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가족 스트레스가 아동의 집행기능 곤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종단연구: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와 우울의 이중매개 효과

        성윤희 ( Yoonhee Sung ),계은경 ( Eungyeong Gye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1 인문사회 21 Vol.12 No.4

        본 연구는 가족 스트레스와 아동 집행기능 곤란의 종단적 관계를 탐색해보고, 이 관계에서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와 우울의 이중매개 효과를 검증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육아정책연구소 한국아동패널 자료 중 2012년도에서 2015년도까지의 자료를 사용하였다. 1,392가구의 자료를 SPSS Process Macro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만 4세 때 가족 스트레스는 3년 후 아동의 집행기능 곤란을 유의하게 예측하였다. 또한,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와 우울이 가족 스트레스와 아동 집행기능의 관계에 대해 미치는 단순매개, 이중매개 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가족 스트레스가 아동의 집행기능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력을 예방하기 위해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와 우울에 대한 개입이 중요함을 강조한다. The goal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longitudinal relationship between family stress and children’s executive dysfunction and to test the sequential mediation effect of parenting stress and depression in mothers on the relationship. The present study used data from the 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 from 2012 to 2015. Data of 1,392 households were analyzed by using Process Macro. As a result, family stress at age 4 was a significant predictor of children’s executive dysfunction in three years. Also, the simple mediating effects as well as the sequential mediating effect of mothers’ parenting stress and depress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family stress and children’s executive dysfunction were found to be significant. Our findings highlight the importance of intervening on mothers’ parenting stress and mental health in preventing the negative impact of family stress on children’s executive function.

      • KCI등재

        다문화청소년의 문화적응 스트레스와 진로결정성의 관계: 진로장벽을 통한 자존감의 조절된 매개효과

        성윤희(Yoonhee Sung),장은영(Eunyoung Jang) 한국진로교육학회 2020 진로교육연구 Vol.33 No.1

        본 연구는 다문화청소년의 문화적응 스트레스와 진로결정성의 관계에서 진로장벽과 자존감의 역할을 탐색하였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문화적응 스트레스와 진로결정성의 관계를 진로장벽이 매개하는지 살펴보았다(매개효과). 또한, 문화적응 스트레스와 진로장벽의 관계에서 자존감의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조절효과). 끝으로,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진로장벽을 매개로 진로결정성에 미치는 간접효과에서 자존감의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조절된 매개효과). 본 연구의 검증을 위해 6차년 다문화청소년 패널을 이용하여 중학교 3학년 1,283명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문제 분석을 위해서는 SPSS Process Macro Model 4와 7을 사용하였다. 그 결과, 문화적응 스트레스와 진로결정성의 관계는 진로장벽에 의해 완전매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문화적응 스트레스와 진로결정성의 관계는 자존감에 의해 조절되었다. 문화적응 스트레스는 자존감이 평균이거나 낮은 경우에만 진로장벽을 통해 진로결정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다문화청소년의 진로 상담 및 진로교육에 시사점을 제안할 수 있다. The present study explored the roles of career barriers and self-esteem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cculturative stress and career decisiveness for multicultural youth in Korea. Specifically, this study examined the mediating effect of career barrier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cculturative stress and career decisiveness(mediation) Also, self-esteem was tested for the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cculturative stress and career barriers(moderation). Self-esteem was further tested as a moderator for the indirect effect of career barriers(moderated mediation). The Multicultural Children and Adolescents Panel Study data(wave 6) was used for the study. The sample included 1,283 multicultural youth in the third grade of middle school students. SPSS Process macro 4 and 7 were used for data analysis. As a result, the relationship between acculturative stress and career decisiveness was fully mediated by career barriers. Also, the relationship between acculturative stress and career decisiveness was moderated by self-esteem. Finally, acculturative stress was indirectly related to career decisiveness through career barriers only at medium and low levels of self-esteem. Results are discussed in terms of career education and career counseling approaches for multicultural youth.

      • KCI등재

        가부장적 가정환경과 대학생의 양가적 성차별주의의 관계: 성역할 고정관념을 통한 성별의 조절된 매개효과 검증

        성윤희(Yoonhee Sung) 한국인간발달학회 2020 人間發達硏究 Vol.27 No.4

        본 연구에서는 가부장적 가정환경과 양가적 성차별주의의 관계에서 성역할 고정관념과 성별의 역할을 대학생 집단을 중심으로 탐색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가부장적 가정환경과 양가적 성차별주의의 관계가 성역할 고정관념에 의해 매개되는지, 가부장적 가정환경과 성역할 고정관념의 관계가 성별에 의해 차이가 있는지, 성역할 고정관념의 매개효과가 성별에 의해 조절되는지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를 위해 이공계 대학의 학부생 및 대학원생 총 218명(남자=158, 여자=60)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연구문제 분석을 위해서는 SPSS Process Macro Model을 사용하였다. 그 결과, 가부장적 가정환경은 성역할 고정관념을 매개로 양가적 성차별주의와 관련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가부장적 가정환경과 성역할 고정관념의 관계는 성별에 의해 조절되었는데 가부장적 가정환경과 성역할 고정관념의 관계는 남성에게만 유의하게 나타났고, 여성에게는 유의한 관련이 없었다. 마찬가지로, 가부장적 가정환경이 성역할 고정관념을 매개로 양가적 성차별주의에 미치는 간접효과는 남성의 경우에만 유의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개인의 성차별적 태도와 인식 개선을 위한 개입에 있어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the roles of gender role stereotypes and gender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 patriarchal family environment and ambivalent sexism among university students. Specifically, this study examined the mediating effect of gender role stereotyp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 patriarchal family environment and ambivalent sexism. Also, gender was tested for a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 patriarchal family environment and gender role stereotypes. Gender was further tested as a moderator of the indirect effect of gender role stereotypes. Participants were 210 undergraduate and graduate students (males=158, females=60) from a science and engineering university.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Process macro. As a result, the relationship between a patriarchal family environment and ambivalent sexism was found to be mediated by gender role stereotypes. Also, the relationship between patriarchal family environment stress and gender role stereotypes was moderated by gender, in which the link was significant only for males. Finally, a Patriarchal family environment was indirectly related to ambivalent sexism through gender role stereotypes only for male participants. Results are discussed in terms of interventions to change individuals’ sexist attitudes and perceptions.

      • KCI등재

        초심상담자의 어려움에 대한 숙련수퍼바이저의 개념화 연구

        계은경 ( Eungyeong Gye ),성윤희 ( Yoonhee Sung ) 인문사회 21 2023 인문사회 21 Vol.14 No.1

        연구 목적: 이 연구는 숙련수퍼바이저가 초심상담자의 어려움을 어떻게 개념화하는지 살펴봄으로써 수퍼바이저의 유능성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초심 상담자 교육 및 훈련과 관련하여 의미 있는 정보를 얻고자 한다. 연구 방법: 숙련수퍼바이저와 초심상담자 여덟 쌍을 매칭하여 수퍼비전을 각 쌍별로 3회씩 진행하고 자료는 각 수퍼비전이 끝나는 대로 수퍼바이저를 면담하여 수집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인터뷰 질문은 다음과 같다: 초심상담자는 무엇을 어려워합니까? 초심상담자는 어떤 과업을 성취해야합니까? 초심상담자에게 수퍼비전을 제공할 때 고려해야 할 것은 무엇입니까? 인터뷰 자료는 귀납적 분석방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내용: 연구 결과 초심상담자의 어려움은 2개의 영역, 5개의 상위범주, 15개의 범주, 46개의 개념으로 확인되었다. 상담자 측면 영역에서는 개인적 특성, 역전이, 수퍼비전 관계에서의 특징이 범주로 나타났고, 교육적 측면 영역에서는 사례개념화, 개입이 범주로 도출되었다. 결론 및 제언: 연구 내용을 바탕으로 초심상담자 교육과 수퍼바이저 양성에 적용할 수 있는 논의와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e present study explored how expert supervisors conceptualize novice counselors’ difficulties to increase our understanding of supervisors’ competence and to get the meaningful information concerning novice counselor’s education and training. Each of eight novice counselors was randomly assigned to one of the eight supervisors. The eight supervisor-supervisee pairs had three supervision sessions each. Data were collected by interviewing supervisors shortly after their supervision sessions. Interview questions used in the study are: “What are difficult for novice counselors?” “What tasks do you think novice counselors should achieve?” “What do you need to consider when you supervise novice counselors?” The Inductive Analysis was used to analyze the data. As a result, two domains, five categories, 15 subcategories, and 46 concepts emerged as novice counselors’ difficulties. Specifically, Under the domain of Aspects on Counselors, Personal Characteristics, Countertransference, Characteristics in Supervisory Relationship emerged as categories. Under the domain of Aspects on Education, Case Conceptualization and Interventions were derived as categories. Based 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clinical implications for counselor education and supervisor training are provided.

      • KCI등재

        중학교와 고등학교 재학 당시 학교적응, 진로성숙도, 학업성취가 고등학생의 주관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이보영 ( Boyeong Lee ),성윤희 ( Yoonhee Sung ),김은영 ( Eunyoung Kim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0 인문사회 21 Vol.11 No.6

        본 연구에서는 종단자료를 사용하여 중학교 재학 당시 진로성숙도, 학교적응, 학업성취가 고등학교시기 주관적 행복감과 관련이 있는지 살펴보고, 이 관계가 고등학교 시기 진로성숙도, 학교적응, 학업성취에 의해 매개되는지를 구조방정식을 통해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한국복지패널조사 자료 중 4차년도(중학교 1, 2, 3학년)와 7차년도 아동부가조사(고등학교 1, 2, 3학년) 자료를 사용하였고, 7차년도 최종응답 확인자 512명 중 결측값을 제외한 490명(남 247명, 여 243명)의 자료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분석 결과, 중학교 재학 당시 학교적응과 고등학교 주관적 행복감의 관계가 고등학교 학교적응에 의해 완전매개되었고, 중학교 시기 학업성취와 고등학교 시기의 주관적 행복감과의 관계가 고등학교 학교적응에 의해 완전매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고등학생들의 행복 증진을 위해 학생들의 학교적응을 잘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이 중요함을 시사한다. 이 연구가 갖는 함의와 제한점 역시 논의되었다. The present study is intended to exam how career maturity, school adjustment, and academic achievement during junior high school are related to subjective happiness later in high school, using longitudinal data. It also shows how career maturity, school adjustment, and academic achievement in high school mediate those relationships. The Child Welfare data in 2009 (wave 4) and 2012 (wave 7), which is part of the Korean Welfare Panel Study data, were used for analysis. The final sample included 490 adolescents (247 males, 243 female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alysis revealed that school adjustment during high school fully mediated between school adjustment in junior high school and subjective happiness in high school. Analysis also indicated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academic achievement in junior high school and subjective happiness in high school was fully mediated by school adjustment during high school. These findings highlight the importance of assisting adolescents with school adjustments in order to enhance their subjective senses of happiness.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also addre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