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공주 영은사 아미타후불탱화의 미술사적 특징과 채색 안료의 과학적 분석 연구

        이장존,김정희 한국전통문화대학교 전통문화연구소 2023 한국전통문화연구 Vol.31 No.-

        공주 영은사의 아미타후불탱화는 충청남도 문화재자료 376호로 1888년에 계룡산파의 금호당 약효가 수화승으로 참여하고, 상옥이 동참화사로 참여하여 조성하였다. 이 불화는 약효가 조성한 불화의 다양한 모습을 살펴볼 수 있음과 동시에, 약효가 수화사로서 본인만의 독특한 화풍을 정립하던 시기의 화풍이 잘 드러나 있어 19세기 충청지역 불화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자료라고 할 수 있다. 영은사 아미타후불탱화의 손상유형은 작품의 상부의 흑변 현상과 안료 박락, 청색 안료의 백색화, 물리적 충격에 의한 모서리 손상, 녹색 안료에 의한 바탕재 갈변 현상 등이 관찰된다. 작품의 가장 큰 손상인 흑변을 일으키는 흑색 오염물은 탄소가 주성분으로 이는 외부의 바람이 원통전으로 유입되면서 양초의 그을음이 불화 상부 쪽으로 흡착되어 흑변 현상이 발생하고 있다. 채색 안료 분석 결과를 보면 백색 안료는 연백과 활석을 혼합하여 사용하였고, 흑색은 먹을 사용하였다. 적색 안료는 진사와 연단을 혼합하여 사용하거나 진사를 단독으로 사용하였다. 황색 안료는 석황과 금박, 유기염료를 사용하였다. 녹색 안료는 염화동의 하엽과 근래에 보채한 크롬그린, 양록을 사용하였으며, 청색 안료는 군청을 사용하였다.

      • KCI등재

        보은 법주사 <괘불탱>의 미술사적 특징과 채색 안료의 과학적 분석 연구

        이장존,경유진,이종수,서민석 국립문화재연구원 2019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Vol.52 No.4

        Beopjusa Gwaebultaeng (Large Buddhist Painting), designated as Treasure No. 1259, was painted in 1766 andfeatured Yeorae (Buddha) at the center in the style of a single figure. It is the longest existing buddhist paintingand was created by Duhun, a painter who was representative of 18th century Korean artists. His other remainingwork is Seokgayeorae Gwaebultaeng (1767) in Tongdosa Temple. Considering their same iconography, they areassumed to have used the same underdrawing. Duhun had a superb ability to maintain a consistent underdrawing,while most painters changed theirs within a year. The Beopjusa painting carries significance because it was not onlypainted earlier than the one in Tongdosa, but also indicates possible relevance to the royal family through its records. Beopjusa Temple is also the site of Seonhuigung Wondang, a shrine housing the spirit tablet of Lady Yi Youngbin,also known as Lady Seonhui. Having been built only a year before Beopjusa Gwaebultaeng was painted, it served asa basis for the presumption that it has a connection to the royal family. In particular, a group of unmarried womenis noticeable in the record of Beopjusa painting. The names of some people, including Ms. Lee, born in the yearof Gyengjin, are recorded on the Bonginsa Temple Building, the construction of which Lady Yi Youngbin andPrincess Hwawan donated money to. In this regard, they are probably court ladies related to Lady Yi Youngbin. Theconnection of Beopjusa Gwaebultaeng with the royal family is also verified by a prayer at the bottom of the painting,reading “JusangJusamJeonhaSumanse (主上主三殿下壽萬歲, May the king live forever).”While looking into the historical characteristics of this art, this study took an approach based on scientificanalysis. Damages to Beopjusa Gwaebultaeng include: bending, folding, wrinkles, stains due to moisture, pigmentspalling, point-shaped pigment spalling, and pigment penetration to the lining paper at the back. According to theresults of an analysis of the painting pigments, white lead was used as a white pigment, while an ink stick and indigowere used for black. For red, cinnabar and minium were used independently or were combined. For purple, organicpigments seem to have been used. For yellow, white lead and gamboge were mixed, or gamboge was painted overwhite lead, and gold foil was adopted for storage. As a green pigment, atacamite or a mixture of atacamite andmalachite was used. Azurite and smalt were used separately or together as blue pigments.

      • KCI등재

        동궁비 원삼에 사용된 금사의 과학적 분석

        이장존,안보연,한기옥,이량미,유지현,유지아,Lee, Jang-Jon,An, Boyeon,Han, Kiok,Lee, Ryangmi,Yoo, Ji Hyun,Yu, Ji A 한국문화재보존과학회 2021 보존과학회지 Vol.37 No.5

        This study identified material properties through scientific analysis on Jikgeumdan(satin with gold threads) from Donggungbi-Wonsam and the gold threads used in the embroidery. The Donggungbi-Wonsam's base of gold threads were estimated to have used mulberry fiber's Korean paper(Hanji) because non-wood-based fibers were observed. The X-ray spectrometer showed that the Tongsuseulan of Donggungbi-Wonsam was a flat gold thread of pure gold and Jikgeumdan of flat silver thread of its Saekdong and Hansam. High sulfur levels were detected in the flat silver thread, which appeared to have formed silver sulfide by either manufacturing process using sulfur or conservation environment. he dragon insignia's embroidery is also described as two types twisted gold threads; pure gold and alloying-gold and silver. while dragon insignia's border line is decorated with a twisted gold thread of pure gold. In particular, it was investigated that adhesives such as an animal glue, a protein-based compound by gas chromatography mass spectrometry. Additionally, XRF and Raman spectroscopy analysis on the mixture substances between the metal surface and the base paper of gold threads identified talc and quartz in the gold threads and Seokganju(hematite) in the flat silver threads. 본 연구는 동궁비 원삼의 직금단과 자수에 사용된 금사를 대상으로 과학적 분석을 통해 재료적 특성을 파악하였다. 동궁비 원삼의 금사 배지는 비목질계 섬유소가 관찰되어 닥나무 섬유의 한지를 사용한 것으로 추정된다. XRF 분석을 통해 동궁비 원삼의 통수스란에는 순금의 편금사, 색동과 한삼에는 편은사로 제직한 직금단임을 알 수 있었다. 특히 편은사에서는 황이 높게 검출되는데 이것은 은을 사용하여 금빛을 내기 위한 훈증의 유황 성분의 영향과 보존환경에 의한 황화은이 형성된 것으로 보인다. 또한 용보의 문양은 연금사와 연은사로 표현하였으며, 용보의 테두리는 순금의 연금사로 장식하였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금사의 금속면과 배지 사이의 접착제와 혼합물에 대해 GC/MS, XRF, Raman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단백질계 화합물인 아교와 같은 접착제를 사용하고, 혼합물로는 편금사의 경우 활석을 섞고, 편은사에는 석간주를 혼합하여 사용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 KCI등재

        통도사 괘불탱의 채색상태 및 사용 안료의 과학적 분석

        이장존,안지윤,유영미,이경민,한민수 한국문화재보존과학회 2017 보존과학회지 Vol.33 No.6

        본 연구는 양산 통도사 괘불탱의 손상 및 채색 상태 유형에 대한 자료를 확보하고, 비파괴 방법과 박락된 시편의 교차분석을 통한 채색 안료의 종류를 밝혀내고자 하였다. 괘불탱의 손상 유형을 확인한 결과, 꺾임과 접힘, 들뜸, 결실, 박락 등이 관찰되었다. 채색 안료 분석 결과, 적색 계열의 안료는 연단과 진사, 유기 안료가 사용되었고, 녹색 안료는 공작석과 염화동(녹염동광)을 사용하였으며, 청색 안료는 석청과 군청, 백색 안료는 연백과 활석을 혼합하여 사용하였다. 또한, 황색 안료는 연백과 유기 안료를 혼합하여 사용하거나 연백 위에 유기 안료를 덧칠하였으며, 흑색 안료는 먹을 사용 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박락된 시료를 수습하여 안료의 입자상태 분석을 통해 녹색안료의 결정형을 쉽게 구분할 수 있었으며, 진한청색과 연한청색도 마찬가지로 입자의 크기나 형태가 원료의 상이함에 따라 서로 다름을 확인하였다. 또한, 황색과 자색은 입자감이 없는 유기안료를 사용하였으며, 특이하게 어두운 적색은 주황색과 먹을 혼합하여 사용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eal that coloring status and the degree of damage and the kinds of pigments used in large buddhist painting (Gwaebultaeng) of Tongdosa temple using a scientific analysis methods. It was observed that the physical damage patterns of the Gwaebultaeng were folding, lifting, fading, and peeling. Lead red, cinnabar and organic pigments were used as red pigments. Malachite and atacamite were used as green pigments, azulite and lazulite were blue pigments, lead white and talc were white pigment. It is estimated that overlapping organic pigments on the lead white were used as the yellow pigment and carbon was the black pigment. Through the analysis of the particle status of the pigments, it was confirmed that different types of raw materials were used for the green pigment, and the crystal form was easily distinguishable. Also, the dark blue color and the light blue color differed from each other depending on the size and shape of the raw material particles. Yellow and purple colors were organic pigments which did not have a graininess. The yellow and purple colors were organic pigments free from the graininess, and the pigments of dark red pigments was found to be mixed with the orange color pigments and carbon particles.

      • KCI등재

        화순 운주사 마애여래좌상의 암석학적 특성 및 손상도 평가

        이장존,김재환,이수예 한국문화재보존과학회 2017 보존과학회지 Vol.33 No.1

        전남 화순 운주사 마애여래좌상은 운주사 석불군 가운데 유일한 마애불로써 현재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275호로 지정되어 있다. 암반의 암석은 연녹색의 안산암질 응회각력암으로써 구성광물은 석영과 장석으로 이루고 있다. 전암대 자율 측정 결과, 상부에서부터 하부까지 단일 퇴적층으로 구성되어 있다. 초음파 속도 측정 결과, 2009년에 비해 2015년은 1500~2000 m/s의 빈도수는 증가하고, 2000~2500 m/s의 빈도수는 감소하였으며, 2015년에 2000 m/s이하의 측정값이 87.5%로 2009년의 68.8%에 비해 증가하였다. 또한 마애여래좌상의 상부, 하부, 왼쪽부분 및 머리 등에서 부분적으로 저속대의 범위가 확장되는 경향이 관찰되었다. 마애불의 대한 풍화는 장기적으로 발생하기 때문에 시간 경과에 따른 변화 정도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 The rock-carved seated Buddha of Unju temple of Hwasun, Jeonnam, the only Triad Buddha among the stone Buddhas of Unju temple, is currently designated as a tangible cultural property No. 275 of Jeollanam-do. The rock of the seated Triad Buddha bedrock is light-green andesitic tuff breccia that is composed of quartz and feldspar. The resultsof measurement of the whole rock magnetic susceptibility characteristics, the rock consists of a single sedimentary layer from top to bottom. The results of ultrasonic velocity measurement, show that the number of frequency of 1500~2000 m/s increased and the number of frequency of 2000~2500 m/s decreased in 2009 compared to 2015, and the measurement value for 2000 m/s or below was 87.5% in 2015, a 68.8% increase in comparison to that in 2009. Moreover, on the top, bottom, left side, and head areas of the Triad Buddha, a partial expanding tendency was observed in the range of low ultrasonic velocity. As weathering of the Triad Buddha occurs in the long term, on-going monitoring is required to ascertain the degree of change with time.

      • KCI등재

        고려시대 선체출토 석탄의 재료학적 특성 및 국산 석탄과의 비교 연구

        이장존,박석환,임성태,한민수 한국문화재보존과학회 2013 보존과학회지 Vol.29 No.4

        태안군 마도 해역 해저에서 인양된 마도 1호선의 선체 내·외부에서 출토된 석탄의 지구화학적 및 광학적, 광물학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석탄의 비중은 1.28g/cm3로 약 10%의 광물질 함유 상태를 고려하면 순수한 석탄만의 비중은 1.15g/cm3 정도이며, 갈탄과 유연탄 사이의 범위 해당된다. X-선 회절분석 결과는 peak점의 2θ는 20°~23° 사이로 낮은 탄화정도의 석탄에 해당되었으며, 석탄구성물질 분류에서 비트리나이트 군이 93~94%, 엑시나이트 군이 5~6%, 인어티나이트군이 1% 이었다. 또한 석탄의 비트리나이트 평균반사율은 Rmean: 0.627로 고휘발분역청탄 C(high volatile bituminous C coal) 또는 아역청탄 A(sub-bituminous A coal)에 해당된다. 공업분석 결과 미국 광무국의 기준에 의하면 아역청탄 A(sub-bituminous A coal) 또는 고휘발분역청탄 C(high volatile bituminous C coal)에 해당되며, 원소분석 결과 역청탄에 해당되는 점결탄으로 분류된다. 마도1호선 석탄과 국내 석탄을 비교 분석 결과 포항 인근 장기지역의 갈탄과 유사하였다.

      • KCI등재

        광주광역시 도로변 분진에 대한 유해원소의 오염특성

        이장존,박영석,김종균,한민수,Lee, Jang-Jon,Park, Young-Seog,Kim, Jong-Kyun,Han, Min-Su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2007 자원환경지질 Vol.40 No.3

        이 연구에서는 광주광역시 도로변 분진에 대한 유해원소의 오염특성을 규명하기 위해 2004년 11월과 12월에 걸쳐 47개의 시료를 채취하였다. 시료는 도시화의 특성에 따라 주거지역, 산업지역, 도심지역, 교통밀집지역등 4개의 지역으로 세분하였다. 도로변 분진의 XRD 분석결과 구성광물은 석영, 조장석, 미사장석, 백운모가 대부분 차지하고 있었다. 유해원소 함량은 비소 $3.4{\sim}11.9ppm$, 카드뮴 $0.2{\sim}28.2ppm$, 코발트 $32{\sim}526ppm$, 크롬 $25{\sim}526ppm$, 구리 $11{\sim}375ppm$, 니켈 $14{\sim}247ppm$, 납 $13{\sim}413ppm$, 아연 $101{\sim}972ppm$이었다. 연구지역에서 검출된 유해원소의 평균 함량이 높은 순서는 아연>구리>납>크롬>코발트>니켈>카드뮴 이다. 유해원소의 함량은 대체로 주거지역에서 낮았으며, 도심지역과 교통밀집지역의 중금속 함량은 비슷하였다. 유해원소는 전반적으로 산업지역에서 카드뮴, 코발트, 크롬, 구리, 니켈, 납, 아연이 높게 나왔다. 이는 산업지역인 광주광역시 하남 산업단지에 기계, 석유화학, 자동차, 전자 관련 업체가 많이 입주해 있는 것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전자 현미경 분석결과 산업지역에서 납을 함유한 입자가 관찰되어 납의 오염현상을 반영했고, 또한 크롬과 니켈, 철을 함유한 입자를 확인 할 수 있어, 산업 활동의 기원으로 추론된다. 광주광역시 도로변 분진의 유해원소별 상관계수 값을 보면 카드뮴이 증가함에 따라 크롬, 니켈은 정(+)의 상관관계를 나타내고 크롬은 구리와 니켈, 구리는 니켈, 납은 아연과 정(+)의 상관관계를 양상을 띠고 있어 같은 패턴의 오염의 양상을 예측할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how the pollution characteristics of hazardous elements from roadside dust in the Gwangju city. We collected 47 samples from November to December in 2004 and separated four groups such as residential area, industrialized area, downtown area and heavy traffic area fer characteristics comparison on hazardous elements. Roadside dust mostly consisted of quartz, albite, microcline, muscovite in XRD analysis. Content of hazardous elements varied: As $3.4{\sim}11.9 ppm$, Cd $0.2{\sim}28.2 ppm$, Co $32{\sim}526 ppm$, Cr $25{\sim}526 ppm$, Cu $11{\sim}375 ppm$, Ni $14{\sim}247 ppm$, Pb $13{\sim}413 ppm$ and Zn $101{\sim}972 ppm$. Average contents of hazardous elements of Zn>Cu>Pb>Cr>Co>Ni>Cd. Content of hazardous elements was low in residential area, whereas that of heavy metal was much the same in both in heavy traffic area. Content of hazardous elements such as Cd, Co, Cr, Cu, Ni, Pb, Zn was found to be particularly high in industrialized area. According to these results it was possible to presume that industrialized area was affected by industry activity such as machinery, petrochemical, automobile and electronics industry. The SEM analysis, detected Pb, Cr, Ni, and Fe particles in samples of industrialized area contaminated by industry activity. The correlation coefficient table resulted from the samples of roadside dust showed that there was same direction increase of content between elements. In other words, when the content of Cd increase, Cr and Ni increase, as Cr increase, Cu and Ni increase, as Cu increase Ni increase and Pb increase Zn increase. Based on these results it was possible to predict and interpret similar contamination patterns in this study.

      • KCI등재

        금탑사 괘불탱과 만연사 괘불탱의 직물 및 채색 안료 특성 비교

        이장존,한민수,권혁남,이종수,윤지현,권윤미 불교미술사학회 2019 불교미술사학 Vol.28 No.-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haracteristics of color pigments and base materials through scientific investigation and analysis of Buddhist Painting of Geumtapsa Temple in Goheung and Buddhist Painting of Manyeonsa Temple in Hwasun, and confirmed the material correlation between these two paintings. These buddhist paintings were produced by Bihyun and Kwaeyun, who were active in Jeolla-do Province in the late 18th century. There were physical and biological damage in the past, but it is now in relatively good condition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fabric used for the background, the average density of the two buddhist paintings and the measured value of the fiber thickness do not show a large difference, so it is considered to be a similar type of flat silk fabric. Scientific analysis of the pigment materials used in buddhist paintings showed that the white pigment was mixed with lead white and talc, and the size and shape of the particles were different. It is possible that the same materials could be reworked at different times and that different trades used different raw materials. In the case of black pigment, it was confirmed that both of the two buddhist paintings were made with carbon and niram through the presence of particles and calcium and UV-Vis analysis. Red pigments were colored with minium alone, mixed with minium and cinnabar at different mixing ratios, and purple color used organic dyes. Yellow pigments were mixed with organic dyes because no other components were found except for white pigment (lead white + talc), and gold and lead were detected and gold foil was used on lead white. The green pigment used in the buddhist painting of Geumtapsa temple was identified with atactamite and malachite was used in whitish green color. On the other hand, in buddhist painting of Manyeonsa temple, atacamite is mainly used, and in whitish green color, paratacamite, which is not malachite, is identified and the pigments used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Azurite was identified and used in blue pigments, and cobalt-blue, which is a synthetic ceramic pigment for coloring cobalt, was used. 본 연구는 고흥 금탑사 괘불탱과 화순 만연사 괘불탱의 과학적 조사 및 분석을 통해 채색 안료와 바탕 재질 등의 특징을 고찰하고, 재료학적 상관관계를 확인하였다. 이 괘불탱은 18세기 후반에 전라도에서 활동한 비현(丕賢)과 쾌윤(快允) 등이 제작하였으며, 과거 물리․생물학적 손상이 있었으나 이미 보수되어 지금은 비교적 상태가 양호하다. 바탕화면에 사용된 직물을 분석한 결과, 두 괘불탱의 평균 밀도와 섬유 굵기의 측정값이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아 비슷한 종류의 평견직물인 주(紬)일 것으로 생각된다. 괘불탱에 사용한 안료 원료를 과학적으로 분석한 결과, 백색 안료의 원료는 연백과 활석을 혼합하여 사용하였고, 입자의 크기나 형태에서 차이를 보여 시간적인 차이를 두고 동일한 재료를 재 가공해서 사용하거나 새로운 교역으로 인해 다른 원료를 사용 했을 가능성이 있다. 흑색 안료는 두 괘불탱 모두 입자와 칼슘(Ca)의 유무, UV-Vis 분석 등을 통해 먹과 니람을 사용하였음을 확인하였다. 적색 안료는 연단을 단독으로 사용한 것과 연단과 진사의 혼합 비율을 달리하여 혼색한 재료로 채색하였으며, 자주색은 유기염료를 사용했다. 황색 안료는 백색 안료 (연분+활석) 이외의 성분이 확인되지 않아 유기염료를 혼합하여 사용하였으며, 금과 납이 검출되어 연백 위에 금박을 사용했음을 알 수 있었다. 녹색 안료는 금탑사괘불탱에서 아타카마이트가 동정되어 녹염동광(염화동)을 사용하였고, 백록 색에서는 공작석을 사용하였다. 반면, 만연사 괘불탱에서는 녹염동광(염화동)을 주로 사용하였으며, 백록색에서는 공작석이 아닌 파라타카마이트가 확인되어 사용 안료에서 서로 차이점을 보인다. 청색 안료에서는 남동석이 동정되어 석청을 사용하였음을 확인하였으며, 그 외 청색에서 코발트를 발색제로 한 합성 세라믹 안료인 회청을 사용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 KCI등재후보

        전통안료 석간주 원료로써 울릉도 석포리 적색 퇴적층의 자연과학적 연구

        이장존,한민수 한국전통문화대학교 전통문화연구소 2020 한국전통문화연구 Vol.26 No.-

        This study investigated the formation patterns and mineralogical properties of the Seokpo-ri sedimentary layer, which is a potential pigment raw material in Ulleungdo Island, which is reported as the main provenance of the red color in traditional pigments. Seokpo-Trachyte at the research site consists of a thick lava flow over 5 meters and an exposed volcanic sedimentary layer about 2 meters thick. Pyroclastic deposit is composed of volcanic tuff in the lower part and tuff in the upper part, and the tendency of upward granulation is evident, indicating that the Pyroclastic deposit developed in the lower part of Seokpo-Trachyte was formed by descent. Among the layers, US-9 was yellowish brown, and the redness of the sample fired at 800℃ increased, but the saturation was low for use as a red pigment. Seokpo-ri sedimentary layer corresponds to sandy loam from silt loam, and the redness tended to increase as the sand content increased. The main constituent minerals were sanidine, anordoclay, mica, halloysite, and ferrihydrite. Through TEM analysis, a globular halloysite with a concentric circular structure was identified. Ferrihydrite contained in brown soil after calcination becomes a hematite phase transition and turns reddish brown. Therefore, it is believed that it can be used as a red pigment that does not require a high degree of redness through the separation of paticles and firing processes. 본 연구는 전통 안료중에서 적색계열의 색상 중 하나인 석간주의 주요 산지로 보고되고 있는 울릉도에서 안료 원료로 가능성이 있는 석포리 퇴적층에 대한 산출형태와 광물학적 특성을 고찰하였다. 연구지점의 석포조면암은 5m가 넘는 두꺼운 용암류와 약 2m 두께로 노출된 화산쇄설층으로 구성된다. 화산쇄설층은 하부의 화산력응회암과 상부의 응회암으로 이루어져 상향 세립화의 경향이 뚜렷하므로 석포조면암 하위에 발달한 화산쇄설층은 강하에 의해 형성되었음을 지시한다. 층준중에서 US-9가 황갈색으로 800℃에서 소성한 시료가 적색도가 증가하였지만, 적색안료로 쓰기에는 채도가 낮다. 석포리 퇴적층은 미사질양토에서 사질 양토에 해당되며, 모래 함유량이 증가 할수록 적색도는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주구성 광물은 새니딘과 아노르도클레이스, 운모류, 할로이사이트, 페리하이드라이트가 동정되었다. 투과전자현미경 분석을 통해서 동심원상의 구조를 가지고 있는 구상할로이사이트를 확인했다. 소성에 따른 갈색 토양 안에 함유하고 있는 페리하이드라이트가 적철석 상전이가 되어 적갈색으로 변한다. 따라서 수비와 소성과정을 통해 높은 적색도가 필요하지 않는 적색계열의 안료로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영양 사암을 대상으로 한 에틸실리케이트 계열 처리제의 강화효과 평가

        이장존,한민수,송치영,전병규,도민환,Lee, Jang-Jon,Han, Min-Su,Song, Chi-Young,Jun, Byung-Kyu,Do, Min-Hwan 국립문화재연구소 2009 保存科學硏究 Vol.30 No.-

        Stone cultural heritages in Korea have a severe damages from chemical and biological weathering because most of them have been situated in outdoors without any suitable protection systems, and this in turn causes deformation and structural damage. To counteract these problems and increase durability, various kinds of conservation materials are used in the conservation and restoration treatments. However until now there are not many practical and technological experiments on this subject. This paper attempts quantitative evaluation of effectiveness about chemical of ethylsilicate based resin for sandstone in Yeongyang-gun. It takes a long time to evaluate durability and side effect after conservation materials treatment. So we use artificial weathering through freezing§ thawing experimental method. As a result of this experiment, porosity and absorptance increased, and elastic wave speed, elastic modules, unconfined compression strength and tensile strength decreased more than before. This study plans to make a scientific method study about weathering factor and mechanism, and to deduce correlation between artificial weathering and natural weather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