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최부의 [표해록]을 통해 본 15세기 朝鮮과 明朝 문화 교류의 현장

        김정녀 고전문학한문학연구학회 2007 고전과 해석 Vol.3 No.-

        최부(崔溥, 1454~1504)의 표해록(漂海錄)ꡕ은 성종 19년(1488) 윤정월 초삼일 제주에서 폭풍을 만나 표류한 최부 일행이 중국 해안에 표착한 이후 조사를 받고 항주-북경-요동을 거쳐 같은 해 6월 4일 조선으로 송환되기까지의 여정을 적은 일기체 기행문이다. 고국으로 돌아오기까지의 고되면서도 기나긴 여정길에서 최부는 자신이 본 중국의 정치․사회 제도, 자연 경관, 사람 사는 모습 등을 생생하게 기록으로 남기고 있다. 조선전기 중국과의 외교 관계 및 문화 교류의 일단을 살필 만한 자료가 영성한 상황에서 최부 표해록의 가치는 매우 높다고 하겠다. 조선인으로서는 드물게 중원의 강남과 강북을 두루 살펴본 최부는 표해록에서 많은 이야기를 들려 주고 있다. 표류민 신분임에도 불구하고 최부는 일행의 호송 임무를 맡고 있는 官人들, 異國에 대한 호기심으로 최부를 방문한 明代 지식인들과 역사 문화에 대한 다양한 의견을 나누고 있으며, 이동 중 자연스레 마주치는 이국의 풍경과 그곳의 생활 풍속 등을 상세히 기록하고 있어 중국의 역사와 문화 전반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히고 있다. 아울러 문헌을 통해서만 축적했던 지식과 정보를 직접 현장에서 확인함으로써 時․空間을 초월한 역사, 인물과의 만남도 이뤄지고 있다. 표해록은 일종의 15세기 朝鮮과 明朝 문화 교류서라고 말할 수 있다. 당시 두 나라 간의 교류가 자유롭지 못한 상황 속에서 최부는 중국에 대해, 중국인은 최부를 통해 조선에 대한 정보와 문화를 탐색한다. 그러나 이 시기 중국인들의 조선에 대한 정보는 매우 피상적인 반면 최부는 중국의 역사, 문화, 제도, 문학 등에 대한 정보가 풍부한 상태에서 대화를 나누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최부의 정보 탐문의 수준은 심층적이면서도 실용적이다. 한편 최부는 明에 대한 事大의 예를 지키고 있지만 조선의 國治 이념이나 儒者로서의 신념에 위배되는 경우에 대해서는 강하게 대응하는 등 주체적인 면모를 보이기도 한다. 최부는 세계의 중심 무대인 중국에서 그들과 당당히 문학과 우정과 정보를 교류하고 있다. 표해록은 그 견문한 바가 실로 광범위하다. 6천여 리에 달하는 기나긴 여정 동안 최부는 중국의 자연 풍광과 역사 고적은 물론이고 강남과 강북의 인심과 풍속에 이르기까지 두루 보고 듣지 않은 것이 없다. 이후 동시대에 창작된 동월(董越, 1431~1502)의 조선부(朝鮮賦)와의 비교를 통해 15세기 조선과 명조의 문화 교류가 좀더 입체적으로 조망될 수 있기를 기대해본다. Pyohaerok written by Choi Bu (1454~1504) is a narrative journal of Choi Bu and his company, which describes a variety of their experiences in China including inspection and journey via Hangzhou, Beijing and Liao-dong after they were overtaken by a storm in the sea off Jeju Island, were on the drift and finally, were cast away on the Chinese coast on the 3rd day of the first intercalary month according to the lunar calendar in the 19th year of the King Seongjong's reign (1488), till they were sent home on the 4th of June in the year. Choi Bu describe vividly what he saw while on the tough and long journey, such as the contemporary Chinese political and social regimes, natural scenery and life style. In the light that the literature addressing the diplomatic relationship and cultural interchange with China in the early Joseon Dynasty period is rare, Choi Bu's Pyohaerok is highly invaluable. In his Pyohaerok, Choi Bu tells many stories after having traveled various places in the southern (called Gangnam) and northern regions (called Gangbuk) of the river in Jung Kwon, China, and it is a rare book written by as a person belonging to the Joseon Dynasty. Despite the fact that he was no more than a castaway, Choi discussed many things about the history and cultures of the Ming Dynasty with the government officials who were charged with escorting his party and with intelligent people who visited him to inquire about the conditions of other countries. He records in detail the scenery and the lifestyle of the country he was passing through and expands the horizon of his understanding about the history and cultures of China. Moreover, he communicates with the history and figures existing beyond the boundaries of time and space while personally confirming the knowledge and information he has accumulated. Pyohaerok may be called a book about cultural exchanges between the Joseon Dynasty and the Ming Dynasty in the 15th century. In that time when exchanges were not freely conducted between the two countries, information and cultures were sweetly shared and communicated between them through Choi. However, the information Chinese people had at this time was merely superficial in comparison with Choi, who freely developed dialogues using his abundant information on the history, cultures, systems, literature, etc. of China. Choi’s information is very deep and practical. Choi keeps toadyish etiquettes towards the Ming Dynasty, but maintains his autonomy since he demonstrates strong responses when what people say and act are against the principles of the Joseon Dynasty or the beliefs of a Confucian. Choi openly exchanges friendship and information on literature in China which was the central stage in the world at that time.Pyohaerok covers a really vast range of what Choi has learned and observed. While making such a long journey of 2,400 km, Choi learns and understands almost every thing about the natural scenery, history, historical remains, mindset of people, and public morals of the Gangnam and Gangbuk regions in China. The present author hopes that the cultural exchanges between the Joseon Dynasty and the Ming Dynasty in the 15th century will be investigated more thoroughly by means of comparing Pyohaerok with Joseonbu written by Dong Wol in the same age.

      • 안전한 모바일 서비스를 위한 스마트 단말 보안 기술

        김정녀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2011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지 Vol.3 No.-

        최근 들어, 스마트 모바일 단말의 활용이 급증하면서 스마트폰과 같은 모바일 단말을 통한 모바일 지불/결제, 모바일 뱅킹, 모바일 오피스 등 다양한 스마트 서비스의 사용이 늘어나고 있다. 이에 따라, 스마트 단말을 이용하는 모바일 환경에서의 보안 위협이 부각되고 있다. 본 고에서는 모바일 환경에서의 스마트 단말 보안 위협을 살펴보고 이러한 위협에 대응할 수 있는 스마트 단말 보안 기술을 소개하고자 한다. 또한, 본고에서 소개되는 스마트 단말 보안 기술은 민간분야 뿐만 아니라 합동 전투 지휘(Joint Battle Command) 체계를 지원하는 다양한 전장 환경의 군용 스마트 단말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 KCI등재
      • CC-NUMA 시스템을 위한 다중 스레드 프로세스의 노드 스케줄링 설계 및 구현

        김정녀,김해진,이철훈,Kim, Jeong-Nyeo,Kim, Hae-Jin,Lee, Cheol-Hoon 한국정보처리학회 2000 정보처리논문지 Vol.7 No.2

        this paper describes the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node scheduling for MX Server that is CC-NUMA System COMSIX, the operating system of MX Server, is designed to suit for CC-NUMA Architecture. MX Server consists of up to 8 nodes, and each node is connected by SCI ring. This node scheduling scheme considers data locality for performance improvement of Oracle8i DBMS on the CC-NUMA architecture. For DBMS such as Oracle8i, a multi-threaded process may be run to tie on particular disk. We have developed a CG binding function that the multi-threaded process bound the node. Currently, We don't have an available CC-NUMA Platform. Instead of MX Server, we developed the Node scheduling scheme for multi-threaded process to suit server platform on the PC test-bed and tested completely. 본 논문에서는 여러 개의 노드가 상호연결망으로 연결되어 각각의 메모리를 공유하는 CC-MUMA 시스템인 고성능 멀티미디어 서버(MX-Server)상에서 다중 스레드 프로세스의 노드 스케줄링 설계 및 구현 내용을 소개한다. 고성능 멀티미디어 서버의 컴퓨팅 서버용 운영체제인 COSMIX(cache COherent Shared Memory unIX)에서는 서버의 플랫폼에 알맞은 하드웨어 및 시스템 관련하여 CC-NUMA 시스템에 적합한 운영체제 기능을 설계하였다. 고성능 멀티미디어 서버는 최대 8개까지의 노드로 구성된 CC-NUMA 시스템으로 각 노드들은 SCI ring으로 연결된다. 이러한 CC-NUMA 구조의 시스템에서 데이터의 지역성을 고려한 노드 스케줄링 방식으로 Oracle8i와 같은 DBMS의 성능을 높이고자 한다. 고성능 멀티미디어 서버에서는 데이터의 저역성을 고려하여 한 노드에 프로세스를 바인드 하는 기능이 있으나, 그중 다중 스레드로 구성된 프로세스의 바인드 기능은 없다. Oracle 8i와 간츤 DBMS에서는 다중 스레드로 구성된 하나의 프로세스가 일정한 디스크를 점유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이와 같은 다중 스레드의 프로세스를 해당 디스크가 있는 하나의 노드 즉 cg에 마인드 하는 기능을 구현하였다. 현재는 가용한 플랫폼이 없어서 MX Server 대신 PC 테스트베드를 이용한 CC-NUMA 시스템의 시뮬레이션 환경을 구축하여 다중 스페드의 CG 바인드 기능을 개발하고 그 시험을 완료하였다.

      • KCI등재

        한문본 ‘金山寺創業宴錄’ 계열의 이본적 특성과 위상

        김정녀 고전문학한문학연구학회 2021 고전과 해석 Vol.34 No.-

        본고는 <金華寺夢遊錄>의 양식적 특징과 주제 의식 등을 논의하는 자리에서 종종 소외되었던 ‘金山寺創業宴錄’ 계열의 이본적 특성과 위상을 재조명한 것이다. 그간 ‘금산사창업연록’ 계열은 이본 수는 적은데 이본 간의 편차는 매우 크고, ‘金華 寺夢遊錄’이나 ‘金華寺記’ 계열에 비해 확대, 부연된 서사 단락이 많아 독특한 이본 정도로 간주되었다. 그러나 최근 ‘금산사창업연록’ 계열에 속하는 이본들이 추가로 발견되어 이 계열의 특성 및 지향을 연구할 수 있는 토대가 마련되었고, 한글로 번 역되어 활발히 유통된 사실이 확인되면서 이본적 위상에 대한 재고가 요청되는 바, 본고에서는 해당 이본 12종을 대상으로 변개 양상과 의미를 검토하고, 이 계열 이 본군의 위상을 살펴보았다. 한문본 ‘금산사창업연록’ 계열의 이본적 특성과 의미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 째, 작품에서 明太祖의 역할이 크게 부각되었는데 이는 명태조에게 天命이 있음을 강조하기 위한 것이다. 玉皇上帝의 예언, 元太祖와의 대결, 명태조 창업 설화 등의 서사는 ‘金華寺’ 계통에서는 보이지 않았던 내용인데, 이 계열 이본에 새롭게 추가 되면서 天命이 명태조에게 있음을 명시적으로 드러내었다. 둘째, 원태조가 이끄는 오랑캐 연합군과의 전쟁 장면이 확대·부연되었는데, 이는 단순히 흥미를 끌기 위한 서사가 아니다. ‘금화사’ 계통에서는 秦始皇과 漢武帝의 군담만이 소략하게 기술되 었으나, 대다수의 ‘금산사창업연록’ 계열에서는 명태조를 내세워 완전하고도 통쾌 한 승리를 거두는 결말을 마련함으로써, 오랑캐의 運이 다하고 中華가 회복되는 것 이 천명이라는 점을 거듭 강조하였다. 이 외에 ‘금산사창업연록’ 계열 이본들은 특 정 인물을 부각하거나 인물에 대한 품평을 통해 필사자의 개인적 견해를 표출하기 도 하였는데, 이는 필사자의 역사관 및 세계관이 적극적으로 반영된 결과라 하겠다. 이상과 같은 특성을 지닌 한문본 ‘금산사창업연록’ 계열은 ‘금화사’ 계통 이본에 대한 비평적 인식을 바탕으로 생산, 유통되었다. ‘금화사’ 계통에 비해 명태조 천명 론이나 中華意識이 더욱 강화된 데에는 여전히 중원을 차지하고 있는 淸나라의 존 재와 明이 망한 이후 다양하게 변주되며 지속되었던 중화의식이 영향을 미친 것으 로 보인다. 이처럼 ‘금산사창업연록’ 계열은 독자들이 ‘금화사’ 계통의 작품을 어떻 게 읽고 수용하였으며, 시대적 요청에 어떻게 부응해 나갔는지를 보여준다는 점에 서 의미가 있다. 아울러 국문본 ‘금산사창업연록’의 활발한 유통은 <금화사몽유록> 의 대중적 인기 요인 및 향유층 확대를 증명하는 이본군이라는 점에서 이 계열 이 본의 위상은 재조명되어야 할 것이다. This paper sheds light on the different versions' characteristics and status of the ‘Geumsansachangeopyeonrok’(金山寺創業宴錄) lines, which were often excluded during discussions on the stylistic characteristics and thematic consciousness of the <Geumhwasamongyurok>(金華寺夢遊錄). Although the number of ‘Geumsansachangeopyeonrok’ lines have been small, the difference between different versions is very large, and there are many narratives that have been expanded and extended compared to the ‘Geumhwasaamongyurok’(金華寺夢遊錄) and ‘Geumhwasagi’(金華寺記) lines, so it was considered to be a unique version. However, additional copies belonging to ‘Geumsansachangeopyeonrok’ lines were recently discovered to provide a foundation for studying the characteristics and orientation of the lines, and as it is confirmed that this version has been translated into Korean and actively distributed, a reconsideration of its different versions' status is requested. Thus, this study sought to examine 12 different versions, research the aspect of changes and the meanings, and finally reveal the status of this lines of the works. A summary of the different versions' properties and meanings of ‘Geumsansachangeopyeonrok’ written in Chinese is as follows. First, the role of the first king of Myeong(明太祖) in the work was greatly emphasized to emphasize that there was a God's will to the king of Myeong. As the contents such as the prophecy of the Jade Emperor, the confrontation with the first king of Won(元太祖), the tales of the founding of the first king of Myeong weren’t appeared in ‘Geumhwasa’ series, it was explicitly revealed that there was the God’s will in the first king of Myeong by newly adding in this line’s different versions. Second, the scene of the war against Orangkae(胡族) coalition led by The first king of Won has been expanded in various dimensions, which was not just an addition to the narrative for interest. As the military tales of the first king of Jin(秦始皇) and Han Mu-je(漢武帝) were appeared shortly in ‘Geumhwasa’ series, in most ‘Geumsansachangeopyeonrok’ lines through the conclusion that the first king of Myeong had done a complete and pleasant victory, the write emphasized that what the Orangkae's luck would be over and the consciousness of Chinese centered would be restored were the God’s will. Furthermore in ‘Geumsansachangeopyeonrok’ lines the writer actively expressed the writer's personal views on character reputation through a focus on special characters, which reflects the writer's individual sense of history and worldview. The ‘Geumsansachangeopyeonrok’ written in Chinese which has characteristics as above, was produced and distributed based on critical perception of the different versions of ‘Geumhwasa’ series. Compared to the ‘Geumhwasa’ series, the theory of the logic that there was God’s will in the first king of Myeong dynasty and the strength of the consciousness of Chinese centered were further strengthened appears to have affected the existence of Cheong(淸) and the changed consciousness of Chinese centered which had continued to change in various ways since Myeong(明) collapsed. ‘Geumsansachangeopyeonrok’ lines shows how readers read, accept the works of ‘Geumhwasa’ series and respond to the requests of the times. In addition, the status of ‘Geumsansachangeopyeonrok’ lines should be re-examined in that the active distribution of ‘Geumsansachangeopyeonrok’ written in Korean proves the popularity factor of <Geumhwasamongyurok> and the expansion of readers.

      • KCI우수등재

        <삼한습유(三韓拾遺)>에 나타난 예(禮)에 관한 논쟁과 그 의미

        김정녀 국어국문학회 2004 국어국문학 Vol.- No.137

        In this paper, I am going to inquire into the dispute over Ye(禮; courtesy) and its meaning in Samhanseubyu(三韓拾遺) written by Kim So-haeng(金紹行). The meaning of 'Ye' is not as usual in this novel. From the beginning to the end, the author asks a question of the reader. "What is properly right to Ye?" If it were not for this question, we could have said "There is not any conflict in this novel." So I am going to inquire into the author's ultimate purpose - why does he give a place of the dispute over Ye to the reader? As like many people who wrote a biography(傳) or a poem in classical Chinese(漢詩) with a subject matter of Hyangrang(香娘), Kim So-haeng also pays a tribute to her. But he recompenses her for her nobility of spirit in the extraordinary measure and it brings about the conflictive situation. In the middle of this situation, there is a problem of Ye and Birye(非禮; discourtesy). Hyangrang was trying to do all of the filial duty and courtesy. But the entire situation she faced forced her to commit suicide. Hyangrang, however, was reincarnated and got married with new husband who treated her with courtesy in Samhanseubyu (Kim So-haeng must have thought that her conduct deserved this setting-up). So he needed to prove that reincarnation and remarriage were properly right for her, and he created the speaking of Province(天帝), wizard(神仙) and sage, the war between Heaven's army and devil's army and the war among Silla(新羅), Baekje(百濟) and Koguryeo(高句麗) in Samhanseubyu. Reincarnation and remarriage, someone said, were against Confucian doctrine and courtesy, Kim So-haeng insisted on his opinion that according to the situation, the meaning of courtesy change and the true courtesy is based on human nature. When someone tries to reduce courtesy to practice, his/her effort, in most cases, is frustrated. Kim So-haeng put a veto on these actualities and wanted to be free from the ideal of medieval times and be the subjective in his life. So to speak, the dispute over Ye in Samhanseubyu is prepared to express his wish.

      • KCI등재

        몽유록의 비평적 기능과 그 저변의 확대

        김정녀 한민족문화학회 2017 한민족문화연구 Vol.60 No.-

        Mongyurok is the genre of the works which allegorically expressed the criticism for politics and society through commenting historical events or figures, and the tendency of criticism to social reality is understood as the general property of Mongyurok style. However, It’s hard to make mention of stylistic characteristic uniformly about Mongyurok that had been created and enjoyed for a long time. Therefore, This paper want to make certain the critical functions and the phases of Mongyurok by categorizing ‘the function of Mongyurok’ in the perspective of creative motivation. Depending on the creative motivation of the works, the functions of Monyurok are divided into three.:(1) the function of the resistance against dominant discourses through publicizing private memories (2) the function of the new discourse production through accepting the knowledge (3) the function of the personal viewpoints expression by extending critical domain. Though these functions do not necessarily appear the diachronic aspect, the leading function is identified by specific periods, and targets of criticism and domain of criticism is likely to enlarged as time passes. As in the middle of the Joseon Dynasty, Mongyurok made the contradiction of political․social reality the criticism target and had its own resistant characteristic against dominant discourses, the political function of Mongyurok at this time deserved special mention. As in the late of Joseon Dynasty the critical targets of Mongyurok were extended to china’s history and figures, the figures in out of world, and the characters in novels, various discourses were created and distributed through accepting knowledge. Especially Mongyurok in the 19th century show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cultural criticism aspects reflected individual tastes and interests, extending the critical domain which had been limited to special figures or events. While the Mongyurok created in the middle of Joseon had the political criticism characteristic, Mongyurok created in the late of Joseon was varied the critical domain and targets as history criticism, literary criticism, and culture criticism and so on, apart from politics criticism. This study has been set on the presentation of a problem for the previous studies that the tendency of Mongyurok works being produced at certain times was understood as the direction of all the Mongyurok works, or a group of works not showing the tendency of realistic criticism was misunderstood as the humble writings that was poor in thematic consciousness. Through this study, I expect to reconfirm Mongyurok as the historical genre that Mongyurok was in charge of the various critical functions, extending the critical domains and targets for a long time. 몽유록은 역사적 사건이나 인물에 대한 논평을 통해 작가의 정치․사회에 대한 비판 의식을 우의적으로 그려낸 작품이며, 현실 비판적 성향이 몽유록 양식의 일반적 특징으로 이해되기도 하였다. 그러나 오랜 시간 창작되고 향유된 몽유록의 양식적 특징을 일률적으로 말하기는 어렵다. 이에 본고에서는 작품의 창작 동인에 따른 ‘몽유록의 기능’을 유형화하여 살펴봄으로써 몽유록의 비평적 기능과 그 양상을 확인해 보고자 하였다. 작품의 창작 동인에 따라 몽유록의 기능은 (1) 사적 기억의 공론화를 통한 지배 담론에 대한 대항, (2) 지식의 수용을 통한 새로운 담론의 생산, (3) 비평 영역의 확대에 따른 개인적 관점 표출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이러한 기능이 반드시 통시적 양상을 띠는 것은 아니지만 특정 시기별로 주도적인 경향은 확인되며, 비평 대상과 영역은 후대로 갈수록 그 저변이 확대되었다고 볼 수 있다. 조선 중기 몽유록은 정치․사회 현실의 모순을 비평 대상으로 삼고 있고, 지배 담론에 대한 대항의 성격을 지니고 있기에 이 시기 몽유록의 정치적 기능은 특기할 만하다. 조선 후기 몽유록의 경우는 비평 대상이 중국의 역사와 인물, 이계(異界)의 인물, 소설 속 인물 등으로 확대되면서 지식의 수용을 통한 다양한 담론이 생산되고 유통되었다. 특히 19세기 몽유록의 경우는 특정 인물이나 사건에 한정되었던 비평 영역이 확대되면서 개인의 취향과 관심이 반영된 문화 비평적 양상을 보이기도 하였다. 조선 중기에 창작된 몽유록이 정치비평의 성격을 뚜렷이 지니고 있는 데 비해, 조선 후기의 몽유록은 정치비평 외에도 역사비평, 문예비평, 문화비평 등으로 다양한 비평의 양상을 보였다. 본고는 특정 시기에 산출된 몽유록 작품의 성향이 몽유록 전체의 작품 지향으로 이해되고, 또 현실 비판적 성향을 보이지 않는 일군의 작품은 주제의식이 빈약한 희필(戲筆)로 오해되어온 그간의 연구에 대한 문제제기에서 출발한 것이다. 본고를 통해 몽유록이 오랜 기간 비평 영역과 대상을 확대하면서 다양한 비평적 기능을 담당해온 역사적 장르임을 재확인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몽유록의 공간들과 기억 - '역사적 공간'을 배경으로 선택한 작품을 중심으로-

        김정녀 우리어문학회 2011 우리어문연구 Vol.41 No.-

        Mongyurok is the recall of memory of historical events and characters,reconstitution of the memories, and the narration of the writer's political desire to stabilize the reconstituted memories. This paper examined such historical feature of Mongyurok, focusing on 'the spaces of Mongyurok'. The works that were discussed in this paper include Yun Gye-seon's Dalcheonmongyurok, Gangdomongyurok of unknown authorship, Choi,Hyeon's Geumsaengimunrok, and Shin Chak's Yongmunmongyurok. The 'historical space' in these works becomes a connection of memories for historical characters and events and provides an opportunity for the character named Mongyuga having the dream. After having the dream, the 'space in the dream' becomes the space which creates the allegory that the writer wants to convey while passing through encountering historical characters, debates and arguments, sympathy and understanding. And the space where the Mongyuga faces after awakening from the dream and returning to reality is the space that is given reinterpreted and contextualized meaning, so it can be a space that reminds the reader not only of the memory of applicable events and characters but also of the meaning given to the space. Tangeumdae in Yun Gye-seon's Dalcheonmonyurok, and Kangdo in Gangdomongyurok are the 'space of memory' that recalls a defeated commander and numerous victims of war. But it can be said that it be comes the space where the loyalty and fidelity of the loyalist who sacrifices himself for the country are commemorated and the space where the questions of what caused the war, who takes the responsibility, and what should be done are raised. Meanwhile, it was confirmed that the spaces in Choi, Hyeon's Geunsaengimunrok and Shin, Chak s Yongmunmongyurok are connected with the writers' foundation of life, and the writers' 'personal memory' that was formed through school relations, kinship and regionalism are led to stabilization work of memories such as setting up memorial halls for confucianist services to honor distinguished scholars and statesmen and compilation of town history while resisting the 'collective memory' of the community. The readers concurrently recall the public memory and the personal memory in the historical space when they realized writer's allegory. The question of which of these memories obtains public opinions and are recorded as historical facts should still be watched with interest. Mongyurok was also the narrative memory and this is the reason why we should have interest in the space, memory, and the narration of memories that are made through these spaces. 몽유록은 과거 역사적 사건과 인물에 대한 기억의 소환, 그 기억의 재구성,그리고 재구성된 기억을 안정화하고자 하는 작가의 정치적 욕망을 서사화한것이다. 본고에서는 몽유록의 이러한 역사적 성격을 '몽유록의 공간들'에 주목하여 고찰해 보았다. 논의한 작품은 윤계선의 「달천몽유록」, 작자미상의 「강도몽유록」, 최현의 「금생이문록」, 신착의 「용문몽유록」 등이다. 이들 작품에 등장하는 '역사적 공간'은 인물과 사건에 대한 기억의 매개가 되어 몽유자가 입몽하는 계기를 만들어준다. 입몽 후의 '몽유 공간'은 역사적 인물과의 만남, 토론과 논쟁, 공감과 이해를 거치면서 작자가 전달하고자 하는 우의를 창출해내는공간이 된다. 그리고 몽유자가 각몽 후 다시 현실로 돌아와 마주한 공간은 재해석, 재맥락화된 의미가 부여된 공간으로, 이제 독자에게 '역사적 공간'은 기억을 환기시키는 공간만이 아니라, 그 공간에 부여된 의미를 함께 환기시키는공간이라 할 수 있다. 윤계선의 「달천몽유록」에서의 탄금대, 「강도몽유록」의 강도는 패전한 장수, 수많은 전란의 희생자들을 떠올리게 하는 '기억의 공간'이다. 그러나 작자가 재구성한 '기억의 서사'를 경유함으로써, 나라를 위해 자신을 버린 충신들의 의리와 절개를 추모하는 공간으로, 전란이 일어난 원인이 무엇이고, 그 책임을 누가 져야 하며, 앞으로 어떻게 해야 하는가에 대한 문제를 제기하는 공간으로의미화되었다고 하겠다. 한편 최현의 「금생이문록」과 신착의 「용문몽유록」에서의 공간들은 작가의 재지적 기반과 연계되어 있는데, 학연, 혈연, 지연 등을통해 형성된 작가의 '사적 기억'이 지역사회의 '집단적 기억'에 대항하며 書院배향, 邑誌 편찬과 같은 기억의 안정화 작업으로 이어지고 있는 모습을 확인할수 있었다. 독자들은 이제 역사적 공간에서 어떤 기억을 떠올리게 될까? 몽유록 작가가소환한 기억을 통해 공간에 새롭게 부여된 의미를 떠올리게 되면, 이 공간은현재와 과거, 그리고 산 자와 죽은 자, 공적 기억과 사적 기억, 대문자 '역사'와'대항기억'이 다성적인 목소리를 내는 공간으로 재구성된다. 이들 기억 중 어떤기억이 공론을 얻어 역사적 사실로 기록되는 것인지의 문제는 여전히 관심을가지고 지켜보아야 한다. 몽유록도 그런 기억의 서사 중 하나였던 바, 오늘을사는 우리가 공간, 기억, 그리고 그 공간을 통해 만들어지는 기억의 서사에 관심을 가져야 하는 이유도 여기에 있다.

      • KCI등재

        리눅스 시스템의 버퍼 오버플로우 공격 대응 기법

        김정녀,정교일,이철훈,Kim, Jeong-Nyeo,Jeong, Gyo-Il,Lee, Cheol-Hun 한국정보처리학회 2001 정보처리학회논문지 A Vol.8 No.4

        본 논문에서는 시스템 해킹 시에 가장 많이 사용되는 버퍼 오버플로우 공격의 기법을 소개하고 운영체제 커널 수준에서 막을 수 있는 대응 기법을 소개한다. 보안 운영체제 시스템이란 리눅스 커널에 접근제어, 사용자 인증, 감사 추적, 해킹 대응 등과 같은 보안 기능을 추가 구현하여 시스템에서 발생 가능한 해킹을 방지하고 차단하는 시스템을 말한다. 본 논문에서는 보안 운영체제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해킹 대응 기술 중의 하나로 버퍼 오버플로우 공격을 막을 수 있는 커널 내 구현 내용을 설명한다. In this paper, we describe a blocking method of buffer overflow attack for secure operating system. Our team developed secure operating system using MAC and ACL access control added on Linux kernel. We describe secure operating system (SecuROS) and standardized Secure utility and library. A working prototype able to detect and block buffer overflow attack is availabl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