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클로미펜을 이용한 배란 유도 후 임신된 다낭성 난소 증후군 여성에서 발견된 병합임신: 양측 난관임신 및 쌍태아 임신 1예

        우장환,최규홍,김봉석,안계형,김윤영,채용화,Woo, Jang-Hwan,Choi, Kyu-Hong,Kim, Bong-Seok,An, Gye-Hyeong,Kim, Yun-Young,Chae, Young-Hwa 대한생식의학회 2010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Vol.37 No.3

        병합임신은 자궁 외 임신으로 인한 증상이 정상 자궁 내 임신으로 인한 것으로 오인되어 진단이 늦어지기 쉽다. 이러한 병합임신은 배란 유도제의 사용 및 보조 생식술로 인해 최근 증가되는 추세이다. 저자들은 다낭성 난소 증후군 여성에서 클로미펜을 이용한 배란 유도 후 임신된 여성에서 자궁 내 쌍태아 및 양측 난관에 임신이 된 예를 경험하였기에 간단한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Diagnosis of heterotopic pregnancy could be delayed because of insufficient clinical symptoms. Many clinician mistook the symptoms associated with ectopic pregnancy for the symptoms of complicated normal intrauterine pregnancy. The incidence of heterotopic pregnancies has been increased because of the use of various ovulation induction and assisted reproductive technologies. We experienced a case of bilateral tubal pregnancies and intrauterine twin pregnancy in polycystic ovary syndrome woman conceived after ovulation induction by clomiphene citrate. We report this case with a brief review of the literatures.

      • KCI등재

        최신임상강좌 : 대량 산후 출혈 시 자궁 압박 봉합술의 치료 효과

        채용화 ( Yong Hwa Chae ),김윤영 ( Yun Young Kim ),안계형 ( Gye Hyeong An ),우장환 ( Jang Hwan Woo ),정진훈 ( Jin Hoon Chung ),최준식 ( June Seek Choi ),류현미 ( Hyun Mee Ryu ),김문영 ( Moon Young Kim ),양재혁 ( Jae Hyug Yang ) 대한산부인과학회 2010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53 No.9

        목적: 자궁 압박 봉합술은 약물 치료에 반응하지 않는 산후 출혈을 치료하는 간단한 수술적 방법이다. 본 연구에서는 대량 산후 출혈 시 자궁 압박 봉합술의 치료 결과를 알아보고, 임상적 특징, 수술 후 이환율을 산후 자궁 절제술과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 방법: 2005년 1월부터 2008년 12월까지 관동의대 제일병원에서 자궁 압박 봉합술을 시행하였거나 산후 자궁 절제술을 시행한 임산부의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대량 출혈 시 자궁 압박 봉합술의 적응증과 분만 방법에 따른 자궁 보존 성공률을 분석하고, 자궁 절제술군과 임상적 특징, 수술 시 소견, 수술 후 이환율을 비교하였다. 결과: 대량 출혈 시 자궁 압박 봉합술의 빈도는 0.24% (73/30, 677)였다. 자궁 압박 봉합술의 자궁 보존 성공률은 자궁 근이완증에서는 85.1%, 전치 태반에서는 80.9%, 유착 태반에서는 40.0%였다 (P=0.051). 질식 분만 후 자궁 압박 봉합술의 자궁 보존 성공률은 50.0%였고, 제왕절개 분만 후 성공률은 82.6%였다 (P=0.164). 수술 후 파종성 혈관내 응고, 폐부종, 장폐색 등의 이환율의 빈도는 바로 자궁 절제술을 시행한 군과 자궁 압박 봉합술 실패 후 자궁 절제술을 시행한 군 간에 차이가 없었다. 모성 사망은 없었다. 결론: 자궁 압박 봉합술은 자궁 근이완증과 전치 태반으로 인한 산후 출혈 시 치료 효과가 높았다. 산후 출혈 시 자궁 압박 봉합술을 자궁 보존을 위한 첫 번째 수술적 술기로 고려해야 한다. Objective: Uterine compression sutures such as modified B-Lynch suture or multiple square-shaped sutures of uterine body are simple methods for control of postpartum hemorrhage refractory to medical treatment. We evaluated the treatment outcome and morbidity of uterine compression sutures and analyzed clinical findings of patients undergone uterine compression sutures and postpartum hysterectomy. Methods: From January 2005 through December 2008, we retrospectively reviewed the medical records of patients undergone uterine compression sutures or postpartum hysterectomy. We analyzed success rates of preserving uterus of uterine compression sutures according to operative indications and mode of delivery and compared maternal characteristics, operative findings, morbidities and mortality with those of postpartum hysterectomy. Results: The frequency of uterine compression sutures for control of massive postpartum hemorrhage was 0.24% (73/30,677). The success rates of preserving uterus were 85.1% in uterine atony, 80.9% in placenta previa, and 40.0% in placenta accreta (P=0.051). The rates of preserving uterus of uterine compression sutures after vaginal delivery and cesarean section were 50.0% and 82.6%, respectively (P=0.164). The frequencies of postoperative morbidities such as disseminated intravascular coagulation, pulmonary edema, ileus were not different between immediate hysterectomy and hysterectomy after uterine compression sutures. There was no maternal mortality. Conclusion: Uterine compression suture was successful method for control of postpartum hemorrhage resulting from uterine atony and placenta previa.We suggest the use of uterine compression sutures as the first-line operation for control of postpartum hemorrhage.

      • KCI등재

        초음파 자궁조영술로 확인된 자궁내막폴립의 변화 양상

        이희숙 ( Hee Suk Lee ),김주명 ( Joo Myung Kim ),이수윤 ( Soo Yoon Lee ),우장환 ( Jang Hwan Woo ),조연진 ( Yeon Jean Cho ),주관영 ( Kwan Young Joo ),최규홍 ( Kyo Hong Choi ) 대한산부인과학회 2012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55 No.3

        목적 초음파 자궁조영술로 확인된 자궁내막폴립의 변화 양상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2005년 10월 1일부터 2008년 7월 31까지 초음파 자궁조영술로 자궁내막폴립이 추정되는 57명의 폐경 전 여성을 대상으로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이들에서 2회 이상의 정상 생리 후 다시 초음파 자궁조영술을 시행하여 변화양상을 확인하였다. 결과 대상 환자의 평균 연령은 37.7세였으며 모두 폐경 전 여성이었다. 42명의 환자에서 출혈증상이 있었으며 가장 흔한 증상은 생리사이 소량 출혈이었다. 57명의 환자 중 15명(26.3%)에서 자궁내막폴립이 저절로 소실되었다. 소실된 군과 소실되지 않은 군 간의 환자의 증상, 나이, 체중, 신장, 체질량지수, 산과력, 두 번째 초음파 자궁조영술까지의 기간 및 폴립의 크기를 비교하였을 때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자궁내막폴립이 소실되지 않은 42명의 환자 중 29명에서 수술적 치료를 시행하였으며 모두에서 악성 소견은 보이지 않았다. 결론 악성 가능성이 적은 폐경 전 여성에서 자궁내막폴립이 진단된 경우 폴립의 자연소실 가능성을 고려하여 2회 정도의 정상 생리 후 폴립의 지속 여부에 따라 치료 방법을 결정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Objective To assess changes in endometrial polyps by sonohysterography. Methods We conducted a retrospective analysis of 57 premenopausal women who were suspected to have endometrial polyps and were examined by sonohysterography from October 2005 to July 2008. We evaluated changes in endometrial polyps by sonohysterography after observation for two or more menstrual cycles. Results The mean age of the patients was 37.7, and all patients were premenopausal. Forty-two patients had bleeding symptoms, the most common being intermenstrual spotting. Endometrial polyps regressed spontaneously in 15 out of 57 patients (26.3%). The endometrial polyp regression rate was not associated with symptoms, age, body mass index, gravida, parity, initial largest polyp diameter or interval between sonohysterography. Of the 42 patients with persistent polyps, 29 received surgical treatment. None of the patients had malignant lesions. Conclusion Endometrial polyps in premenopausal patients with low malignant potential may be observed for about two menstrual cycles in the hope of spontaneous regression.

      • KCI등재

        임상 ; 자궁 경부 상피내 병변의 보존적 치료 방법인 냉도 원뿔 절제술과 고리전기 절제술이 후속 임신에 미치는 영향

        김윤영 ( Yun Young Kim ),채용화 ( Yong Hwa Chae ),안계형 ( Gye Hyeong An ),우장환 ( Jang Hwan Woo ),최준식 ( June Sik Choi ),김민형 ( Min Hyoung Kim ),류현미 ( Hyun Mee Ryu ),최규홍 ( Kyu Hong Choi ),한정렬 ( Jung Yeol Han ),이시 대한주산의학회 2010 Perinatology Vol.21 No.3

        목적: 자궁경부 원뿔절제술의 방법에 따른 후속 임신의 불량한 결과와의 연관성을 알아보고자 한다. .방법: 연구는 후향적으로 진행된 환자-대조군 연구이다. 연구군은 냉도 원뿔절제술(cold knife conization)치료 후 임신한 여성 170명과, 고리전기 절제술(loop electrosurgical excision procedure, LEEP) 치료 후 임신한 여성 86명이며, 정상 대조군은 자궁 경부 수술의 기왕력이 없는 단태 임신 497명이었다. 임신 결과로는 자연 조산, 저체중아, 주산기 사망률 등을 포함하였다. 연구군을 냉도 원뿔절제술 군과 고리전기 절제술 군으로 나누어 각각의 임신 결과를 정상 대조군의 임신 결과와 비교하였다. 결과: 냉도 원뿔절제술 후 임신한 여성의 34주 미만의 조산과 28주 미만의 조산에 대한 비교 위험도는 정상 대조군에 비해 각각 4.9 (95% 신뢰구간 1.6-15.9)와 7.6 (95% 신뢰구간 1.5-39.6)으로 증가하였다. 냉도원뿔절제술 후 임신한 여성은 저체중아와 주산기 사망에 대한 비교 위험도도 2.6 (95% 신뢰구간 1.2-5.8)과 11.9 (95% 신뢰구간 1.3-107.6)로 증가하였다. 자궁경부의 고리전기 절제술 치료 후 임신한 군에서는 조산율, 저체중아, 주산기 사망의 비교 위험도가 정상 대조군에 비해 증가하지 않았다. 결론: 자궁경부의 원뿔절제술 중 냉도 원뿔절제술은 향후 임신의 34주 미만의 조산, 저체중아, 주산기 사망의 위험율을 증가시킨다. 자궁 경부 상피 병변으로 보존적 치료 방법에 대한 상담 시 향후 임신 예후에 대한 적절한 상담이 필요하다. Objective: In this study, we evaluated whether different methods of conization of the cervix were associated with an increased risk of adverse pregnancy outcomes in subsequent pregnancy. Methods: A retrospective case-control study was conducted. The study group included women who had undergone cold knife conization (n=170) or a loop electrosurgical excision procedure (LEEP) (n=86) and then had subsequent singleton pregnancies. The control group (n=497) included women with no history of cervical surgery. The outcomes were spontaneous preterm delivery and various neonatal outcomes such as low birth weight (LBW) and perinatal mortality. Results: Cold knife conization was associated with a significantly increased risk of preterm delivery less than 34 weeks (relative risk 4.9, 95% confidence interval 1.6-15.1), preterm delivery less than 28 weeks (7.6, 15-39.6), LBW (2.6, 1.2-5.8), and perinatal mortality (11.9, 1.3-107.6). LEEP was not associated with a increased risk of adverse pregnancy outcomes. Conclusion: Cold knife cone biopsy, but not LEEP of the cervix, is associated with an increased risk of preterm delivery less than 34 weeks of gestation and adverse neonatal outcomes. Clinicians counsel women appropriately before conservative treatment of cervical intraepithelial les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