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자궁탈출증에서 자궁적출술은 필수적인가?

        안가영 ( Ka Young Ahn ),홍재식 ( Jae Shik Hong ),김나영 ( Na Young Kim ),이현주 ( Hyun Joo Lee ),이희정 ( Hee Jung Lee ),최노미 ( Noh Mi Choi ),한호섭 ( Ho Seup Han ),성석주 ( Suk Joo Sung ),김주명 ( Joo Myung Kim ),주관영 ( Kwan 대한산부인과학회 2006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9 No.6

        목적: 증상 있는 자궁탈출증의 수술적 치료로서 천골가시인대 고정술을 시행한 경우 자궁적출술을 시행한 경우와 자궁을 보존한 경우 효과를 비교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1998년 3월부터 2002년 3월까지 천골가시인대 고정술을 시행한 155명의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자궁을 보존한 경우는 83예 (A군)였으며, 자궁적출술을 시행한 경우는 72예 (B군)였다. 결과: 평균 수술시간, 수술 전과 수술 후 1일 째 헤모글로빈 차이, 요도관 제거까지 기간, 입원기간은 A군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수술 후의 재발은 A군에서 14.5%, B군에서 12.5%로 양 군 간에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고, 재수술이 필요한 경우도 양 군 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7.2% vs, 6.9%). 결론: 자궁을 보존한 상태에서 천골가시인대 고정술을 시행함이 자궁적출술을 시행하는 것과 비교하여 자궁탈출증의 수술적 치료로서 차이가 없고, 따라서 자궁탈출증의 수술적 교정 시에 자궁적출술이 필수적인 것은 아닌 것으로 사료된다. Objectiv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efficacy of sacrospinous colpopexy without hysterectomy and with hysterectomy for symptomatic uterine prolapse. Methods: A retrospective chart review was performed in the women who underwent sacrospinous ligament suspension between March 1998 and March 2002. A hundred fifty five women with a symptomatic uterine prolapse were treated with either sacrospinous colpopexy without hysterectomy and/or anterior-posterior repair (83 cases=Group A) or sacrospinous colpopexy with hysterectomy and/or anterior-posterior repair (72 cases=Group B). Results: The mean duration of surgery, hemoglobin change, catheter days and inpatient days were shorter in group A compared with group B. (Group A 102.5±33.4 min, 2.4±0.7 ㎎/dL, 5.2±1.4 days, 7.6±2.2 days vs. Group B 135.3±33.9 min, 2.9±0.8 ㎎/dL, 6.1±2.1 days, 9.4±3.7 days, p<0.05 respectively) Recurrent pelvic organ prolapse developed in 14.5% in group A and 12.5% in group B. Six patients (7.2%) in group A and 5 patients (6.9%) in group B required repeat operation for recurrent pelvic organ prolapse. Conclusions: Sacrospinous colpopexy without hysterectomy and with hysterectomy are equally effective surgical operation for uterine prolapse. This study shows that hysterectomy is not essential for the correction of uterine prolapse.

      • KCI등재
      • KCI등재

        GnRH agonist 사용 중 심한 자궁출혈 환자에서의 자궁의 모세혈관확장증

        김미라 ( Mi La Kim ),김주명 ( Joo Myung Kim ),이원식 ( Won Sik Lee ),주관영 ( Kwan Young Joo ),이인국 ( In Kook Lee ),김혜선 ( Hye Sun Kim ),홍성란 ( Sung Ran Hong ) 대한산부인과학회 2008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51 No.1

        Telangiectasis of the uterus is an extremely rare but life-threatening disease because of massive uterine bleeding. The usage of GnRH agonist can cause regression and atrophy of the endometrium through induction of hypoestrogenism by pituitary down-regulation. But there is no clear explanation or report in the literature sh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uterine telangiectasis and GnRH agonist usage. We have experienced a patient with uncontrolled massive uterine bleeding after GnRH agonist treatment, who needed emergency hysterectomy. Pathologic tissue examination showed telangiectasis of the endometrium and myometrium. This is the first case report of telagiectasis of the uterus without other organ involvement. We report this case with a brief review of the literatures.

      • KCI등재

        소아 및 청소년기 난소종양의 임상병리학적 고찰

        유지희 ( Ji Hee Yoo ),김주명 ( Joo Myung Kim ),조연진 ( Yeon Jean Cho ),육지형 ( Ji Hyoung Yook ),이희숙 ( Hee Suk Lee ),김미라 ( Mi La Kim ),주관영 ( Kwan Young Joo ) 대한산부인과학회 2009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52 No.6

        목적: 소아기 및 청소년기에 발생하는 난소종물의 조직학적 특성 및 환자의 치료 결정에 있어 도움이 될 수 있는 임상양상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 1995년부터 2005년까지 제일병원 산부인과에서 난소종물로 진단받고 수술을 시행한 만 20세 이하의 환자 중 난소종물로 확진된 307명을 대상으로 후향적 분석을 시행하였다. 결과: 난소종물로 진단된 307예 중 악성 난소종양은 40예로 13%였고, 이 중 종양성 종물 237예 중에서는 16.9%의 빈도를 보였다. 악성 난소종양의 병리조직학적 분류는 상피세포종양 57.5%, 생식세포종양 30%, 성선 간질세포종양 12.5%로 나타났다. FIGO분류에 따른 병기는 1기 87.5%, 2기 2.5%, 3기 10%를 보였고, 추적관찰 중 2예에서 재발하였고 그 중 한 예는 사망하였으나 전체적인 예후는 좋았다. 종양성 난소종물에서의 악성과 관련된 인자는 종양의 크기, 수술 전 혈청 CA125수치 및 초음파 소견상 고형성으로 보이는 경우 의미있는 관련을 보였으나, 환자의 나이 및 초경여부와는 관련이 없었다. 본 연구에서 가장 흔한 난소종양은 양성 기형종으로 전체 난소종물의 43% (132/307), 종양성 난소종물의 55.7% (132/237)를 차지하였고, 양측성의 빈도는 12.1% (16/132)였다. 추적관찰 중 양성 난소종양으로 수술 시행 후 다시 난소종양이 나타나 수술을 시행한 경우는 4.9% (13/267)였고, 그 중 낭종제거술 시행 후 동측에 난소종양이 발생하여 수술을 한 경우는 2.82% (4/142)였다. 결론: 이 시기에 발생하는 난소종양의 치료는 수술 전 종양의 크기나 수술 전 혈청 CA125수치, 초음파 소견 및 수술 시의 육안적 소견을 고려하여 악성이 의심되는 경우가 아닌 한 이후의 내분비 기능 및 생식기능의 보존을 위해 가능한 난소를 보존하는 수술을 고려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scribe the clinical presentation and histopathologic findings that help in decisions about management of ovarian mass in childhood and adolescence. Methods: We retrospectively analyzed the data on 307 patients with surgically treated ovarian mass under 20 years of age at the Cheil General Hospital, between January 1995 and December 2005. Results: Of the 307 cases, 40 cases (13%) were ovarian malignancy. The incidence of malignant ovarian tumor increased to 16.9% in 237 neoplastic tumors. Epithelial, germ cell, and sex-cord stromal malignancies accounted for 57.5%, 30% and 12.5%, respectively, of the 40 ovarian malignancies. The stage of the 35 cases (87.5%) with the ovarian malignancy was the FIGO stage I. The incidence of ovarian malignancies increased with larger size, higher CA125 level. Solid ovarian masses on ultrasound were more likely ovarian malignancy. But age and menarchal status was not correlated with ovarian malignancy. Mature cystic teratoma seen in 132 patients (55.7%), was the most common neoplasm of ovary in this age group, and the incidence of bilaterality was 12.1%. On follow up, 4.9% (13/267) of previously diagnosed benign ovarian tumor were reoperated due to recurred or newly developed ovarian tumor. After cystectomy, the recurrence rate of ipsilateral ovarian tumor was 2.8% (4/142). Conclusion: If there is no evidence of malignancy, conservative surgical treatment should be employed to preserve future endocrine function and fertility in this age group.

      • KCI등재

        부인과 환자의 수술전 빈혈교정에 있어 GnRH agnoist와 정맥 철분제제의 비교연구

        이희정 ( Hee Jung Lee ),김나영 ( Na Young Kim ),이현주 ( Hyun Joo Lee ),김미라 ( Mi La Kim ),조연진 ( Yeon Jean Cho ),김주명 ( Joo Myung Kim ),주관영 ( Kwan Young Joo ),이인국 ( In Kook Lee ) 대한산부인과학회 2007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50 No.1

        목적: 전자궁적출술을 시행받기 전 빈혈교정이 필요한 자궁근종 및 선근종 환자를 대상으로 GnRH agonist와 정맥 주사용 철분제의 빈혈 교정 정도를 비교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2004년 1월부터 2006년 4월까지 본원에서 전자궁적출술을 시행 받은 환자 중 내원당시 혈색소 수치가 10 g/dl 이하로 수술 전 빈혈교정이 필요하다고 판단되어 수술 전 처치로 GnRH agonist (Leuplin depot(R)): 1군 또는 정맥 주사용 철분제 (Venoferrum(R)): 2군를 사용한 환자 각각 33명 (1군)과 72명 (2군)을 대상으로 후향적 연구를 시행하였다. 결과: 약제를 투여한 군 간의 혈색소의 변화 및 투여기간, 자궁 크기에 대해 비교하였다. 약물 투여 이전의 혈색소 수치는 두 군간의 차이가 없었으나 약물 투여 후 술전 혈색소 수치는 11.6±1.5 g/dl와 10.1±1.2 g/dl로, 혈색소 수치의 교정이 3.9±2.3 g/dl, 2.6±1.7 g/dl로 1군에서 교정이 더 잘 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술후 1일째 혈색소 수치는 10.3±1.6 g/dl와 9.0±1.0 g/dl로 1군에서 더 의미 있게 높았으나 실제 술전과 술후 혈색소의 차는 두 군간에 차이는 없었다. 교정까지의 기간은 평균 7.8±4.7주 (1-18주)와 평균 4.0±4.8주 (1-30주)로 2군이 의미 있게 짧은 시간이 소요되었다. 각 군 간의 측정한 자궁의 무게는 평균 391.4±195.1 gm와 630.6±648.9 gm으로 2군에서 현저하게 큰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GnRH agonist와 정맥 철분제제를 비교해 보면, GnRH agonist를 사용한 군에서는 술전 교정된 혈색소 수치가 높고, 자궁근종이나 자궁의 크기가 감소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반면 정맥 철분제제는 혈색소 수치의 교정기간이 짧고, GnRH agonist에 비해 비교적 저렴한 비용이 소요되었다. 따라서 임상에서 빈혈 교정이 있어 각각의 환자의 상황에 맞는 방법이 선택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Objective: This study is aimed to compare the efficacy of GnRH agonist and intravenous iron therapy in women who need correction of anemia prior to hysterectomy for uterine myoma and adenomyosis. Methods: We reviewed retrospectively the data of 105 patients with initial hemoglobin level under 10g/dl, who had undergone total abdominal hysterectomy after correction of anemia with GnRH agonist (Group 1) or intravenous iron therapy (Group 2) from January 2004 to April 2006. Results: Initial hemogloblin level was not different between the two groups. After administration, hemoglobin level increased by 3.9±2.3 g/dl and 2.6±1.7 g/dl, respectively. Therefore, group 1 was superior in anemia correction (p<0.01). On postoperative 1st day, hemoglobin level was 10.3±1.6 g/dl and 9.0±1.0 g/dl. Correction duration was 7.8±4.7weeks (1-18weeks) in group 1 and 4.0±4.8weeks (1-30weeks) in group 2. Shorter duration was needed for correction in group 2 (p<0.01). Surgically removed uterine weight was 391.4±195.1 gm and 630.6±648.9 gm, respectively. Uterine weight was heavier in Group 2 (p<0.01). Conclusion: In comparison of efficacy of GnRH agonist with intravenous iron therapy for the correction of preoperative anemia, corrected hemoglobin level was higher and removed uterine weight was smaller in group 1. But duration of therapy for the correction of anemia was shorter and cost-effectiveness was superior in group 2. Clinicians should consider the patients` condition prior to the selection of drug for preoperative anemia correction.

      • KCI등재

        병합임신의 산과적 결과에 관한 고찰

        이희숙 ( Hee Suk Lee ),김주명 ( Joo Myung Kim ),유지희 ( Ji Hee Yoo ),육지형 ( Ji Hyung Yook ),김미라 ( Mi La Kim ),윤재범 ( Jae Bum Yoon ),주관영 ( Kwan Young Joo ),전종영 ( Jong Young Jun ),한호원 ( Ho Won Han ) 대한산부인과학회 2009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52 No.5

        목적: 배란유도제 사용 또는 보조생식술 후 병합임신이 된 환자에서 보존적 치료 후의 임신의 결과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 2000년 1월 1일부터 2008년 4월 30일까지 병합임신으로 진단된 24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후향적 연구를 시행하였다. 환자의 보조생식술 방법, 자궁외임신 부위 및 진단당시의 자궁내임신 상태, 보존적 치료 후의 임신의 결과에 대해 알아보았다. 결과: 총 24명의 환자가 있었고, 모두 불임치료 후 발생한 경우로 자연임신 후 발생한 경우는 없었다. 환자의 평균 나이는 31.5세 였으며, 진단당시 주수는 약 8주였다. 불임의 원인인자로 가장 흔한 것은 난관의 문제로 54.2%의 환자가 이에 해당하였다. 과배란유도 방법을 사용한 환자는 4명, 시험관아기를 한 경우가 18명이었으며, 2명의 환자는 타원에서 보조생식술을 시행 받아 정확한 시술방법은 모르는 상태였다. 자궁외임신 부위는 난관이 75%, 난소가 4.2%, 자궁각이 20.8%였으며, 50%가 자궁외임신 부위가 파열된 상태에서 진단되었다. 진단 이전 계류유산으로 소파술 시행 후 자궁외임신이 진단된 환자가 3명, 계류유산과 자궁외임신이 동시에 진단된 환자가 4명이었으며, 정상 자궁내임신과 자궁외임신이 동시에 진단된 환자는 17명이었다. 24명 중 3명에서만 출혈이나 유착 등으로 인해 개복수술을 시행하였으며, 21명은 복강경수술을 시행받았고, 정상 자궁내임신이었던 17명에서 모두 자궁내임신이 유지되었으며, 단태아 12명, 쌍태아 2쌍을 분만하였고, 3명은 각각 임신 12주, 23주 5일, 27주 6일에 타원으로 전원되어 정확한 임신의 결과를 알 수 없었다. 결론: 임신 초기에 시행한 초음파상 정상 자궁내임신이 확인된 경우라도 산모가 하복통이나 질출혈의 증상이 있는 경우, 불임치료 등의 위험요인을 가진 환자에서는 반드시 병합임신의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조기에 진단 및 적절한 치료를 시행해야 할 것이다.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pregnancy outcomes of heterotopic pregnancy. Methods: Retrospective analysis was done in 24 patients who were diagnosed as heterotopic pregnancy between January 2000 and April 2008. Patients` characteristics, risk factors, treatment methods and pregnancy outcomes were evaluated. Results: A total of 24 patients were diagnosed as heterotopic pregnancy, all of these had undergone assisted reproductive technique. The mean age was 31.5 years and the mean gestational age at diagnosis was about 8 weeks. The most common etiology of infertility was tubal factor (54.2%). Four (16.7%) of the women had undergone ovulation induction, eighteen (75%) had undergone in vitro fertilization, but 2 patients (8.3%) had undergone assisted reproductive technique at other hospital and we didn`t know the exact method. The most common of ectopic site was tube (75%), and 50% of ectopic sites were ruptured status at diagnosis. Three (12.5%) of 24 patients were diagnosed ectopic pregnancy after dilatation and evacuation due to missed abortion, 4 (16.7%) were diagnosed ectopic pregnancy and missed abortion, and 17 (70.8%) were diagnosed ectopic pregnancy and living intrauterine pregnancy at the time of diagnosis. Laparotomy was done in 3 patients (12.5%) and laparoscopy was done in 21 patients (87.5%). Among 17 patients who had normal intrauterine pregnancy, 12 (70.6%) delivered singletones, 2 (11.8%) delivered twins, but 3 (17.6%) patients were lost follow up. Conclusion: Heterotopic pregnancy should be considered in pregnant woman with abdominal pain or vaginal bleeding, although confirmed normal intrauterine pregnancy using ultrasonography at early gestational age, especially if the woman have treatment history for infertility. And early diagnosis and proper management are important.

      • KCI등재

        임신과 동반된 더글라스와내의 성숙 기형종 1 예

        이원식(Won Sik Lee),김주명(Joo Myung Kim),심규민(Kuy Min Shim),캐더린박(Katherine Pak),주관영(Kwan Young Joo),이인국(In Kook Lee),김혜선(Hey Sun Kim) 대한산부인과학회 2002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5 No.3

        The mature cystic teratoma is most common in the ovary, and several authors have reported mature cystic teratoma in female genitalia such as fallopian tube, uterus and pouch of douglas. The mature cystic teratoma in the douglas pouch is very rare, which was reported only twice in the world. The pathogenesis of the mature cystic teratoma in the douglas pouch is not established. We experienced a case of mature cystic teratoma in the douglas pouch associated with pregnancy, which was diagnosed by the ultrasonography at the first trimester of pregnancy and remained at the third trimester of pregnancy without change of size. We report the case with a brief review of literature.

      • KCI등재

        자궁근종으로 진단된 환자의 치료 선호도 및 치료방법에 관한 고찰

        조수희 ( Soo Hee Jo ),김주명 ( Joo Myung Kim ),유원식 ( Won Sik Yoo ),김경연 ( Kyung Yeon Kim ),김미라 ( Mi La Kim ),최규홍 ( Kyu Hong Choi ),전종영 ( Jong Young Jun ),한호원 ( Ho Won Han ),주관영 ( Kwan Young Joo ) 대한산부인과학회 2008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51 No.11

        목적: 외래 내원 환자 중 자궁근종을 가진 환자의 치료 방법에 대한 선호도를 확인하고, 진단 이후의 치료방법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2006년 1월 1일부터 12월 31일까지 외래를 내원한 환자 중 초음파상 자궁근종으로 진단된 577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진단 후 치료방법에 대해 후향적으로 의무기록을 확인하였다. 또한, 외래 초진시 근종으로 진단받은 환자 100명에서의 치료 방법에 대한 설문지 선호도 조사 자료를 분석하였다. 결과: 자궁근종을 가진 환자에서 가장 흔하게 나타나는 증상은 통증으로 58.6%에서, 출혈과 관련된 증상은 51.3%, 압박증상은 30.2%에서 보였다. 특별한 약물치료 없이 정기적 추적관찰은 31.7%의 환자에서 시행되었으며, NSAID와 같은 비호르몬제 약물은 27.1%에서, 미레나를 포함한 호르몬제는 41.9%에서 사용되었다. 수술을 시행받은 환자는 총 182명으로 31.5%에서 시행되었으며, 그 중 104명은 자궁근종절제술을 시행받았으며, 아전자궁적출술은 36명, 전자궁적출술은 42명에서 시행되었다. 출혈관련 증상을 가진 환자의 42.6%, 통증관련은 34.6%, 압박증상 관련은 50.6%에서 수술을 시행하였다. 근종으로 진단된 초진 환자 100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지 조사에서는 우선적으로 약물치료를 원하는 환자가 78명, 수술적 치료를 원하는 환자가 22명이었다. 수술을 시행받아야 한다면 우선적으로 근종절제술을 시행받기를 원한 환자가 94명, 자궁적출술을 받기를 원한 환자는 6명이었다. 결론: 출혈이나 통증과 관련된 증상을 가진 자궁근종 환자에서는 일차적으로 약물치료가 효과적이며, 환자의 선호도 역시 비침습적인 약물치료를 우선 시행받는 것을 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scribe the clinical features of myoma, treatment options, patient preference and to identify the clinical features which affect the management of myoma. Methods: We retrospectively analyzed medical records of 577 patients who were diagnosed as uterine myoma on ultrasound exam between January 2006 and December 2006. Patients` characteristics, treatment methods and questionnaires for patient preference were evaluated. Results: The mean age was 42.3 years and 90.8% of the patients were premenopausal status. Common symptoms were pain (58.6%), bleeding (51.3%) and compression symptom (30.2%). In our study, 183 of 577 patients (31.7%) planned to have regular follow-up without treatment. Non-hormonal medical treatment was used in 27.1% and hormonal treatment was used in 41.9% of the patients. One hundred eighty-two patients underwent surgical treatment, including myomectomy (57.1%), subtotal hysterectomy (19.8%) and total hysterectomy (23.1%). Among the patients who underwent surgery, 50.6% of patients (88/174) had surgery due to compression symptom, 42.6% (126/296) due to bleeding, and 34.6% (117/338) due to pain. According to the 100 patients who answered the questionnaires, 78 patients preferred medical therapy initially, but 22 patients chose surgical treatment. When the patient was asked to choose between myomectomy and hysterectomy, 94 patients wanted myomectomy, but only 6 patients chose hysterectomy. Conclusions: Many patients diagnosed as myoma prefer medical treatment initially. Medical treatment for myoma may be considered as the first line treatment for pain and bleeding symptoms before proceeding to surgical treatment.

      • KCI등재

        자궁경수술로 성공적으로 치료된 점막하 낭성자궁선근종 2예

        김남숙 ( Nam Sook Kim ),김주명 ( Joo Myung Kim ),김미라 ( Mi La Kim ),이시원 ( Si Won Lee ),주관영 ( Kwan Young Joo ),김혜선 ( Hye Sun Kim ),김희숙 ( Hy Sook Kim ),홍성란 ( Sung Ran Hong ) 대한산부인과학회 2009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52 No.2

        Two women presented with history of vaginal bleeding and abnormal transvaginal ultrasound findings. Saline infusion sonohysterography was done for preoperative evaluation and this imaging study revealed centrally located uterine mass with internal cystic portion. Our initial impression was submucosal myoma with cystic degeneration and hysteroscopic removal of the mass was performed. During the procedure, dark brownish cystic fluid was drained. The excised submucosal mass was pathologically diagnosed as adenomyosis and clinically as submucosal adenomyotic cyst. Submucosal adenomyotic cyst should be part of the differential diagnosis of submucosal uterine masses with cystic portion. We report two cases of submucosal adenomyotic cyst successfully treated with hysteroscopic resection and brief review on this topic.

      • KCI등재

        초음파 자궁조영술로 확인된 자궁내막폴립의 변화 양상

        이희숙 ( Hee Suk Lee ),김주명 ( Joo Myung Kim ),이수윤 ( Soo Yoon Lee ),우장환 ( Jang Hwan Woo ),조연진 ( Yeon Jean Cho ),주관영 ( Kwan Young Joo ),최규홍 ( Kyo Hong Choi ) 대한산부인과학회 2012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55 No.3

        목적 초음파 자궁조영술로 확인된 자궁내막폴립의 변화 양상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2005년 10월 1일부터 2008년 7월 31까지 초음파 자궁조영술로 자궁내막폴립이 추정되는 57명의 폐경 전 여성을 대상으로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이들에서 2회 이상의 정상 생리 후 다시 초음파 자궁조영술을 시행하여 변화양상을 확인하였다. 결과 대상 환자의 평균 연령은 37.7세였으며 모두 폐경 전 여성이었다. 42명의 환자에서 출혈증상이 있었으며 가장 흔한 증상은 생리사이 소량 출혈이었다. 57명의 환자 중 15명(26.3%)에서 자궁내막폴립이 저절로 소실되었다. 소실된 군과 소실되지 않은 군 간의 환자의 증상, 나이, 체중, 신장, 체질량지수, 산과력, 두 번째 초음파 자궁조영술까지의 기간 및 폴립의 크기를 비교하였을 때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자궁내막폴립이 소실되지 않은 42명의 환자 중 29명에서 수술적 치료를 시행하였으며 모두에서 악성 소견은 보이지 않았다. 결론 악성 가능성이 적은 폐경 전 여성에서 자궁내막폴립이 진단된 경우 폴립의 자연소실 가능성을 고려하여 2회 정도의 정상 생리 후 폴립의 지속 여부에 따라 치료 방법을 결정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Objective To assess changes in endometrial polyps by sonohysterography. Methods We conducted a retrospective analysis of 57 premenopausal women who were suspected to have endometrial polyps and were examined by sonohysterography from October 2005 to July 2008. We evaluated changes in endometrial polyps by sonohysterography after observation for two or more menstrual cycles. Results The mean age of the patients was 37.7, and all patients were premenopausal. Forty-two patients had bleeding symptoms, the most common being intermenstrual spotting. Endometrial polyps regressed spontaneously in 15 out of 57 patients (26.3%). The endometrial polyp regression rate was not associated with symptoms, age, body mass index, gravida, parity, initial largest polyp diameter or interval between sonohysterography. Of the 42 patients with persistent polyps, 29 received surgical treatment. None of the patients had malignant lesions. Conclusion Endometrial polyps in premenopausal patients with low malignant potential may be observed for about two menstrual cycles in the hope of spontaneous regress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