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임상 ; 한국 마더세이프 전문 상담 센터의 수유부 약물 상담 내용 분석; 5년간의 경험

        육지형 ( Ji Hyoung Yook ),안현경 ( Hyun Kyung Ahn ),한정열 ( Jung Yeol Han ),한유정 ( You Jung Han ),김윤영 ( Yun Young Kim ),안계형 ( Gye Hyeong Ahn ),이시원 ( Si Won Lee ),김민형 ( Min Hyoung Kim ),정진훈 ( Jin Hoon Chung ), 대한주산의학회 2011 Perinatology Vol.22 No.2

        목적: 수유 중 약물 노출에 관한 정보는 상당히 부족한 실정이기에 한국 마더세이프 전문 상담 센터는 임산부뿐만 아니라 수유부에게도 약물에 대한 정보 제공 및 상담을 위해 전화 상담 센터를 열었다. 우리는 약물에 노출된 수유부 및 수유아에 대한 5년간의 상담 내용을 검토해 보았다. 방법: 2005년 1월부터 2010년 4월까지 전화 상담 센터를 통해 수유 중 약물 노출에 관해 상담한 수유부를 대상으로 하였고 전화를 통해 추적 관찰을 하였다. 질문 내용으로는 수유부 및 수유아의 인구학적 특성 외에도 약물 노출 후 발생한 증상 및 전반적인 수유에 관한 질문이었다. 결과: 모든 질의에 응답한 총 278 쌍의 수유모 및 수유아에 대해 수유 중 약물 노출에 대한 평가가 이루어졌으며, 이들중 대부분은 약물 노출에도 불구하고 수유 중 심각한 부작용은 없었다고 응답했다. 부작용은 단 3명(1.1%)의 수유아에게만 나타났으며, 20명(7.2%)의 수유부가 젖량 감소를 호소하였다. 상담 후 232명(83.5%)의 수유부는 수유를 지속하였지만, 20명(7.2%)은 일시적으로 수유 중단 후 재개하였고 26명(9.3%)은 영구적으로 수유를 중단하였다. 결론: 수유 중 약물은 수유부 및 영아에게 심각한 부작용을 일으키지는 않지만 많은 약물에 있어 안전성에 대한 정보가 확립되지 않았기에 임상의들은 치료적 이점과 수유아에 대한 위험성에 대해 갈등하게 된다. 이에 우리는 본 상담 내용의 분석을 통해 수유모 뿐만 아니라 임상의에게도 수유 중 약물에 대한 명확한 지식을 제공하고 올바른 수유 문화가 정착되기를 기대한다. Purpose: There is a dearth of information on maternal drug exposure during lactation. The Korean Mothersafe Professional Counseling Center launched helpline to provide information and clinical consultation service on drug safety during lactation as well as in pregnancy. Here, we reviewed our 5 years` experience of counseling with drug exposed breastfeeding mothers. Methods: The questionnaires were given to drug exposed breastfeeding mothers from January 2005 to April 2010 who contacted our helpline and follow-up survey data was collected by phone call. The questionnaires included lists of symptoms that exposed mothers experienced and that was observed in their infants, as well as demographic questions and questions about lactation. Results: A total of 278 mothers completed the survey and lactational exposure was estimated. Majority of them reported that their infants and themselves never experienced serious side effects of drugs during lactation. Only 3 (1.1%) babies reported side effects and 20 (7.2%) mothers reported decreased production of breast milk. Two hundred thirty two (83.5%) mothers continued breastfeeding after counseling. Lactation was stopped temporarily in 20 (7.2%) mothers and permanently in 26 (9.3%) mothers. Conclusion: Most of the drugs exposed during lactation did not cause serious side effects to infants and mothers. As many drugs have inadequate data to assure safety, the clinician is left with a dilemma as to where the balance of risks and benefits lie with respect to the mother and her baby. The author expect that analyses of these counseling will contribute to provide practical answers to clinicians as well as exposed mothers and to establish correct breastfeeding practice.

      • KCI등재

        소아 및 청소년기 난소종양의 임상병리학적 고찰

        유지희 ( Ji Hee Yoo ),김주명 ( Joo Myung Kim ),조연진 ( Yeon Jean Cho ),육지형 ( Ji Hyoung Yook ),이희숙 ( Hee Suk Lee ),김미라 ( Mi La Kim ),주관영 ( Kwan Young Joo ) 대한산부인과학회 2009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52 No.6

        목적: 소아기 및 청소년기에 발생하는 난소종물의 조직학적 특성 및 환자의 치료 결정에 있어 도움이 될 수 있는 임상양상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 1995년부터 2005년까지 제일병원 산부인과에서 난소종물로 진단받고 수술을 시행한 만 20세 이하의 환자 중 난소종물로 확진된 307명을 대상으로 후향적 분석을 시행하였다. 결과: 난소종물로 진단된 307예 중 악성 난소종양은 40예로 13%였고, 이 중 종양성 종물 237예 중에서는 16.9%의 빈도를 보였다. 악성 난소종양의 병리조직학적 분류는 상피세포종양 57.5%, 생식세포종양 30%, 성선 간질세포종양 12.5%로 나타났다. FIGO분류에 따른 병기는 1기 87.5%, 2기 2.5%, 3기 10%를 보였고, 추적관찰 중 2예에서 재발하였고 그 중 한 예는 사망하였으나 전체적인 예후는 좋았다. 종양성 난소종물에서의 악성과 관련된 인자는 종양의 크기, 수술 전 혈청 CA125수치 및 초음파 소견상 고형성으로 보이는 경우 의미있는 관련을 보였으나, 환자의 나이 및 초경여부와는 관련이 없었다. 본 연구에서 가장 흔한 난소종양은 양성 기형종으로 전체 난소종물의 43% (132/307), 종양성 난소종물의 55.7% (132/237)를 차지하였고, 양측성의 빈도는 12.1% (16/132)였다. 추적관찰 중 양성 난소종양으로 수술 시행 후 다시 난소종양이 나타나 수술을 시행한 경우는 4.9% (13/267)였고, 그 중 낭종제거술 시행 후 동측에 난소종양이 발생하여 수술을 한 경우는 2.82% (4/142)였다. 결론: 이 시기에 발생하는 난소종양의 치료는 수술 전 종양의 크기나 수술 전 혈청 CA125수치, 초음파 소견 및 수술 시의 육안적 소견을 고려하여 악성이 의심되는 경우가 아닌 한 이후의 내분비 기능 및 생식기능의 보존을 위해 가능한 난소를 보존하는 수술을 고려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scribe the clinical presentation and histopathologic findings that help in decisions about management of ovarian mass in childhood and adolescence. Methods: We retrospectively analyzed the data on 307 patients with surgically treated ovarian mass under 20 years of age at the Cheil General Hospital, between January 1995 and December 2005. Results: Of the 307 cases, 40 cases (13%) were ovarian malignancy. The incidence of malignant ovarian tumor increased to 16.9% in 237 neoplastic tumors. Epithelial, germ cell, and sex-cord stromal malignancies accounted for 57.5%, 30% and 12.5%, respectively, of the 40 ovarian malignancies. The stage of the 35 cases (87.5%) with the ovarian malignancy was the FIGO stage I. The incidence of ovarian malignancies increased with larger size, higher CA125 level. Solid ovarian masses on ultrasound were more likely ovarian malignancy. But age and menarchal status was not correlated with ovarian malignancy. Mature cystic teratoma seen in 132 patients (55.7%), was the most common neoplasm of ovary in this age group, and the incidence of bilaterality was 12.1%. On follow up, 4.9% (13/267) of previously diagnosed benign ovarian tumor were reoperated due to recurred or newly developed ovarian tumor. After cystectomy, the recurrence rate of ipsilateral ovarian tumor was 2.8% (4/142). Conclusion: If there is no evidence of malignancy, conservative surgical treatment should be employed to preserve future endocrine function and fertility in this age group.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