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성견에서 발치 후 즉시 식립 임플란트에 설치한 자석이 주위 조직에 미치는 영향

        유석민,조인호,신수연,Yu, Seok-Min,Cho, In-Ho,Shin, Soo-Yeon 대한치과보철학회 2009 대한치과보철학회지 Vol.47 No.4

        연구목적: 전기장과 전자기장은 1970년대부터 여러 기술들이 개발되어 골절의 치유가 어려운 경우에도 치유를 촉진하는 것으로 알려져 왔다. 한편 임플란트 술식이 성공하려면 임플란트가 견고하게 골과 결합하여 오랫동안 기능성 부하에 견딜 수 있어야 한다. 그러나 이 과정은 통상 6-12개월의 오랜 기간이 소요되며, 발치 후에는 치조제가 전반적으로 감소하며 치조제의 근단측, 협설측 흡수가 일어난다. 그래서 이러한 문제점들을 극복하기 위해 임플란트의 즉시 식립이 제시되었다. 그러나 여전히 치아 상실 후 즉시 임플란트를 식립하여도 발치와 함께 일어나는 골개조가 억제되지는 않았고, 치아 발거 후에는 치조제 높이가 지속적으로 감소한다고 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가설 즉, 정적 자기장을 형성하는 영구자석을 임플란트 즉시 식립 후 임플란트 상부에 설치하여 신선 발치와에서 생리적으로 일어나는 조직개조에 의한 골흡수를 억제시킬 수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재료 및 방법: 임플란트는 직경 4.0 mm, 길이 8.5 mm로 실험군, 대조군 각각 8개씩 총 16개를 실험에 이용하였다. 30 kg 전후 성견 4마리의 하악 양측 제 3, 4 소구치 발거 후 임플란트를 즉시 식립하였고, 실험군은 임플란트 상부에 자석을 부착한 후에, 대조군은 임플란트 상부에 cover screw을 연결한 후에 결손부에 골이식재나 차폐막 없이 판막을 재 위치시키고 봉합하였다. 형광현미경 관찰을 위하여 식립 1주, 6주, 11주에 각각 oxytetracycline hydrochloride, calcein, 그리고 alizarin red S 순서로 정맥주사 하였다. 12주의 치유과정을 거친 후 희생시켜 조직 시편을 제작하였고 광학현미경과 형광현미경 하에서 골-임플란트 접촉율 및 골면적율을 측정하고 치조골 흡수량을 측정하여 관찰하였다. 결과 및 결론: 골접촉율 측정 결과 설측에서의 골접촉율 비교시 유의성이 없었으나 협측에서는 실험군이 유의성 있게 높았다 (P<.05). 골면적율 측정 결과 실험군이 대조군에 비해 높았으나 유의성은 없었다. 또한 치조정 높이의 소실은 실험군이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더 적었고 (P<.05), 협설골벽의 치조정 높이의 소실은 협측이 설측에 비해 유의하게 더 컸다 (P<.05). 이상의 결과로 볼 때 성견 하악에서 발치 후 즉시 임플란트 식립시 설측벽에 비해 협측벽의 골소실이 다소 크나, 발치 후 즉시 임플란트를 식립하고 자석을 부착할 경우 골형성에 유리한 조건을 제공하여, 치아 발거 후 발생하는 생리적인 골개조 반응으로 인한 골흡수를 최소화할 뿐만 아니라 임플란트 안정과 성공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Statement of problem: The clinical use of electric and electomagnetic fields for fracture healing applications began in the early 1970s. Since then, several technologies have been developed and shown to promote healing of fractures. Developments of these devices have been aided in recent years by basic research and several well controlled clinical trials not only in the medical field but in dentistry.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alveolar bone reduction following immediate implantation using implants onto which magnets were attached in fresh extracted sockets. Material and methods: Four mongrel dogs were involved. Full buccal and lingual mucoperiosteal flaps were elevated and third and fourth premolars of the mandible were removed. Implants with magnets and implants without magnets were installed in the fresh extracted sockets and after 3 months of healing the animals were sacrificed. The mandibles were dissected and each implant sites were sampled and processed for histological examination. Results: The marginal gaps that were present between the implant and walls of the sockets at the implantation stage disappeared in both groups as a result of bone fill and resorption of the bone crest. The buccal bone crests were located apical of its lingual counterparts. At the 12 week interval the mean of marginal bone resorption in the control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he magnet group. The majority of specimens in magnet group presented early bone formation and less resorption of the buccal marginal bone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Conclusion: Within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it could be concluded that implants with magnets attached in the early stages of implantation may provide more favorable conditions for early bone formation and reduce resorption and remodeling of marginal bone.

      • KCI등재

        납 안정동위원소를 이용한 아연제련시설 인근지역의 납 오염 특성

        유석민 ( Suk-min Yu ),김혁 ( Hyuk Kim ),박유미 ( Yu-mi Park ),박광수 ( Kwang-su Park ),박진주 ( Jin-ju Park ),김지영 ( Jee-young Kim ),석광설 ( Kwang-seol Seok ),김영희 ( Young-hee Kim ) 한국환경분석학회 2016 환경분석과 독성보건 Vol.19 No.3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lead(Pb) pollution near a zinc smelter using Pb stable isotopes as environmental tracers. Environmental samples such as air particles, precipitation, soils, conifer leaves, and tree rings were analyzed; input and output materials were also collected from the zinc smelter. The 207Pb/206Pb ratios of the output materials from the zinc smelter were in the range of 0.865-0.881, and plotted on a mixing line with zinc ores from South America and Australia as the two end-members. The 207Pb/206Pb ratios of air particles, precipitation, and conifer leaves were in the ranges of 0.822-0.887, 0.853-0.882, and 0.86 -0.877, respectively, and fall within the line attributed to the smelter. In contrast, the 207Pb/206Pb ratios of soils fell within a broader range of 0.694-0.893. Soils with a higher 207Pb/206Pb ratio of 0.850 were plotted on the smelter line and showed high Pb concentrations of 207.5±141.9 mg/kg. Soils with a lower 207Pb/206Pb ratio of 0.850 were plotted on the Korean ore line and showed low Pb concentrations of 60.5±44.2 mg/kg. The 207Pb/206Pb ratios of tree rings showed an increasing trend toward the isotopic composition of emission gases, implying that the source of Pb pollution changed from the local mine to the zinc smelter.

      • KCI등재

        논 문 : 안동호에서의 수은의 물질수지 연구

        박유미 ( Yu Mi Park ),박진주 ( Jin Ju Park ),이민도 ( Min Do Lee ),허인애 ( In Ah Huh ),유석민 ( Suk Min Yoo ),김은희 ( Eun Hee Kim ),석광설 ( Kwang Seol Seok ),김영희 ( Young Hee Kim ) 한국환경분석학회 2015 환경분석과 독성보건 Vol.18 No.4

        Mercury mass balance was investigated in Lake An-dong, located in the upper stream of the Nakdong River, to assess the status of mercury pollution by measuring mercury inputs and outputs of the lake. The parameters for mercury input estimation included atmospheric wet deposition (0.52 kg/yr), dry deposition (0.20 kg/yr), river inflow (16.93 kg/yr) and diffusion from lake sediments (0.64 kg/yr). The mercury inputs totaled 18.29 kg/yr, and 92.5% of this total input was attributed to river inflow from the upper stream. Mercury outputs were measured in evasion (0.14 kg/yr), lake outflow (1.92 kg/yr) and sedimentation (45.77 kg/yr), and the total mercury output was estimated to be 47.83 kg/yr. The imbalance between the inputs and outputs of mercury was 29.54 kg/yr, which suggests that there are other missing inputs of mercury to Lake An-dong such as river input during heavy rainfalls and tributary inflow.

      • KCI등재

        안정동위원소를 이용한 이동오염원에 의한 대기 중 NO<sub>2</sub>의 거동특성 연구

        박광수,김혁,유석민,노샘,박유미,석광설,김민섭,윤숙희,김영희,Park, Kwang-Su,Kim, Hyuk,Yu, Suk-Min,Noh, Seam,Park, Yu-Mi,Seok, Kwang-Seol,Kim, Min-Seob,Yoon, Suk Hee,Kim, Young-Hee 한국분석과학회 2019 분석과학 Vol.32 No.1

        질소산화물(NOx)은 인위적 배출원(화석연료 연소, 이동오염원, 산업배출원 등)과 자연배출원(번개, 생물기원 토양, 산불 등)으로부터 배출된다. 질소안정동위원소를 이용한 분석 기법은 배출원의 기여도 및 추적 인자로 활용되어 왔다. 본 연구는 NOx의 특성을 보기 위하여 ${\delta}^{15}N-NO_2$를 측정하였으며 배출원의 동위원소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시료채취가 용이한 Ogawa PAS를 이용하여 대기 중 가스상 질소를 포집하여 안정동위원소를 분석하였다. 도심지역 터널내부의 평균 $NO_2$ 농도는 $3808.8{\pm}2656.5ppbv$이며, ${\delta}^{15}N-NO_2$ 값은 $7.7{\pm}1.8$‰를 나타내며 일반적인 이동오염원의 값을 나타냈다. 고속도로의 이동오염원으로부터 거리에 따른 결과, 고속도로와 인접한 지점의 $NO_2$ 농도는 $965.4{\pm}125.2ppbv$이며 ${\delta}^{15}N-NO_2$는 $5.9{\pm}1.4$‰이었고, 1.1 km 떨어진 지점의 $NO_2$ 농도는 $372.5{\pm}95.9ppbv$이며 ${\delta}^{15}N-NO_2$는 $-11.5{\pm}2.9$‰로 고속도로인근의 값이 높게 나타내었다. 고속도로부터 이동오염원 기여율을 보기 위하여 binary mixing model을 수행하였으며 고속도로와 근접할수록 기여율, 농도 및 동위원소가 높게 나타나는 경향을 나타냈다. Sources of NOx are both anthropogenic (e.g. fossil fuel combustion, vehicles, and other industrial processes) and natural (e.g. lightning, biogenic soil processes, and wildfires). The nitrogen stable isotope ratio of NOx has been proposed as an indicator for NOx source partitioning, which would help identify the contributions of various NOx sources. In this study, the ${\delta}^{15}N-NO_2$ values of vehicle emissions were measured in an urban region, to understand the sources and processes that influence the isotopic composition of NOx emissions. The Ogawa passive air sampler was used to determine the isotopic composition of $NO_2$(g). In urban tunnels, the observed $NO_2$ concentration and ${\delta}^{15}N-NO_2$ values averaged $3809{\pm}2656ppbv$ and $7.7{\pm}1.8$‰, respectively. The observed ${\delta}^{15}N-NO_2$ values are associated with slight regional variations in the vehicular $NO_2$ source. Both $NO_2$ concentration and ${\delta}^{15}N-NO_2$ values were significantly higher near the expressway ($965{\pm}125ppbv$ and $5.9{\pm}1.4$‰) than at 1.1 km from the expressway ($372{\pm}96ppbv$ and $-11.5{\pm}2.9$‰), indicating a high proportion of vehicle emissions. Ambient ${\delta}^{15}N-NO_2$ values were used in a binary mixing model to estimate the percentage of the ${\delta}^{15}N-NO_2$ value contributed by vehicular NOx emissions. The calculated percentage of the ${\delta}^{15}N-NO_2$ contribution by vehicles was significantly higher close to the highway, as observed for the $NO_2$ concentration and ${\delta}^{15}N-NO_2$.

      • KCI등재
      • 안정동위원소를 이용한 미세먼지 중 오염물질의 기원 추적 연구

        김영희 ( Young-hee Kim ),박광수 ( Kwang-su Park ),김혁 ( Hyuk Kim ),유석민 ( Seok-min Yu ),노샘 ( Seam Noh ),김민섭 ( Min-seob Kim ),안준영 ( Jun-young Ahn ),이민도 ( Min-do Lee ),석광설 ( Kwang-seol Seok ) 한국환경농학회 2019 한국환경농학회 학술대회집 Vol.2019 No.-

        최근 고농도 PM2.5 발생 빈도가 증가됨에 따라 PM2.5의 생성 및 유입기원에 대한 많은 논란이 있으며, PM2.5의 추적 지표로 안정동위원소가 널리 활용되어져 왔다. 본 연구에서는 서울 및 백령 도에서 2014년 1월부터 2016년 7월까지 매주 채취된 PM2.5 중의 탄소, 질산염-질소, 질산염-산소 및 암모늄-질소 안정동위원소를 분석하고, 계절별, 지역별 δ13C, δ15N, δ15N-NO3-, δ18O-NO3-, δ15N-NH4+ 값들을 비교하였다. 겨울철 난방기간 동안의 백령도의 PM2.5 중 δ13C, δ15N-NO3-, δ15N-NH4+ 값은 석탄연소에 의한 값을 보였다. 반면 서울은 비난방기간인 봄~가을에는 이동오염원에 의한 값을 보였으나, 겨울은 δ13C, δ15N-NO3-는 석탄연소에 의한 값을, δ15N-NH4+는 자동차 등 이동오염원에 의한 값을 보였다. 서울의 PM2.5는 주로 이차생성 에어로졸인 질산암모늄, 황산암모늄이 주요 구성물질로, 최근 암모니아가 PM2.5 생성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으나, 기존의 축산분야 이외에, 화력발전시설 및 이동오염원에서의 국내 NH3 배출 특성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향후 PM2.5 저감을 위해서는 NH3 기원에 대한 상세 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The origin of PM2.5 has long been the subject of debate and stable isotopic tools have been applied to decipher. In this study, weekly PM2.5 samples were simultaneously collected at an urban (Seoul) and rural (Baengnyeong Island) site in Korea from January 2014 through July 2016 and δ13C, δ15N, δ15N-NO3-, δ18O-NO3-, and δ15N-NH4+ in PM2.5 were measured. The isotopic results implied that C, NO3-, and NH4+ in PM2.5 from Baengnyeong were nearly originated from coal combustion during winter heating seasons. Whereas, the isotopic values implied that C, NO3- and NH4+ in PM2.5 from Seoul were produced mainly from local vehicle emissions, but during heating seasons, contributions from coal combustion are also important for TC and NO3-. Although the PM2.5 concentrations at Seoul were dominated by secondary inorganic aerosols such as ammonium sulfate and ammonium nitrate, fossil fuel-related NH3 emissions from power plants and vehicles have been less studied in Korea and agricultural activities have been considered the only substantial contributing source even in the urban areas. Additional study on NH3 emission sources and the subsequent reduction of NH3 emissions are required to reduce the formation of PM2.5.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