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The Discourse Strategy of Code Switching on SNS texts: In the case of Korean-Chinese and Chinese

        ( Boyeong Kim ) 연세대학교 언어정보연구원(구 연세대학교 언어정보개발원) 2020 언어사실과 관점 Vol.49 No.-

        이 논문은 카카오톡(한국 모바일 메신저)과 위챗(중국 모바일 메신저) 등 소셜 네트워크 채팅에서 이루어지는 코드 전환의 담화 기능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연구에서는 한국에서 생활하고 있는 10명의 조선족과 10명의 중국인 학습자들이 나누는 여러 대화를 관찰하고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에서 관찰한 조선족과 중국인 학습자들의 SNS텍스트에서 청자구분(Addressee specification), 감정표현(affective expression), 확인/초점(confirmation/focus), 반복에 의한 강조(emphasis by repetition), 어휘적/숙어적 표현(lexical/idiomatic expression), 개인화 대 객관화(personalization versus objectification), 체면 위협 행위 완화(face-threatening acts mitigation), and opinion expression(의견 표현)등 8가지의 다양한 코드 전환이 사용되고 있었다. 그중 조선족 그룹에서는 “반복에 의한 강조”나 “의견 표현”의 전략이 발견되지 않았으며 중국인 그룹에서는 “확인/초점” 전략이 사용되지 않았다. 둘째, 두 그룹의 SNS 텍스트에서 코드 스위칭은 특정 청자와 대중을 구분짓는 수단으로서, 청자의 L1이 무엇인지에 따라 의사소통을 원활하게 하기 위한 언어 선택 전략으로서 사용되기도 하였다. 마지막으로, 무엇보다 두 그룹에서 코드 스위칭의 사용에 있어 가장 두드러진 측면은 코드 스위칭이 객관성(공지, 공식적인 요청, 공식 발화 등)과 주관성(감정이나 의견의 표현, 친밀함을 전하는 사적 발화)을 구분하기 위한 표지로서 사용되었다는 것에 있다. 본 연구 결과, 조선족과 중국인 학습자들은 주어진 맥락에서 성공적이고 효과적으로 의사소통을 해가기 위한 담화 전략으로서 코드 전환을 폭넓게 사용되는 것이 확인되었다. This study aims to figure out the discourse functions of code switching which appears in the texts chatted on SNS, especially Kakaotalk (Korean Mobile Messenger) and Wechat (Chinese Mobile Messenger). In order to satisfy this purpose, this study observed and analyzed several dialogues of 10 Korean-Chinese and 10 Chinese people living in Korea.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Korean-Chinese and Chinese learners use a lot of code switching examples strategically in the observed texts. Second, Korean-Chinese generally uses Korean when they say official things or objective information. As for daily conversation, it is difficult to say to have constant tendency. The texts show that the preceding languages affect language selection of the following person. Third, Chinese learners use Chinese language in the daily conversation; but they use Korean language when need official or personal help. On SNS supporting group chat like ‘Kakaotalk’ and ‘Wechat’, the users exchange official and personal information together. Korean-Chinese and Chinese learners use code switching depending on formality of information such as objective notice, a request for personal help or personal question. It seems to be discourse strategy to make successful and effective communication in the society they belong to.

      • KCI우수등재

        사물 인터넷 환경에서의 소프트웨어 정의 네트워크 기반 이동성 관리

        문보영(BoYeong Mun),조승철(SungChol Cho),손사민(Shimin SUN),김현숙(Jin Xinan Shu),김청빈(Cheongbin Kim),김준혁(JunHyuk Kim),한선영(Sunyoung Han) 한국정보과학회 2018 정보과학회논문지 Vol.45 No.7

        IoT 환경에서는 사물 주소, 배터리, 네트워크 대역폭, 컴퓨팅 파워 등의 다양한 제약을 받게된다. 이동성 관리 측면에서도 프로토콜이 복잡하면 이동하는 IoT 단말기에게 큰 부하를 준다. 본 논문에서는 이동하는 IoT 단말기의 문제점을 효과적으로 해결하기 위해 SDN(Software Defined Networking)의 중앙집중형 관리 방식을 적용한 이동성 관리 시스템을 제안한다. SDN은 프로그래밍이 가능하기 때문에 IoT 단말의 확장성 및 관리가 용이하다. IoT를 위한 SDN기반 이동성 구조를 제시하고 이 구조를 이용하여 시스템을 설계 및 테스트 베드를 구축하여 구현하였다. IoT environments are constrained by various factors, including object address, battery, network bandwidth, and computing power. We propose a system to manage mobility by applying an SDN (Software Defined Networking) centralized management method to effectively solve the problems caused by moving IoT terminals. The SDN used in this paper is programmable, which facilitates its scalability as well as its ability to manage various IoT terminals. in this paper, we propose a mobility architecture using SDN for IoT, and design as well as implement a system based on it.

      • Porphyrin–Peptoid Conjugates: Face-to-Face Display of Porphyrins on Peptoid Helices

        Kang, Boyeong,Chung, Solchan,Ahn, Young Deok,Lee, Jiyoun,Seo, Jiwon American Chemical Society 2013 Organic letters Vol.15 No.7

        <P>Distance, orientation, and number controlled porphyrin–peptoid conjugates (PPCs) were efficiently synthesized. Cofacial (<B>1</B>, <B>2</B>, and <B>4</B>), slipped-cofacial (<B>3</B>), and unstructured (<B>5</B>) arrangements of porphyrins provided distinct optical and electronic properties characterized by UV–vis and circular dichroism spectroscopy. In addition, ECCD spectra confirmed the handedness of peptoid helices.</P><P><B>Graphic Abstract</B> <IMG SRC='http://pubs.acs.org/appl/literatum/publisher/achs/journals/content/orlef7/2013/orlef7.2013.15.issue-7/ol4004564/production/images/medium/ol-2013-004564_0006.gif'></P><P><A href='http://pubs.acs.org/doi/suppl/10.1021/ol4004564'>ACS Electronic Supporting Info</A></P>

      • KCI등재

        텍스트마이닝을 활용한 이주 관련 연구동향 분석

        서보영 ( Boyeong Seo ),박현재 ( Hyunchae Park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1 인문사회 21 Vol.12 No.4

        본고는 이주, 이민, 유학생, 다문화 등 13개의 관련 중요 키워드를 선택하여, 검색을 통해 수집된 총 14,302건의 논문을 대상으로 텍스트마이닝 분석을 통해 이주 관련 연구 동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결과, 첫째, 이주 관련 논문은 2010년 이후 매우 활발하게 연구되고 있다. 둘째, 이주 관련 주요 연구기관은 지방 거점국립대를 제외하고, 수도권에 집중되어 있다. 셋째, 학문 주제분야별로 살펴보면, 교육학과 문학 분야에서 이주 관련 연구를 많이 하고 있다. 넷째, 텍스트마이닝 분석 결과 최근 20년 동안 다문화, 교육, 이주, 결혼, 여성에 관한 연구가 가장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다섯째, 과거 10년 대비 2011년부터 2020년까지 최근 10년간의 연구 동향을 비교 분석한 결과, 유학생, 청소년, 인식, 사례, 난민 연구가 활성화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고는 이주관련 연구의 학술적 동향을 심층 분석함으로써, 연구자들의 향후 후속 연구에 많은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In order to analyze the research trends related to migration, this paper selects 13 important related keywords and collects all the papers through a search in the KCI (Korean journal citation index). Total 14,302 papers were finally collected for text mining methodology. The main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the research related to migration is actively started since 2010. Second, major research institutes related to migration are located in capital regions. Third, as per academic subject areas, many studies related to migration were conducted in the fields of pedagogy and literature. Fourth, as a result of text mining analysis, main keywords of the study are multi-culturalism, education, migration, marriage, and women. Fifth, during recent 10 years, the studies related to international students, adolescents, perceptions, case studies and refugee have become more active. This study is analyzed current academic trends so it will be really helpful for researchers to consider future research topics.

      • KCI등재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어순 습득에 대한 종적 연구 - 통사 및 담화 층위의 발달 양상을 중심으로 -

        김보영 ( Boyeong Kim ) 연세대학교 언어연구교육원 한국어학당 2020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 Vol.58 No.-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syntactic and discourse/pragmatic developmental pattern of word order of 3 Chinese learners based on their longitudinal Korean writing and interview data for 1 year and 6 month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learner A, learner B, and learner C often failed to correctly use word order items that were not properly mastered at the beginner level even at the intermediate level or advanced level. In particular, it is difficult for learners to master general adverbs ‘many(많이)', ‘well(잘)', frequency adverbs ‘always(항상)', and negation adverbs ‘안' regardless of proficiency. The three learners could not master word order for inter-adverbs, word order for complex sentence elements, or word order of noun phrases even at advanced level. Second, this study also examined whether Chinese learners of Korean use word order as a communication strategy with discourse function. Although a few cases have been found for the 3 learners where they increased the clarity of discourse or attempted to communicate effectively through a leftward inversion or a rightward inversion, more often cases have been found in which the word order inversion was overused in situations where the learner did not need the specific discourse function intended. The latter cases were all found in the intermediate level or higher.

      • KCI등재

        중학교와 고등학교 재학 당시 학교적응, 진로성숙도, 학업성취가 고등학생의 주관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이보영 ( Boyeong Lee ),성윤희 ( Yoonhee Sung ),김은영 ( Eunyoung Kim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0 인문사회 21 Vol.11 No.6

        본 연구에서는 종단자료를 사용하여 중학교 재학 당시 진로성숙도, 학교적응, 학업성취가 고등학교시기 주관적 행복감과 관련이 있는지 살펴보고, 이 관계가 고등학교 시기 진로성숙도, 학교적응, 학업성취에 의해 매개되는지를 구조방정식을 통해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한국복지패널조사 자료 중 4차년도(중학교 1, 2, 3학년)와 7차년도 아동부가조사(고등학교 1, 2, 3학년) 자료를 사용하였고, 7차년도 최종응답 확인자 512명 중 결측값을 제외한 490명(남 247명, 여 243명)의 자료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분석 결과, 중학교 재학 당시 학교적응과 고등학교 주관적 행복감의 관계가 고등학교 학교적응에 의해 완전매개되었고, 중학교 시기 학업성취와 고등학교 시기의 주관적 행복감과의 관계가 고등학교 학교적응에 의해 완전매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고등학생들의 행복 증진을 위해 학생들의 학교적응을 잘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이 중요함을 시사한다. 이 연구가 갖는 함의와 제한점 역시 논의되었다. The present study is intended to exam how career maturity, school adjustment, and academic achievement during junior high school are related to subjective happiness later in high school, using longitudinal data. It also shows how career maturity, school adjustment, and academic achievement in high school mediate those relationships. The Child Welfare data in 2009 (wave 4) and 2012 (wave 7), which is part of the Korean Welfare Panel Study data, were used for analysis. The final sample included 490 adolescents (247 males, 243 female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alysis revealed that school adjustment during high school fully mediated between school adjustment in junior high school and subjective happiness in high school. Analysis also indicated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academic achievement in junior high school and subjective happiness in high school was fully mediated by school adjustment during high school. These findings highlight the importance of assisting adolescents with school adjustments in order to enhance their subjective senses of happiness.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also addressed.

      • KCI등재

        한국어 학습자 말뭉치 분석을 통한 표현 문형 오류 분포 연구 -담화 유형과 담화 장르를 중심으로-

        김보영 ( Kim Boyeong ) 국제어문학회(구 국제어문학연구회) 2021 국제어문 Vol.- No.89

        본 연구는 한국어 학습자들의 문구어 말뭉치 자료를 대상으로 문형별, 담화 유형별, 담화 장르별로 표현 문형 오류가 어떻게 나타나는지 그 분포 양상을 살펴보고 한국어 학습자의 표현 문형 오류 양상과 오류 층위별 특징을 담화 유형과 담화 장르를 중심으로 검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한국인 화자가 관습적으로 사용하는 한국어 표현 문형은 문법 단위를 넘어서 모어 화자가 산출하는 담화의 유형, 기능, 장르(종류) 등과 밀접하게 관련이 있는 개념이다. 따라서 한국어 학습자들이 표현 문형을 구사할 때에도 문법 지식의 오류를 넘어 담화나 장르, 화용 영역에서의 오류로 확장할 가능성이 있다. 본 연구는 국립국어원의 학습자 오류 주석 말뭉치(문어: 462,325 어절, 구어: 349,906 어절, 812,231 어절)를 활용하였다. 국립국어원 학습자 말뭉치 주석은 모든 오류마다 빠짐없이 부착되는 기본 주석과 선택적으로 부착되는 확장 주석의 두 단계로 이루어져 있다. 먼저 오류 양상은 기본 주석으로서 누락, 오형태, 대치, 첨가로 주석되며 다음으로 오류 층위는 오류가 나타난 언어 영역을 발음, 형태(굴절 활용), 통사(시제, 사동, 피동, 부정), 담화 영역(구어/문어 오류) 중에서 선택적으로 주석된다. 한국어 학습자의 표현 문형 오류 분포는 다음과 같다. 먼저 표현 문형별 분포를 보면 부정을 나타내는 ‘-지 않’의 오류 빈도가 가장 높고 ‘-는 것’, ‘게 하’ 등의 순서로 오류 빈도가 높았다. 두 번째로, 담화 유형별 오류 항목 순위를 보면 문어에서는 ‘-지 않’, ‘-게 하’, ‘-을 것이’ 등의 순서로 오류 빈도가 높게 나타난 반면, 구어에서는 ‘-을 수 있’, ‘-을 때’ 등의 순서로 오류 빈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담화 유형에 따른 숙달도별 차이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x² =22.944, p<0.05). 세 번째로, 담화 장르별 표현 문형 오류 분포는 생활문에서의 오류 빈도가 다른 장르에 비해 가장 많았고 역시 생활문 장르에서 다양한 표현 문형 오류를 확인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표현 문형의 오류 양상별 특징(누락, 오형태, 대치, 첨가), 오류 층위별 특징(발음, 형태, 통사, 담화)은 담화 장르에 따른 분포에서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담화 유형별 분포에서 x² 검정 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오류 양상: x²= x²=55.733, p<0.05, 오류 층위: x²=124.084, p<0.05).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distribution patterns of formulaic expression errors by sentence type, discourse type, and discourse genre using a Korean learner corpus (written and spoken). The study also investigat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error aspects and error layers of formulaic expressions focusing on the discourse type and genre. The data were drawn from the learners’ error corpus (written: 462,325 words; spoken: 349,906 words; total: 812,231 words) of the National Institute of the Korean Language. The learner corpus annotation of the National Institute of the Korean Language has two levels: a basic annotation attached to every error, and an extended annotation attached selectively to errors. The error aspect has the basic annotation of omission, misformation, replacement, or addition, while the error layer is selectively annotated as pronunciation, morphology, syntax and discourse. The distribution of formulaic expression errors of Korean learners is as follows: By formulaic expression type, the error frequency of -ji an indicating negation was the highest, followed by -neun geot and -ge ha. The ranking of errors by discourse type in written language by frequency was in the order -ji an, -ge ha, and -eul geosi, whereas in the spoken language, the most common errors were -eul su it and -eul ttae. The difference in mastery by discourse type was also foun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x² = 22.944, p < 0.05). By discourse genre, the frequency of errors was higher in experiential writing than in other genres, and certain formulaic expression errors were commonly found in experiential writing. Lastly, the characteristics of each error aspect (omission, misformation, replacement, addition) and error layer (pronunciation, morphology, syntax, discourse)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distribution by discourse type (for error aspect: x² = 55.733, p < 0.05; for error layer: x² = 124.084, p < 0.05).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