을 중심으로

        이정기 ( Jeong Ki Lee ),최믿음 ( Mi Deum Choi ) 한국지역언론학회 2013 언론과학연구 Vol.13 No.2

        이 연구는 언론 파업에 대한 일반적 인식과 MBC 뉴스보도의 공정성 및 뉴스가치평가, 그리고 계획행동이론 변인을 통해 2012년 MBC 파업 기간 동안 뉴스 시청자들의 MBC 프라임 타임 대 뉴스(뉴스데스크) 시청의도와 파업지지 행동의도를 이끌어 내는 결정요인을 탐색하였다. 연구결과 파업 기간 동안의 사측 지지행동으로 설정한 MBC 뉴스데스크 시청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뉴스가치평가 변인 중 뉴스 선호도(+)와 뉴스 신뢰도(+), 계획행동이론 변인 중 태도와 인지된 행위통제 변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파업 기간 동안 노동조합원들의 파업지지 행동의도를 결정하는 요인은 언론사 파업에 대한 인식(+), 뉴스 공정성 변인 중 다양성(-), 뉴스가치평가 변인 중 대표성(-), 계획행동이론 변인 중 태도와 주관적 규범, 인지된 행위통제 변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MBC 뉴스데스크 시청의도에 비해 파업지지 행동의도의 경우 뉴스가 가진 저널리즘적 특성이 반영될 경향이 높다는 사실을 보여준다. 이 연구는 이상의 결를 바탕으로 MBC 뉴스의 저널리즘적 가치와 공공성 구현을 위한 제언을 하였다. This study explored the determinant to draw the watching intention of MBC prime time news of news watcher and intention of strike support behavior during MBC strike period of 2012 through variables of general recognition on press strike, fairness of MBC news coverage, news valuation variable and theory of planned behavior. As a result of study, variables affecting the watching intention of MBC prime time news (News Desk) set as the support behavior of company during the strike period were found to be news preference(+) and news credibility(+) out of news valuation variable, and attitude,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out of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In addition, variables determining the strike support behavior intention during the strike period were recog nition on the press strike(+), diversity (-) in news fairness variable, representativeness(-) in news valuation variable, and attitude, subjective norm,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variable in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Such result shows that it is highly likely that journalism feature of news will be reflected in strike support behavior intention compared to watching intention of MBC news. This study proposes for implementation of journalism value and public interest of MBC news based on the results of such results.

      • KCI등재후보

        대학 체험기반 전공 수업 사례와 학습성과 분석

        남민우(Min-Woo Nam),이해듬(Hae-Deum Lee) 구성주의유아교육학회 2018 구성주의유아교육연구 Vol.5 No.1

        본 연구는 대학의 체험기반 전공 수업사례를 분석하여 체험기반 수업의 핵심요소를 추출하고, 학생들의 수업 만족도와 일반 수업과의 강의평가 점수를 비교하여 학습성과를 분석하였다. 대학에서 시행하고 있는 전공 수업사례를 분석한 결과 체험기반 수업의 핵심요소는 수업설계 측면에서 요구분석, 현장 중심 실제적 문제(과제), 구체적인 강의계획(이론과 체험의 조화로운 서례)이 있으며, 체험활동 측면은 팀 학습활동, 커뮤니케이션, 수행평가, 자기성찰 등이 도출되었다. 체험기반 수업에 대한 학생 만족도를 분석한 결과 전반적으로 7.0점 만점에 6.0점 이상의 매우 높은 점수를 나타냈으며, 특히 일반 수업에 비해 학생들의 수업 참여를 보다 적극적으로 유도하였으며, 이는 자기주도적으로 수업 관련 실제 체험을 해 볼 수 있다는 점에서 학생들의 만족도가 매우 높게 나타났다. 체험기반 수업의 강의평가 점수는 일반 수업보다 더 높게 나타나 학생들에게 긍정적인 평가를 받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전반적으로 체험기반 수업은 학생들의 적극적인 수업 참여를 유도하였고, 학생들이 수업 내용을 이해하는데 일반 수업보다 효과적이었으며, 이러한 체험기반 수업은 참여 학생이 다른 학생들에게도 이 수업을 추천하고 싶다는 반응으로 이어지고 있었다. This study analyzed experience-based major classes in university case and extracted core element of experience-based major classes and analyzed learning achievement by comparing learning satisfaction and result of lecture evaluation of general major classes and experience-based major classes. This study drew core elements of experience-based classes from analyzing major classes in university. It is as in the followings, in instructional design aspect need analysis, field-based practical problems(projects), detailed lecture plan and harmonious design with theory and experience, in experience activity aspect learning activity, communication, performance assessment and self-examination are turned out core elements. This result of satisfaction analysis of students about experience-based classes showed generally high score at 6.0 out of 7.0. Experience-based classes drive students to participate in the class more actively so students are satisfied in terms of they can do self-directed participation about classes. The score of lecture evaluation of experience-based classes are higher than general classes. It means students evaluate experience-based classes as positive. Experience-based classes induced student to participate classes actively and it is more effective than general classes to understand contents. This study show students who participate experience-based classes want to recommend it to other students.

      • KCI등재

        지방대학 신입생들의 학업중단 예측도구 타당화

        백은주,남민우,이해듬,Baik. Eun-Joo,Nam. Min-Woo,Lee. Hae-Deum 순천향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5 순천향 인문과학논총 Vol.34 No.2

        이 연구는 지방대학 신입생들에게 맞춤형으로 적용할 수 있는 학업중단 예측 도구의 타당성을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학업중단 영향요인과 관련한 선행연구들을 심층 분석하여 다양한 변인들과 하위문항을 구성하였고, 도구의 타당화를 체계적으로 검증하였다. 선행연구 고찰과 전문가 내용타당도 검증을 통해 구성된 학업중단 예측도구를 지방대학 신입생 627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이 연구의 주요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지방대학 신입생 들의 학업중단 예측도구는 가정환경ㆍ경제수준(4문항), 학업적 자기효능감(3문항),전공의 적성 및 진로 부합도(5문항), 교수와의 상호작용(3문항), 전공의 취업전망 도(3문항), 대학생활 적응도(5문항), 대학만족도(3문항)로 총 7개 요인, 26개 문항으로 최종 구성되었다. 최종 척도에 대한 신뢰도 검증을 위해서 내적합치도를 산출하였고, 측정모델을 활용한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구인타당도를 검증하였다. 전반적인 분석결과는 본 학업중단 예측도구가 지방대학 신입생들의 학업중단 영향요인을 측정하는데 비교적 신뢰롭고, 타당한 도구로 활용될 수 있음을 보여 주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nduct an in-depth analysis of previous studies related to causing factors of academic dropouts, construct various factors and sub-questions for a customized tool for the local university students, then lastly, systamatically verify the tool’s validity. The academic dropout prediction tool which was constructed by looking into previous studies and going through expert’s content validity test was used to collect data from 627 local university freshmen. The summary of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came out as follows. The exploratory factor analysis resulted in 26 questions composed of 7 factors: home environment/economic standard(4 items), academic self-efficacy(3 items), major fitness/career relation(5 items), professor-student interaction (3 items), their current major’s possibility of employment(3 items), adaptability to university life (5 items), university satisfaction (3 items). For the varification of the final criterion, the internal consistancy was calculated, and through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the construct validity was confirmed. The overall analysis confirmed that the prediction tool was congruent and valid when measuring the factors that causes local university freshmens’ dropping out of their academic stud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