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의과대학 전공역량 모델링 및 역량지표 개발

        이해듬 대학교육개발센터협의회 2022 대학 교수-학습 연구 Vol.15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model the major competencies for the Korean Medicine colleges by reflecting the needs for a field-centered education and referring to the results of analyzing Koreanme dicine doctors’ primary treatments. For this purpose, the researcher developed s of ‘major competency, sub-competences, components and indicatives’ so that the actual curriculum units could be encompassed, and thereby, be verified for their content validities. In addition, preceding studies and conditions of Korean Medicine colleges were examined to re-establish the system of modelling the major competencies for the colleges, and thereby, the major competencies were modelled to be verified for their validity based on Korean Medicine doctors’ job analysis. As a result, a total of 4 major competencies could be developed: integrated treatment competency, bona fide treatment competency, ethical medical service management competency and medical professionalism development competency. Besides, 8 sub-competences and 24 components thereof could also be developed. Furthermore, each major competency and its sub-competences were defined, while the competency indicatives per component were suggested.

      • KCI등재후보

        대학 교수·학습 성과관리 준거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PDCA 모형을 기반으로

        이해듬 대학교육개발센터협의회 2020 대학 교수-학습 연구 Vol.13 No.2

        본 연구는 대학교육의 체계적인 질 관리를 위한 대학 교수‧학습 성과관리 준거를 개발하고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PDCA 모형에 따라 선행연구, 대학사례, 2021년 대학 기본역량 진단 지표를 기반으로 세부적인 준거를 개발하고 전문가 델파이 조사를 통해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Plan–Do–Check–Act의 대학 교수‧학습 성과관리 준거를 총 10개 요소, 39개 세부지표를 개발하였다. 이는 대학 교수‧학습 전반에 대한 지속적인 모니터링 및 자체평가 등을 수행할 수 있는 현장 활용성 높은 성과관리 준거를 개발하여 실제 대학 교육의 성장과 변화에 대한 성과를 지속적으로 분석, 관리하고 환류할 수 있는 체계적인 성과관리 모델로 매우 의미있는 연구이다.

      • KCI등재

        학습분석학 관점의 대학 이러닝 학습자 군집화와 학업성취도 관계 분석 : 이러닝 학습 시. 공간 데이터를 기반으로

        이해듬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미래원격교육연구원 2018 평생학습사회 Vol.14 No.3

        This study was designed to approach various e-Learning data accumulated in Learning Management System (LMS) for university e-Learning from the perspective of learning analytics. This study used cluster analysis method with observation variables being e-Learning spatio-temporal data and analyzed the differences in academic achievement among clusters. For this study researcher collected e-Learning data from 68 e-Learning classes, 13,611 learners, during 3 years (6 semesters). This study used cluster analysis from spatio-temporal data, found out differences between attendance rate and used F-test to find out different academy achievement. Major study findings were as follow: Firstly, the number of clusters of university e-Learning learners emerged four (Cluster 1-4). Characteristics of each cluster were classified as [Cluster 1] of learners mainly outside school-weekdays-in the afternoon, [Cluster 2] those in school-weekdays-in the afternoon, [Cluster 3] outside school-weekends-in the afternoon and [Cluster 4] outside school-weekdays-at night. Secondly, Cluster 1 and Cluster 2 showed higher attendance than Cluster 3, Cluster 4 with both having statistical significance (F=68.34, p<.001). Also Cluster 2 and Cluster 1 received higher academic achievement than Cluster 3, Cluster 4 with both having statistical significance (F=39.60, p<.001). 본 연구는 대학 이러닝 학습관리시스템(LMS)에 축적된 다양한 학습데 이터를 학습분석학 관점에서 접근하기 위해 이러닝 강좌를 수강하고 있는 학습자의 학습 시・공간 데이터를 기반으로 학습패턴을 군집화하여 학업 성취도 간에 의미 있는 차이를 규명하였다. 이를 위해 3년간(6학기) 68개 이러닝 강좌의 수강생 1만 3,611명의 이러닝 학습데이터를 표집하였고, 자 료분석은 학습 시.공간 데이터에 의한 군집분석과 군집 간 출석률, 학업 성취도 차이 분석의 검증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연구 결과를 요 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이러닝 학습자의 학습공간(교내, 교외)과 학습 시간대(오전-오후-야간, 평일-주말)의 ‘학습환경 데이터’에 기초한 7개 변 인을 투입하여 학습패턴의 군집분석을 수행한 결과 군집의 수는 4개(군집 1~군집 4)로 추출되었다. 군집별 특성을 요약하면 [군집 1] 교외-평일-오 후시간대 주학습자, [군집 2] 교내-평일-오후시간대 주학습자, [군집 3] 교 외-주말-오후시간대 주학습자, [군집 4] 교외-평일-야간시간대 주학습자로 나타났다. 이러닝 학습자의 학습패턴 군집에 따른 학업성과 차이를 분석한 결과 출석률에서는 [군집 1] 학습자와 [군집 2] 학습자(=92.01)가 더 높 게 나타났으며, 차이검증에서도 통계적으로 유의미( =68.34, <.01)하게 분석되었다. 학업성취도에서는 [군집 2] 학습자(=74.29)와 [군집 1] 학습 자가 다른 군집보다 더 높은 학업성취도를 보여 주었고, 통계적으로도 유 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 =39.60, <.001)으로 분석되었다. 전반적으로 평 일-오후시간대에 주로 학습하는 [군집 2]와 [군집 1]의 이러닝 학습자는 매주 규칙적인 학습패턴으로 이러닝을 학습하고, 이는 출석률과 학업성취 도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추론할 수 있다.

      • KCI등재

        하브루타를 적용한 경전강독 수업 사례 연구

        이해듬,김용진 한국의사학회 2023 한국의사학회지 Vol.36 No.2

        본 연구는 한의과대학 기초과목인 경전강독 수업의 기존 주입식 및 기계적인 암기 방식을 탈피하고 학습자 중심의 교육방법인 하브루타를 적용하여 수업을 진행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모대학의 경전강독 과목을 하브루타의 수업 모델에 따라 수업을 재설계하고 수업설계안에 따라 하브루타 수업을 진행하였다. 수업진행 결과 학생들의 한문 번역 능력이 향상되었고, 수업에 집중하기에 충분하였으며(M=4.24), 수업을 통해 해당 분야의 지식을 습득하고(M=4.21) 다른 사람과의 소통하는 능력이 향상(M=4.25) 되었음을 학습자 스스로 체감하고 있음을 유추, 해석할 수 있었다. 본 연구결과는 한의과대학 한의학평가인증평가에서도 요구되는 다양한 교수학습방법 적용 사례로 경전강독 과목 뿐만 아니라 다른 과목에서도 적용 해볼 수 있는 실질적인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Objectives: This study applied Havruta, a learner-centered educational method, and verified its effectiveness, to break from the existing mechanical memorization methods of scripture reading classes, which are basic subjects of East Asian medicine at East Asian medicine universities. Method: To this end, D University's scripture reading course was redesigned according to Havruta's teaching model, and Havruta classes were conducted according to the instructional design. Results: As a result of the class, students' Chinese translation ability improved, and they were able to concentrate on class (M=4.24). Through class, they acquired knowledge in the field (M=4.21) and their ability to communicate with others improved (M=4.21). M=4.25), it can be inferred and interpreted that the learner is engaged.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amples of applying various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required in the East Asian medicine evaluation and certification of East Asian medicine at East Asian medicine universities, and can be used as practical basic data that can be applied not only to scripture reading subjects but also to other subjects.

      • KCI등재후보

        대학 강의평가 주관식 결과의 텍스트마이닝을 통한 전공 계열별 좋은 수업 특성 분석

        이해듬,남민우 한국교원대학교 유아교육연구소 2018 한국유아교육연구 Vol.20 No.2

        본 연구는 대학이 그동안 축적하고 있는 강의평가의 주관식 의견들을 통합하여 빅데이터 분석기법으로서 텍스트마이닝을 적용하여 좋은 강의 특성과 패턴을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강의평가 점수를 바탕으로 상위(30%)의 과목들을 분류한 후, 10년간 매학기별 강의평가 주관식 의견의 비정형(텍스트) 데이터를 통합 분석하여 전공계열별 좋은 강의의 특성과 패턴을 규명하였다. 강의평가 점수 수준별 그룹에서 강의평가 주관식 응답 문장 가운데 가장 많이 언급된 단어들과 그 사용빈도를 추출한 결과 인문 계열은 재밌고, 유익하고, 도움이 되면서 내용이 쉽고, 어렵지 않으며 이해가 잘 되는 수업, 교수님의 열정이 높은 수업이 좋은 강의의 특성으로 규명할 수 있다. 사회 계열은 쉽고(어렵지 않은), 도움이 되며, 재밌는 강의와 이해, 설명, 내용, 흥미, 열정 등이 주요 키워드로서 좋은 강의의 특성이 도출되었다. 자연·공학 계열은 과목 내용의 특성상 쉽고, 어렵지 않으며, 이해가 잘 되는 수업이 우선하여 좋은 강의의 특성으로 도출되었다. 예체능 계열은 재밌고, 유익하며, 즐거운, 새로운 수업들이 좋은 강의 특성으로 도출되었다. 교양 계열은 재밌고, 유익하고, 도움이 되는 수업이 좋은 강의의 특성으로 규명할 수 있으며, 인문 계열의 특성과 유사한 것으로 분석된다. This study analogized the characteristics and patterns of ‘better class’ by text mining analysis to find what are the most referred evaluation comments words and frequencies of those words out of upper 30% evaluation scores from 10 years longitudinal data. This study found the significant key words such as fun, useful, help, easy, understand, and passion from the analyses of humanities majors. In social science majors this study shows the significant key words of good lectures such as easy(not difficult), help, fun, understand, presentation, content, interest. In natural science and engineering majors this study shows the significant key words of good lectures such as easy, not difficult, understanding because of characteristic of subject. In art and physical majors this study shows the significant key words of good lectures such as fun, useful, pleasant, new. In liberal arts and humanities this study shows useful, helpful.

      • KCI등재

        대학 이러닝 학습자들의 학습 시ㆍ공간 패턴에 따른 학업성취도 차이 분석

        이해듬,남민우 중소기업융합학회 2018 융합정보논문지 Vol.8 No.4

        본 연구는 대학 이러닝 학습자들의 학습 시ㆍ공간 데이터를 활용한 이러닝 학습패턴에 따라 학습자등의 출석률과 학업성취도 차이를 규명하였다. 연구대상은 3년간 총 68개 이러닝 강좌, 수강생 13,611명의 이러닝 데이터를 수집하였고, 자료분석은 t검증, 이원변량분석을 활용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이 제시한다. 첫째, 대학 이러닝 학습자들의 학습공 간에 따른 출석률과 학업성취도 차이를 분석한 결과 교내 주학습자가 출석률과 학업성취도에서 교외 주학습자들 보다 높은 점수를 보였고, 학업성취도는 통계적인 유의성이 나타났다. 둘째, 대학 이러닝 학습자들의 일 단위 학습시간대에서는 오전시 간대 주학습자, 오후시간대 주학습자, 야간시간대 주학습자 순으로 출석률과 학업성취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모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주 단위 학습시간대에서는 평일시간대의 주학습자들이 주말시간대 주학습자들 보다 출석 률과 학업성취도에서 더 높게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도 유의한 차이가 분석되었다. This study was designed to analyze the difference in attendance and academic achievement based on spatio-temporal data relate to e-Learning patterns of university e-Learning learners. This study collected e-Learning data from 68 e-Learning classes, 13,611 learners during 3 years.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t-test and two-way ANOVA. Major study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ly, e-Learning learners in school received higher than those of learners outside school both in attendance and academic achievement, while that academic achievement showed statistical significance. Secondly, the attendance and academic achievement by the day was in the order of e-Learning learners mainly in the morning, those in the afternoon and those at night, in addition there was statistical significance. Lastly e-Learning learners in the weekdays appeared higher than those of learners in the weekends both in attendance and academic achievement, also both of them showed statistical significance.

      • KCI등재

        대학 이러닝 팀티칭 융․복합 교양 교과목 학습만족도 영향요인 분석

        이해듬(Haedeum Lee),남민우(Minwoo Nam)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8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8 No.9

        본 연구는 대학 이러닝 융․복합 교양과목 수업에서 학생들에게 만족을 주는 교수설계 측면의 영향요인이 무엇인가를 분석하였다. 164명의 학생들이 성공적인 대학생활을 위해 필요한 지식과 정보, 스킬, 문제해결능력 향상을 위한 융․복합적 수업내용을 한 학기동안 이러닝 팀티칭 방법으로 학습하였고, 이러닝 학습만족도에 영향을 줄 수 있는 교수설계 전략에 대한 수업요인을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도출된 요인들이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이 연구의 주요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수설계 측면에서 학습만족도 영향요인으로 강의내용, 상호작용, 학습편리성, 자기주도성, 학습성취감이 도출되었다. 둘째, 대학 이러닝 팀티칭 융복합 교양과목의 학습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강의내용, 학습편리성, 학습성취감, 자기주도성 순으로 나타났으며, 이 4개의 변인이 학습만족도를 설명하는 정도는 61.2%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결국 대학 이러닝 융․복합 교양과목의 학습만족도의 중요 영향요인은 강의내용이나 학습편리성인 것으로 귀결지을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factors affecting the learners’ course satisfaction in terms of the instructions design strategy in college liberal arts e-learning team teaching convergence course. This study analyzed 164 questionnaires about learner motivational factors and instructional design aspects of lesson and activity design in e-learning team teaching ‘Smart college life’ course. The followings were the major results. The factors affecting the learners’ course satisfaction consisted of 5 sub constructs such as content design, interaction, user`s conveniency, self-directedness and academic achievement. Also the results showed that it was revealed that content design, user`s conveniency, academic achievement and self-directedness affect course satisfaction with convergence liberal arts e-learning course students. According to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on the impact on the learners’ course satisfaction, the overall explanatory power of the regression equation R²=.612. Finally in terms of magnitude of the effect, content design and user`s conveniency were identified having greater influence on the learners’ course satisfaction.

      • KCI등재

        지방대학 신입생들의 학업중단 예측도구 타당화

        백은주 남민우 이해듬 순천향대학교 2015 순천향 인문과학논총 Vol.34 No.2

        이 연구는 지방대학 신입생들에게 맞춤형으로 적용할 수 있는 학업중단 예측도구의 타당성을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학업중단 영향요인과 관련한 선행연구들을 심층 분석하여 다양한 변인들과 하위문항을 구성하였고, 도구의 타당화를 체계적으로 검증하였다. 선행연구 고찰과 전문가 내용타당도 검증을 통해 구성된 학업중단 예측도구를 지방대학 신입생 627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이 연구의 주요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지방대학 신입생들의 학업중단 예측도구는 가정환경ㆍ경제수준(4문항), 학업적 자기효능감(3문항) 전공의 적성 및 진로 부합도(5문항), 교수와의 상호작용(3문항), 전공의 취업전망도(3문항), 대학생활 적응도(5문항), 대학만족도(3문항)로 총 7개 요인, 26개 문항으로 최종 구성되었다. 최종 척도에 대한 신뢰도 검증을 위해서 내적합치도를 산출하였고, 측정모델을 활용한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구인타당도를 검증하였다. 전반적인 분석결과는 본 학업중단 예측도구가 지방대학 신입생들의 학업중단 영향요인을 측정하는데 비교적 신뢰롭고, 타당한 도구로 활용될 수 있음을 보여 주었다.

      • KCI등재후보

        Kirkpatrick 4-Level 모형 기반 대학 교수지원 프로그램 성과지표 개발 및 타당화 검증

        남민우,이해듬 대학교육개발센터협의회 2020 대학 교수-학습 연구 Vol.13 No.1

        본 연구는 대학교육 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노력과 실적으로 교육의 질 관리가 매우 강조됨으로써 더불어 대학 CTL의 교수-학습지원 프로그램에 대한 질 관리 부분들이 강조되는 바 교수지원 측면에서 질 관리를 위한 성과지표 및 산출식을 개발하고 타당화 검증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교수지원 4개 단위 프로그램에 대해 Kirkpatrick 4-Level 모형에 따라 단계별 성과지표를 제시하였다. 현행 성과 목표 달성에 유리한 형식적 지표 구성에서 진일보하여 교수지원 사업을 실질적으로 점검, 개선, 환류하고, 사업성과를 우수하게 평가받을 수 있는 양질의 성과지표로의 연구적 성과를 높일 수 있도록 반영하였다. 또한, 대학별로 우후죽순 활용되고 있는 교수-학습 지원 성과지표들을 전체적으로 정리하고, 체계화하여 향후 타당성 높은 성과지표 개발과 성과 관리의 표준화된 모델을 제시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