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삼국유사』 <보양이목(寶壤梨木)> 설화의 서사구조와 그 의미

        박유미 택민국학연구원 2015 국학연구론총 Vol.0 No.16

        The tale of "Boyang and Imok" in Samgukyusa tells the story of Boyang and Imok, one related to the foundation of Woonmun Buddhist Temple. The story makes a great deal of effort to demonstrate with historical research that the founder of the Buddhist temple was not Wongwang but Boyang. There is thus a possibility that the story may seem to be mainly about Boyang at a first glance, but Imok cannot be neglected who is the son of the Dragon King of West Sea and resolves a drought. There are several large problems throughout the story, and they are all resolved according to the Buddhist teachings. As a dragon, Imok plays a significant role in the problem-solving process, which is why one should take a detailed look at the tale. The narrator Ilyeon intentionally emphasizes the power of the Buddhist teachings as a way to solve a problem, which is easily recognizable by the use of the power of the Buddhist teachings to resolve a conflict over several occasions as seen in the description. It was a time of social confusion when a transition happened from the end of Shilla to the beginning of Goryeo, the background of the tale, and the period when Ilyeon lived. He believed that the confusion could be eliminated through solidarity among various social classes around the Buddhist teachings. That is, Boyang representing Buddhism, joins hands with Imok, the dragon, representing folk faith. The narrative structure shows that any crisis can be resolved if harmony between them is possible. 『삼국유사』의 <보양이목(寶壤梨木)> 설화에는 운문사 창사와 관련된 인물인 보양과 이목의 이야기가 전하고 있다. 그런데 이 이야기는 운문사 창건자(創建者)가 원광(圓光)이 아닌 보양이라는 사실을 고증하는 데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때문에 자칫 보양이 중심이 된 이야기인 듯하나 서해용왕의 아들로 심한 가뭄을 해갈해주는 이목 또한 이 이야기에서 간과될 수 없다. 이 이야기는 여러 큰 문제에 봉착하게 된다. 그런데 그때마다 모두 불교신앙(佛敎信仰)으로 해결되는 구조를 가진다. 하지만 문제 해결과정에서 용인 이목의 역할 또한 컸기에 이 설화를 자세히 살펴야 하는 이유가 된다. 편찬자 일연(一然)은 문제 해결 방법으로 불교신앙(佛敎信仰)의 힘을 의도적으로 강조하고 있다. 서사에서 밝혀진 것처럼 몇 번의 위기 타개(打開) 방법으로 불교신앙(佛敎信仰)의 힘을 사용하고 있는 것만 보아도 쉬이 알 수 있을 것이다. 이야기의 배경인 나말에서 여초로 이어지는 시기와 일연(一然) 당대는 사회적으로 모두 혼란한 시기였다. 그는 혼란한 시기를 벗어날 방법이 불교신앙(佛敎信仰)이 중심이 된 다양한 계층의 연대라고 생각했다. 즉, 보양으로 대표되는 불교신앙(佛敎信仰)과 토속신앙(土俗信仰)을 대표하는 용이 손을 잡는 것이다. 이들의 화합이 가능하다면 어떤 위기도 타개(打開)할 수 있다는 것을 서사구조를 통해 나타냈다.

      • KCI등재

        ‘편의점 인간’ 과 ‘로스제네’ 표상 - 버블 붕괴 이후의 세대론을 통해 본 『편의점 인간』 -

        박유미(朴裕美) 한국일본문화학회 2021 日本文化學報 Vol.0 No.88

        This paper analyzes Sayaka Murata"s novel "Convenience Store Woman" based on the theory of the Japanese generation after the economic bubble burst. Convenience stores are effective places to show the life and society of modern people, and they tend to be drawn as if they were spaces dominated by uniform standardization. People are dominated by invisible and explicit manuals that explain what"ordinary humans" are, and people subconsciously imitate the thoughts and actions of others. The novel centers around on two characters, Furukura, who has neither no ‘self-love’ nor and is not competitive ‘competitiveness’, and Shiraha, who is excessively angered by expresses excessive anger toward society. This paper is not a perspective of individual prominent behavior patterns, but It was analyzed in relation to the characteristics of ‘Lost generation’. The ‘lost generation’ often fell into bad jobs due to social conditions, but society assesses this as personal responsibility and criticized the ‘lost generation’ as ‘abnormal’. In the novel, the protagonist who has no dating experience and no libido is considered abnormal, but in reality, it is said that the desire for love and romantic experience and libido among young people is rapidly decreasing. The novel tells us that the ‘common sense" that society believes is self-evident is actually only a ’boom" or temporary "value" that is created according to the times and circumstances.

      • KCI등재후보

        여성 등장인물을 중심으로 한 사사기 19-21장과 룻기 비교 연구

        박유미 한국복음주의구약신학회 2020 구약논집 Vol.18 No.-

        이 논문에서는 현재 개신교 구약 성경에서 연이어 나오는 사사기 19-21장과 룻기를 여성 등장인물을 중심으로 비교하였다. 첫 번째는 여성에 대한 서술방식을 통해 두 본문을 비교하였다. 서술방식에서는 여성의 이름과 여성의 목소리와 여성의 행동을 중심으로 비교하였다. 그 결과 사사기 19-21장에서는 여성의 이름도 없고, 여성의 목소리도 없고, 여성은 대부분 행동의 대상으로 서술되어 있다. 이것은 여성이 하나의 온전한 인격으로 여겨지지 않고 존재가 부정당하고 있다는 것과 여성들이 말할 수 없거나 여성의 말이 무시되는 억압적인 사회라는 것을 드러낸다. 그리고 여성이 자신의 인생의 주체가 되지 못하고, 스스로 결정하지 못하고, 남성들의 결정에 끌려 다니고, 희생당하는 사회라는 것을 드러낸다. 반면에 룻기는 여성이 이름과 자신의 목소리를 가지고 있으며 주체적으로 행동한다. 이것은 그녀들이 온전한 인격으로 존중받으며, 자신의 요구를 당당하게 말하고, 주체적으로 자신의 운명을 개척해 나가는 인물이란 것을 드러낸다. 두 번째는 환대와 헤세드와 하나님과의 관계라는 주제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사사기 19-21장에서 여성은 환대와 헤세드의 대상에서 제외되고 남성을 향한 환대와 헤세드를 위해 희생된다. 그리고 여성이 죽임당하고 희생당하는 상황 속에서 하나님은 등장하지 않는다. 반면 룻기에서는 모압 여성 룻도 이스라엘 안에서 정착할 수 있도록 환대를 받는다. 또한 강자인 보아스가 헤세드를 베풀고, 약자인 나오미와 룻이 헤세드를 받으며 서로 돕는 관계가 된다. 그리고 하나님께서는 그들의 헤세드에 더 큰 헤세드로 응답하셨다. 결론적으로 사사기 19-21장과 룻기는 여성 등장인물에 대해 대조적인 모습을 보인다. 그 원인은 그 사회와 하나님과의 관계에서 온다. 하나님의 뜻을 무시하는 공동체는 여성들에게 폭력적이다. 반면 하나님의 은혜가 넘치는 공동체는 여성들이 존중받는 곳이다. 그러므로 약자인 여성에 대한 태도가 바로 그 공동체의 신앙의 바로미터가 된다. The essay compares Judges 19-21 and the Book of Ruth, books adjacent each other in the protestant Old Testament and the focus of the comparison is women characters. The first area of comparison is the ways to describe women characters. The comparison focuses on their names, speeches, and actions. It turns out that all women in Judges 19-21 are not given names and voices and are described as objects of others’ actions. This indicates that they lived in an oppressive society where they were not considered as whole human beings, their existence was denied, they could not speak publicly and their views were ignored. It is also observed that women lived in a society where they could not be the subjects of their lives, could not make decisions for themselves, were subjected to men’s decisions, and were sacrificed without their consent. On the other hand, in the Book of Ruth, main characters are women and are given names. They are described as agents of their own life as they decide their own destiny and take bold actions. The way they are described in Ruth reveals that they were respected as whole human beings in the community as with confidence they expressed their needs and secured their future subjectively. The second area of comparison focuses on the theme of hospitality, hesed and the relationship with God. In Judges 19-21, women are excluded from hospitality and hesed. Rather, they are sacrificed for hospitality and hesed for men. In a situation where a woman is killed and sacrificed, God does not appear. On the other hand, in the Book of Ruth, Ruth the Moabite is welcomed to settle in the land of Israel. In addition, Boaz, a strong man in the community shows hesed, and Naomi and Ruth, the weak experience hesed and support each other. And God responds with a greater hesed to their hesed. In conclusion, Judges 19-21 and the Book of Ruth show a contrasting attitude toward women characters. The author of this essay suggests a reason for the different descriptions of women in the two texts: It has to do with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mmunity and God. Communities that ignore God's word tend to be violent against women. On the other hand, communities full of God's grace respect women. Therefore, attitudes towards women can be a barometer of the community's faith.

      • KCI우수등재

        압력손실을 고려한 양돈시설의 반폐회로 환기시스템의 환기량 및 혼합비율 평가

        박유미,김락우,김준규 한국농공학회 2023 한국농공학회논문집 Vol.65 No.1

        The increase in the rearing intensity of pigs has caused deterioration in the pig house’s internal environment such as temperature, humidity, ammoniagas, and so on. Traditionally, the widely used method to control the internal environment was through the manipulation of the ventilation system. However, the conventional ventilation system had a limitation to control the internal environment, prevent livestock disease, save energy, and reduceodor emission. To overcome this problem, the air-recirculated ventilation system was suggested. This system has a semi-closed loop ventilation type. For designing this system, it was essential to evaluate the ventilation rates considering the pressure loss of ducts. Therefore, in this study, pressure losscalculation and experiment were conducted for the quantitative ventilation design of a semi-closed loop system. The results of the experiment showedthat the inlet through which external air flows should always be opened. In addition, it was also found that for the optimum design of the semi-closedloop ventilation system, it was appropriate to install a damper or a backflow prevention device rather than a ventilation fan.

      • KCI등재

        ‘헤세문학’ 연구 ―시대적 표상을 중심으로―

        박유미 한국일본문화학회 2022 日本文化學報 Vol.- No.92

        This paper discusses the characteristics of Heisei literature. First, from the beginning of the bubble collapse, several economic novels were written about the events that occurred. This is because the information in economic novels was important at that time when it wa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economy. It is also thought that it was easier for Japanese people to accept the form of a novel than explicit disclosures from reports as Japanese people are very loyal to organizations. Second, novels that play the role of “healing” have become very popular in Japan. This paper pays special attention to Jiro Asada’s “Poppoya,” which states that “you have lived wonderfully,” leading to Japanese people healing through the novel. Additionally, the “disaster literature” published after “3‧11” has included discussions on how to heal without experiencing a disaster directly. Finally, Heisei literature also includes novels about youth problems. Particularly noteworthy is that youth’s problems are treated as social and institutional problems, not just for individuals. Additionally, the spread of the Internet and SNS is also essential in explaining the Heisei era.

      • KCI등재

        베토벤 《피아노 소나타 Op. 101》에 대한 기호학적 해석 또는 탐정 보고서

        박유미 이화여자대학교 음악연구소 2019 이화음악논집 Vol.23 No.1

        Beethoven Piano Sonata Op. 101 was written in 1816 and it is considered as the first sonata of his late style. This work is much deviated from conventional sonata writing, as exemplified by the intimidate and condensed form of first movement, unexpected returning of the first movement’s thema at the finale as well as the interpolated fugato in the development of the finale. Consequently, normal mode of the analysis is not sufficient to grasp the whole richness of this work. In this paper I try to interpret the work with the aids of 3 distinct scholars (or detectives). It has done by a new strategy, namely semiotic approach, expecting to broaden the scope of the analysis as well as bringing an expressive reading of this music. It can be summarized as having three main issues as the pastoral character, Fantasie-like form and the improviser’s own voice. Finally, these features are overall examined with details. 본 글은 베토벤 《피아노 소나타 Op. 101》의 해석을 통해 베토벤 후기의 작품양식 경향과 그 배경에 놓인 작곡가의 창작 상태를 이해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쓰였다. 이 곡은 베토벤의 창작이 잠시 위축되었던 1816년 작곡된 곡으로 그의 피아노 소나타들 가운데서 후기 양식을 여는 첫 작품이 된다는 점에서 연구의 가치가 있다. 형식적인 면에서 기존의 소나타 관습에서 많이 벗어나 있는 이 작품의 의미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전통적 방식의 분석의 틀에 의해서보다는 작곡가의 내면적 이해와 그것을 음악에 담는 방식을 탐구하는 연구가 병행되어야 할 것이다. 본 글에서는 이러한 의도로 기호학적 접근 방식을 취하여 작품의 곳곳에 숨겨져 있는 표현적 단서들을 포착하고 그것을 해명하고자 하였다. 음악 기호에 대한 이해는 서양 음악 문화에 대한 깊은 지식을 요하므로 베토벤 그리고 기호학 전문가들(탐정)의 해석을 빌어 왔고 이를 토대로 작품의 의미를 재구성해 보았다. 여기에서 드러나는 3가지 키워드는 이 소나타의 전원적 성격, 환상곡적 성격, 그리고 즉흥연주자로서의 베토벤의 목소리로 요약할 수 있다. 종합 검토에서는 이들 각각의 성격에 대한 타당성이 검토되었다.

      • KCI등재

        『삼국유사』 구도설화에 나타난 하층민의 구도 양상과 그 의미

        박유미 택민국학연구원 2018 국학연구론총 Vol.0 No.21

        Ilyeon introduced ways for the lower class to seek truth through the patterns of seeking truth in truth pursuit tales for the lower class in his Samgukyusa. These tales are connected to life, revealing all kinds of thoughts including the suffering of life and desire. These tales also propose ways to overcome them or the methods of Gojipmyeoldo. The lives of the lower class are most connected to reality. Ilyeon proposed ways to seek truth through the lives of the lower class that were the closest to reality. The episodes of Gwangdeok and Eomjang convey that if people practice vigilance against the fulfillment of personal desire, they will be able to seek truth. He maintained that people should think of the importance of people's reformation as well as individual realization through Nohilbudeuk and Daldalbakbak. The case of Wookmyeon shows the possibility that even people of the most humble status can succeed in seeking truth like him by trying hard to achieve realization. The tale of Wookmyeon illustrates that he devoted himself only to the pursuit of truth without succumbing to the hindrance and hatred of his master Guijin or being entangled with personal feelings and finally succeeded in seeking truth, which is the biggest virtue required from seekers of truth. The tale of Sabok demonstrates that people of humble status can seek truth and become a high priest by practicing both Sanggubori and Hahwajungsaeng. By presenting the pattern of seeking truth pursuit tales for the lower class Ilyeon tried to show that people would be able to overcome their difficulties by trying to seek truth from the bottom to the top. 일연은 『삼국유사』 하층민 구도설화의 구도 양상을 통해 하층민의 구도 방법을 알려준다고 하겠다. 『삼국유사』 하층민 구도설화는 삶과 맞닿아 있다. 삶의 고통과 욕망 갖가지 상념들을 설화를 통해 들춰낸다. 그리고 그것들을 이겨내는 방법 즉, 고집멸도(苦集滅道)의 방법을 제시하였다고 하겠다. 하층민의 삶은 가장 현실과 맞닿아 있다. 일연은 현실에 가장 근접해 있는 하층민의 삶을 통해 구도(求道) 방법을 제시하였다. 광덕과 엄장을 통해서는 개인 욕망 성취에 대한 경계를 실천한다면 구도에 이를 수 있다고 말해준다. 노힐부득과 달달박박을 통해서는 개인의 깨달음뿐만 아니라 중생의 교화 또한 중요함을 생각해야 한다고 한다. 욱면을 통해서는 가장 천한 신분의 사람도 전생에는 고귀한 신분이었을 가능성이 있으므로 애써 깨달음을 구한다면 욱면과 같이 구도에 성공할 수 있다고 한다. 욱면이 주인인 귀진의 방해와 미움에도 굴하지 않고 즉, 사사로운 감정에 얽매이지 않고 오직 구도에만 정진하여 구도한 것은 구도자가 갖추어야 할 가장 큰 덕목임을 설화를 통해 보여준다. 사복을 통해서는 상구보리·하화중생 모두를 실천한다면 비천한 신분일지라도 구도하면 뛰어난 고승이 될 수 있다는 것을 알려주었다. 결국 하층민 구도설화의 구도 양상을 통해 아래에서부터 위에 이르기까지 구도에 힘쓴다면 난국(亂國)을 극복할 수 있다는 의지를 보여주고자 하였다고 생각된다.

      • KCI등재

        日本の地域福祉計畵の動向と地方自治体選擇の獨自性に關する考察

        朴兪美(박유미) 경성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09 社會科學硏究 Vol.25 No.4

        본 연구는 2003년 사회복지법 개정을 통해 등장한 지역(사회)복지계획의 제2차 수립을 앞두고, 그에 대한 시사를 목적으로, 일본 지역복지계획의 동향을 분석하였다. 제1차 지역복지계획수립은 지역특성의 반영 등 수립과정에 있어 문제점을 노출한 바 있으며, 2010년부터 시작되는 제2차 계획수립에 있어서 그러한 시행착오를 극복하기 위한 다각적 검토가 요구된다. 지역복지 추진을 위한 지역복지계획수립에 있어서, 우선적으로 계획수립의 주체인 지방자치단체의 판단과 선택이라는 관점이 중요하다. 그러한 점에서 제2차 계획수립 단계에 있는 일본 지역복지계획의 동향은 우리에게 시사하는 바가 크다. 일본 지역복지계획은 2000년 제도화 되어, 2003년부터 본격적으로 실시되었다. 일본 지역복지계획은 시작단계부터 주민참여를 중시한 계획수립을 추진해 왔으며, 의무가 아닌 임의 계획이기 때문에, 계획수립에 있어 지방자치단체의 판단과 선택이 중요한 역할을 해왔다. 실제, 지방자치단체가 독자적인 목적설정과 더불어, 주민참여 중시의 계획수립을 추진하여, 지역복지 추진의 도구로 지역복지계획수립을 활용한 사례도 나타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일본 지역복지계획의 동향을 제도화 이전부터 분석하면서, 지방자치단체의 판단과 선택에 주목하여, 제2차 계획수립의 사례분석도 행하였다. 그 결과, 우리나라 지방자치단체의 지역복지계획수립을 위한 시사점으로, 다양한 형태의 계획수립과 다양한 참여 채널의 확보를 통해, 지역복지 추진의 도구로 지역복지계획수립을 활용할 것을 제시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