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교도소 수형자의 부정적 자동적 사고가 자살실행력에 미치는 영향

        최윤영(Younyoung Choi),김수아(Sua Kim),원윤하(Yunha Won),김지근(Ji Geun Kim) 한국교정복지학회 2023 교정복지연구 Vol.- No.84

        본 연구의 목적은 수형자의 부정적 자동적 사고가 공격성을 통해 자살실행력에 미치는 영향이 인지적 융합에 의해 강화되는지를 검증하는 것에 있으며, 이를 조절된 매개모형을 통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교도소 수형자 500명을 대상으로 수집한 자료를 SPSS 25.0과 SPSS PROCESS Macro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수형자의 부정적 자동적 사고와 자살실행력 간의 관계에서 공격성의 완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부정적 자동적 사고가 유발하는 공격성이 인지적 융합에 의해 더욱 강화되는 것으로 나타나 인지적 융합의 조절효과를 확인하였다. 나아가 조절된 매개모형 분석에서는 인지적 융합에 의해 조절된 공격성의 매개효과 또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인지적 융합 수준이 높을수록 부정적 자동적 사고가 공격성을 거쳐 자살실행력에 미치는 영향이 더욱 커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수형자 자살 예방을 위한 개입에 있어 심리적 문제의 중요성을 조명하며, 개입 모델에 대한 의미있는 정보를 시사한다. 마지막으로, 한계점 및 추후 연구에 대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whether the effect of prisoners' negative automatic thoughts on capability suicide through aggression is enhanced by cognitive fusion. Moderated mediation analysis was conducted by SPSS 25.0 and SPSS PROCESS Macro. The data of 500 prisoners were collected.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there was a full mediation effect of aggress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negative automatic thoughts and capability for suicide among prisoners. In addition, the aggression induced by negative automatic thoughts was further strengthened by cognitive fusion. Lastly, this study found that the mediation effect of aggression moderated by cognitive fusion was also significant from the moderated mediation model analysis. This finding suggests that the higher the level of cognitive fusion, the greater the impact of negative automatic thoughts on capability for suicide through aggression. The results in this study highlight the importance of psychological problems in interventions to prevent prisoner suicide and suggest meaningful information for theoretical intervention models in correctional psychology.

      • KCI등재

        예비 영어 교사의 영어 수업 진행 능력 평가를 위한 평가 도구 개발 연구

        최윤영(Choi, Younyoung),이경랑(Lee, Kyoung-Rang),김수연(Kim, Soo-Yoon) 한국외국어교육학회 2012 Foreign languages education Vol.19 No.3

        This study aimed to develop a rubric, which is theoretically validated and statistically tested, to assess Korean English pre-service teachers’ performance for Teaching English in English (TEE). Based on the previous studies related to TEE, confirming the content validity, a preliminary rubric was developed. Then, with the video-taped microteaching to demonstrate TEE of 59 participants in this study (pre-service teachers in a university in Seoul), a series of statistical analyses were conducted to test the reliability (internal consistency coefficient, stability coefficient, and inter-rater reliability), the construct validity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the quality of items (Classical Test Theory and Item Response Theory) of the rubric. After re-examining the items of the rubric with the results of the statistical analyses, we finalized the rubric into 35 items under 5 subcategories. Detailed processes of developing the rubric and testing its reliability, validity, and the quality of items and discussions are given.

      • KCI등재

        게임을 이용한 학습도구에서 학습경로 측정을 위한 인식적 연결망 분석

        최윤영(Younyoung Choi),조영일(Young Il Cho) 한국교육평가학회 2012 교육평가연구 Vol.25 No.3

        본 연구에서는, 게임이나 시뮬레이션을 이용한 학습도구에서 참여자들의 학습 경로를 측정하기 위해 고안된 인식적 연결망 분석을 소개하였다. 기술의 발달로 게임이나 시뮬레이션을 이용한 학습도구들의 개발은 활발한 반면에, 이러한 학습도구에서 참여자들의 학습 경로를 측정하고 평가하는 통계적 기법의 개발과 활용에 관한 연구는 미미한 수준이다. 특히, 기존의 전통적 분석 모형은 게임을 활용한 학습도구로부터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기에는 한계가 있기 때문에 새로운 방식의 분석 방법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인식적 게임을 학습도구의 예로 사용하여, 게임을 활용한 학습도구를 통해 얻어진 자료를 분석함에 있어서 전통적 측정 모형들이 가지는 한계점을 제시하고, 대안으로서 제안된 인식적 연결망 분석의 기초적인 통계적 개념과 속성들을 소개하였다. 시뮬레이션 연구를 통해 인식적 연결망 분석 방법이 다양한 학습 상황에서 신뢰성 있는 결과를 산출하는지를 평가하였으며, 실제 학습 상황에서 분석 방법의 실용성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Epistemic games are designed to help players develop domain-specific expertise that characterizes how professionals in a particular domain reason, communicate, and act (Bagley & Shaffer, 2009; Shaffer, 2006b). To analyze the complex data that arise from these games, a novel analytic method grounded in social network analysis called epistemic network analysis(ENA) has been recently proposed(Rupp, Gushta, Mislevy, & Shaffer, 2010; Choi et al.,2010; Shaffer et al., 2009). This paper introduced the basic principles and procedures of ENA statistics and how learning trajectories in epistemic games were captured and coded. A simulation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performances of ENA statistics in the various game based learning tools. Lastly, the application study discussed the performance of a particular ENA statistic.

      • KCI등재

        학업크래프팅 척도 타당화: 온라인과 오프라인 대학생을 중심으로

        최윤영 ( Younyoung Choi ),신주연 ( Joo Yeon Shin ) 한국교육공학회 2018 교육공학연구 Vol.34 No.1

        본 연구의 목적은 학습자들의 긍정적인 학업 경험 및 전반적인 삶의 질 증진을 위한 구체적 전략의 하나로 학업크래프팅의 개념을 제안하고 학업크래프팅 척도를 타당화 하는 것이다. 기존에 일의 맥락에서 직업인들을 대상으로 제안된 잡크래프팅 개념을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학업크래프팅을 학습자가 주도적으로 학업과 관련된 요소들을 숙고하고 변화시킴으로써 자신의 학업을 더욱 의미있게 만드는 전략으로 정의하였다. 또한, 직장인을 대상으로 타당화 된 한국판 잡크래프팅 척도를 학업 맥락에 적절하도록 수정한 후 타당화 하였다. 국내 4년제 오프라인 대학생 214명과 4년제 온라인 대학생 519명의 표본을 활용하여 교육 및 심리검사 표준서(Standards for Educational and Psychological Testing, 2014)에서 명시하고 있는 다섯 가지의 타당도 근거들을 수집하였다. 연구 결과, 학업크래프팅 척도의 문항들은 3요인 모형(과제크래프팅, 인지크래프팅, 관계크래프팅)을 지지하였으며, 학업만족, 학업의미, 삶의 만족, 삶의 의미와 정적 상관을 보였다. 또한, 모든 문항에서 학업크래프팅이 높은 집단과 낮은 집단을 잘 변별하였으며 성별 편향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업크래프팅 개념과 척도가 학습자들의 긍정적 학습경험 촉진 및 전반적 삶의 질 향상에 가지는 의의를 논하였으며 상담 및 교육 장면에서의 활용에 대하여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troduce the concept of study crafting and to validate the Study Crafting Questionnaire(SCQ). Modified from the concept of job crafting developed in the context of work, this study conceptualizes study crafting as the strategies individuals take to shape, redefine, and actively change components of their academic work to make their academic experiences more meaningful and positive. Data collection included 214 surveys from 4-year offline university students and 579 surveys from online university students. Results showed that each item on SCQ appropriately reflected study crafting construct in terms of content. A three-factor model with task crafting, relational crafting, and cognitive crafting was extracted by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confirmed by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The higher levels of study crafting were related to higher levels of meaning in academic work, academic satisfaction, life satisfaction, and meaning in life. In addition, all items discriminated a group with high study crafting from another group with low study crafting well and all items did not have a bias effect in terms of gender. The current findings suggest that the concept of study crafting could be utilized as one of the practical strategies to promote positive academic and quality of life outcomes in educational settings.

      • KCI등재

        컴퓨터기반 교육시스템의 인식론적 프레임 학습을 위한 이론모형 구축과 평가도구 개발

        최윤영(Younyoung Choi),서동기(Donggi Seo),정선호(Sunho Jung) 한국콘텐츠학회 2018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8 No.3

        정보통신기술의 발달로 최근 컴퓨터 기술의 발달은 교수자, 학습자들 모두에게 새로운 방식의 교육개념과 교육시스템의 도입을 촉진해왔다. 이에 본 연구는 21세기의 새로운 기술요구에 따라 강조되고 있는 인식론적 프레임(Epistemic Frame)에 대한 이론적 모형 구축과 이를 평가할 수 있는 핵심 평가문항을 구축함을 목적으로 한다. 구체적으로는 첫째, 인식론적 프레임 이론적 모형을 도메인 분석을 통하여 구축한다. 둘째, 구축된 이론적 모형의 구성요소들을 평가할 수 있는 평가요소들을 개발하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개발된 평가문항을 요인분석과 Cronbach’s alpha분석을 통하여 타당도와 신뢰도를 평가하였다. 연구 결과로는 컴퓨터를 활용하여 학습할 수 있는 인식적 프레임의 이론 모형제시하고, 이를 평가할 수 있는 평가문항들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실증적 통계적 분석을 통하여 결과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컴퓨터를 활용하여 다양한 영역에서 인식론적 프레임이 적용된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는 연구자 및 실무자들에게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Recently, the computer aided learning system has promoted a new educational concept and education system.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struct a theoretical model for the epistemic frame and evaluation tool which is emphasized according to the 21st century. Specifically, first, this study conducted a domain analysis of epistemic frame. Second, this study developed an evaluation tool to measure epistemic frame. Finally, the evaluation tool is examined in terms of validity and reliability using factor analysis and Cronbach’s alpha. As a result, the theoretical model was presented through the consultation of the Advisory Group and the evaluation tool was empirically validated. We expect that this study will provide a useful information to researchers and practitioners who want to develop a computer based learning tool for learning epistemic frame.

      • KCI등재후보

        소비자의 주택가격전망이 아파트거래량에 미치는 영향연구: 지역수준별 차이를 중심으로

        최윤영 ( Choi Younyoung ),김지현 ( Kim Ji Hyun ) 주택도시보증공사 2016 주택도시금융연구 Vol.1 No.2

        본 연구는 소비자의 심리와 관련된 변인들이 아파트거래량에 미치는 영향을 설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소비자심리와 관련된 변인들 중에서 특히 주택가격의 향후 변동에 관한 소비자들의 가격전망이 아파트거래량을 설명할 수 있는 변인으로 역할을 하고 있는지를 확인하였다. 이때 소비자들의 가격전망은 아파트가 속해있는 지역에 영향을 받는 것을 착안하여 아파트 가격전망과 거래량의 관계를 지역수준에 따라서 분석하였다. 나아가 주택가격과 주택거래량의 관계는 시간적 차이가 반영될 것을 고려하여 소비자들의 현재와 1분기 전 아파트 가격전망을 함께 모형화하여 주택가격전망이 아파트거래량을 설명할 수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이와 같은 분석은 HLM을 활용하였으며, 분석한 결과, 아파트가격에 대한 소비자심리 및 가격전망의 영향은 지방(시/군/구)수준에서 86.9%를 설명하고, 광역(시/도)수준에서는 13.7%를 설명하였다. 구체적으로, 광역 수준에서는 주택매매소비심리지수, 전세시장소비심리지수, 아파트가격체감이 아파트거래량을 설명하는 변인으로 유의미한 변수로 나타났다. 소비자들의 아파트가격의 현재 전망과 1분기전의 가격전망은 모두 거래량에 영향을 주는 유의미한 설명변수로 나타났다. 반면, 지방수준에서는 가격체감과 1분기 전 가격전망이 유의미한 변수였다. 나아가 본 연구는 매개분석을 통해서 GRDP가 아파트거래량을 설명하는 관계에서 주택매매소비심리가 부분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발견하였다. 이상의 분석결과, 소비자의 향후 아파트가격의 전망은 아파트거래량에 시간간격을 두고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광역(시/도)수준보다 지방(시/군/구) 수준의 작은 행정단위에서 보다 설명력이 있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impact of property consumer sentiment on apartment transaction by applying hierachical linear model(HLM). Results showed that 86.9% of apartment transaction was explained by locaKcities, counties, and Ku) level while 13.7% of transaction was explained by metropolitan(metr -cities and Do) level. Therefore, HLM was appropriate for this study. At the metropolitan level, housing transaction sentimental index, rental housing sentimental index, perceived apartment price, and consumer’s future expectation of apartment price (both (t) and (t-1))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the apartment transaction. On the other hands, at the local level, the variables of a consumers perceived current housing price and future expectation toward local housing price had a significant positive association with the apartment transaction. In addition, the results of mediation analysis showed that GRDP (independent variable) has influenced the housing transaction sentimental index(mediator variable), which in turn has influenced the apartment transaction (dependent variable). Therefore, the study suggests that property consumer sentiment could be an important factor in explaining housing transaction and the significant factors can be different in terms of local levels. As a results, HLM might give us very useful information on housing market and consumer sentiment if variables supported by theoretical reviews and dataset are available.

      • KCI등재

        An Empirically Based Classification with Rule Space Model

        임연규(Yeongyu Lim),최윤영(Younyoung Choi) 한국교육평가학회 2016 교육평가연구 Vol.29 No.1

        본 연구는 인지진단모형의 하나인 Rule space model (RSM: Tatsuoka, 1983; 1985, 2009)을 중학생 대상으로 실시되고 있는 대규모 수학시험에 적용하였다. 또한 분류를 위해서 사용될 수 있는 방법들 중에서 기존의 Attribute mastery probabilities(AMP: Tatsuoka, 2009) 와 본 연구에서 새롭게 제안된 normative AMP을 비교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Q-matrix에 기초 하여 개발된 86 문항으로 구성된 수학검사를 2993명의 표본의 응답반응을 분석 대상으로 사용하였으며 분석 절차는 (1) Q Matrix 구성, (2) Ideal reponses 생성, (3) 규칙장(rule space)형성, (4) AMP와 normative AMP에 따른 분류로 실행되었다. 분석결과는 대략 80% 문항들이 둘 이상의 다수의 인지속성을 갖는 것으로 밝혀졌으며, 학생들의 인지속성별 숙달 확 률이 다양하게 나타났다. RSM의 적용을 통해, 문항 난이도의 원인을 인지속성별로 파악하였으며, 개인별 맞춤형 진단적 피드백의 예시를 제공하였다. 본 연구는 인지진단모형의 하나인 RSM의 적용절차를 기술하고, 분류를 위한 AMP와 normative AMP를 비교하며, 이에 따른 RSM이 수학교육에서의 활용될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한 점에 의의가 있다. Tatsuoka's rule space model (Tatsuoka, 1983, 1984, 2009: RSM) as one of cognitive diagnosis models(CDM) was used to provide a guideline for practical applications to large-scale test data The state accountability test consisted of 86-items that were administered to all 8th grade students in Kansas state was analyzed. A representatives sample of approximately 3,000 response patterns was used in this study. The processes of the RSM were as follows: (a) the identification of attributes and the construction of incidence matrix; (b) generating ideal responses; (c) formulating rule space characterized by two dimensions consisting of the ability variable (θ) and the person-fit variable (ζ); (d) individual attribute mastery probabilities as diagnostic results. Normative attribute mastery probability (AMP) was suggested as a modified classification method and compared to Tatsuoka's AMP. This study showed that approximately 80% of items involved multiple skills according to the standards categories and that students' attribute mastery probabilities varied widely within most score levels. Multiple procedures for the RSM application presented in this study and the comparison between Tatsuoka's AMP and normative AMP have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in the RSM.

      • KCI등재

        학습분석학 국내 문헌 고찰: 로그 데이터를 이용한 실증연구를 중심으로

        안미리 ( Mi-lee Ahn ),최윤영 ( Younyoung Choi ),배윤희 ( Yunhee Bae ),고윤미 ( Yoonmi Ko ),김민하 ( Minha Kim ) 한국교육공학회 2016 교육공학연구 Vol.32 No.2

        학습분석학(Learning Analytics)은 학습이 일어나는 전 과정에서 수집되는 데이터를 분석하여 학습에 도움이 되는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온라인 콘텐츠 활용과 이러닝이 보편화됨에 따라 학습분석학은 학습유형고찰, 학습평가, 맞춤 학습 등 교육의 질 향상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그러나 아직 국내연구에서는 학습분석학의 연구가 미비한 점을 착안하여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발표된 학습분석학을 적용한 문헌 자료를 분석하였고, 향후 국내연구에 주는 시사점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는 2008년부터 2016년 2월까지 발표된 국내 학습분석학 관련 문헌 중 실증적 연구 중심의 문헌으로 최종 61편을 선정하였으며, 선별 절차와 과정은 Papamitsiou와 Economides(2014)의 문헌연구 방법을 따랐다. 문헌분석 결과, 국내에서 집중된연구 동향은 (1) 연구 목적은 학생 행동 모델링, 학습성과 예측, (2) 학습환경은 VLEs/LMSs, 웹기반학습을 주로 연구하였으며, (3) 자료분석방법은 연구 목적에 따라 분석 방법을 다르게 사용하였으나 주로 Statistics, Regression, Text Mining이 많이 활용되었다. 본연구의 시사점은 우선, 학습분석학을 통한 새로운 교수전략 제안과 학습자의 학습성과 예측, 중도탈락 예방 등 학습자 이외에 지원 가능한 다양한 변인에 대한 연구가 상대적으로 미미했던 부분의 보완이 필요하다. 또한 MOOC, 인지적 튜터 시스템, 모바일과 같은 다양한 학습환경에서의 학생 및 학생 행동 모델링 연구가 필요하다. 나아가 데이터를 추출하고 마이닝하는 방법과 이에 따른 분석 모형화에대한 연구를 교육공학적 측면에서 접근함으로써 다양한 학습자의 개인별, 맞춤형 교육을 제공할 수 있는 시각화방법을 포함한 프로세스가 내재된 학습관리시스템 모델링 연구 또한 필요하다. 결론적으로 학습분석학의 활용에 관한 다양한 관점의 고찰은 교수설계, 교수전략의 새로운방향을 제시하고 효과적인 데이터의 활용과 학습관리시스템의 모형을 제안할 것으로 기대된다. Learning analytics is a research method used in data collection, analysis, and reporting of learners`` progress, for purposes of understanding, predicting, and optimizing learners`` learning process. Along with the rapidly increasing use of online learning, data derived analytics methods are anticipated to improve the quality of education. However, research on learning analytics is relatively new in Korean academia. This study aims to identify research trends in Korea on the (1) learning settings, (2) research objectives, and (3) research methods used in learning analytics literatures. Using Papamitsiou & Economides‘s(2014) review process as a guideline, we surveyed empirical studies published in Korea between 2008 and 2016, and 61 were aggregated for in-depth analysis. The results show that most research published in Korea is limited to applying learning analytics in the context of VLEs/LMSs and web-based learning platforms. For research objectives and research methods also narrowly focused on objectives and research methods. The implication of this study is that the Korean academia needs to expand to different applications of learning analytics to include instructional strategies, prediction of student success, and prevention of dropouts. Furthermore, we need to expand to include the design of MOOC, cognitive tutor system, and mobile learning systems to offer automated data extraction and data mining, and capablities of visualized personalized data. These data-driven learning environment could foster learning analytics research and improve quality of teaching and learning.

      • KCI등재

        MLL모형을 이용한 주택점유형태 선택 결정요인 분석

        김지현(Kim, Ji-hyun),최윤영(Younyoung Choi),강수진(Kang, Sujin) 대한부동산학회 2018 大韓不動産學會誌 Vol.36 No.4

        본 연구는 주택점유형태선택에 미치는 요인을 개인수준, 시/군/구 단위수준, 시/도 단위 수준별로 변수를 정리하여 3수준 이항로지스틱 모형을 통하여 살펴보았다. 개인수준으로는 인구 및 사회·경제적특성, 현 거주 주택특성, 심리특성을 고려하고, 시/군/구 단위수준에서는 주택 및 주거환경 만족도와 거래량 및 실거래가를 포함하였다. 마지막으로 시/도 단위에서는 주택소비심리지수, 주택매매가격과 주택인허가실적을 고려하였다. 연구결과로 개인수준에서는 가족 구성원 총소득, 다주택자 여부, 현 주택 거주기간, 현 주택 점유형태, 주거환경만족도, 내 집 필요성 인식, 다른 주택 구매의사가 유의미하게 주택점유형태의 선택에 미치는 변인으로 관찰되었다. 시/군/구 단위수준에서는 주택거래량과 단위당아파트실거래가가 주택점 유형태의 선택에 미치는 변인이었으며, 시도수준에서는 주택평균단위매매가격이 유의미한 변인으로 관찰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factors that can explain the housing tenure choice using hree level binary logistics model. Demographic information, social economic information, and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were considered at the individual level. Household and residential satisfaction, transaction volume, and actual transaction price were included at the city/district level. Also, housing consumption psychological index, the house price and the permission of housing construction were considered at the metropolitan and province level.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the income of households, the period of current residence, the type of occupation, the satisfaction of residential environment, perception of necessity of house, and intention to purchase another house were found to be significant variables. Also, housing transaction volume and apartment unit transaction per unit were the significant variables at the city/district level. Lastly, the average unit price of the house was found to be a significant variable at the city/province level.

      • KCI등재

        청소년의 온라인 커뮤니케이션 매체 이용 동기가 사이버불링에 미치는 영향 : 정서적 공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이현우(Lee, Hyunwoo),최윤영(Choi, Younyo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18

        본 연구는 청소년을 대상으로 SNS의 온라인 커뮤니케이션 매체 이용 동기와 사이버불링 간의 관계를 살펴보고, 정서적 공감이 이들 변인간의 관계에서 매개효과를 가지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시에 소재한 중학생 및 고등학생 412명을 대상으로 하여 2019년 9월부터 10월까지 약 한 달간 설문을 통해 SNS 이용 동기, 정서적 공감, 사이버불링의 경험을 조사하고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해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 오락 목적과 커뮤니케이션 목적으로 SNS를 사용하는 경우 사이버불링의 경험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커뮤니케이션 목적으로 SNS를 사용하는 경우 사이버불링과의 관계에서 정서적 공감에 대한 부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청소년이 SNS 이용을 커뮤니케이션 목적으로 하는 경우 사이버불링을 경험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으며 정서적 공감 함양을 통한 청소년 교육은, 오프라인에서의 또래집단폭력을 줄일 수 있다는 선행연구의 결과와 마찬가지로, 온라인상에서의 사이버불링 감소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교육 환경 변화를 겪고 있는 현시점의 온라인 매체를 활용한 학습 환경에 많이 노출된 청소년들에게 온라인 교육과 더불어 정서적 공감 함양을 위한 교육의 필요성 및 중요성을 함께 제기한다.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 of emotional empath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otivation of online communication media usage and cyberbullying experiences. For this analysis, the survey response of 412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in Seoul Korea were collected. The mediation analysis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ere conduc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1) there are positive relationships between cyberbullying experiences and gaming and communicating purposes in using online communication service, (2) the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the communicating purpose of using the online communication service and cyberbullying experiences was partially mediated by the affective empathy. Therefore, it is more likely to experience cyberbullying if adolescents use SNS for the purpose of communication and the affective empathy in adolescents could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reduction of cyberbullying suggested by the previous research about adolescents bullying on offline. Finally, this study implies that learning about empathy can be important in online educational system due to COVID-19.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