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형 교사소진 척도(MBI-ES) 타당화

        정송,노언경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2020 敎員敎育 Vol.36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alidate the MBI-ES for Korean teachers. For this purpose, two surveys were conducted with teachers who were in the Seoul-based schools. A content validity test, descriptive statistics, inter-item correlation, reliability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Rasch model analysi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a criteria validity test were carried out.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validity of the data was examined through contents and statistical analysis, and inappropriate items were corrected and deleted. Through a review of the contents, items that were less relevant to sub-factors, items with similar contents to other items, and items with ambiguous meanings were corrected or deleted. Through statistical analysis, items with a high correlation between items, items with low item difficulty, items that did not meet the criteria for the item fit, and items with low factor loadings were deleted. While maintaining the three-factor structure of emotional exhaustion, personal accomplishment, and depersonalization, a 10-item scale was constructed to confirm the validity. Finally, the significance of the Korean teacher burnout scale validation and a proposal for further study were discussed. 이 연구는 교사소진 척도(MBI-ES)를 국내 교사들을 대상으로 타당화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위해 서울시 소재 학교에 재직 중인 교원을 대상으로 두 번의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내용타당도검증, 기술통계, 문항 간 상관, 신뢰도 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Rasch 모형 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준거타당도 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내용 및 통계분석을 통해 타당성을 검토하였고, 부적절한 문항들에 대한 수정 및 삭제가 이루어졌다. 내용 검토를 통해 측정요인과의 관련성이 적은 문항, 다른 문항과 내용이 유사한 문항, 의미가 모호한 문항 등을 수정 또는 삭제하였고, 통계 분석을통해 문항 간 상관이 높은 문항, 문항 난이도가 낮은 문항, 문항 적합도의 기준에 부합하지 않는문항, 요인계수가 낮은 문항 등을 삭제하였다. 최종적으로 정서적 고갈, 개인적 성취감, 비인간화의3요인 구조를 유지하되 10문항으로 척도를 구성하여 타당성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한국형 교사소진 척도 타당화의 의의와 후속연구에 대한 제안을 논의하였다.

      • 초등학교 학생들의 방과후 여가시간 활용 실태 분석

        정송 한국방과후아동지도학회 2005 아동중심실천연구 Vol.2 No.1

        초등학생의 생활을 크게 학교생활과 방과후 생활로 나누어 볼 때, 학교생활은 모든 학생에게 일률적으로 똑같이 제공되는 반면에, 방과후 생활은 초등학생 개인의 생활수준이나 주변 환경, 부모의 관심 또는 초등학생의 요구 등에 따라 많은 차이가 있다. 특히 초등학생을 둘러싼 지역사회 환경은 가장 직접적으로 초등학생의 생활에 영향을 미친다고 볼 때, 인위적이고 상업적인 환경의 도시와 읍․면 등 농촌에서의 초등학생생활은 차이가 있을 것이므로 그 실태를 비교해 봄으로써, 환경의 차이에 따른 바람직한 여가환경을 조성하고 여가활동에 대한 적절한 대책을 강구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아동기의 효율적인 여가의 운용여부는 장래 초등학생 개개인의 인성 및 정서발달에 커다란 영향을 미칠 뿐 아니라 인격의 기초가 형성되는 시기인 만큼 우리 기성세대들이 간과해서는 안 될 중요한 연구 영역임에 틀림없다. 방과후 여가시간에 이루어지는 여러 형태의 사교육 역시 초등학생 자신이 필요로 하고 가치 있는 것으로 받아들일 수 있는 것일 때 비로소 참된 의미의 교육이 될 수 있으나, 현실적으로 무분별한 사교육 문제는 심각한 사회문제로 대두되고 있으며, 대중매체의 홍수 또한 아직 가치관이 정립되지 않은 초등학생에게 여과 없이 유포됨으로써, 초등학생이 이러한 현상들을 그대로 답습하여 책임 의식의 결여, 소비풍조의 조장, 건전하지 못한 생활자세를 형성할 우려가 있다. 그러므로 학생들에게 있어 여가의 참 뜻을 이해하고 활용할 수 있는 방법과 유형에 따른 지도는 물론 여가 장소와 시설을 갖추어 보다 즐거운 여가 환경을 조성해 주고 건전하게 여가를 활용할 수 있도록 관심과 지도가 필요하다. 이러한 여가의 교육적 의의에 착안한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학생의 여가활용에 대한 조사를 통해 여가 활용 실태와 문제점을 알아봄으로써, 바람직한 여가환경 조성과 여가활용 방안을 확립하기 위한 자료의 제공과 방안의 제시에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충청북도에 소재하고 있는 초등학교 중 도시․농촌 초등학생 435명을 선정한 후, 선행 연구를 기초로 연구자가 작성한 설문지를 통해 연구 자료를 수집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평일의 여가 활동으로 가장 많은 시간을 보내는 것은 학원이나 과외공부이며, 다음으로 TV보기나 컴퓨터 게임이었다. 둘째

      • KCI등재

        성장혼합모형을 적용한 청소년의 학교 만족도 변화 유형화 및 영향요인 검증

        정송,이금주,홍세희 한국청소년학회 2014 청소년학연구 Vol.21 No.7

        The purposes of the present study were to estimate the latent classes in change patterns in adolescents’ school-life satisfaction and to identify relevant variables that have significant effects on the latent classes. For these goals, growth mixture models were applied using the KEEP panel data from waves 1 to 4. Our results supported a 4-class model. These classes were defined as the increasing-decreasing class, the decreasing-increasing class, the moderate- and low-level classes, based on their change patterns. Further results demonstrated that academic achievement, self-esteem, relationship with a teacher, and similarity with friends were significant determinants of the classes. Specifically, those with higher levels of achievement and self-esteem had higher probabilities of being members of the increasing-decreasing class or the moderate class. And, those with good relationships with teachers tended to belong to the increasing-decreasing, moderate, low, decreasing-increasing class in possible order. Finally, those with high levels of similarities with friends tended to belong to the moderate class.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can be useful in understanding the change patterns in adolescents’ school satisfaction and their determinants. 본 연구는 일반계 고등학교에 진학한 청소년들의 학교 만족도의 변화 형태에 따른 잠재계층을 추정하고, 계층 분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의 관련성을 검증하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한국교육고용패널조사의 1차∼4차 자료를 이용하여 성장혼합모형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4개의 집단이 가장 적절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변화 형태에 따라 각 집단을 증가-감소 집단, 중간 수준 집단, 저수준 집단, 감소-증가 집단으로 명명하였다. 관련 변인들과 잠재계층 분류와의 관련성을 검증한 결과, 성별과 부모-자녀 관계를 제외한 모든 변인들이 유의하게 나타났다. 학업성취 수준과 자아 존중감이 높을수록 증가-감소 집단 또는 중간 수준 집단에, 담임교사와 관계가 원만할수록 증가-감소, 중간 수준, 저수준, 감소-증가 집단 순서로 속할 가능성이 높았다. 또한 친구와의 유사성이 많을수록 감소-증가 집단보다는 중간 수준 집단에 속할 가능성이 높았다. 본 연구 결과는 학생들의 학교 만족도 변화를 파악하고, 이를 향상시키기 위한 해결책 모색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 초소형셀 자율무선네트워크 기술

        정송,이융,한승재,이진성,윤동규,심세민 한국통신학회 2011 정보와 통신 Vol.28 No.2

        휴대 가능한 이동 단말의 광범위한 보급과 무선 인터넷 기술을 근간으로 하는 모바일 컴퓨팅의 급속한 확대는 무선네트워크 용량의 획기적인 증대를 요구하게 됐다. 본 논문에서는 공간 재사용(Spatial Reuse)을 통한 전송 용량 증대를 달성하기 위해 소형화된 셀 기반의 무선 네트워크 구조를 제안한다. 특히, 이 네트워크를 구성하기 위한 핵심기술을 분산화된 계층 교차 최적화, 초소형셀을 위한 이동성 지원, 무선 네트워크 가상화로 구분, 현재 진행중인 연구 내용을 자세하게 기술하고 이와 관련된 주요 이슈들을 함께 다루도록 한다.

      • KCI등재

        ICILS 2018을 통해 살펴본 우리나라 중등교사의 ICT 활용 및 인식 특성 : 연령대와 과목을 중심으로

        정송,노언경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21 敎育問題硏究 Vol.34 No.1

        본 연구는 우리나라 중등교사의 ICT 활용 실태 및 인식과 관련된 특성을 파악하고 효과적인 ICT 활용 교육을 위한 시사점 도출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ICILS 2018 교사 자료를 활용하여 연령대와 과목에 따른 집단 차이를 살펴보았다. 분석결과 수업에서의 ICT 활용과 인식 전반에서 연령대별, 과목별 차이가 확인되었다. 수업에서의 ICT 활용은 일방향적 도구를 사용한 교사주도의 활동이 가장 활발하였으며, 30대 교사의 ICT 활용 빈도와 ICT 도구 사용 경험 수준이 높았다. 수학은 다른 과목에 비해 상대적으로 ICT 활용 빈도가 낮았으며, 영어는 교과서와 연계된 디지털 콘텐츠와 디지털 학습 게임을 다른 과목들에 비해 매우 활발히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ICT 활용 전문성 개발 활동은 전반적으로 20대 교사들의 참여 수준이 낮았으며, 과목별 차이는 두드러지지 않았다. ICT 활용에 대한 자아효능감은 50대 이상 교사들이 다른 연령대 교사에 비해 낮게 나타났다. 교수학습에서의 ICT 사용에 따른 긍정적 결과에 대한 동의 수준은 30대 이하 교사가 40대 이상 교사보다 높았고, 부정적 결과는 50대 이상 교사들의 동의 수준이 전반적으로 가장 높았다. 교수학습에서의 ICT 사용을 위한 교사 간 협업에 대한 인식은 전체적으로 유사하였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시사점을 도출하고 후속연구를 제안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secondary school teachers’ characteristics of ICT utilization and perception. For this, we analyzed the group differences by teachers' age and subjects using the data of ICILS 2018. As a result, group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In the use of ICT, teachers in their 30s often utilized ICT and ICT tools. Mathematics relatively used low ICT than other subjects; English actively used digital content linked to textbooks compared to other subjects. Overall, teachers in their 20s had low participation in professional development activities related to ICT utilization, and no high differences across subjects. The self-efficacy of using ICT was low for teachers in their 50s and older. Teachers under their 30s perceived higher levels of agreement for positive results from the use of ICT than those in their 40s and older. As for the negative result on the use of ICT, the level of agreement of teachers over 50 was the highest. The perception of collaboration among teachers for the use of ICT was generally similar. Based on empirical results, we discussed implications on the use of ICT and perception of secondary school teach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