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새싹채소 혼합분말이 고지방 식이를 급여한 흰쥐의 지질대사에 미치는 영향

        이재준,이유미,신형덕,정영심,이명렬,Lee, Jae-Joon,Lee, Yu-Mi,Shin, Hyoung-Duck,Jeong, Young-Sim,Lee, Myung-Yul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07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36 No.8

        본 연구는 새싹채소 혼합분말(배추, 유채, 브로콜리, 적무, 갓, 알팔파, 메밀 및 보리)이 혈액 및 지방조직의 지질대사 개선효과를 살펴보기 위하여 고지방식이를 섭취한 흰쥐에게 새싹채소 혼합분말을 식이의 5%와 10%로 4주간 급여한 후, 체내 지방조직의 지방 함량, 지방세포의 크기, 지방합성 관련 효소인 ME, 6PGDH, G6PDH, LPL 활성, 혈청 지질성상, 인슐린 및 렙틴 농도를 측정하였다. 체중증가량은 고지방식이만을 급여한 HF-N군이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고지방식이와 새싹채소 혼합분말을 동시에 급여한 HF-CSL군과 HF-CSH군은 정상지방섭취군인 NF-C군과 유사하였다. 고지방식이만을 급여한 HF-N군은 지방조직의 무게와 지방 함량이 유의하게 높았으며, HF-CSL군과 HF-CSH군은 NF-C군보다도 낮은 경향이었다. 혈청 중 중성지방, 총콜레스테롤 및 LDL-콜레스테롤 함량은 고농도의 새싹채소 혼합분말을 급여한 HF-CSH군이 정상지방섭취군인 NF-C군보다도 낮았으며, HDL-콜레스테롤 함량은 NF-C군보다 높았다. 혈청 인슐린과 렙틴 농도는 HF-N군이 다른 군들에 비하여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새싹채소 혼합분말의 효과는 새싹채소 혼합분말의 섭취량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였다. 지방세포의 크기도 HF-N군이 다른 군들에 비하여 유의하게 컸다. 새싹채소 혼합분말의 섭취량이 증가함에 따라 지방세포 크기가 작아지는 경향이었다. 지방조직의 지방합성관련 효소인 ME, 6PGDH 및 G6PDH 활성은 지방조직 모두 HF-N군에서 가장 높았다. 새싹채소 혼합분말을 고농도 첨가한 HF-CSH군은 ME와 G6PDH 활성이 가장 낮았으며, NF-C군과는 유사한 활성을 나타내었다. 새싹채소 혼합분말의 섭취량이 증가함에 따라 지방조직의 ME, 6PGDH 및 G6PDH 활성은 저하되었다. 지방조직의 HR-LPL과 TE-LPL 활성은 HF-N군이 다른 군들에 비하여 증가하였으며, 새싹채소 혼합분말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HR-LPL과 TE-LPL 활성 모두 유의하게 저하되었다. 고농도의 새싹채소 혼합분말을 첨가한 HF-CSH군은 NF-C군가 비슷한 LPL 활성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 흰쥐의 경우 식이섬유소를 첨가하지 않고 고지방식이만을 급여 시 체중 및 체지방 함량 증가, 혈청 중 총콜레스테롤 및 중성지방 함량 증가, 지방합성관련 효소 활성 증가를 유도하며, 식이 지방의 섭취 수준이 심혈관계질환에 미치는 영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고지방식이로 인하여 증가된 이러한 결과는 새싹채소 혼합분말 섭취로 혈청 및 지방조직의 지질대사 개선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효과는 새싹채소 혼합분말이 혈청 중 총콜레스테롤, 중성지질, 인슐린, 렙틴 농도의 변화와 지방조직의 지방합성관련 효소의 활성 변화로 유도된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vegetable sprout powder on serum and adipose tissue lipid metabolism in rats fed high-fat diet for 4 weeks for induction hyperlipidemic model rat. Weight-matched male Sprague-Dawley rats were assigned to five groups according to dietary fat level (10% or 20% of diet wt.) and mixture of vegetable sprout powder levels (5% or 10% 10% or 20% of diet wt.). Vegetable sprout powder was the mixture of same amounts of dried barley, broccoli, rapeseed, alfalfa, radish, mustard, buckwheat and brussels sprouts. Experimental groups were normal fat diet with 5% cellulose (NF-C), high fat diet without fiber (HF-N), high fat diet with 5% cellulose (HF-C), HF-C diet with 5% vegetable sprout powder (HF-CSL), and HF-C diet with 10% vegetable sprout powder (HF-CSH). The body weight of HF-N group increased 16% compared with the NF-C group, while it was decreased by 15% and 22% for HF-CSL group and HF-CSH group, respectively. Fat mass and fat cell size of adipose tissue were lower in HF-CSL group and HF-CSH group compared with HF-C group, and lower in HF-CSH group compared with HF-CSL group. Serum triglyceride, total cholesterol and LDL-cholesterol contents were markedly decreased by vegetable sprout powder containing diet, while the serum HDL-cholesterol and phospholipid contents were higher in vegetable sprout powder containing diet in a dose-dependent manner. Leptin and insulin levels in serum showed a decrease in HF-CSH group. Significantly increased contents of triglyceride, total cholesterol, LDL-cholesterol, leptin and insulin in the serum of HF-N group were returned to normal or even below normal levels by feeding 10% vegetable sprout powder diet. The increased activities of NADP-malate dehydrogenase (ME), glucose-6-phosphate dehydrogenase (G6PDH) and 6-phosphogluconate dehydrogenase (6PGDH) and lipoprotein lipase (LPL) in adiposetissue by HF-N group were decreased to the activity of normal fat group by feeding vegetable sprout powder in a dose-dependant manner. These results indicate that lipid metabolism in rats fed high-fat diet was suppressed by feeding vegetable sprout powder.

      • KCI등재후보

        도시유역의 저류지 설계를 위한 계획모형 비교분석

        이재준,곽창재,이상원,Lee,Jae-Joon,Kwak,Chang-Jae,Lee,Sang-Won 한국방재학회 2008 한국방재학회논문집 Vol.8 No.3

        도시화로 인한 유출량의 증가 및 도달시간의 단축은 도시재해의 한 원인이 되고 있다. 이를 막기 위하여 도시 배수유역내에 저류지를 설치하여 첨두도달시간을 지연시키고 방류량은 하수관거의 통수능 이하로 조절하는 방안을 활용하고 있다. 저류지를 설계 운영함에 있어서 사용되는 수문모형은 일반적으로 계획모형, 설계모형 및 운영모형으로 분류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재해영향평가서 22개소의 기 설계된 저류지를 분석대상으로 하여 여러 가지 저류지 계획모형의 적합성을 검토하였다. 저류지 계획모형으로는 삼각형, 사다리꼴 설계수문곡선과 경험적 공식을 이용한 11가지의 모형을 적용하였다. 저류지 계획모형의 분석에서 on-line 저류지의 경우는 사다리꼴 형태 설계수문곡선을 채택하고 있는 이종태 등 모형(1991)의 결과가 대상 저류지의 실저류량과 가장 유사함을 보였고, off-line 저류지의 경우는 삼각형 형태 설계수문곡선을 채택하고 있는 Abt and Grigg 모형(1978)의 결과가 비교적 양호한 결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Urbanization results in increased runoff volume and peak flowrate and shortening in time of concentration, which may cause frequent flooding downstream. There are various types of flow retardation methods including detention ponds, retention ponds, and infiltration ponds. In general, hydrologic models to design the detention pond are classified into planning model and design model. This study is comparing and analyzing of planning model to design the detention pond in urban area. Detention ponds data of Disaster Impact Assessment Report on 22 sites were analyzed to investigate proper planning models in this study. From this research, following conclusions are derived, 1) In case of on-line detention pond, Lee model(1991) is the best planning model and similar to real storage volume. 2) In case of off-line detention pond, Abt and Grigg model is much more proper model compared to other models.

      • KCI등재

        김치로부터 분리한 Exopolysaccharide생성 유산균 Leuconostoc kimchii GJ2의 마우스에 대한 급성독성

        이재준,이유미,장해춘,이명렬,Lee, Jae-Joon,Lee, Yu-Mi,Chang, Hae-Choon,Lee, Myung-Yul 한국생명과학회 2007 생명과학회지 Vol.17 No.4

        The present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acute toxicity of Leuconostoc kimchii GJ2(Leu. kimchii GJ2), an exopolysaccharide-producing lactic acid bacteria isolated from kimchi, in ICR male and female mice. The test article was intraperitoneally or orally administered to both sexes of mice. Then followed a 14-day period of observation. In intraperitoneal acute toxicity test, mice were injected intraperitoneally with dosage of 0, 700, 900, 1,100, 1,300, 1,500, 1,700, 1,900, 2,100, 2,300 and 2,500 mg/kg. Intraperitoneal 50% lethal doses($LD_{50}$) of Leu. kimchii GJ2 was >2,500 mg/kg in male and female mice. In oral acute toxicity test, male and female mice were gavaged with Leu. kimchii GJ2 of five doses(0, 625, 1,500, 2,500 and 5,000 mg/kg). Oral $LD_{50}$ of Leu. kimchii GJ2 was consider to be higher than 5,000 mg/kg. Furthermore, no significant changes in general conditions, body weights, clinical signs and any gross lesions were observed in both sexes of mice administered intraperitoneally or orally with Leu. kimchii GJ2. In conclusion, our results suggest that no adverse effect level of Leu. kimchii GJ2 is estimated to be over 2,500 mg/kg in the intraperitoneal route and 5,000 mg/kg in the oral route, respectively. 본 연구는 김치로부터 분리한 EPS생성 유산균 Leu. kimchii GJ2에 대한 급성독성시험을 위하여 복강 및 경구로 1회 시료물질을 최고 용량(복강: 2,500 mg/kg, 경구: 5,000 mg/kg)으로, 10마리 ICR계통 암수 마우스에게 투여한 후 14일간의 일반증상, 사망률, 체중, 임상증상 및 육안적 소견을 관찰하였다. 복강 및 경구투여한 후 24시간 이내에 일부 시료투여군에서 부분적으로 사망례가 관찰되었으나 나머지 시험동물은 계속 생존하여 평균치사량을 산출할 수 없었다. 복강 혹은 경구투여한 후 마우스의 체중변화에 있어서도 암수 모두 대조군과 시료물질 투여군 사이에 유의성 있는 차이는 보이지 않았으며, 생존동물의 부검결과에서도 내부장기의 육안적 이상 소견도 관찰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시험물질인 Leu. kimchii GJ2는 복강 및 경구투여 시 마우스에서 독성학적인 변화가 관찰되지 않았으며, $LD_{50}$은 복강투여가 2,500 mg/kg, 경구투여가 5,000 mg/kg 이상인 저독성의 안전한 물질로 사료된다.

      • KCI등재

        산사의 항산화 활성과 돈육 떡갈비로의 적용

        이재준,이정선,최양일,이현주,Lee, Jae-Joon,Lee, Jung-Sun,Choi, Yang-Il,Lee, Hyun-Joo 한국축산식품학회 2013 한국축산식품학회지 Vol.33 No.4

        본 연구는 산사 분말이 기능성식품의 식재료로서의 이용 가능성에 관한 연구의 일환으로 산사의 항산화효과와 돈육 떡갈비 재료 중 육류 일부를 산사 분말로 대체하여 저장성 증진 효능을 지닌 기능성 떡갈비의 개발 가능성을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산사 분말의 pH는 3.67이였으며, 명도(L), 적색도(a) 및 황색도(b)는 각각 66.70, 8.93 및 3.02의 값을 나타내었다. 총 polyphenol과 총 flavonoid 함량은 산사 에탄올 추출물 농도 1,000 ppm에서 각각 127.00 mg/g와 54.05 mg/g로 나타났다. 산사 에탄올 추출물의 DPPH radical 소거능은 82.26%로 합성항산화제인 BHT 및 BHA와는 비슷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품질특성을 살펴본 결과, 대조구 떡갈비(N), 산사 분말을 0.5%, 1.0% 및 2.0% 첨가된 떡갈비(S1, S2, S3), 총 4종류 떡갈비의 조지방과 조단백질 함량은 산사 분말 첨가 수준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으나(p<0.05), 조회분은 증가하였다(p<0.05). 보수력과 가열감량은 산사 분말 첨가 수준이 증가할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p<0.05). 물리적 조직감을 측정한 결과 경도와 씹힙성은 2% 산사 분말 첨가 떡갈비 구(S3)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5). 관능검사를 조사한 결과는 육색의 경우에만 산사 분말 첨가구에서 높은 선호도를 나타내었다. 저장특성을 살펴본 결과 저장기간이 경과하면서 pH가 전반적으로 서서히 감소하여 유의적인 변화를 보였다(p<0.05). 지질산패도를 측정한 결과는 모든 처리구가 저장기간에 따라 TBA 값이 증가하는 경향이었으나(p<0.05), 2% 산사 분말 첨가 떡갈비구(S3)에서 유의적으로 낮았다(p<0.05). 총미생물의 수는 1%와 2% 산사 분말 첨가 떡갈비구(S2, S3)가 가장 낮은 수치를 보였다. VBN 함량은 저장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증가하였지만(p<0.05), 1%와 2% 산사 분말 첨가 떡갈비구(S2, S3)가 대조구에 비하여 낮았다. 명도와 황색도는 산사 분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저장 기간이 증가할수록 유의하게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적색도는 저장 기간 상관없이 2% 산사 분말 첨가 떡갈비구(S3)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 2% 산사 건조 분말이 육제품에 사용할 경우 기능성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육색이나 관능특성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antioxidant effect of Sansa (Crataegi fructus) extract in vitro, and to evaluate the functional effects of Sansa powder addition on the quality properties and storage characteristics of Tteokgalbi. Total polyphenol and flavonoid contents of Sansa extract were found to be 127.00 mg/g and 54.05 mg/g, respectively. The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Sansa extract was high and it was similar to the BHA and BHT. The Tteokgalbi was prepared by 0% (N), 0.1% (S1), 1% (S2), and 2% (S3) of the Sansa Powder. Addition of Sansa powder decreased the protein and lipid contents, but the ash content was significantly increased (p<0.05). Increasing the amount of Sansa powder in the pork Tteokgalbi tended to increase the water holding capacity (WHC) values and the cooking loss (p<0.05). The addition of Sansa powder increased the hardness and chewiness values, but did not affect the cohesiveness and springiness values. In the sensory evaluation, the S3 Tteokgalbi had the best score in color. Values of pH, total microbial counts, thiobarbituric acid (TBA) and volatile basic nitrogen (VBN) values decreased significantly added Sansa powder relative to the normal (p<0.05). The S3 Tteokgalbi was significantly (p<0.05) more effective for delaying lipid peroxidation than the other groups. Sansa powder addition increased the L (lightness) and a (redness) values. Therefore, the results demonstrate that adding the Sansa powder to the pork Tteokgalbi tended to improve antioxidative and antimicrobial effects during the chilled storage period.

      • KCI등재

        김치로부터 분리한 Helicobacter pyroli 억제능 유산균 Pediococcus pentosaceus MD1의 흰쥐에 대한 반복투여독성 연구

        이재준,이유미,장해춘,이명렬,Lee, Jae-Joon,Lee, Yu-Mi,Chang, Hae-Choon,Lee, Myung-Yul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07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36 No.8

        본 연구는 H. pyroli 억제능을 지닌 김치 유래 유산균인 Pediococcus pentosaceus MD1을 가지고 궤양 예방효과를 지닌 김치를 개발하기 위한 선행연구로서 독성평가 실험을 수행하고자 4주 반복 투여 독성시험을 실시하였다. 본 시험에서 설정한 최고 용량 투여군인 2,000 mg/kg에서도 일반증상관찰, 체중변화, 사료섭취량 및 물 섭취량을 측정한 결과, 모두에서 시험물질과 관련된 유의성 있는 변화가 관찰되지 않았다. 또한 혈액학적, 혈액생화학적 검사 및 장기의 육안적 관찰 및 장기 중량변화에서도 대조군과 유의성이 있는 차이를 보이는 항목이 없었으며, 모두 정상범위를 벗어나지 않아 시험물질에 기인하는 이상소견을 발견할 수 없었으므로, 최대 무해 용량은 2,000 mg/kg 이상일 것으로 추정되었다. 이상의 결과 4주 반복 투여 독성시험 결과 H. pyroli 억제능을 지닌 유산균인 Pediococcus pentosaceus MD1은 저독성물질로 판정되었으며, 유산균이 기능성식품 소재로서의 안전성 확인을 통하여 소비자들에게 소화성 궤양 예방효과를 지닌 안전하고 차별화된 경쟁력 있는 김치를 개발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repeated-dose toxicity in male and female rats orally administered with Pediococcus pentosaceus MD1, an anti-Helicobacter pyroli producing lactic acid bacteria isolated from kimchi. Sprague-Dawley rats were divided into 4 groups, 10 animals in each group. The test article was administered once daily by gavage to rats at dose levels of 0, 500, 1,000 and 2,000 mg/kg for 4 weeks. No test article-related deaths and clinical findings in both sexes of rats during the study period were resulted. In addition, no differences were found between control and treated groups in body weight changes, food intake consumption and water consumptions. Hematological parameters, serum biochemical analysis and any other findings did not also show any significant or dose-dependent alterations. There were no alterations in absolute and relative organ weights by the administration of Pediococcus pentosaceus MD1. These results suggest that no-observed-adverse-effect level (NOAEL) of Pediococcus pentosaceus MD1 is considered to be more than 2 g/kg in male and female rats.

      • KCI우수등재

        공간적(空間的) 확률구조(確率構造)를 고려(考慮)한 일강수량(日降水量)의 모의발생(模擬發生)에 관한 연구(硏究)

        이재준,이원환,Lee, Jae Joon,Lee, Won Hwan 대한토목학회 1986 대한토목학회논문집 Vol.6 No.3

        본(本) 연구(硏究)는 장래(將來) 예상(豫想)되는 유역내(流域內)의 수자원(水資源) 수요문제(需要問題)에 대처(對處)하여 수자원(水資源)의 기초(基礎)가 되는 강수(降水)를 공간적(空間的)으로 모의발생(模擬發生)(Simulation)하기 위한 모델을 개발(開發)한 것으로서, 유역(流域)의 중심(中心) 관측소(觀測所)인 기간관측소(基幹觀測所)와 그 주변의 준기간(準基幹) 관측소간(觀測所間)의 강수현상(降水現像)에 대(對)한 공간적(空間的) 확률구조(確率構造)로부터 준기간(準基幹) 관측소(觀測所)의 강수계열(降水系列)를 모의발생(模擬發生)하였다. 섬진강 유역(流域)을 대상(對象)으로 기간(基幹) 관측소(觀測所)로는 하동(河東)을 택(擇)하고 준기간(準基幹) 관측소(觀測所)로는 임실, 보성, 순창, 동복, 구례를 택(擇)하여 강수(降水)의 공간적(空間的) 모의발생(模擬發生) 모델을 검토(檢討)하였으며 얻어진 성과(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강수상태(降水狀態)의 공간적(空間的) 분리(分離)는 강수상태별(降水狀態別)(강수(降水)-강수계(降水系), 무강수(無降水)-강수계(降水系), 강수(降水)-무강수계(無降水系), 무강수(無降水)-무강수계(無降水系)) 발생확률(發生確率)이 안정(安定)된 값을 보여 공간적(空間的) 모의발생시(模擬發生時) 유효(有?)한 방법(方法)임을 알았다. 2) 기간(基幹) 관측소(觀測所)의 일강수계열(日降水系列)로부터 모의발생(模擬發生)한 준기간(準基幹) 관측소(觀測所)의 일강수계열(日降水系列)은 연평균(年平均) 강수량(降水量)의 경우(境遇) 관측치(觀測値)와 비슷한 결과(結果)를 보였으나, 하계(夏季)의 강수량(降水量)은 약간(若干) 과소(過少)하게 나타났다. 3) 준기간(準基幹) 관측소(觀測所)의 월강수량(月降水量)에 대한 Correlogram과 Power Spectrum은 관측표본(觀測標本)과 잘 맞고 있어 주기성(周期性)의 재현(再現)은 충분(充分)한 것으로 생각된다. The probabilistic model was developed to give a spatial simlation of precipitation series to solve the problem of future need of water resources. The simulation of daily precipitation series at the sub-base stations was induced from the spatial structure of rainfall occurrence probability between the base station and the sub-base stations in the watershed. In this study Hadong was chosen as the base station in Seomjin river basin and Imsil, Boseong, Soonchang, Dongbok, and Gurye were also selected as the sub-base stat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e separation technique of spatial precipitation state showed effectiveness in the spatial simulation method because the occurrence probability by each precipitation state (Wet-Wet, Dry-Wet, Wet-Dry, and Dry- Dry system) represented the stable value. 2) The daily precipitation series of the sub-base stations which were simulated from those of the base station showed that the simulated annual mean precipitations were similar to the observed data, but the precipitations in summer were decreased slightly. 3) The correlogram and power spectrum of the simulated monthly precipitation for the sub-base stations showed those of the observed sample with good agreement.

      • KCI등재

        스테비아와 숯이 급여된 비육돈의 육질 및 저장특성

        이재준,박성현,정동순,최양일,최정석,Lee, Jae-Joon,Park, Sung-Hyun,Jung, Dong-Soon,Choi, Yang-Il,Choi, Jung-Soek 한국축산식품학회 2011 한국축산식품학회지 Vol.31 No.2

        본 실험은 스테비아와 숯의 급여가 돼지의 육질 및 저장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수행하였다. 시험구는 일반기초사료 급여구(T1)를 대조구로 하여, 스테비아 0.3%(T2)와 0.6% 급여구(T3), 숯 0.3%(T4)와 0.6% 급여구(T5), 스테비아 0.3%와 숯 0.3% 홉합급여구(T6) 및 스테비아 0.6%와 숯 0.6% 혼합급여구(T7)로 하여 등심육의 제반 육질특성을 조사하였다. 일반성분은 T6에서 단백질과 지방의 함량이 다른 처리구들보다 높은 수준이었다. pH에서는 T4처리구에서 높은 수준을 나타내었으며, 보수력에서는 T6처리구에서 높은 수준을 나타내었다. 육즙손실은 T5처리구에서 높은 육즙손실량을 나타내었으며, 가열감량에서는 T1과 T6처리구에서 높은 수준을 나타내었다. 그외 전단력에서는 T2처리구에서 높은 수준을 나타내었다. 육색에서는 T2와 T6에서 다른 처리구들보다 낮은 명도값을 나타내었으며, T1, T5, T6처리구에서 높은 적색도를 나타내었고, T3처리구와 T5처리구에서 높은 황색도를 나타내었다. 근육 내 콜레스테롤 함량에서는 T7처리구에서 높은 수준을 나타내었다. 주관적 판정과 관능검사에서는 T6 처리구에서 우수한 성적을 나타내었다. 저장특성의 처리구별 비교에서는 TBA가는 T4처리구가 0 일에 높은 수준을 나타냈으며, 7일에서는 T3처리구가 높은 수준을 나타내었다. 한편 VBN 함량과 총미생물수에서는 냉장저장 기간 동안 각 처리구 모두 가식범위의 수준이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스테비아 0.3%+숯 0.3%의 혼합처리구(T6)가 대조구와 다른 처리구와 비교 시 육질특성이 우수하며 저장특성에서도 우수한 수준을 나타내는 것으로 사료되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effects of stevia (Stevia rebaudiana Bertoni) and charcoal supplementation on meat quality traits in finishing pigs. A total of 420 pigs (LYD) were randomly allocated into seven treatments with three replications. The dietary treatments were T1 (control, basal diet), T2 (basal diet+0.3% stevia), T3 (basal diet+0.6% stevia), T4 (basal diet+0.3% charcoal), T5 (basal diet+0.6% charcoal), T6 (basal diet+0.3% stevia+0.3% charcoal), and T7 (basal diet+0.6% stevia+0.6% charcoal). Pigs were slaughtered conventionally on each marketing day and chilled overnigth. At 24 h postmortem, the Longissimus muscle from left side between the 6th and 14th rib was removed for the meat quality traits. The T6 group showed a higher pH, water holding capacity (p<0.05), and lower drip loss (p<0.05) than those in the T1 group. The T6 group showed lower (p<0.05) $L^*$ (lightness) and $b^*$ (yellowness) values and higher $a^*$ (redness) color value than those in the T1 group, resulting in a redder surface meat color. In the subjective evaluation, marbling and color scores improved in the T6 group compared to those in the other treatments. In the panel test, the T6 group tended to have higher tenderness and juiciness scores than those in the T1 group. In the storage characteristics, all treatments showed similar 2-thiobarbituric acid and volatile basic nitrogen values as well as total microbial counts during 7 d of cold storage. As a result, dietary supplementation with 0.3% stevia and 0.3% charcoal showed the highest meat quality traits and storage characteristics in finishing pigs.

      • SCOPUSKCI등재

        기계 및 화학적 가공법을 이용한 신 미세가공기술

        이재준,김대은,Lee, Jae-Joon,Kim, Dae-Eun 대한기계학회 1996 大韓機械學會論文集A Vol.20 No.10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novel method named mechanical and chemical machining technique, which is capable of producing three dimensional patterns of few micrometers in dimension on a silicon wafer without the use of a mask. The strategy is to impart mechanical energy along the path of the pattern to be fabricated on a single crystal silicon by way on introdusing frictional interaction under controlled conditions. Then, the surface is preferentially etched to reveal the areas that have been mechanically energized. Upon completion of the etching process, the three dimensional pattern is produced on the silicon surface. Experiments have been conducted to identify the optimal tool material, geometery, as well as fabrication condition. The new technique introduced in this paper is significantly simpler than the conventional method which require sophisticated equipment and much time.

      • KCI등재

        중온화 첨가제(LEADCAP<sup>(R)</sup>)를 사용한 중온 아스팔트 바인더의 특성 평가

        이재준,양성린,권수안,황성도,Lee, Jae-Jun,Yang, Sung-Lin,Kwon, Soo-Ahn,Hwang, Sung-Do 한국도로학회 2011 한국도로학회논문집 Vol.13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중온화 첨가제(LEADCAP$^{(R)}$)를 사용한 중온 아스팔트 바인더의 노화 방법에 따른 물성 변화 특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아스팔트 바인더의 노화 거동을 모사하기 위해 단기노화인 RFTO를 실시하였으며, 햇빛에 의한 자연 노화 거동을 알아보기 위해 자외선 경화기를 이용하여 자외선에 의한 열화거동을 모사하였다. 이러한 열화 중온 아스팔트 바인더의 역학적인 물성과 유변동학적인 특성을 시험하기 위해서 만능시험기(UTM)과 동적전단유동기를 이용하여 직접인장력과 유변동학적인 거동을 평가하였다. 또한, 열분석 장비를 이용하여 온도에 따른 중온 아스팔트 바인더의 특성을 평가하여, 자외선 노출에 따른 열화가 발생하여도 온도에 따른 물성 변화가 많이 발생하지 않음을 발견하였다. $70^{\circ}C$에서 중온화 첨가제가 첨가한 단기노화 중온 아스팔트 바인더의 경우, PG 등급에서의 고온 등급의 기준값을 만족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저온에서 중온 아스팔트 바인더의 인장 특성을 평가한 결과, 인장강도 향상과 함께 인장력이 증가됨을 알 수 있었다. The objective of this paper is to evaluate the performance of low $CO_2$ asphalt binder properties using LEADCAP$^{(R)}$(Low Energy and Carbon Asphalt Pavement) additive as function of various aging methods such as RTFO(Rolling thin film oven), Ultraviolet(UV) lay. In order to simulate the short-term aging of asphalt binder that occurs during the hot-mixing asphalt process, the Rolling Thin Film Oven(RTFO) was used. Asphalt binder using LEADCAP$^{(R)}$ is prepared by addition of a photoinitiator activated by ultraviolet lay. The mechanical and rheological properties of the asphalt binder were estimated using UTM(Universal Testing Machine) and DSR(Dynamic Shear Rheometer). The test results showed that the asphalt binder using LEADCAP$^{(R)}$ additive was improved the rutting resistance at testing temperature ($70^{\circ}C$) and increased tensile strength at low temperature. Also, Thermal analysis shows that the Melting Point(Tm) of asphalt binder using LEADCAP$^{(R)}$ additive was constant although the asphalt binder was aged by Ultraviolet.

      • KCI등재

        유출저감을 위한 유역내 침투시설의 적용

        이재준,설지수,Lee,Jae-Joon,Seol,Ji-Su 한국방재학회 2011 한국방재학회논문집 Vol.11 No.3

        유역의 도시화는 유출총량과 첨두유량의 증가와 도달시간이 감소시키며, 홍수피해의 위험성을 더욱 크게 만든다. 침투시설은 도시유역의 유출총량과 첨두유량을 감소시킬 수 있고, 그 종류에는 침투트렌치와 투수성 포장재 등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침투시설 설치에 따른 우수유출저감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경북 구미시 옥계동의 <TEX>$0.18km^2$</TEX>와 공단동의 <TEX>$0.67km^2$</TEX>의 면적을 가진 도시유역을 대상으로 하여 각각의 유역특성을 분석하고, 유출총량 및 첨두유량의 저감량을 WinSLAMM 모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또한, 침투시설 설치에 따른 첨두유량저감효과를 분석하였고, 침투시설 면적비와 유출저감률과의 관계식을 도출하였다. Urban development of basin causes increasing runoff volume and peak flowrate and shortening in time of concentration, which may cause frequent flooding downstream. An infiltration facilities are operated as a method of reducing flood discharge of urban rivers and peak flowrate. There are various types of infiltration facilities like infiltration trench and porous pavement. In this study, runoff reduction effect due to installation of infiltration facilities are performed and focused on <TEX>$0.18km^2$</TEX> residential area of Ok-kye dong and <TEX>$0.67km^2$</TEX> industrial area of Gong-dan dong in Gumi City. The analysis is fulfilled with comparison of total runoff volume and runoff reduction volume by using the WinSLAMM and the relation equation between area ratio of infiltration facilities and ratio of runoff reduction are derived and peak flow reduction effect for installation of infiltration facilities is analyz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